KR20060031421A -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421A
KR20060031421A KR1020040080448A KR20040080448A KR20060031421A KR 20060031421 A KR20060031421 A KR 20060031421A KR 1020040080448 A KR1020040080448 A KR 1020040080448A KR 20040080448 A KR20040080448 A KR 20040080448A KR 20060031421 A KR20060031421 A KR 2006003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igh voltage
air purifying
voltage generator
plasma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202B1 (ko
Inventor
염관호
최호선
최인호
김호중
조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02B1/ko
Priority to US11/243,964 priority patent/US7300493B2/en
Priority to EP05021835A priority patent/EP1647776A3/en
Priority to CNA2005101134184A priority patent/CN1945143A/zh
Publication of KR2006003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3Precipit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플라즈마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소자와; 상기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AC 고전압을 인가하는 AC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수광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발생되는 발열량에 따라 규제치 이하로 오존량을 적절하게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살균시키고 정화하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온발생소자, 공기조화소자, 플라즈마, 오존, 오염도 센서, AC 전압, 수광센서

Description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 device for cleaning ai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의 운전 제어 상태가 도시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소자가 예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소자의 방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에서 AC 전압 제어 신호가 도시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의 광센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비교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원 13 : 정류기
15 : AC 고전압 발생기 17 : 오염도 센서
18 : 광센서 19 : 마이크로 컴퓨터
20 : 공기정화소자 22 : 유전체
24 : 방전 전극 25 : 인가 단자
27 : 접지 전극 28 : 접지 단자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 청정기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광센서를 이용하여 오존량 발생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정화 장치는 최근 개발된 연면 방전형 음이온 발생소자라 불리는 공기정화소자 등을 이용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고, 이렇게 발생된 음이온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의 운전 제어 상태가 도시된 그래프로서,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소자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공기 정화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예 AC 220V)(1)을, AC 전원에서 DC 전류를 얻어내는 정류기(3)에서 12V DC전원으로 정류 한 후 다음,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공기정화소자(7)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DC 고전압 발생기(5)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9)에서는 사용자의 운전 및 정지 신호에 따라 상기 DC 고전압 발생기(5)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소자(7)에 인가되는 고전압 ON/OFF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에서 상기 DC 고전압 발생기(7)에 ON 신호를 주게되면, 상기 DC 고전압 발생기(5)에서 발생된 고전압이 공기정화소자(7)에 인가되면서 공기정화소자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방전 현상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소자(7)에서 음이온이 발생하게 되면, 공기정화소자(7)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는 실내 공기의 상태와는 상관없이 주로 음이온만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담배 연기나 먼지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 상대적으로 심하게 오염된 경우에도 공기정화소자(7)는 일정하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공기정화소자(7)가 적절하게 동작되지 못하여 실내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공기 정화 제어 장치는 DC 고전압 발생기(5)가 구비되어 있으나, DC 고전압 발생기(5)의 특성상, 이를 이용해서는 공기정화소자(7)를 통해 규제치 이하로 오존을 적절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오염 물질의 살균 효 과가 높은 오존을 규제치 이하로 발생시켜 공기를 살균 정화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정화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발생되는 발열량을 측정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오존량 발생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규제치 이하로 오존량을 적절하게 발생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 물질을 살균 및 정화하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소자와; 상기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발열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AC 고전압을 인가하는 AC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발열상태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방법은,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한 발열 상태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낮추거나 전원을 OFF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소자가 예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소자의 방전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음이온과 함께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를 살균 및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소자(20)와, 상기 공기정화소자(20)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발열상태 감지수단인 수광센서(18)와,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AC 고전압을 인가하는 AC 고전압 발생기(15)와, 상기 공기정화소자(20)를 통해 정화할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나 상기 수광센서(18)의 신호에 따라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하는 AC 전압을 가변시키는 제어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19)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정화소자(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체형의 절연성 유전체(22)의 상면에 방전 전극(24)이 형성되고, 반대쪽 면인 저면에 접지 전극(27)이 형성된다. 상기 방전 전극(24)과 접지 전극(27)은 상기 절연성 유전체(22) 의 양쪽 표면에 코팅된 보호막(23)에 의해 보호되게 구성된다.
상기 방전 전극(24)에는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의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인가 단자(25)가 노출되고, 상기 접지 전극(27)에는 접지 회로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28)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광 센서(18)는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면, 소자 표면이 도 5와 같이 발열하게 되는데, 이때 발열하면서 발생하는 빛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전원 등의 AC 전원을 일정 전압, 예를 들어 12V의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13)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는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AC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데, AC 전압의 특성상 전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일정 전압 이상의 고전압을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하게 되면 음이온과 함께 살균 능력이 우수한 오존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AC 전압을 변화시키게 되면, 오존 발생량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17)로부터 오염 측정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상기 오염도 센서(17)의 실내 공기의 측정 결과,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하는 AC 전압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어하고,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하는 AC 전압을 상대적으로 낮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가 상기와 같이 AC 고전압 발생기(15)를 제어하여 공기정화소자(20)에서 오존 및 음이온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에서 AC 전압 제어 신호가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의 광센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공기 정화 제어 장치가 작동하면, 상용 전원인(11) 220V의 전원이 정류기(13)에서 12V DC전원으로 정류한 후, AC 고전압 발생기(15)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염도 센서(17)를 통해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 입력하게 되고,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는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판단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판단한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AC 고전압 발생기(15)에서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AC 전압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결정하여,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를 제어하게 된다.
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판단한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AC 고전압 발생기(15)에서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AC 전압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결정하여,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판단한 오염 정도의 레벨을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상기 AC 전압의 크기를 도 6에서와 같이 '대', '중', '소'로 결정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으로 AC 전압을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15)에서 상기와 같은 레벨에 따라 AC 고전압이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고, 공기정화소자(20)에서는 제어 레벨에 따라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오존 및 음이온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살균하고 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정화소자(20)가 작동하게 되면,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면서 소자 표면이 발열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발열량의 크기는 오존 발생량의 크기와 비례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센서(18)를 통해 감지된 소자 표면의 발열량이 일정 이상이면, 소자(20) 표면에 발생되는 오존 농도도 일정 이상인 규제치 이상으로 판단하여, 오존 발생이 억제되도록 일정 시간(t) 동안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오프시킨다.
물론, 이때 공기 오염 상태에 따라 공기정화소자(20)에 인가되는 전압이 '대'로 설정되어 있으면, '중'이나 '소'로 다운시키고, '중'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소'로 다운시켜 오존량 발생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공기 오염 정도와 공기정화소자(20)의 표면의 발열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소자(20)에 AC 고전압 인가를 ON/OFF시키거나, 인가 전압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제어하게 되면, 공기정화소자(20)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방전량 및 오존 발생량도 달라지게 되므로, 음이온과 함께 규제치 이하로 오존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 및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공기조화소자에 인가되는 AC 전압을 조절하고,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발생되는 발열량을 측정하여 오존량 발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규제치 이하로 오존량을 적절하게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살균시키고 정화하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플라즈마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소자와;
    상기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발열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AC 고전압을 인가하는 AC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발열상태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는 AC 전원을 일정 전압의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상태 감지수단은 수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상기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제어 장치.
  5. 공기정화소자의 플라즈마 방전시에 소자 표면의 발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한 발열 상태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AC 고전압 발생기에서 공기정화소자에 인가하는 AC 전압의 크기를 낮추거나 전원을 OFF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제어 방법.
KR1020040080448A 2004-10-08 2004-10-08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8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448A KR100680202B1 (ko) 2004-10-08 2004-10-08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3,964 US7300493B2 (en) 2004-10-08 2005-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EP05021835A EP1647776A3 (en) 2004-10-08 2005-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CNA2005101134184A CN1945143A (zh) 2004-10-08 2005-10-08 控制空气净化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448A KR100680202B1 (ko) 2004-10-08 2004-10-08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421A true KR20060031421A (ko) 2006-04-12
KR100680202B1 KR100680202B1 (ko) 2007-02-08

Family

ID=3545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448A KR100680202B1 (ko) 2004-10-08 2004-10-08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0493B2 (ko)
EP (1) EP1647776A3 (ko)
KR (1) KR100680202B1 (ko)
CN (1) CN19451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754A (zh) * 2017-06-22 2017-09-01 苏州市东皓计算机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空气净化空调
KR102373453B1 (ko) * 2021-08-19 2022-03-10 청남공조(주) 공기 조화기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4288B2 (en) * 2006-04-07 2009-05-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performanc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785404B2 (en) * 2006-10-02 2010-08-31 Sylmark Holdings Limited Ionic air purifier with high air flow
CN101394067B (zh) * 2007-09-17 2012-05-23 黄思伦 可调式高压负离子产生装置
US8233255B1 (en) 2008-04-01 2012-07-31 Redkoh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ower conversion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7947110B2 (en) * 2008-07-31 2011-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operating a filtration system
DE102008049279A1 (de) * 2008-09-26 2010-04-01 Behr Gmbh & Co. Kg Ionisationsvorrichtung
KR100954878B1 (ko) * 2009-03-10 2010-04-28 넥슨 주식회사 실내 공기의 이온 및 오존 최적화 포화방법
CN102370999A (zh) * 2010-08-04 2012-03-14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使用脉宽调制的制冰机离子清洁器的功率控制方法和系统
US8608826B2 (en) * 2011-04-11 2013-12-17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Method of modeling fly ash collection efficiency in wire-duct electrostatic precipitators
CN102230664A (zh) * 2011-06-21 2011-11-02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带净化消毒功能的空调机组的控制方法和控制模块
CN103230837A (zh) * 2013-04-19 2013-08-07 王兆安 等离子室内微尘净化器
CN104456746B (zh) * 2013-09-16 2018-01-05 大连聚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空气净化器
CN103623449B (zh) * 2013-11-11 2016-03-30 王云锋 空气除臭杀菌装置及其方法
CN103721850B (zh) * 2013-12-17 2016-04-13 广州勒夫蔓德电器有限公司 一种祛除颗粒烟雾和杀菌方法
KR102200401B1 (ko) * 2014-01-14 2021-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N104791919A (zh) * 2015-03-17 2015-07-22 深圳利登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等离子空气净化装置
CN105337172B (zh) * 2015-10-16 2017-03-29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空气负离子发生器安全控制方法
CN109855362A (zh) * 2017-11-30 2019-06-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方法和冰箱
CN109365133B (zh) * 2018-09-29 2020-02-14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fpga的滤尘换气装置及其智能控制方法
CN111503975A (zh) * 2020-04-20 2020-08-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净味控制方法、冰箱净味装置及电冰箱
CN111895533A (zh) * 2020-07-10 2020-11-06 临海伟星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直喷室内空气负氧离子净化系统
CN112923498B (zh) * 2021-02-19 2022-06-28 合肥中科离子医学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强度自动调节低温等离子体空气消毒装置
JP7183474B1 (ja) * 2021-09-24 202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空気清浄機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装置
CN115451555B (zh) * 2022-09-20 2024-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化过滤组件控制方法、装置、空气净化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2149A (en) * 1951-07-30 1953-06-16 Research Corp System for energizing electrical precipitators and the like
US3049848A (en) * 1953-08-17 1962-08-21 Apra Precipitator Corp Electrostatic precipitator circuits
US4809127A (en) * 1987-08-11 1989-02-28 Ion Systems, Inc. Self-regulating air ionizing apparatus
US5124905A (en) * 1991-07-22 1992-06-23 Emerson Electric Co. Power supply with feedback circuit for limiting output voltage
US5278492A (en) * 1992-01-15 1994-01-11 Henkel Corporation Controllable AC power supply for an ozonator
US5321274A (en) * 1992-09-21 1994-06-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intermittent energization controller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US5401299A (en) * 1993-02-26 1995-03-28 Crs Industries, Inc. Air purification apparatus
JPH09108318A (ja) 1995-10-19 1997-04-28 Zexel Corp オゾン殺菌装置
DE19651402A1 (de) * 1996-12-11 1998-06-18 T E M Tech Entwicklung Und Man Apparat zur physikalischen Aufbereitung von Luft, insbesondere von Atemluft
EP1128909B1 (en) * 1998-09-18 2003-08-13 F.L. Smidth Airtech A/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9990017482U (ko) 1999-01-11 1999-05-25 고종성 공기청정기
US6312507B1 (en) * 1999-02-12 2001-11-06 Sharper Image Corporation Electro-kinetic ionic air refreshener-conditioner for pet shelter and litter box
US6245126B1 (en) * 1999-03-22 2001-06-12 Enviromental Elements Corp. Method for enhancing collection efficiency and providing surface sterilization of an air filter
DE10007523C2 (de) * 2000-02-18 2002-03-14 Lk Luftqualitaet Ag Reussbuehl Verfahren zur Luftbehandlung mit Ion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TE439874T1 (de) 2000-05-18 2009-09-15 Sharp Kk Verfahren zum sterilisieren
DE10111445A1 (de) * 2001-03-09 2002-09-12 Werner Schroeder Luftreinigungsgerät
US7122070B1 (en) * 2002-06-21 2006-10-17 Kronos Advanced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fluid acceleration control of a fluid flo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754A (zh) * 2017-06-22 2017-09-01 苏州市东皓计算机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空气净化空调
KR102373453B1 (ko) * 2021-08-19 2022-03-10 청남공조(주) 공기 조화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5893A1 (en) 2006-04-13
CN1945143A (zh) 2007-04-11
EP1647776A2 (en) 2006-04-19
US7300493B2 (en) 2007-11-27
KR100680202B1 (ko) 2007-02-08
EP1647776A3 (en)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202B1 (ko)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0784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KR102054285B1 (ko)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4742572B2 (ja) 空気調和機の空気清浄装置
JP2007123166A (ja) 直流式イオナイザ
JP2008059795A (ja) イオン発生装置
JP2006500976A (ja) 空気清浄機
KR100584505B1 (ko) 오존 및 음이온 발생을 이용한 살균 탈취 청정 방법 및살균 탈취 청정장치
JP5211820B2 (ja) 空気調和機
JP2003178899A (ja) イオン化装置用電源の電流制御回路
KR20060031422A (ko) 공기 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2628531B2 (ja) 粉塵濃度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
JP5299989B2 (ja) イオナイザ
KR20060010230A (ko) 이온발생장치
KR20130015883A (ko) 취침모드를 구비한 제습장치, 제습방법 및 상기 제습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3255823B2 (ja) 塩素発生器の制御装置
JP4066949B2 (ja) オゾン発生装置の運転方法
KR100991151B1 (ko) 이온 발생 장치
JP2008229236A (ja) 脱臭装置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当該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脱臭システム
JPH11349302A (ja) オゾンモニタ及びオゾン発生装置
KR100193091B1 (ko) 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5046195A (ja) プラズマ脱臭装置
KR0139476Y1 (ko) 가습기의 갈수 및 오염상태 감지 장치
JP5359421B2 (ja) 定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プログラム
JPH0721188U (ja) 連続式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器の電解強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