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500A -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500A
KR20060027500A KR1020040076281A KR20040076281A KR20060027500A KR 20060027500 A KR20060027500 A KR 20060027500A KR 1020040076281 A KR1020040076281 A KR 1020040076281A KR 20040076281 A KR20040076281 A KR 20040076281A KR 20060027500 A KR20060027500 A KR 2006002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cceleration sensor
output voltage
impac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서성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500A/ko
Publication of KR2006002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12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capacitive pick-up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돔 카메라에 내장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통해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부분의 충격에 의한 카메라의 파손 위기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침입자가 감시 지역에 들어와 카메라에 충격을 주어 파손하게 될 경우에, 카메라가 충격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 침입자를 촬영하게 됨으로써, 카메라를 파손하는 범인을 검거하는 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 방향부터 모든 주변 상황을 촬영하게 됨으로써, 카메라의 충격이 발생한 현장의 촬영 영상을 통해 카메라에 충격이 발생한 이유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책을 간구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가속도 센서, 카메라, 충격, 감지, 팬 모터, 전극판, 캐패시턴스

Description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Dome Camera Impact Sensing System and Method Using by Acceleration Sensor}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용 DVR이 통신망에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가속도 센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n : 감시용 카메라 201∼20k : 감시용 센서
30 : 감시용 DVR 40 : 네트워크
50 : 개인용 컴퓨터 200 :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210 : 팬 모터부 220 : 촬영 카메라
230 : 주제어 장치 240 : 가속도 센서
250 : 알람 경고부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돔 카메라에 내장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통해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부분의 충격에 의한 파손 위기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지역을 동시에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이하 'DVR'이라 칭함)가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용 DVR이 통신망(Network)에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감시용 DVR(30)은 감시가 필요한 여러 지역에 각각 분산 설치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101∼10n)과 연결 접속됨과 아울러, 다수의 감시용 센서들(201∼20k)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들과 연결 접속되고, 또한 네트워크(40)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시스템 운영자의 개인용 컴퓨터(50)와 연결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용 DVR(30)은 대용량의 비디오 또는 오디 오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HDD)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와,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예를 들어 CD-RW 등과 같은 광디스크에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버(Disc Driver)를 구비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성에서 감시용 카메라는 충격 감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서, 외부 침입자가 감시 지역에 들어와 촬영 범위를 벗어난 카메라 뒷쪽에서 충격을 주어 촬영하지 못하도록 파손하는 경우에, 이를 방지할 별다른 대책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침입자를 촬영하지 못해 범인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감시용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감시용 카메라를 돔(Dome) 형태로 감싸도록 하고, 그 케이스를 강화시켜 제작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카메라가 충격받는 상황이나 파손되는 상황을 알 수 없어 재산 상의 손실을 방지할 대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충격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돔 카메라에 내장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통해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부분의 충격에 의한 카메라의 파손 위기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기록 저장하는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부; 상기 카메라에 내장되고, 상기 카메라의 충격 방향에 따른 유동 전극의 이동으로 전극 양단의 캐패시턴스 값이 변화하여 출력 전압이 변동되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센싱값을 읽어서, 상기 팬 모터부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읽은 상기 센싱값이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 외부인의 카메라 파손 시도로 판단하고 카메라 파손 상황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더불어, 상기 팬 모터부를 구동하여 충격이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주제어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파손 상황을 알리는 부저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비상 램프를 점등시키는 알람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기록 저장하는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출력 전압값을 주기적으로 읽어오는 제 1 단계;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정상적인 기준치와 다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준치와 다른 경우, 카메라의 파손 시도가 발생하였음을 부저 또는 알람 신호로 경고하는 제 3 단계; 상기 출력 전압값을 분석하여 충격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충격 발생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격 발생 방향부터 360 °회전하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200)은, 팬 모터부(Pan Motor Unit)(210), 촬영 카메라(Monitoring Camera)(220), 주제어 장치(Main Control Unit)(23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40), 알람 경고부(Alarm Warning Unit)(25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팬 모터부(210)는 촬영 카메라(220)와 연결 결합하고, 주제어 장치(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220)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촬영 카메라(220)는 팬 모터부(210)에서 전달된 동력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움직이며, 제어 신호에 따라 감시 지역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로 입력한다.
주제어 장치(230)는 가속도 센서(240)로부터 주기적으로 센싱값을 읽어서, 팬 모터부(210)의 정지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240)로부터 읽은 센싱값이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 외부인의 카메라 파손 시도로 판단하고 알람 경고부(250)로 카메라 파손 상황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더불어, 팬 모터부(210)를 구동하여 충격이 발생한 방향으로 촬영 카메라(220)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며, 촬영 카메라(220)의 줌 렌즈(Zoom Lenz) 및 포커스 렌즈(Focus Lenz)의 위치를 조정하여 외부인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가속도 센서(240)는 촬영 카메라(220)에 내장되고, 촬영 카메라(220)의 운동 방향에 따른 유동 전극의 이동으로 고정 전극 양단의 캐패시턴스 값이 변화할 때 출력 전압이 변동되도록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알람 경고부(250)는 주제어 장치(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파손 상황을 알리는 부저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비상 램프를 발생시키며,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로 경고를 표시한다.
도 3은 가속도 센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속도 센서(240)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성질을 이용하여 충격을 감지한다. 즉, 도 3의 (가)와 같이 고정된 전극 a, c 사이에 유동 전극 b를 위치시키고, 유동 전극 b가 충격 등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전극 a 와 전극 b 사이 또는 전극 b와 전극 c 사이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어, 캐패시턴스 값(C)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가속도 센서(240)는 출력 전압의 변동을 주제어 장치(230)로 전달하게 되고, 주제어 장치(230)는 출력 전압의 변동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다를 경우에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가속도 센서(240)의 구조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전극(금속)판 사이에 채워진 유전체에 의해, 전하가 직접 흘러가지는 않지만 유전체 내부에 전극이 배치되어 전기적 방향성을 띠게 되고, 이에 따라 전하량의 축적양이 변화하게 되어 그 출력 전압의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축적되는 전하량(C)은 전극판의 면적(s)과 전극판 간의 거리(d)에 의해 캐패시턴스 값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의 (나)는 유동 전극 b의 이동 방향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240)에서 유동 전극 b의 이동 위치에 따른 해당 출력 전압이 발생하는데, 주제어 장치(230)는 각 이동 위치에 따른 전압값을 데이터로 기억(저장)하고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240)는 팬 모터부(210)가 아무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도 3의 (나)와 같이 유동 전극 b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촬영 카메라(220)의 충격에 따른 유동 전극 b의 움직임이 있을 때 발생되는 출력 전압에 따라 어느 방향(위치)에서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해당 출력 전압에 따른 충격 위치 판단을 위하여 1번에서 16번까지의 방향(위치)으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주제어 장치(230)는 유동 전극 b의 이동에 따른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이루어진 출력 전압에 의해 충격 위치를 판단하고, 해당 충격 방향으로 촬영 카메라(220)가 움직이도록 팬 모터부(210)를 제어하게 된다.
도 3의 (다)는 팬 모터부(210)와 결합되어 있는 촬영 카메라(220)의 내부에 가속도 센서(240)를 부착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촬영 카메라(220)가 고정된 채로 일정한 감시 지역을 촬영하게 될 경우에 팬 모터부(210)는 정지 상태로 있게 되고, 가속도 센서(240)의 유동 전극 b도 도 3의 (나)와 같이 정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주제어 장치(230)는 주기적으로 가속도 센서(240)로부터 센싱값을 읽어온다(S402). 즉, 가속도 센서(240)에서 유동 전극 b가 이동없이 중앙에 위치하게 됨에 따른 캐패시턴스 값(C)에 의해 발생된 출력 전압이 주제어 장치(230)로 전달 되고, 주제어 장치(230)는 전달받은 출력 전압을 내부에 구비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인식한다.
위와 같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도 3의 (나)의 12번 방향에서 촬영 카메라(220)에 충격을 가한 경우, 촬영 카메라(220)는 충격을 가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가속도 센서(240)의 유동 전극 b은 도 3의 (나)에서 충격을 가한 방향(12번)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 전극 b의 이동에 따라 캐패시턴스 값(C)이 변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어 주제어 장치(230)로 전달된다(S404). 즉, 주제어 장치(230)는 가속도 센서(240)의 유동 전극 b가 정 중앙에 위치해 있을 때의 기준치와 다른 12번 방향의 출력 전압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주제어 장치(230)는 기준치와 다른 출력 전압을 전달받은 경우, 알람 경고부(250)를 통해 부저 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비상 램프를 점등하여 카메라의 파손 시도가 발생하였음을 경고한다(S406). 이때, 부저나 알람 출력 장치, 비상 램프 등은 상황실 등에 위치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주제어 장치(230)는 가속도 센서(240)로부터 전달받은 출력 전압을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분석하여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08).
주제어 장치(230)는 출력 전압을 분석하여 충격 방향을 12번 방향으로 판단했으면, 충격 발생 방향인 12번 방향으로 촬영 카메라(220)를 회전하도록 하는 동 작 명령을 팬 모터부(210)로 전달하여, 팬 모터부(210)에 의해 촬영 카메라(220)가 12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S410).
그리고, 주제어 장치(230)는 촬영 카메라(220)를 제어하여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고, 촬영 카메라(220)가 충격 발생 방향부터 360 °회전하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팬 모터부(210)를 제어한다(S412).
따라서, 촬영 카메라(220)로부터 충격 발생 방향에서 회전하며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이 DVR로 입력되어 하드 디스크 등에 기록 저장되거나, 스크린이나 모니터 등의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가 외부 침입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돔 카메라에 내장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통해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부분의 충격에 의한 카메라의 파손 위기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침입자가 감시 지역에 들어와 카메라에 충격을 주어 파손하게 될 경우에, 카메라가 충격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 침입자를 촬영하게 됨으로써, 카메라를 파손하는 범인을 검거하는 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 방향부터 모든 주변 상황을 촬영하게 됨으로써, 카메라의 충격이 발생한 현장의 촬영 영상을 통해 카메라에 충격이 발생한 이유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책을 간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카메라를 통해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에 기록 저장하는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부(Pan Motor Unit);
    상기 카메라에 내장되고, 상기 카메라의 충격 방향에 따른 유동 전극의 이동으로 전극 양단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변화하여 출력 전압이 변동되도록 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센싱값을 읽어서, 상기 팬 모터부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읽은 상기 센싱값이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 외부인의 카메라 파손 시도로 판단하고 카메라 파손 상황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더불어, 상기 팬 모터부를 구동하여 충격이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주제어 장치(Main Control Unit); 및
    상기 주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파손 상황을 알리는 부저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비상 램프를 점등시키는 알람 경고부(Alarm Warn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줌 렌즈(Zoom Lenz) 및 포커스 렌즈(Focus Lenz)의 위치를 조정하여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고정된 두 전극 사이에 유동 전극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동 전극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고정된 전극과 상기 유동 전극 사이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어 캐패시턴스 값(C)이 변화하게 되고, 상기 캐패시턴스 값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출력 전압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출력 전압을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분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 전압에 따른 충격 위치 판단을 위하여 각 출력 전압에 대응된 방향을 데이터로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출력 전압을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분석하여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충격 발생 방향을 판단했으면, 상기 충격 발생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회전하도록 하는 동작 명령을 상기 팬 모터부로 전달하여, 상기 팬 모터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충격 발생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충격 발생 방향부터 360 °회전하며 감시 지역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6. 카메라를 통해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에 기록 저장하는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출력 전압값을 주기적으로 읽어오는 제 1 단계;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정상적인 기준치와 다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준치와 다른 경우, 카메라의 파손 시도가 발생하였음을 부저 또는 알람 신호로 경고하는 제 3 단계;
    상기 출력 전압값을 분석하여 충격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충격 발생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격 발 생 방향부터 360 °회전하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정상적인 기준치는 고정된 두 전극 사이에 유동 전극이 위치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없어 상기 유동 전극이 고정된 전극과 상기 유동 전극 사이에 좌우 이동이 없이 중앙에 위치하여, 캐패시턴스 값(C)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값이 상기 기준치와 다를 경우에, 상기 유동 전극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고정된 전극과 상기 유동 전극 사이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어 상기 캐패시턴스 값(C)이 변화하게 되고, 상기 캐패시턴스 값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출력 전압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발생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출력 전압을 Xout 전압과 Yout 전압으로 분석하여 상기 충격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줌 렌즈(Zoom Lenz) 및 포커스 렌즈(Focus Lenz)의 위치를 조정하여 감시 지역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방법.
KR1020040076281A 2004-09-23 2004-09-23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7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281A KR20060027500A (ko) 2004-09-23 2004-09-23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281A KR20060027500A (ko) 2004-09-23 2004-09-23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00A true KR20060027500A (ko) 2006-03-28

Family

ID=3713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281A KR20060027500A (ko) 2004-09-23 2004-09-23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5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81B1 (ko) * 2006-09-28 201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모터 탈조 검출방법
KR101581724B1 (ko) * 2015-09-03 2016-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네트웍스 설치구조물에 대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장치
KR101848363B1 (ko) * 2018-01-08 2018-05-28 이화수 감시카메라 장치
CN113596249A (zh) * 2021-06-17 2021-11-02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和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81B1 (ko) * 2006-09-28 201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모터 탈조 검출방법
KR101581724B1 (ko) * 2015-09-03 2016-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네트웍스 설치구조물에 대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장치
KR101848363B1 (ko) * 2018-01-08 2018-05-28 이화수 감시카메라 장치
CN113596249A (zh) * 2021-06-17 2021-11-02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7585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100865388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JP4535919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及びコントローラ
KR20060027500A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충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2617A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080045318A (ko) 카메라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연동제어하는 감시시스템
JP4826262B2 (ja) 鏡筒の退避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6898826B2 (ja) 監視装置
JP6898825B2 (ja) 監視装置
KR1015128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4780B1 (ko)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KR102144425B1 (ko) 지진 대비용 cctv 카메라 장치
JP6910913B2 (ja) 監視装置
KR102333470B1 (ko) 주차 이벤트 영상 기록 시스템 및 방법
JP2011155461A (ja) 撮像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H0961869A (ja) カメラ
KR101434641B1 (ko) 차단기
KR20060034527A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영상 조정 시스템 및 방법
JP7141842B2 (ja) 監視装置
JP7086752B2 (ja) 監視装置
KR200199344Y1 (ko) 지능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KR101003180B1 (ko) 원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의 지능형 감시방법
KR101192407B1 (ko) 도로용 원방 감시 제어 장치
KR19980067098A (ko) 사고 순간 기록용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0903085B1 (ko)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