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878A -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878A
KR20060025878A KR1020040074735A KR20040074735A KR20060025878A KR 20060025878 A KR20060025878 A KR 20060025878A KR 1020040074735 A KR1020040074735 A KR 1020040074735A KR 20040074735 A KR20040074735 A KR 20040074735A KR 20060025878 A KR20060025878 A KR 2006002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spended solids
wastewater
filtered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532B1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04007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532B1/ko
Priority to US11/170,132 priority patent/US20060060517A1/en
Priority to PCT/KR2005/003093 priority patent/WO2006031086A2/en
Publication of KR2006002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질이 포함된 폐수 또는 용수에서 일반부유물질 및 미세부유물질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여과하되 포부유물질은 별도 포집하여 제거하고 부유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여과수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각각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를 구비한 2기(基)의 샌드형(Sand type) 여과기와 2기(基)의 부유물질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여과기와 하나의 부유물 포집통과 다른 하나의 여과기와 다른 하나의 부유물 포집통이 서로 교대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샌드형 여과기의 여과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샌드형 여과기를 가동하여 서로 교대로 가동하도록 하되, 상기 여과능력이 떨어진 샌드형 여과기에는 다른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역류시켜 걸러진 부유물을 여과기여과재에서 분리시켜 여과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되, 상기 분리된 부유물을 포함한 역쇄수는 하나의 포집설비인 부유물질포집통으로 보내어 부유물 거름망에 의하여 부유물을 포집하여 간헐적(間歇的)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포집설비에 의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상기 여과수는 최종 폐수처리설비로 보내도록 하며, 상기 포집설비거름망의 부유물포화로 포집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하나의 부유물질포집통을 사용하도록 하여 서로 교대로 가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Floating matters Auto-filtering system of Waste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적 배관배치 및 기본적 폐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적 배관배치 및 여과기 교체에 따른 폐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적 배관배치 및 역쇄공정에 따른 폐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샌드형 여과기의 여과수 흐름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샌드형 여과기의 역쇄수 흐름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폐수수집조 20 : 폐수처리 또는 폐수열회수 설비
100 : 폐수이송펌프 200, 300 : 샌드형 여과기
201, 301 : 여과기 폐수입구 202, 302 : 여과기 폐수출구
210 : 여과재 220 : 여과재이탈방지망
400, 500 : 부유물포집통 401, 501 : 부유물포집통 폐수입구
402, 502 : 부유물포집통 폐수출구 410, 510 : 부유물질 거름망
600 : 자동제어반 610 : 작동지시신호배선
620 : 센서신호수신배선
S-1, S-2 : 샌드형 여과기 압력감지센서
S-3 : 부유물포집통 압력감지센서
V-1~V-9 : 자동밸브
본 발명은 부유물질이 포함된 폐수 또는 용수에서 일반부유물질 및 미세부유물질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여과하되 포부유물질은 별도 포집하여 제거하고 부유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여과수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해야 되는 장소는 폐수배출량이 일정이상이고 폐수부유물질농도가 일정이상(환경기준법기준이상)인 곳으로 자체폐수처리설비 또는 공동폐수처리설비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제조설비(공장)거나 대형건물(호텔, 리조트 등)이 대상인데 이러한 곳에서 운영되는 자체폐수처리설비 또는 공동폐수처리설비의 부유물질여과설비는 넓은 공간(사각 또는 원형 구덩이형태)의 부유조인데 비교적 좁은 폐수배출통로로 배출되는 폐수를 폐수배출통로로 대단히 넓은 부유조로 폐수를 인입시켜 폐수의 급격한 유속을 저하시키므로써 흐름이 완만하여 와류에 의해 부유물질이 폐수와 섞이는 현상을 감소시켜 물보다 가벼운 부유물질을 폐수위로 부유시키고 부상된 부유물질은 기계적수단으로 또는 관리자의 인력으로 부유조의 부유물질을 수시로 포집하는 형태로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있는데 부유물질이 일정 이상 크기의 형태일 때는 유속이 저하되거나 정지되면 부유하지만 미세하고 수용성인 경우(섬유가닥, 적은 종이부스러기 등)는 부유되지 않고 침전되거나 부유조폐수중간층을 배회하여 일부는 부유조에서 부유되지 않고 폐수처리설비에서 그대로 방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용수(사용중인 물)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곳은 공중목욕탕욕조, 수영장풀(POOL) 등으로 욕조, 풀(POOL)의 용수가 머리카락, 때 등으로 오염되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욕조나 풀(POOL)의 용수를 샌드(SAND)형 여과기에 펌프로 강제 순환시켜 이물질인 부유불질(머리카락, 때)을 여과하고 있는데 공중목욕탕욕조, 수영장풀(POOL) 등의 용수 부유물질농도는 극히 낮아 샌드형 여과기를 사용하여도 샌드형 여과기 여과재의 막힘현상이 발생될 때까지 오래걸려, 샌드형 여과기 성능회복을 위한 여과재교환 및 여과재 세척을 위한 역쇄주기가 길고 역쇄 용수의 사용량도 적어 사용이 무방하나, 공업용 폐수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유물질농도가 높고 배출량이 많아 샌드형 여과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샌드형 여과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정지시켜야하고, 대량의 청수(공업용수, 시수)를 사용하여 여과로 인해 부유물이을 포집된 여과재의 세척을 위해 여과제에 역쇄시켜야하므로 이때 대량의 청수가 필요하므로, 공업용 폐수의 경우 샌드형 여과기를 사용하게 되면 경제성확보와 장치관리운영의 어려움이 있어 샌드형여과기가 사용되는 곳은 없다.
샌드형 여과기는 여과재(모래 또는 모래모양의 인공제작품)의 입자크기에 따라 여과되는 부유물질입자크기가 결정되는데 여과재 입자가 적을 수록 여과되는 부유물질입자크기도 적어져 미세부유물질도 여과 포집되어 여과효율은 증가하나 여과재 입자가 적을 수록 여과재 밀도가 높아 여과 포집되는 부유물질량이 증가하여 여과재가 단시간내에 폐색(막힘)되므로서 폐수통과가 불가능하여 여과능력이 상실되어 재사용을 위해서는 여과기를 역쇄(여과시 폐수 흐름과 반대로 청수를 급수하는 것을 의미함)하여 여과재를 폐색하고 있는 부유물질을 떼어내어 여과기 밖으로 배출시키고 여과재를 초기 여과가능상태로 복원시켜 다시 여과를 실행하여야 하는데, 제조시설이나 대형건물폐수의 경우에 샌드형 여과기로 부유물질을 여과할 경우에는 폐수배출량이 대량이고 부유물질농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미세부유물질이 대량포함 되어 있어 여과재에 의한 막힘 현상이 짧은 주기로 반복적 발생하여 역쇄에 소요되는 용수(淸水-시수 또는 공업용수)사용량이 대량으로 소비되어 경제적부담이 대단히 크고 짧은 주기로 반복적 발생하는 여과재 막힘현상을 관리자의 감각에 의해 역쇄시기를 판단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역쇄를 반복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하여 현실적으로 기존 부유조 운영방식으로 운영할 수 밖에 없어 넓은 공간의 부유조확보와 관리인력에 의해 일정 이상 크기의 부유물질만을 여과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폐수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장치에서도 샌드형 여과기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폐수부유물질여과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되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부유물질의 여과능력이 여과재 입자 선택에 따라 100%여과가 가능하고 자동화된 역쇄에 의해 여과재 성능 복원이 가능하여 장시간 여과재 교체 없이 여과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여과되어 포집된 부유물질은 일정한 포집설비(물은 배출되고 부유물질은 포집되는 그물망이 하부에 설치된 설비)에 역쇄시 역쇄수를 통과하게 하여 별도로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는 부유물질여과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여과설비의 세척시 청수(淸水)를 사용하지 않고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배출된 여과수를 사용하도록 하되, 2조의 여과기가 교대로 여과와 역쇄를 반복하는데 하나가 막히면 다른 하나가 여과를 실행하고 배출되는 여과수로 막힌 여과기를 역쇄하여 여과기능을 회복시켜 대기시키며 여과중인 여과기가 막힐 경우 여과기능이 회복되어 대기중인 여과기가 여과를 실행하고 배출되는 여과수로 패색된 여과기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여과기 세척을 실행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시스템 정지없이 여과기를 역쇄하여 재 사용하도록 하되 역쇄에 소요되는 역쇄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청수(공업용수,수도물)가 아닌 여과를 실행중인 여과기의 여과수를 사용하도록 하며, 여과기 세척을 위한 역쇄로 발생된 부유물질농도가 극히 높은 역쇄수는 상기 부유물질포집통으로 통과시켜 여과된 부유물질을 포집하되 이것도 2조의 포집설비를 사용하므로써 하나의 부유물질포 집통에 부유물질이 일정이상 포집되면 다른 하나의 부유물질포집통으로 역쇄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질을 포집하여 교대로 사용하도록 하고 일정이상 부유물질이 포집된 부유물질포집통의 거름망은 교체하여 포집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상기 여과기 및 부유물질포집통의 유입구측에 각각 수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그 교대시점을 파악하고 거름망교체시점을 파악하여 시스템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연속적인 작동을 유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발명에 따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각각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를 구비한 2기의 샌드형(Sand type) 여과기와 2기의 부유물질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여과기와 하나의 부유물 포집통과 다른 하나의 여과기와 다른 하나의 부유물 포집통이 서로 교대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샌드형 여과기의 여과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샌드형 여과기를 가동하여 서로 교대로 가동하도록 하되, 상기 여과능력이 떨어진 샌드형 여과기에는 다른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역류시켜 걸러진 부유물을 여과기여과재에서 분리시켜 여과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되, 상기 분리된 부유물을 포함한 역쇄수는 하나의 포집설비인 부유물질포집통으로 보내어 부유물 거름망에 의하여 부유물을 포집하여 간헐적(間歇的)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포집설비에 의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상기 여과수는 최종 폐수처리설비로 보내도록 하며, 상기 포집설비거름망의 부유물포화로 포집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하나의 부유물질포집통을 사 용하도록 하여 서로 교대로 가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되기 전의 폐수를 원수(原水)라 칭(稱)하고, 여과기 또는 부유물포집통에 의하여 여과된 폐수를 여과수(濾過水)라 하며, 상기 여과수를 여과기에 여과공정의 유체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입시켜 여과재에 걸려진 부유물을 씻어낸 부유물질농도가 아주 높은 폐수를 역쇄수(逆刷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명세서의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적 배치도에서 배관의 관로가 실선과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점선은 관로가 밸브에 의하여 패색되어 폐수등의 흐름이 없음을 나타내고, 실선은 관로에 폐수 등이 흐르고 있음을 표시한다. 단,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선택한 개념으로 간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한 의미와 개념으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원수를 펌핑하여 여과기(200 또는 300)에 압송하는 폐수이송펌프(100)와 원수를 여과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2기의 샌드형여과기(200, 300)와, 여과수로 여과기능이 떨어진 여과기의 여과기능을 회복시키고 나온 역쇄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2기의 부유물질포집통(400, 500)과 상기 각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설치되 어 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와 두 여과기의 내부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2기의 압력감지센서(S-1, S-2)와 2기의 부유물질포집통(400, 500)으로 이송되는 폐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S-3)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정보에 의거하여 다수의 밸브의 관로 개폐동작과 상기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제어반(600)을 포함 하여 구성한다.
상기의 각 샌드형여과기(200, 300)의 원수입구(201, 301)에는 각각 압력감지센서(S-1,S-2)를 설치하되, 센서신호송신배선(610)으로 자동제어반(600)과 연결되고, 폐수입구(201, 301) 측의 분기된 배관에는 각각 제1, 제2자동제어밸브(V-1, V-2)가 설치되고, 두 샌드형여과기(200, 300)는 폐수입구(201, 301)에서 배관이 분기되어 상호 연결하는 제1순환관(P-1)이 배관되고 각 페수입구를 연결하는 배관에 각각 제3, 제4자동제어밸브(V-3, V-4)가 형성된다.
각 샌드형여과기(200, 300)의 폐수출구(202, 302)는 상호 폐수흐름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상호배관으로 연결되어 제2순환관(P-2)을 형성하고, 이 제2순환관(P-2)는 분기되어 폐수처리장치 또는 폐열회수설비(20)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점을 경계로 각 여과수출구(202, 302)를 연결하는 관에 제5, 제6자동제어밸브(V-5, V-6)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순환관(P-2)과 폐수처리장치 또는 폐열회수설비(20)를 연결하는 관에 제7자동제어밸브(V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순환관(P-1)이 분기되어 2기(基)의 부유물포집통(400, 500)을 연결하고 상기 제2순환관(P-2)과 상기 폐수처리장치 또는 폐열회수설비(20)을 연결하는 배관에 연결된다.
폐수입구(201,301) 및 폐수출구(202,302)는 폐수흐름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상호배관으로 연결하되 연결배관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S-1,S-2)의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제어반(600)의 밸브작동지시 신호에 따라 개폐가 작동되는 자동밸브 V-1 ∼ V-7가 각각 설치되며, 샌드형여과기(200), 샌드형여과기(300)의 폐수출구(202,302)와 샌드형여과기(200), 샌드형여과기(300)에서 여과된 부유물질을 포집하는 포집통(400,500), 폐수입구(401,501)사이에 연결된 배관에 자동밸브 V-8,V-9 설치된다. 상기 자동밸브 V-1 ∼ V-7은 밸브작동지시배선(620)으로 자동제어반(600)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S-1,S-2)의 신호송신을 판독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밸브 V-1 ∼ V-7의 작동지시를 하고 자동밸브 V-8 ∼ V-9는 밸브작동지시배선(620)으로 자동제어반(600)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S-3)의 신호송신을 판독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밸브 V-8 ∼ V-9의 작동지시를 하는 자동제어반(6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폐수나 용수의 원수(原水)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포집하여 부유물질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폐수처리설비나 폐수열회수설비 등에 요구하는 부유물질농도수질의 여과수(濾過水)를 공급하여 폐수처리설비나 폐수열회수설비 등의 효율적 운용을 통한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인데, 이하 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폐수집수조(10)의 원수를 펌프(100)에 의하여 두 여과기 중 하나의 여과기(200)로 보내어 부유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여과수(濾過水)를 폐수처리설비 또는 폐수열회수설비(20)로 보 내어 이용되도록 한다.
상기 사용되는 여과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상의 여과재(210)로 원수를 여과하고 일정량 이상의 원수를 여과하게 되면 여과재(210)에 의하여 걸러진 부유물이 여과재(210)의 공극(空隙)을 막아 원수의 통과량이 급격히 떨어져 여과기로서의 기능이 떨어진다. 여과기(200)의 여과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여과기의 원수유입구(201)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S-1)에 의하여 높아진 수압을 측정하므로써 인식하게 되고, 설정된 수압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중인 여과기(200)의 작동은 중단되고,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대기중인 다른 여과기(300)로 원수를 보내어 여과하도록 한다(도 2참조). 이같이 폐색된 여과기(200)의 여과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은 폐색된 여과기에 여과공정시 폐수흐름과 역방향으로 세척용 청수(시수, 공업용수)를 사용하여 여과재세척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색된 여과기(200)의 여과재세척을 위해 세척용 청수가 아닌 다른 여과기(300)에 의하여 생성된 여과수를 사용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색된 여과기(200)의 여과수출구(202)로 여과재이탈방지망(320)의 구멍보다 적은 부유물질이나 부유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다른 여과기(300)의 여과수를 보내어 여과재(210)에 의하여 걸러진 부유물질을 분리시켜 고농도의 부유물질이 포함된 역쇄수를 생성하여 여과기(200) 외부로 방출하므로서 폐색된 여과기(200)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이렇게 폐색된 여과기(200)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폐색된 여과기(200)의 원수입구(201)로 방출되는 역쇄수는 두 부유물질포집통(400, 500)중 어느 하나의 부유 물질포집통(400)으로 보내어 부유물질거름망(410)에 의하여 부유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여과된 여과수는 폐수처리장치 혹은 폐수열회수 설비(20)로 보낸다(도 3참조). 상기 두 부유물질포집통(400, 500)도 두 여과기(200, 300)와 동일하게 하나의 부유물질포집통(400)이 사용으로 인하여 폐색되어 포집기능이 떨어지면, 휴지중인 다른 부유물질포집통(500)을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폐색된 부유물질포집통(400)의 부유물질거름망(410)을 새것으로 교환하거나 세척하여 여과기능을 회복시키어 재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중인 부유물질포집통(400)의 여과기능 수행여부 판단은 역쇄수 유입구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S-3)로 얻어진 수압과 입력된 수압에 의해 자동제어반의 프로그램이 판단하여 경보 또는 기타 신호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샌드형여과기의 여과성능이 여과재입자선택에 따라 미세부유물질까지도 여과가 가능하고 역쇄에 의한 여과기능의 복원이 가능하여 여과재(filter)를 수시로 교체해야하는 일반여과기의 경제적, 관리적 문제점 없이 여과재 교체 없이 여과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여과 포집된 부유물질은 역쇄에 의하여 일정한 포집설비(여과수는 배출되고 포집하고자 하는 크기이상의 부유물질은 포집되는 그물망 또는 입자형 여과재가 설치된 설비)인 부유물포집통에 별도로 포집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역쇄에 사용되는 용수로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장치에서 가장 문제시 된 역쇄시 대량의 청수(淸水)가 필요하였던 점을 개선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었을 뿐아니라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장점은 두개의 여과기와 두개의 부유물포집통을 교대로 사용하도록 하고 그 교대시기를 유입구측의 관로(管路)상에 설치한 압력감지센서의 수압(水壓)정보로 판단하게 하고, 그 교대작업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관로상에 설치한 다수개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개패용 밸브를 제어하므로써 달성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는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그만큼 폐수 원수의 여과작업이 그만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특히 샌드형여과기의 사용에 있어서, 두개의 샌드형여과기가 사용되고 역쇄하여 기능을 회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샌드형여과기 사용의 지평(地坪)을 넓혔다.
본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는 종래의 폐수처리설비에서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부유조를 대신하게 되므로써 공간적으로 용적을 대폭 감소시켜 공간이용율이 극대화되고, 특히 상기 부유조를 사용하는 경우 방류수에 미세한 부유이물질이나 침수성부유물질(섬유부스러기, 머리카락 등)이 포함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여과기여과재와 부유물질포집통의 거름망선택에 따라 포집하고자하는 크기의 부유미세이물질 및 침수성이물질도 모두 필터링하게 되므로 환경기준치 초과에 의한 벌금, 영업정지, 허가취소 등 규제를 받지 않게 될 뿐아니라, 본 발명의 시스템가 폐수에 함유된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될 경우 부유이물질에 의한 열교환기폐쇄방지와 열교환기세척에 필요한 시간과 경비의 절감을 도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폐수처리에 있어서 고에너지 효율에 기인한 에너지 절감과 미세부유물질 및 침수성부유물질방류를 방지하므 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폐수 원수를 펌핑하는 폐수 이송펌프(100)와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S-1, S-2, S-3)가 폐수 유입구측에 각각 구비된 2기(基)의 샌드형(Sand type) 여과기(200, 300)와 2기(基)의 부유물질포집통(400, 500)이 배관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배관에는 다수의 자동 제어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다수의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S-1, S-2, S-3)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의 관로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제어반(60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한 벌의 여과기(200)와 부유물포집통(400)이 다른 한 벌을 구성하는 여과기(300)와 부유물포집통(500)과 상기 압력감지센서(S-1, S-2, S-3)로 측정된 내부 압력정보에 의하여 개폐되는 다수의 밸브에 의하여 폐수 원수의 흐름을 제어하면서 서로 교대하여 가동되도록 제어하되,
    하나의 샌드형 여과기(200)의 여과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샌드형 여과기(300)를 가동하여 서로 교대적으로 가동하도록 하는데, 여과능력이 떨어진 샌드형 여과기(200)에는 다른 여과기(300)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여과능력이 떨어진 여과기(200)의 여과수 출수구(202) 측으로 역류시켜 세척하여 걸러진 부유물을 여과재(210)에서 분리시켜 여과기능을 회복하도록 하고,
    여과기(200)의 세척으로 분리된 부유물을 포함한 역쇄수는 하나의 부유물포집통(400)으로 보내어 부유물 거름망(410)에 의하여 부유물을 포집하도록 하며, 상기 부유물포집통(400)의 부유물 포집능력은 유입구(401)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 (S-3)의 정보에 의하여 판단하여 포집능력이 떨어지면 다른 부유물포집통(500)으로 교대하게 하고,
    포집된 부유물에 의하여 포집능력이 떨어지면 부유물포집통(400, 500)에서 부유물 거름망(410, 510)을 교체하여 부유물포집통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샌드형 여과기(200, 300)과 부유물포집통(400, 500)에 의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상기 여과수는 최종 폐수처리설비(20)로 보내도록 한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시스템
KR1020040074735A 2004-09-17 2004-09-17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KR10063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35A KR100635532B1 (ko) 2004-09-17 2004-09-17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US11/170,132 US20060060517A1 (en) 2004-09-17 2005-06-28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PCT/KR2005/003093 WO2006031086A2 (en) 2004-09-17 2005-09-16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35A KR100635532B1 (ko) 2004-09-17 2004-09-17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878A true KR20060025878A (ko) 2006-03-22
KR100635532B1 KR100635532B1 (ko) 2006-10-18

Family

ID=3607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735A KR100635532B1 (ko) 2004-09-17 2004-09-17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60517A1 (ko)
KR (1) KR100635532B1 (ko)
WO (1) WO20060310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529B1 (ko) * 2014-04-01 2015-10-20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WO2015152439A1 (ko) * 2014-04-01 2015-10-08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US20160083265A1 (en) * 2014-09-19 2016-03-24 ClearCo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s to control a vertical lift decanter in a waste liquid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755A (en) * 1971-06-28 1974-08-27 Ecodyne Corp Filtration apparatus
US4780219A (en) * 1987-07-06 1988-10-25 Witek Joseph F System for filtering suspended solids from a liquid
US5320750A (en) * 1988-09-07 1994-06-14 Milos Krofta Water clarifier with first filtrate isolation, improved backwashing and improved bubble generation
US5401397A (en) * 1993-04-15 1995-03-28 Automatic Control Filter system for a liquid stream with automatic rapid back flush capability
US5980755A (en) * 1997-11-07 1999-11-09 Rg, Delaw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filter bed by differential pressure
US6238556B1 (en) * 1999-10-01 2001-05-29 Fluid Art Technologies, Llc Filtration system including a back washable pre-filtration apparatus
US6616833B2 (en) * 2001-04-18 2003-09-09 Gerard Lynch Ship-board system for decontaminating wastewater contaminated by firefighting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1086A2 (en) 2006-03-23
KR100635532B1 (ko) 2006-10-18
WO2006031086A3 (en) 2006-05-11
US20060060517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2739A (en) Completion and workover fluid filtration system
KR101199434B1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US20110042311A1 (en) Membrane system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35532B1 (ko)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JP2019025418A (ja) 水処理装置
KR10114332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91733B1 (ko) 자동입자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JP5102913B2 (ja) 膜濾過の逆洗排水を濃縮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204293992U (zh) 一种用于铁精矿浆脱水系统的反清洗系统
US9802141B1 (en) Cleaning system for filter beds
KR100745121B1 (ko) 여과장치
KR20020024008A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KR20160061173A (ko) 펌프 가압수의 압착력에의한 하,폐수 방류수 내의 부유물질 여과장치
WO2009070813A1 (en) Up-flow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GB2067427A (en) Filtration system
CN104083940B (zh) 一种用于铁精矿浆脱水系统的反清洗系统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CN202921088U (zh) 利用引水渠将浑水处理为清水的过滤结构
CN208824076U (zh) 一种水处理滤池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JP2016104463A (ja) 水処理装置
CN211885749U (zh) 一种污水过滤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