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530A -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530A
KR20060025530A KR1020057021922A KR20057021922A KR20060025530A KR 20060025530 A KR20060025530 A KR 20060025530A KR 1020057021922 A KR1020057021922 A KR 1020057021922A KR 20057021922 A KR20057021922 A KR 20057021922A KR 20060025530 A KR20060025530 A KR 2006002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eads
sealing bead
bead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렝 쟝-마르
이브 르망
디미트리 르로이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쉐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쉐뉴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쉐뉴
Publication of KR2006002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92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humidity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21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 1 요소와 제 2 요소 사이에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원래 위치에서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요소와 제 2 요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요소가 주어진 형태와 단면을 갖는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 가스킷은 고도의 유연성과 강한 소수성을 갖지만, 그 단편에 뛰어난 방수성을 부여하는, 규소화되지 않은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A SEALING JOINT GASKET}
본 발명은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에 부착될 준비가 된 모듈 요소(modular element)의 조립(assembly)에 적합한 밀봉 비드(sealing bea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의 현재 추세는, 조립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의 수를 감소시키고, 각 유닛(unit) 또는 작업장에 미리 설치되었던 모듈 요소에 부착되는 장비 품목 및/또는 부속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 조립을 촉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설비 커버(furnishing cover)의 형태이고, 도어 폐쇄 메커니즘 및/또는 측면 창문을 움직이기 위해 도어 내부에 제공된 메커니즘을 감추고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의 도어의 내부면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모듈러 도어 요소가 알려져 있다.
모듈 요소는 일반적으로 나사 결합(screwing) 또는 맞춤(fit-in) 수단에 의해 도어 요소에 부착되고, 환경적인 공격(수분, 먼지, 진동 등에 의한)으로부터 상기 도어 내부의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모듈 요소와 도어 요소 사이의 접촉면에 밀 봉제(seal)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밀봉제로서, 발포 중합체 밀봉 비드(foamed polymer sealing bead)를 함께 결합될 두 요소 사이의 접촉면에 삽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포 밀봉제는 도어 요소와 모듈 요소가 서로 완벽하게 협력할 때 가장 훌륭한 밀봉 기능을 수행하지만, 접하는 두 요소 사이의 최적의 부착에도 불구하고, 밀봉이 전체 둘레에 충분히 압축되지 않고, 틈이 개방되어, 환경적인 공격에 대한 가능한 통로를 생성하게 되는 일이 때때로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도어 요소 및/또는 모듈 요소에 대한 치수 제조 공차 변화로부터 일어나고, 이들 최소 공차가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물과 같은 액체에 대해 이러한 밀봉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포 밀봉제를 적어도 30%를 초과하는 압축 정도까지 압축하고, 도어 요소와 모듈 요소 사이의 근접한 접촉을 유지하는 크게 변형 가능한 밀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그러나, 요소의 클램핑(clamping) 후의 이러한 정도의 압축과, 물질에 기인한 비교적 큰 변형은, 접촉면에서 표면 왜곡 또는 가시적인 결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요소에 대해 가능한 가장 짧은 조립 시간을 성취하기 위해서, 조립 공정 중에 그리고 단시간에, 모듈 요소에 밀봉 수단을 미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수의 작업으로, 프레임 또는 임의의 다른 수용 표면, 특히 도어 요소 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도록, 밀봉 수단을 구비하고 특정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는 모듈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밀봉 수단은 낮은 압축력으로 밀봉이 형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효과적이어야 하는데, 이 밀봉은 특히, 모듈 요소와, 모듈 요소와 접촉하는 수용 표면 사이의 액체에 대한 밀봉이다.
이러한 목적과, 나중에 설명될 다른 목적들은 제 1 및 제 2 요소 사이에 밀봉 비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성취되었고, 제 1 및 제 2 요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요소는, 폴리올 화합물(polyol compound)과 이소시안산염 화합물(isocyanate compound)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고, 유연한 탄성부를 가지며, 한정된 형태와 한정된 단면으로 이루어진 밀봉 비드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비드는 소수성의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연한 소수성 밀봉 비드의 제조 덕분에, 두 요소 사이에, 심지어는 낮은 조립력으로, 완벽한 밀봉의 존재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음의 배열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는데,
- 표면은 탄성 부분에 부착되는 층으로 구성되고,
- 표면은 탄성 부분을 갖는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조되고,
- 밀봉 비드는 단일 성분 생성물(one-component product)을 압출(extruding)함으로써 형성되고,
- 밀봉 비드는 표면을 갖는 탄성 부분을 공압출(coextruding)함으로써 형성되고,
- 밀봉 비드는 적어도 두 성분이 상기 압출 헤드(head)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반응에 의해, 압출 헤드에서 형성되고,
- 표면은 소수성 폴리올에 기초하고,
- 소수성 폴리올은 지방산과 같은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고,
- 표면은 열적으로 활성화거나, 광활성(photoactivatable) 또는 화학적으로 활성화되는 화합물로부터 형성되고,
- 탄성 부분은 0.5 미만, 특히 약 0.1 내지 0.4의 상대 밀도를 갖고,
- 밀봉 비드는 약 0.3 내지 2 N/c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N/cm의 압축력을 갖는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요지는 또한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에 부착될 준비가 된 특히, 자동차 도어 모듈과 같은 요소인데, 이 요소는 한정된 형태와 한정된 단면의 밀봉 비드를 구비하는데, 상기 밀봉 비드는 소수성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안산염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부분, 즉,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탄성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봉 비드는 음량을 감쇠시켜 조립체의 방음에 기여하여 댐핑(damping) 기능 또는 기계적인 충격 또는 변형을 흡수함으로써 충격 또는 응력 흡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자체의 치수에 공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으로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보호막은, 밀봉 비드의 외부 표면이, 밀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먼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될 수 있다.
막으로서, 플라스틱 막,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막은 실리콘 층으로 코팅될 수 있거나 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르면, 밀봉 비드의 외부 부분은 그 표면에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요소와 제 2 요소 사이의 결합은 아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제조 방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비드를 생성한 후에, 밀봉 비드의 외부 표면은 제 1 또는 제 2 요소에 속하는 서로 마주하는 면의 하나와 협력하게 되고, 이어서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은 임의의 수단{스크루, 클립 고정(clipping-in), 맞물림(interlocking)}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 두 요소 사이에, 기계적인 응력을 받거나 변형이 일어난다(예를 들어, 압축, 장력, 또는 전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밀봉 비드가 형성되도록 해서, 유리하게는 밀봉 모티프(motif)가 특히 모듈 요소의 주위의 적어도 한 부분을 따르는 폐쇄 곡선일 때, 두 요소 사이에 밀봉 모티프를 재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구나, 이 방법은 밀봉 비드가 변형되는 능력을 고려하여, 최종 조립에서 비드를 위해 남겨둔 공간에 완벽하게 맞도록 밀봉 비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밀봉 비드는 제 1 또는 제 2 요소 중 하나에 직접 형성된다.
단일 성분 또는 다성분(multicomponent) 생성물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되고, 이 생성물은 밀봉 비드의 탄성부를 형성해야 한다. 다성분 생성물의 경우에, 밀봉은 압출 헤드에서, 헤드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성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비드의 탄성부가 형성되고, 원하는 단면과 원하는 성질, 특히 유연성, 표면 마무리, 경도(hardness) 그리고 압축 정도에 관해 원하는 성질을 성취했을 때, 그것은 이어서 결합 표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 표면은 다른 모듈 요소(제 1 또는 제 2 모듈 요소)의 접촉 영역에서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협력은 이런 식으로 조립체를 밀봉하기 위해 밀봉의 탄성 부분을 압축하도록 각 요소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을 결합함으로써 일어나는데, 이는 이어서 임의의 알려진 수단(예를 들어, 스크루)에 의해 부착된다.
또 다른, 이전의 실시예와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밀봉 비드는 금형(mold)의 공동(cavity)에 탄성 부분을 형성하는 층에 성형 가능한(moldable) 생성물을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사용된 모듈 요소가 얻어지는 방식에 따라,
- 모듈 소자 중 하나를 갖는 하나의 부품으로 밀봉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서, 모듈 요소(또는 모듈 요소 부분)와 합성 밀봉 비드를 동시에 생성하기 위해 밀봉 비드 위에 직접 모듈 요소(또는 적어도 이 모듈 요소의 일부)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 또는, 모듈 요소로부터 개별적으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서 미리 제조된 모듈 요소로 합성 비드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공동에서 밀봉 비드와 접촉한 모듈 요소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 가능한 생성물은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밀폐된 금형에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전달 수단의 도움으로, 금형 공동으로 점성 물질 또는 페이스트 물질(pasty material)을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형은 고정되거나 고정 전달 수단의 도움으로 금형은 이동 가능해진다.
밀봉 비드의 탄성부가, 벗겨질 수 있는(peelable) 막에 의해 보호된다면, 성형 가능한 물질은 교차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계수(elastic modulus)가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을 찢지 않고 막이 벗겨지도록 하는데 충분한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이러한 물질은 방습성 막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수분에 의해 교차결합 가능한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단일 성분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의해 변형된 열가소성의, 폴리우레탄 타입의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폴리올과 소수성의 이소시안산염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백본(backbone)을 갖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인데, 이 중 하나는 위에 설명된 중합체 백본 또는 올리고머 백본을 갖는다.
한 가지 변형예로, 합성 밀봉 비드는 미리 형성된, 특히 성형된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을 금형 공동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되고, 또 다른 금형에서 이 두 부분의 중첩은 밀봉 비드가 정확한 형태로 제어되도록 해준다. 이 변형에서, 미리 형성된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은 성형(molding)에 의해 제조되는 모듈 요소의 통합부(또는 모듈 소자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성형 빔은, 특히, 필요하다면,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의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면을 압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공압출 생성물은 그 최종 형태를 채택하기 위해 금형 공동에 증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압출(coextrusion)"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압출 가능한 물질이 공급되는 압출 헤드에 의해, 탄성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 주위에 투과 표면을 형성하는, 표면의 증착과 동시에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의 형성과, 앞에서 특히, 압출에 의해 형성된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이 이동하는 압출 헤드에 표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도포,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 가지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금형 공동에,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이 탄성 부분은 선택적으로 표면을 형성하는 덮개(envelope)로 덮히는 것이 가능하다)을 구성하는 성형 가능한 물질을 증착하고, 이어서 밀봉 비드를 상기 모듈 요소에 고정하기 위해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에 제 1 또는 제 2 요소 중 하나를 압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밀봉 비드의 탄성 부분은 선택적으로 이 금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합성 밀봉 비드가 고정되는 상기 모듈 요소가 제거되기 전에, 모듈 요소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밀봉 비드의 경화는 냉각 또는 공기 중의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금형 바깥에서 수행되거나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설치될 준비가 된 큰 부피의 모듈 요소를 제조하도록 해주고, 이 제조는 자동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듈 요소의 최종 조립은 매우 신속하고 자동차와 같은 조립체에 있어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려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다른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특징은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아래에 설명될 것이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 나타난 본 발명의 예들은 비제한적이다.
- 도 1은 자동차 도어에 있는 도어 모듈의 조립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봉 비드를 구비한 도어 모듈의 경계선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봉 비드를 구비한 도어 모듈의 경계선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봉 비드를 구비한 도어 모듈의 경계선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 도 5는 두 개의 밀봉 비드에 대한 압축도의 함수로서 압축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도시된 여러 가지 요소는 축척에 따라 나타나지 않았음이 먼저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특히 표면(3) 또는 상기 도어(1)의 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부착되는 도어 모듈(2)인 제 2 요소를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 도어(1)인 제 1 요소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 모듈(2)은 자동차 도어(1)의 표면(3)을 향한 그 표면을 드러내도록, 설치되지 않은 위치로 도시된다. 도의 검토를 단순화하기 위해, 어떤 부속품 또는 장비도 도어 모듈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측면 포켓 등과 같은 모든 일반적인 장비가 이 모듈에 통합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도어 모듈(2)은 도어 모듈(2)의 내부면과 도어(1)의 표면(3) 사이에, 유연한 밀봉 비드(4)를 삽입함으로써 도어(1)의 표면(3)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밀봉 모티프는 도어 모듈의 둘레를 지나는 밀폐된 프레임의 형태이다. 밀봉 비드(4)는, 도어 모듈(2)과 도어(1) 사이에, 특히 액체에 대해 밀봉되어야 하고, 또한 이러한 두 부분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진동의 흡수와 같은 다른 기능과 또한 두 요소의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밀봉 비드(4)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르고 도 2에 도시될 수 있는데, 도 2는 또한 모듈(2)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도에서, 자동차에 설치되기 전의 모듈이 도시되었다.
밀봉 비드(4)는 제 1 또는 제 2 요소 중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부(5)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5)는 매우 유연하다. 밀봉 비드(4)는 제 1 및 제 2 요소 사이의 허가된 갭(gap)에 따라 조정된 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에, 단면은 대략 사각형 으로 보이지만,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밀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자체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밀봉 비드(4)의 탄성부(5)는 점탄성(viscoelastic)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점탄성부는 아래에 나타난(모든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표시됨) 바람직한 조성을 갖는다.
또한 이후 화합물(1)로 불리는, 제 1 조성에 따르면, 밀봉 비드(4)의 부분(5)은,
- 1700 MW 지방산에 기초한 소수성 폴리올(g): 50
- 4000 MW 폴리에테르 폴리올(g): 20
- 8000 MW 폴리에테르 폴리올(g): 25
- 480 MW 폴리에테르 폴리올(g): 5
- 증류수(g): 1
- 규소화된 계면 활성제(g): 1
- 트리에틸렌디아민(촉매)(g): 0.6
- 20/80 카본 블랙/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g): 2
- 중합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안산염(MDI)(g): 31
에 기초한다.
이러한 밀봉제는,
- 밀도 (kg/m3): 200
- 쇼어(shore) 00 경도: 20
- 30% 압축력(N/cm): 0.6 Pa.s.
의 특성을 갖는다.
밀봉 비드의 탄성부는 0.5 미만, 특히 약 0.1 내지 0.4의 밀도를 갖는다.
탄성부는 약 0.3 내지 2 N/c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N/cm의 압축력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난 대안적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비드의 탄성부(5)는 중심부 또는 코어(5a)와 표면(5b)을 포함한다. 이 부분(5b)은 매우 큰 소수성을 띤다. 표면(5b)(아래의 화합물(3)과 비교)은 또한 본질적으로 소수성 조성물(아래의 화합물(2)과 비교)로 만들어지는 코어(5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합물(2)이라 불리는, 제 2 조성에 따르면, 코어(5a)는,
- 폴리에테르 폴리올(g): 50
- 4000 MW 폴리에테르 폴리올(g): 50
- 480 MW 폴리에테르 폴리올(g): 12.8
- 증류수(g): 2
- 규소화된 계면 활성제(g): 1
- 트리에틸렌디아민(촉매)(g): 0.6
- 20/80 카본 블랙/DIDP(g): 2
- 중합체 MDI(g): 50.1
에 기초하고,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밀도(kg/m3): 125
- 쇼어 00 경도: 26
- 30% 압축력(N/cm): 0.8 Pa.s.
또한 화합물(3)이라 불리는 또 다른 조성에 따르면, 표면(5b)은,
- 1700 MW 소수성 폴리올(g): 100
- 규소화된 계면 활성제(g): 0.5
- 트리에틸렌디아민(촉매): 0.3
- 20/80 카본 블랙/DIDP(g): 2
- 중합체 MDI(g): 16.8
에 기초하고,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밀도(kg/m3): ~1050
- 물 흡수도: 〈 0.1%
화합물(1,2 및 3)은 선행 기술에 따르는 밀봉 비드를 만들기 위해, 화합물(4)이라 불리는 조성과 비교해야 한다. 이 화합물(4)은 Applicant社에 의해 판매되는 Dynafoam 512G에 기초한다. 이 화합물(4)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밀도: 340 kg/m3
- 쇼어 00 경도: 45
- 30% 압축력(N/cm): 2.1
밀봉 테스트는 다양한 화합물(1,2,3 및 4)에 대해 U-테스트(U-test)(Ford WSB-M3G102-B) 규격에 따라 수행되고,
Figure 112005066094307-PCT00001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양한 예들로부터 만들어진 밀봉 비드는 폴리올이 100%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화합물(2)을 제외하고 모두 U-테스트를 통과했다.
그러나, 이 생성물(화합물(2))이 소수성 표면(화합물(3))을 형성하기 위해 100% 소수성 폴리올로 구성된 또 다른 생성물과 함께 공압출되면 형성된 유연한 밀봉 비드는 U-테스트를 통과했다. 결과적으로, 소수성 표면의 첨가는 이 비드에 밀봉 성질을 제공한다.
예(1 및 3)로부터 형성되는 밀봉 비드는 Dynafoam 512G보다 상당히 더 유연하고 동일한 압축 정도(30%)로 밀봉하는데, 이는 이 밀봉 비드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이 실질적으로 더 작을 것을 의미한다. 이 효과는 도 5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두 생성물이 30%의 압축율(즉, 유-테스트를 통과)로 밀봉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유연한 밀봉 비드(화합물(1)에 해당)를 압축하는 힘은 실질적으로 Dynafoam 512G의 경우보다 더 작을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그래프에서, 밀봉의 압축율은 2 mm/min이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탄성부(5){더 정확하게는 그 표면(5b)}는 막(6)에 의해 보호되어 수용 부분에 배치될 때 매우 오랜 기간 동안의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막(6)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모듈 제조 회사 또는 자동차 제조 회사에 의한 저장 기간 동안, 밀봉 비드가 먼지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종 조립 표면이 아닌 표면과의 임의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탄성부(5)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막은 또한 탄성부를 외부 조건, 특히, 수분, 빛,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밀봉 비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막(6)은 금형의 공동에 위치되고, 금형과 접촉한 표면(비드(4)가 일단 완성되면 막의 외부면이 될)은 성형되는 물질에 대한 방출제(release agent)로 작용하도록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가지 변형예에서(미도시), 막(6)은 분사(spraying)에 의해 증착된다. 밀봉 비드의 탄성부(5)의 물질은 막(6)의 내부면에, 예를 들어 폐쇄된 회로에서 공동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되는 압출 노즐(nozzle)에 의해 증착된다(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출 노즐과 노즐에 대해 이동하도록하는 금형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파괴 없이, 프레임 형태로 비드(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어떠한 밀봉 결점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노즐은 비드(4)의 탄성부(5)의 물질에 예비 형태를 주기 위해서 조정된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결국 금형 공동 내에서 성형된다.
밀봉 비드(4)의 탄성부(5)의 물질의 증착이 완결되자마자, 합성 밀봉 비드는 도어 모듈 상에, 도어 모듈로 이동시켜 설치될 수 있는데, 도어 모듈은 아직 경화가 일어나지 않은 비드(4)의 외부 표면에 압착되고 물질은 모듈의 표면에 자발적으 로 부착된다. 한 가지 변형예로, 비드(4)의 물질이 모듈(2)의 물질에 자발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면, 경화되거나 경화되지 않은 밀봉 비드(4)의 탄성부(5)의 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착층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길이가 사용된 물질에 의존하는 경화 시간(setting time) 후에, 도어 모듈(2)은 그 표면에 결합된 합성 비드(4)와 함께 금형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만약 막이 하나라면, 막(6)은 또한 금형 공동으로부터 추출되고 탄성부(5) 또는 그 표면(5b)에 부착되어 유지되는데, 이는 즉시 먼지 및/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밀봉 비드(4)를 구비하는 모듈(2)은 비드가 경화되거나 구조적인 성질을 획득하는데 충분히 긴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고, 모듈(2)은 이어서 자동차에 설치될 준비가 될 때까지 저장된다.
설치 작업은 보호막(6)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수행되는데, 그 후 비드(4)는 자동차의 도어와 접촉하여 압축된다.
한 가지 변형예로, 밀봉 비드(4)는 제 1 또는 제 2 요소 중 하나에 직접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단일 성분 또는 다성분 생성물은 상기 요소의 면 중 하나에, 원하는 밀봉 모티프로 직접 증착되고, 이러한 생성물은 밀봉 비드(4)의 탄성부(5)(5a 및 5b)를 형성해야 한다. 다성분 생성물의 경우에, 밀봉(4)은 헤드에서, 상기 헤드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적어도 두 성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모듈(2)은 도(2,3 및 4)에 도시된 모듈의 구조와 일치하는 구조를 갖는 다. 도어 모듈은 라이닝(lining) 상에 또는 라이닝과 나란히 모듈의 둘레에 배치되는 탄성부(5)를 구비한다.
탄성부(5)는 제 1면상에서, 모듈(2)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막(6)에 의해 또 다른 면에서 보호된다. 막(6)은 수분 차단 기능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다.
밀봉 비드(4)의 탄성부(5)는 위에서 설명된 것(금형의 공동에서의 제조와 관련하여)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여기서 이송 금형을 통해 지나가지 않고 제 1 또는 제 2 요소 중 하나의 표면에서 직접 수행되는 증착 단계에 관한 것은 제외된다.
더구나, 비드(4)는 제 1 요소(또는 제 2 요소)에 압착함으로써 제 2 요소(또는 제 1 요소)에 도포될 수 있고, 밀봉 비드는 여전히 상기(제 1 또는 제 2) 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활성 상부면을 갖으며, 밀봉 비드의 코어 물질은 제 1 및 제 2 요소가 서로 클램핑되어 고정되어 있는 동안 경화되거나 응고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프레임에 설치될 준비가 된 도어 모듈의 제조의 특정 경우에 관해 설명되었으나, 임의의 다른 모듈 요소의 생산, 특히 자동차 산업 또는 건물 건축(온실, 현관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창문 모듈에 응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에 부착될 준비가 된 모듈 요소(modular element)의 조립(assembly)에 적합한 밀봉 비드(sealing bead)의 제조에 이용된다.

Claims (12)

  1. 제 1 요소와 제 2 요소 사이에 밀봉 비드(sealing bead)를 원래 위치에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요소는 한정된 형태와 한정된 단면을 갖는 밀봉 비드(4)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비드는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안산염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연한 탄성부(elastic portion)(5)를 갖고, 상기 밀봉 비드(4)의 상기 탄성부(5)는 그 둘레 표면에, 투과 외피(impermeable envelope)를 형성하는 소수성 표면(5b)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5b)은 상기 탄성부(5)에 부착된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5b)은 상기 탄성부(5)를 갖는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드(4)는 단일 성분 생성물을 압출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드(4)는 상기 표면(5b)을 갖는 상기 탄성부(5)를 압출(coextruding)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드(4)는 압출 헤드(12)에서, 상기 압출 헤드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성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밀봉 비드(4)로서,
    상기 표면(5b)은 소수성 폴리올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폴리올은 지방산과 같은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5b)은 열적으로 활성화되거나, 광활성 또는 화학적으로 활성화되는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는 0.5 미만, 특히 약 0.1 내지 0.4의 상대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
  11.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비드는 약 0.3 내지 2 N/c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N/cm의 압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비드.
  12.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에 고정될 준비가 된 특히, 자동차 도어 모듈(2)과 같은 요소로서,
    상기 요소는 한정된 형태와 한정된 단면을 갖는 밀봉 비드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비드는 소수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안산염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탄성부를 갖고, 약 0.3 내지 2 N/c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N/cm의 압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에 고정될 준비가 된 특히, 자동차 도어 모듈과 같은 요소.
KR1020057021922A 2003-05-22 2004-05-18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 KR20060025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6122 2003-05-22
FR0306122A FR2855230B1 (fr) 2003-05-22 2003-05-22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rdon de joint d'etanche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530A true KR20060025530A (ko) 2006-03-21

Family

ID=3339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922A KR20060025530A (ko) 2003-05-22 2004-05-18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46699A1 (ko)
JP (1) JP2007502354A (ko)
KR (1) KR20060025530A (ko)
FR (1) FR2855230B1 (ko)
WO (1) WO2004104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3622A1 (de) * 2004-11-03 2006-05-04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ür- oder Seitenwandmodu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0018A1 (de) * 1984-06-30 1986-01-23 Hilmar 5630 Remscheid Herrmann Wasserschutzbekleidung zum abdecken von karosserieteilen gegen von aussen in den fahrgastraum eindringende naesse
FR2722236B1 (fr) * 1994-07-06 1996-08-23 Veka Fenetre a joints colles.
DE4429345A1 (de) * 1994-08-18 1996-02-22 Henkel Kgaa Polyurethane mit verbessertem Weiterreiß-Widerstand
FR2737867B1 (fr) * 1995-08-18 1997-10-03 Drime Dispositif d'etancheite pou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stine a assurer l'etancheite entre la face d'une porte et un panneau de garniture
DE10002496A1 (de) * 1999-12-30 2001-07-05 Dethleffs Gmbh Dichtstrei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4133A1 (fr) 2004-12-02
FR2855230B1 (fr) 2005-07-29
FR2855230A1 (fr) 2004-11-26
JP2007502354A (ja) 2007-02-08
EP1646699A1 (fr)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7683A1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sealing joint strip
JP3699483B2 (ja) 自動車用の密閉縁材
JP4886955B2 (ja) 車両のウインドウガラスを隣接する要素と接合すること
US558050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trim panel using polyurethane powder
US9708013B2 (en) Bonding with adhesive beads or plots
KR101272296B1 (ko) 창유리를 오버몰딩하기 위한 방법
JP2622025B2 (ja) 別の材料に接着されるガラス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S61186690A (ja) 窓ガラスの密閉はめ込みのためのエラストマー型枠
US20030168889A1 (en) Method for making a ready to bond modular element and assembling method
US5762853A (en) Method of encapsulating a sensor into a panel body
WO2004052628A1 (en) Process for molding on a substrate carrying a sealing ridge
JP2006500262A (ja) 改良された車両用床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25530A (ko) 밀봉 조인트 가스킷을 생산하는 방법
US20070029739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sealing joint gasket
JPH02175419A (ja) 車両用硬質板状物インサートモジュールアッシーウインドの製造方法
JP4069993B2 (ja) 発泡体用表皮
JPH047982B2 (ko)
JPH078086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20230015376A (ko) 주변 밀봉부를 구비하는 도어 모듈
JP4817059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
JPS6397415A (ja) クオ−タウインドウエザストリツプ及びその成形方法
CN1744978A (zh) 带有热固性载体元件的缓冲、密封或增强元件以及它们的成形方法
JPH11227543A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138683A (ja) 枠付複層ガラス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