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339A -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339A
KR20060025339A KR1020040074091A KR20040074091A KR20060025339A KR 20060025339 A KR20060025339 A KR 20060025339A KR 1020040074091 A KR1020040074091 A KR 1020040074091A KR 20040074091 A KR20040074091 A KR 20040074091A KR 20060025339 A KR20060025339 A KR 2006002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in
frame memory
scale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5339A/ko
Publication of KR2006002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상하 반전을 위한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력 영상의 크기에 맞추어 입력되는 메인 및 서브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처리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출력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영상 라인의 래스터 방향으로 쓰고, 쓰여진 영상 데이터의 맨 마지막 라인부터 거꾸로 읽어오도록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지털 TV에서 시청하는 메인 영상 또는 서브 영상이 상하 반전된 상태가 필요한 경우에 있어, 상하 반전된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TV, 영상의 상하 반전, 스케일러, 프레임 메모리

Description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Apparatus of reverse on top/bottom side of the image}
도 1은 종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TV 시청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의 읽기/쓰기 방향과 프레임 메모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메모리에서 하나의 수평 동기 신호동안 엑세스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된 영상의 TV 시청 형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 영상 스케일러 200 : 프레임 메모리 및 포인터 제어부
300 : 서브 영상 스케일러 400 : 윈도우 합성부
본 발명은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영상에 대해 상하 반전을 구현하여 상하 반전된 출력 영상을 보여주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전자 제품은 각 제품에게 주어진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었으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전자 제품은 이른바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의 개념 하에 하나의 제품에서 다양한 기능이 동작되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의 디지털 TV는 방송 영상의 전달이라는 기능 동작에 충실하도록 제작되었으나, 현재의 디지털 TV는 상기의 기능뿐 아니라 영상 통신, 동영상, 정지 영상의 저장 및 재생, 그리고 디지털 TV의 외부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제어와 같이 복잡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는 기능 뿐 아니라 모양과 크기 또한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nel Display)가 대표적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디지털 TV의 크기가 초대형화 또는 초소형화 되는 추세이다.
상기 초소형화된 디지털 TV의 경우, 책처럼 얇고 작은 크기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원 공급과 상관없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형 TV를 다수의 사람이 시청할 경우, TV를 맞은편에 두고, 같은 방향으로 시청하였으나, 상기 언급한 작고 얇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거실의 탁자 위에 TV를 눕혀 놓고, 시청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첨부한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TV 시청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같이, 테이블위에 상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눕혀 놓고 TV 시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TV를 시청하는 사람들 중, 정상 화면과 같은 방향으로 시청하는 사람("주 시청자"라 함)들만 정상 화면을 시청하게 되고, 맞은 편에 위치한 사람("부 시청자"라 함)은 영상이 상하로 반전된 화면을 시청하게 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즉, 같은 영상에 대해서도, 주 시청자와 반대 방향에 있는 부 시청자는 상하과 뒤집힌 영상을 보게 되며,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다중 화면 형태로 구현한 영상에 대해서도 주 시청자에 비해 부 시청자는 상하가 뒤집힌 영상을 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의 필요에 따라 전체 영상 또는 화면 분할된 일부의 영상에 대해 상하 반전을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의 필요에 따라 정상 영상 또는 상하 반전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력 영상의 크기에 맞추어 입력되는 메인 및 서브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처리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출력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 를 영상 라인의 래스터 방향으로 쓰고, 쓰여진 영상 데이터의 맨 마지막 라인부터 거꾸로 읽어오도록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및 서브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 화면 또는 PIP 형태로 출력하는 윈도우 합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메인 및 서브 영상에 대한 스케일러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는, 메인(main) 또는 서브(sub) 영상을 입력받아 출력 영상에 맞도록 입력 영상의 해상도 또는 화질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다르게(스케일링, scaling) 하여 래스터(Raster, 방송이 없을때 화면에 나타나는 가로줄) 방향으로 출력하는 메인 및 서브 스케일러(scaler)(100, 300)와,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을 저장하며 상하 반전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 및 포인터 제어부(200)와, 상기 상하 반전된 메인 및 서브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split) 화면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형태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윈도우 합성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한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되는 메인 영상에 대해 메인 영상 스케일러(100)는,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의 크기에 맞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래스터 방향으로 출력한다.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의 프레임(frame)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200)에 저장되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200)로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메모리(200)로 입력되는 영상의 읽기 및 쓰기 방향을 포인터 제어부(20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상하 반전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데, 이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의 읽기/쓰기 방향과 프레임 메모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입력 영상에 대해 프레임 메모리를 엑세스(access, 읽기/쓰기)하기 위한 방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쓰기 동작을 할 때에는 입력 영상의 하나의 라인을 래스터 방향으로 쓰게 되고, 그 다음 라인 역시 래스터 방향으로 쓰게 된다. 이때, 하나의 라인을 구성하는 픽셀(pixel)은 1바이트 단위로 8바이트는 8개의 영상 픽셀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쓰여진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읽어올때에는 영상의 라인을 래스터 방향으로 읽지만, 쓰기 동작과는 반대로 맨 마지막 라인부터 거꾸로 읽어온다. 따라서, 상하 반전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도 3의 (b)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실제로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프레임 메모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b)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에는 하나의 영상 라인을 둘로 나누어 2개의 영상 라인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1/2의 영상 라인 각각을 로우(row) 어드레스(address)에 배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 라인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로우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상기 하나의 로우 어드레스는 4개의 뱅크(BANK)를 갖고, 상기 하나의 뱅크에는 0부터 255까지의 컬럼(column)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컬럼 어드레스에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하나의 픽셀이 저장되는바, 하나의 뱅크에는 총 256개의 픽셀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실제 쓰여지는 형태를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첫번째 영상 라인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첫번째 영상 라인의 영상 데이터는 래스터 방향으로 로우 0의 뱅크 0의 컬럼 0부터, 컬럼 8, 컬럼 16, …, 컬럼 248까지, 그리고 뱅크 1의 컬럼 0부터 상기 순서로 컬럼 248까지, 같은 방법으로 로우 1의 뱅크 3의 컬럼 248까지의 주소에 쓰여진다.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두개의 로우 어드레스를 이용해서는 8개의 영상 라인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메모리에서 실제로 하나의 수평 동기 신호동안 프레임 메모리를 엑세스 하는 방식은 첨부한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와 같이, 스케일러가 프레임 메모리에 입력 영상을 쓰기 동작할 때, 하 나의 출력 수평 동기 신호동안 상기 스케일러는 프레임 메모리를 쓰기 동작을 하기 위해 도 4의 (a)와 같은 순서대로 쓰기 주소와 래스터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의 로우 0, 뱅크 0로 어드레스에서 컬럼 어드레스 0, 8, …, 240, 248의 순서대로 영상 데이터가 쓰여지게 되며,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영상 라인은 로우 1, 뱅크 3의 컬럼 248 어드레스까지 쓰여지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그 다음 영상 라인은 로우 0, 뱅크 0 어드레스에서 컬럼 어드레스 1, 9, …, 241, 249의 순서대로 기록될 것인바, 하나의 출력 수평 동기 신호동안에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영상 라인이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쓰여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그 다음 출력 수평 동기 신호에는 프레임 메모리에서 영상 데이터를 읽어 나갈 때, 상하 반전된 영상을 스케일러 출력부로 보내기 위해, 읽기 주소는 도 4의 (b)와 같은 순서대로 읽어온다.
즉, 도 4의 (b)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이 총 8개의 영상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로우 0의 뱅크 0 어드레스에서 컬럼 어드레스 7, 15, …, 247, 255의 순서대로 영상 데이터를 읽어오며,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영상 라인의 마지막인 로우 1의 뱅크 3 어드레스에서 컬럼 248 어드레스까지 읽어온다. 이후, 다음 영상 라인인 로우 0의 뱅크 0 어드레스에서 컬럼 어드레스 6, 14, …, 246, 254의 순서대로 읽어올 것인바, 이와 같이 하나의 출력 수평 동기 신호동안 프레임 메모리에 쓰여진 맨 마지막 라인부터 거꾸로 읽어오게 되면 상하 반전된 영상을 출력하 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스케일러(100, 300)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 대해 별도의 스케일러(100, 300)를 사용하여 처리하게 되므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상하 반전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 모두 동일 영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 분할 화면 또는 PIP 화면 등의 다중 화면으로 출력 영상을 제어한 후, 메인 영상 스케일러(100)와 서브 영상 스케일러(300)가 동일한 입력 영상을 처리하되, 상기 메인 영상 스케일러(100)는 정상 방향으로 처리하고, 서브 영상 스케일러(300)는 반대 방향의 상하 반전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과 서브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여, 반대 방향의 시청 방향에서도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하 반전된 영상의 시청 예는 첨부한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와 같이,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분할 화면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도 5의 (a)처럼, 메인과 서브 영상이 같은 영상에 대해 서브 영상 또는 메인 영상 중 하나가 상하 반전되도록 출력함으로써, 맞은편 방향의 부 시청자에 대해서도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메인과 서브 영상이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메인과 서브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을 상하 반전되도록 출력함으로써, 주 시청자의 맞은편에 앉은 부 시청자의 경우에도 정상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TV에서 시청하는 메인 영상 또는 서브 영상이 상하 반전된 상태가 필요한 경우에 있어, 상하 반전된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소형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 적용하여 다수 명의 시청자에 대한 왜곡된 시청 방향에 대해 정상 영상으로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출력 영상의 크기에 맞추어 입력되는 메인 및 서브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처리하는 스케일러;
    상기 출력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영상 라인의 래스터 방향으로 쓰고, 쓰여진 영상 데이터의 맨 마지막 라인부터 거꾸로 읽어오도록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서브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 화면 또는 PIP 형태로 출력하는 윈도우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메인 및 서브 영상에 대한 스케일러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S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KR1020040074091A 2004-09-16 2004-09-16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KR20060025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091A KR20060025339A (ko) 2004-09-16 2004-09-16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091A KR20060025339A (ko) 2004-09-16 2004-09-16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39A true KR20060025339A (ko) 2006-03-21

Family

ID=3713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091A KR20060025339A (ko) 2004-09-16 2004-09-16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5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799B2 (en) 2010-02-03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799B2 (en) 2010-02-03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094B1 (en) HDTV video display processor
US8026919B2 (en) Display controller, graphics processor, rendering processing apparatus, and rendering control method
JPH05210383A (ja) 独立して生成された内部ビデオ信号を外部ビデオ信号と併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S6214247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685668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用画面合成装置
KR20060025339A (ko) 영상의 상하 반전 장치
JPH11282437A (ja) 液晶表示パネルの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0221952A (ja) 画像表示装置
JPH09116827A (ja) 縮小映像信号処理回路
JP4661187B2 (ja) 同期信号発生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600127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1136412A (ja) 複数映像表示装置のガンマ補正回路
US20050046757A1 (en) Image signal processor circuit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2714311B2 (ja) 多画面表示装置
US5045944A (en) Video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video tape recorder and television receiver
JP2737557B2 (ja) 2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2画面処理回路
JPH11177884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2878400B2 (ja) マルチウインドウ表示装置
JP2005292414A (ja) 画像出画制御装置
JPS6327504Y2 (ko)
JP2000125222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918049B2 (ja) ピクチャ・イン・ピクチャのための記憶方法
JPH01276331A (ja) ビデオ合成装置
KR100463531B1 (ko)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JP2976982B2 (ja) 多重画面構成回路、及び、多重画面構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