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531B1 -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531B1
KR100463531B1 KR10-2002-0062084A KR20020062084A KR100463531B1 KR 100463531 B1 KR100463531 B1 KR 100463531B1 KR 20020062084 A KR20020062084 A KR 20020062084A KR 100463531 B1 KR100463531 B1 KR 10046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image
main
mai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63A (ko
Inventor
한동일
최승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5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개의 입력 채널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주(main) 화면과 부(sub) 화면을 동시에 구성할 때 주화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부화면 처리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PIP 영상 합성이 메모리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여러 개의 영상 처리부를 없앨 수 있으며, 또한 주화면 영상의 읽기, 쓰기 동작과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메모리 대역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 처리에서 워핑(Warping)이나 키스톤(Keystone) 보정 등의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PIP 화면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 없기 때문에 하드웨어 설계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main/sub image in digital TV}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개의 입력 채널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주(main) 화면과 부(sub) 화면을 동시에 구성할 때 주화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부화면 처리시 공유하도록 하는 주/부화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TV에 비해서 매우 선명한 화질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매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도 함께 제공받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TV에서는 고가의 제품에만 적용되던 PIP(Picture In Picture)나 POP(Picture Out Picture) 기능이 디지털 TV에서는 기본적인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PIP란 메인 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하고, POP란 메인 화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내에 출원된 특허 등록번호 10-0271085호(로저리라인베리, 톰슨 Consumer Electronics, 화상 내 화상처리가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이나 등록번호 10-0289428호(김한진, LG전자, 티브이의 화면 표시 장치)에서와 같이 주화면 처리부와 부화면 처리부를 사용하고 있으며, PIP 먹스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PIP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PIP 화면을 주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부화면의 동기 신호 정보를 주화면의 동기 신호 정보와 일치되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TV의 경우 주화면 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PIP 화면 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TV에서의 PIP 화면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와 달리 디지털 TV에서는 포맷 변환 등을 위해서 주화면과 부화면 모두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I/F)(101)를 통해 영상 A가 입력되고, 또 다른 외부 I/F(102)를 통해 영상 B가 입력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영상 A와 영상 B는 메모리(103)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화면과 부화면의 동시 시청을 원할 경우 주화면 포맷 변환부(104)는 주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예를 들어, 영상 A)을 메모리(103)에서 읽어 와 주화면 영상에 맞게 포맷 변환한 후 먹스(106)로 출력하고, 부화면 포맷 변환부(105)는 부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예를 들어, 영상 B)을 메모리(103)에서 읽어 와 부화면 영상에 맞게 포맷 변환한 후 먹스(106)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주화면 포맷 변환부(104)에서 포맷 변환된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포맷 변환부(105)에서 포맷 변환된 부화면 영상 신호는 주화면 디스플레이용 동기신호와 부화면 디스플레이용 동기 신호에 동기시켜 먹스(106)로 출력된다. 상기 먹스(106)는 주화면 영상 A와 부화면 영상 B를 다중화하여 출력함으로써, TV 화면 상에 주화면 영상 A와 부화면 영상 B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103)는 도 2와 같이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Frame M0~M2)과 부화면용 메모리 영역(Frame P0~P2)이 따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부화면 영상 데이터와 주화면 영상 데이터는 해당 메모리 영역에 각각 저장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면 처리와 부화면 처리를 위한 메모리가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에 존재하며, 주화면용 영상과 부화면용 영상을 각각의 메모리 영역에서 읽어낸 후 먹스(106)에서 서로 다중화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읽기/쓰기 동작 타이밍도로서, (a)와 같은 주화면 영상과 (d)와 같은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을 디스플레이 영상의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주화면 영상의 읽기 동작과 부화면 영상의 읽기 동작은 도 4의 (b),(c)와 같이 자동적으로 동기가 맞아지게 되며, 주화면 메모리 영역의 frame 0을 주화면 영상으로 읽어 나갈 때 부화면 메모리 영역의 frame 0을 부화면 영상으로 읽어나가면 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 별로 연속해서 같은 프레임을 읽어나가면 된다.
그러나, 상기된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상기된 도 1에서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의 처리를 위해 별도의 영상 처리 장치(즉, 주화면 포맷 변환부, 부화면 포맷 변환부)를 필요로 하고, 두 개의 영상을 합성하는 먹스 부분이 필요하여 하드웨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된 도 2와 같이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과 부화면용 메모리 영역을 별도로 할당함으로써, 주화면 영상의 쓰기, 읽기 동작이 필요하고 부화면 영상의 쓰기, 읽기 동작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메모리 대역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부화면의 읽기 동작은 읽어야 할 데이터 양은 적은 반면에 많은 경우 메모리 사용 우선 순위가 제일 높게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에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후 처리 과정에서 워핑(Warping)이나 키스톤(Keystone) 보정 등의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주화면과 부화면(예, PIP 화면)을 합치면서 위와 같은 보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주화면과 부화면을 동시에 워핑을 수행하는 경우의 난이도는 매우 크다. 이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을 하나의 화면처럼 구성하면서 워핑을 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신호 처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하드웨어의 증가를 야기시키고 또한, 개발 기간이 더욱 투자되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부화면 영상 처리시 부화면용 메모리 영역으로 공유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사용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와 디스플레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읽기/쓰기 예를 보인 동작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사용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와 디스플레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읽기/쓰기 예를 보인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주화면 영상 기록부 502 : 부화면 영상 기록부
503 : 메모리 504 : 디스플레이 처리부
601 : 스위칭부 602 : 부화면 크기 조정부
603 : 부화면 쓰기 제어부 604 :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
605 : 주화면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영역을 공유하는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특징은, 여러 개의 입력 채널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부화면(예, PIP, POP, 스플릿 스크린 등의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화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부화면 처리시 공유함으로써,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을 감소시키고 복잡한 영상 처리 부분을 단순화시키며, 메모리의 사용량 및 대역폭을 최적화하는데 있다.
상기 특징을 구체화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는, 상기 주화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주화면용 메모리와, 입력되는 영상 중 주화면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어 디스플레이하는 주화면 처리부와, 주화면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의 일부을 공유하여 입력되는 영상 중 부화면 영상을 저장하는 부화면용 영상 기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화면용 영상 기록부는 입력되는 영상 중 부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의 크기를 상기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의 부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부화면 크기 조정부와, 상기 부화면 크기 조정부에서 크기가 조정된 부화면 영상 데이터와 주화면 영상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내에서 합성될 수 있도록 상기 주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의 부화면 위치에 상기 크기가 조정된 부화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화면 쓰기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는 주화면 상에서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메모리 영역에 부화면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는 주화면 영상의 메모리에의 쓰기, 읽기 동작과 동기를 맞추어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는 부화면 영상의 형태가 PIP인 경우 이미 주화면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 중 실제 PIP 화면이 위치할 영역에 상기 부화면 영상 데이터를 겹쳐 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데이터 경로를 상기 주화면 처리부 또는 부화면용 영상 기록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부화면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주화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부화면 처리시 공유함으로써,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을 감소시키고 메모리 대역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타 복잡한 영상 처리 부분을 단순화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부화면으로 PIP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주화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POP, 스플릿 스크린(Split Screen)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화면은 보다 넓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영역을 공유하는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개념 블록도로서, 주화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503), 입력되는 영상 중 주화면 영상을 상기 메모리(503)에 저장하는 주화면용 영상 기록부(501), 입력되는 영상 중 부화면을 구성할 영상을 상기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503)의 적당한 위치에 겹쳐 쓰는 부화면용 영상 기록부(502), 및 상기 메모리(503)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즉, 부화면 영상이 포함되어 있거나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영상을 읽어내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504)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영역을 공유하는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주화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503), 입력되는 영상 중 부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의 크기를 이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의 부화면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 상기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에서 크기가 조정된 부화면 영상을 메모리 영역의 주화면의 적당한 위치에 쓰는 부화면 쓰기 제어부(write I/F)(603), 입력되는 영상 중 주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503)에 쓰거나 읽어내는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read/write I/F)(604), 및 입력되는 영상 중 주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을 상기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604)를 통해 메모리(503)에 저장하고 또한, PIP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영상을 상기 메모리(503)와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604)를 통해 읽어내어 디스플레이 하는 주화면 처리부(605)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영상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데이터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칭부(601)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된 도 5의 개념도와 도 6의 실시예를 매칭시켜 보면, 도 5의 부화면 영상 기록부(502)는 도 6의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 및 부화면 쓰기 제어부(603)에 대응된다. 그리고, 도 5의 주화면 영상 기록부(501)와 디스플레이 처리부(504)는 도 6의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604)와 주화면 처리부(605)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사용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주화면 메모리 영역 중 실제 PIP 화면이 위치할 영역에 직접 PIP 영상 데이터를 겹쳐 쓰기함으로써, 별도의 PIP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PIP 영상을 따로 읽어 내어 두 화면을 다중화하는 과정도 없앨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프레임 0에 대한 주화면 영상은 주화면 메모리 영역 예컨대, 프레임 M0 영역에 저장되고, 프레임 0에 대한 부화면 영상은 부화면 메모리 영역 예컨대, 프레임 P0 영역에 따로 저장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주화면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메모리 영역의 일부에 프레임 0에 대한 부화면 영상을 겹쳐 쓰기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부화면 영상이 저장되는 위치는 실제 TV 화면에서 부화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이다. 예를 들어, 부화면이 PIP인 경우에 부화면 영상 데이터는 주화면 영상 데이터의 일부에 겹쳐 쓰기로 저장되고, POP나 스플릿 스크린인 경우는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의 크기가 각각 조정되어 메모리의 주화면 메모리 영역에 각각 저장된다. 즉, 부화면이 스플릿 스크린 형태이며 프레임 0에 데이터가 저장된다고 가정할 경우 프레임 0의 좌측 부분에는 주화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우측 부분에는 부화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메모리(503)와 디스플레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프레임 0 영역의 데이터를 읽어서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면 TV 화면에서는 프레임 0 영역의 주화면, 부화면 영상 저장 위치에 따라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스위칭부(601)는 입력되는 영상(예를 들면, 영상 A, 영상 B) 중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주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영상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선택한 후 주화면용 영상은 주화면 처리부(605)로 출력하고, 부화면용 영상은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로 출력한다.
상기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는 상기 스위칭부(601)를 통해 입력되는 부화면용 영상을 이미 메모리(503)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의 PIP 위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부화면용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여 부화면 쓰기 제어부(603)로 출력한다. 이때, 입력 영상과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서 입력 영상의 크기를 줄여서 출력할 수도 있고 늘려서 출력할 수도 있으며,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603)는 상기 부화면 크기 조정부(602)에서 출력된영상을 주화면용 메모리(503)의 적정 영역에 쓴다. 여기서,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은 주화면 영상의 쓰기, 읽기 동작과 동기를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처리 장치의 메모리 읽기/쓰기 동작 타이밍도로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부화면의 메모리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에 주화면의 메모리 영역을 한 프레임 정도 더 사용한다. 이는 부화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통상 두 개의 입력 영상은 일반적으로 서로 동기가 맞아 있지 않고 디스플레이 신호와도 동기가 맞아 있지 않다. 이 경우 쓰기 동작과 읽기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현재 쓰고 있는 프레임을 읽지 않도록 제어를 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움직임이 많은 영상이 입력될 경우에 영상이 수평 방향으로 찢어져서 보이는 현상이나 영상의 일부분이 깨져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동일 주화면 메모리 영역에 주화면 영상의 프레임을 동시에 쓰고 읽지 않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부화면 영상이 입력될 때는 주화면에서 추가로 사용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하게 되며 이때 주화면에 부화면이 놓이는 위치의 메모리 영역에 정확히 부화면의 영상을 저장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7, 도 8에서 프레임 0 영역에 주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면,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를 읽어내는 메모리 영역은 프레임 2 영역이 되며, 상기 프레임 0 영역에 쓰기 동작이 끝나거나 프레임 2 영역의 데이터 읽기가 끝나면, 프레임 1 영역에 새로운 주화면 영상을 쓰는 동작을 수행하고 프레임 3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를 읽어낸다. 그러면, 현재 쓰고 있는 프레임을 동시에 읽어 내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주화면 처리부(605)는 현재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가 프레임 0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면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604)를 통해 상기 메모리(503)의 프레임 0 영역에서 주화면 데이터를 읽어 와 디스플레이 처리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주화면 영상의 메모리 읽기 동작에서 부화면이 삽입된 영상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면 읽기/쓰기 제어부(604)는 부화면의 형태가 PIP 형태인 경우는 주화면용 영상을 그대로 메모리(503)에 저장한 후 부화면용 영상을 상기 주화면용 영상 위에 오버라이트하고, 부화면의 형태가 POP나 스플릿 스크린인 경우는 주화면용 영상의 크기를 상기 POP나 스플릿 스크린의 크기에 맞게 조정한 후 상기 메모리(503)에 저장한 후 부화면용 영상을 상기 주화면용 영상 데이터와는 오버라이트되지 않도록 저장한다.
이와 같이 주화면을 읽어 내는 동작만으로 PIP 화면이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본 발명은 후처리 과정이 복잡한 경우에 많은 장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후 처리부에서 워핑(warp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과 같이 주화면 하나만을 워핑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종래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을 동시에 워핑을 수행하는 경우의 난이도는 매우 크다.
즉, 본 발명에서는 주화면을 구성하는 경우나, PIP나 POP 화면 등을 구성하는 경우나 후처리 과정에 차이가 없으며, 기존 방법에 비해서 매우 용이하게 워핑등의 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와 본 발명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고 있다.
즉, 종래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가 도 1에서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용으로 별도의 영상 처리 장치를 필요로 하고 두 개의 영상을 합성하는 부분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 7,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 영상 합성이 메모리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개의 영상 처리부를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과 부화면용 메모리 영역을 별도로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이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만을 가지며, 이때 부화면 영상이 정상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주화면의 메모리 영역을 한 프레임 정도 더 사용하게 되므로 메모리 감축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화면 영상의 읽기, 쓰기 동작과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메모리 대역폭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부화면의 읽기 동작은 읽어야 할 데이터 양은 적은 반면에 많은 경우 메모리 사용 우선 순위가 제일 높게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에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부분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없앰으로 해서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후 처리에서 워핑(Warping)이나 키스톤(Keystone) 보정 등의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먹스에서 주화면과 PIP 화면을 다중화시키면서 상기된 워핑이나 키스톤과 같은 보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PIP 화면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 없기 때문에하드웨어 설계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TV에서 PIP나 POP, 스플릿 스크린(Split Screen) 등의 화면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주화면의 메모리 영역을 부화면이 공유함으로써, 하드웨어를 단순화 하며 필요한 메모리의 대역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워핑이나 키스톤 보정 등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우 쉽게 PIP나 POP 등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하나의 화면 상에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주화면용 메모리;
    입력되는 영상 중 주화면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어 디스플레이하는 주화면 처리부;
    입력되는 영상 중 부화면으로 선택된 영상의 크기를 상기 주화면용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의 부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부화면 크기 조정부; 그리고
    상기 부화면 크기 조정부에서 크기가 조정된 부화면 영상 데이터와 주화면 영상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내에서 합성될 수 있도록 상기 주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의 부화면 위치에 상기 크기가 조정된 부화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화면 쓰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는
    주화면 상에서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 메모리 영역에 부화면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용 메모리 영역의 부화면 위치는
    실제 화면 상에서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쓰기 제어부는
    주화면 영상의 메모리에의 쓰기, 읽기 동작과 동기를 맞추어 부화면 영상의 쓰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부화면 영상의 형태가 PIP인 경우 이미 주화면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 중 실제 PIP 화면이 위치할 영역에 상기 부화면 영상 데이터를 겹쳐 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데이터 경로를 상기 주화면 처리부 또는 부화면용 영상 기록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주/부화면 처리 장치.
KR10-2002-0062084A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KR10046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84A KR100463531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84A KR100463531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63A KR20040033163A (ko) 2004-04-21
KR100463531B1 true KR100463531B1 (ko) 2004-12-29

Family

ID=3733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84A KR100463531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790A (ko) * 1986-05-12 1987-12-26 미다 가쓰시게 화상 처리 장치
KR900001239A (ko) * 1988-06-24 1990-01-31 안시환 픽처-인-픽처의 듀얼포트 메모리의 운용방법 및 회로
KR19980054924A (ko) * 1996-12-27 1998-09-25 김영환 디지털 수신 시스템의 엠펙(mpeg) 데이터용 메모리와 오에스디(osd) 데이터용 메모리 할당방법
US6166777A (en) * 1996-04-23 2000-12-26 Lg Electronics Inc. Picture-in-picture type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a multi-picture display circuit
KR20030033830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 기기의 트윈 픽쳐 구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790A (ko) * 1986-05-12 1987-12-26 미다 가쓰시게 화상 처리 장치
KR900001239A (ko) * 1988-06-24 1990-01-31 안시환 픽처-인-픽처의 듀얼포트 메모리의 운용방법 및 회로
US6166777A (en) * 1996-04-23 2000-12-26 Lg Electronics Inc. Picture-in-picture type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a multi-picture display circuit
KR19980054924A (ko) * 1996-12-27 1998-09-25 김영환 디지털 수신 시스템의 엠펙(mpeg) 데이터용 메모리와 오에스디(osd) 데이터용 메모리 할당방법
KR20030033830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 기기의 트윈 픽쳐 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63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482B1 (ko) 디지털 tv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JP4458925B2 (ja) 映像処理装置
EP052594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independently generated internal video signal with external video signal
JPH012769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3015617A (ja) 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8389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70146541A1 (en) Vid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video image processing method
US6489933B1 (en) Display controller with motion picture display function, computer system, and motion picture display control method
KR100463531B1 (ko) 디지털 tv의 주/부화면 처리 장치
JP2000221952A (ja) 画像表示装置
JP2001128089A (ja) マルチスクリーン用画面合成装置
TW312076B (ko)
US200600127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295036B2 (ja) 多画面表示装置
JP2005292414A (ja) 画像出画制御装置
JP2702988B2 (ja) 画像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KR100577195B1 (ko) 다중 화면 발생 방법
JP201009738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8187320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737557B2 (ja) 2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2画面処理回路
KR10031147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이중 화면 표시 장치
JP2011030026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431892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
JP200434994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990920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