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097A -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097A
KR20060025097A KR1020040076706A KR20040076706A KR20060025097A KR 20060025097 A KR20060025097 A KR 20060025097A KR 1020040076706 A KR1020040076706 A KR 1020040076706A KR 20040076706 A KR20040076706 A KR 20040076706A KR 20060025097 A KR20060025097 A KR 20060025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cd
crushing
tri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봉찬
Original Assignee
와이앤드비소재테크(주)
반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앤드비소재테크(주), 반봉찬 filed Critical 와이앤드비소재테크(주)
Priority to KR102004007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5097A/ko
Publication of KR2006002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공업의 액정표시장치(LCD) 유리 제조ㆍ가공 공정에서 발생하여, 별다른 재활용 방법이 없어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 체질, 자력선별, 세척, 건조공정 등에 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적정 입도를 확보하여 재활용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온가열이나 용융, 약품처리 등의 고가의 재생처리를 하지 않고, 기계적, 물리적 방법에 의해 정련하여, LCD 유리 제조 원료로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LCD, 트림유리, 재활용, 건식파쇄, 스크린닝, 습식파쇄.

Description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Recovery of wasted LCD trim glass}
제 1도는 폐 LCD 트림 유리 재활용 처리방법
표 1은 폐 LCD 유리 처리후의 물성치
본 발명은 전자공업의 액정표시장치(LCD) 유리 제조ㆍ가공 공정에서 발생하여, 별다른 재활용 방법이 없어,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 체질, 자력선별, 세척, 건조 등의 정제공정에 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적정 입도등의 물성을 확보하여 재활용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기존의 CRT 모니터를 대체하는 차세대 제품으로 2장의 얇은 유리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후, 투명성 전도성 회로에 전류를 가해 문자 또는 그림이 디스플레이된다.
현재, LCD는 전자시계, 전자계산기, 액정 TV, 노트북 PC, 프로젝션 TV 등의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및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모니터 및 디지털 TV에 많이 사용되고 있어, 전량 매립ㆍ 폐기되는 폐 LCD에 대한 처리과정에서의 2차 오염물질의 발생 및 폐기물 처리 비용면에서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세계 IT 경기회복에 대한 청신호가 잇따르고 있으나, 부품업체들의 라인 증설이 제때 이루어 지지 않아, 전자업계 전체에 부품 대란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관련업계 및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고체촬상소자(CCD)·LCD 및 PDP 패널·프로젝터용 스크린 등에서는 이미 부품 공급 부족이 일어나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품목과 부족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LCD 등의 부품에서 지속적인 수급 불안이 발생하고 있고, 반도체 및 일반 부품까지 납기 소요가 길어지고 있으며, 일부 부품의 경우 가격인상 및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LCD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는 0.4mm∼1.1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것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보통 350×450, 450×550, 600×720, 650×830mm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유리 기판 공급이 수요를 30% 밑돌고 있어서, 대형 유리 기판 비용은 2∼5%, 중소형 유리 기판 비용은 5∼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유리는 연간 78만톤 규모이며, 폐유리 재활용 율은 55.6%로 폐유리병의 분리수거 확대, 폐유리의 재활용 기술개발로 인하여 폐유리병, 폐판유리 등 폐유리 재사용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폐 LCD 트림 유리의 경우, 재활용 되지 않고,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는 연간 4만톤 규모였으며, 2006년에는 6만톤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 LCD 트림 유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입도가 일정기준 이하이어야 하며, 현재, 재활용 공정에서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이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오염원을 최소로 한 유기물 혼입을 막기위해 트림 유리의 비닐을 제거한 후, 비닐 오염가능성이 적어야 하며, 조성이 다른 유리의 혼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일정밀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재활용 공정에서 롯트단위의 품질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지르콘 불량 검출시 폐기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온가열이나 용융, 약품처리 등의 고가의 재생처리를 하지 않고, LCD 유리 제조 원료로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것에 착안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LCD 유리 제조ㆍ가공 공정에서 발생하여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 체질, 자력선별, 세척, 건조 등에 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적정 입도를 확보하여 재활용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 LCD 트림 유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입도가 7메쉬(2.87m/m) 이하여야 하며, 현재, BOD 큐렛이 3ppm 이하로 관리되고 있어, 이와 동일한 기준이 트림 유리에도 적용되어서 벅크(Buck) 측정값이 3ppm 이하여야 한다. 또한, 오염원을 최소로 한 트림 유리의 비닐을 제거한 후, 유기물 분석시 유기물 함량이 0.01% 이하여야 하고, 비닐 박리 공정 중, 수분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으므로, 수분함량이 0.003% 이하여야 하며, 조성이 다른 유리의 혼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밀도 2.37g/㎤로 유 리 비중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 육안검사로 비닐의 박리 여부를 확인하며, 완전히 박리되어 있지 않을 시, 재공정을 거치고, PCI 검사 기준 Pt 불량 (0.2#/1bs 이상일 때, BOD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지르콘 불량 검출시 폐기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입도조정 등을 통하여 고온가열이나 용융, 약품처리 등의 고가의 재생처리를 하지 않고, LCD 유리 제조 원료로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기에서, 건식파쇄한 후, 이를 진동체를 사용하여, 7메쉬(2.87m/m) 이하의 미분을 체질한 후, 이를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철(Fe) 및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후, 메틸알콜(CH3OH)등의 휘발성 용제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100℃ 이하에서 건조시킨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적정 입도를 확보하는 재활용 제조방법이다. 또한, 조대 입자의 경우, 비닐선별 공정을 거쳐 재 파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물을 이용한 습식파쇄 공정을 거치는 경우, 습식 스크린닝을 통해 비닐과 유리를 분리하고, 통과된 입도의 시료는 유동상로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1) 건식파쇄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기에 넣고 건식파쇄한다. 이때, 파쇄기는 30kW의 동력으로, 보통 (폭)1900mm×(길이)2100mm×(높이)1500mm의 크기를 갖는다. 처리량은 10톤/8시간이며, 재질은 일반강 혹은 SUS 440 (열처리 HIC=40 이상)의 재질로서, 철의 혼입과 내마모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텅스텐 카바이드의 코팅을 하였다.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건조과정 및 불순물 제거가 용이하기 위한 것이며, 파쇄한 후, 분리 중량 퍼센트를 측정하였다.
(2) 스크린닝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한 후, 비닐 및 7메쉬 이상의 조대입자의 분리를 목적으로 하는 0.60kW×2의 동력으로 외형크기는 (폭)1104mm×(길이)4200mm×(높이)2100mm, 처리량은 30톤/8시간, 스크린 재질은 SUS 440, 프레임 재질은 일반강으로 되어 있는 다단진동체를 사용하여, 7메쉬(2.87m/m) 이하의 미분을 체질한 다음, 조대입자의 경우, 송풍을 통해 유리와 비닐을 분리시킨 후, 조대입자는 재파쇄를 행하고 비닐을 압축하였다. 일정입도의 유리는 중량 퍼센트로 측정하였다. 이때, 유리의 입도가 7메쉬(2.87m/m) 이상의 조대입자일 경우, 다시 건식파쇄 과정을 거친다.
(3) 자력선별
장입파쇄 및 공정중에 혼입되는 철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터 (AC. 220V, 3φ)와 진동피더 (AC. 220V, 1φ)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외형크기 (폭)800mm×(길이)1540mm×(높이)1450mm, 드럼크기 φ380×420mm, 자석드럼의 회전속도는 30rpm∼60rpm, 처리량은 10톤/8시간, 영구자석회토류계 Nd-Fe-B의 재질인 자력선별 기를 사용하여 자력선별 후, 철(Fe)의 혼입 측정값이 3pp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4) 세 척
미세 이물질 제거 및 세척을 위하여 외형크기 (높이)1085mm×(직경)1710mm, 처리랑 10톤/8시간, 밀폐형 용기(용제 :CH3OH 사용)로 되어있는 교반기를 사용하며, 이때, 값이 싸고, 건조가 용이한 휘발성 용제인 메틸알콜(CH3OH)등의 알코올 용제를 사용하여 세척한 다음,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유기물 함량이 0.01%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5) 건 조
용제 및 수분제거를 위해 벨트식 콘베이어에서 100℃ 이하로 건조시킨다. 이때, 원적외선 건조(경화) 가열방식으로 타이머에 의한 운전정지가 가능하고, 외형크기는 (폭)4800×(직경)800×(높이)1660mm, 내형크기는 (폭)4000×(직경)500×(높이)400mm 이며, 인버터 방식(1HP, 0∼5m/min)으로 속도를 조절하며, 온도조절범위는 상온+250℃ 인 콘베이어 건조기를 사용한다. 또한, 조성이 다른 유리의 혼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밀도 2.37g/㎤가 되도록 조정한다.
<실시 예 2>
물에 의한 트림 유리와 비닐의 용이한 분리와 유기물 제거를 위해, 오존수를 제조하여 습식파쇄를 행하였다.
(1) 습식파쇄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기에 넣고 오존수 제조기에서 생산된 O3수를 이용하여 습식파쇄한다. 이때, 파쇄기는 30kW의 동력으로, 보통 (폭)1900mm×(길이)2100mm×(높이)1500mm의 크기를 갖는다. 처리량은 10톤/8시간이며, 재질은 일반강 혹은 SUS 440 (열처리 HIC=40 이상)의 재질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은 파쇄 과정중 발생하는 열발생을 감소시켜, 파쇄기의 성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과, 유리와 비닐의 1차적인 분리를 용이하기 위한 것으로, 파쇄한 후, 중량 퍼센트를 측정하였다. 특히, 물을 사용하는 경우, 오존수를 사용하며, 유기물을 산화시켜 유기물 함량을 줄일 수 있었다.
(2) 건 조 (1차 건조)
수분제거를 위해 100℃ 이하로 건조시킨다. 이때, 원적외선 건조(경화) 가열 방식으로 타이머에 의한 운전정지가 가능하고, 외형크기는 (폭)4800×(직경)800×(높이)1660mm, 내형크기는 (폭)4000×(직경)500×(높이)400mm 이며. 인버터 방식(1HP, 0∼5m/min)으로 속도를 조절하며, 온도조절범위는 상온∼+250℃ 인 콘베이어 건조기를 사용한다. 수분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있기에, 수분함량은 0.003%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3) 스크린닝
유리 및 비닐 건조 후, 비닐 및 7메쉬 이상의 조대입자의 분리를 목적으로 하는 0.60Kw×2 동력으로 외형크기는 (폭)1104mm×(길이)4200mm×(높이)2100mm, 처리랑은 30톤/8시간, 스크린 재질은 SUS 440, 프레임 재질은 일반강으로 되어 있는 다단진동체를 사용하여, 7메쉬(2.87m/m) 이하의 미분을 체질한 다음, 송풍을 통해 유리와 비닐을 분리시킨 후, 유리의 중량 퍼센트를 측정하였다. 이때, 유리의 입도가 7메쉬(2.87m/m) 이상의 조대입자일 경우, 다시 습식파쇄 과정을 거친다.
(4) 자력선별
장입파쇄 및 공정중에 혼입되는 철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터 (AC. 220V, 3φ)와 진동피더 (AC. 220V, 1φ)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외형크기 (폭)800mm×(길이)1540mm×(높이)1450mm, 드럼크기 φ380x420mm, 자석드럼의 회전속도는 30rpm∼60rpm, 처리량은 10톤/8시간, 영구자석희토류계 Nd-Fe-B의 재질인 자력선별기를 사용하여 자력선별 후, 철(Fe)의 혼입 측정값이 3pp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5) 세 척
미세 이물질 제거 및 세척을 위하여 외형크기 (높이)1085mm×(직경)1710mm, 처리량 10톤/8시간, 밀폐형 용기(용제:CH3OH 사용)로 되어있는 교반기를 사용하며, 이때, 값이 싸고, 건조가 용이한 용제 메틸알콜(CH3OH)등의 알코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다음, 유기물을 측정하며, 유기물 함량이 0.01%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6) 건 조 (2차 건조)
수분제거를 위해, 유동상 건조로에서 100℃ 이하로 송풍으로 건조시킨다.
특히, 파쇄유리가 편상을 지니고 있어, 건조시 완전한 수분의 제거를 이루게 위해 유동상로를 사용하여, 1차건조시와 수분량을 비교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1 과 실시예 2의 입도분포, 유기물 함량, 불순물 함량, 밀도 및 회수율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폐 LCD 유리 처리후의 물성치
Figure 112004515317976-PAT00003
입도분포 측면에서 보면, 실시예 1의 건식 분쇄 하기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습식의 경우와 조대입자의 경우, 불순물 혼입이 거의 안된 상태이다.
유기물의 경우는, 실시예 모두가 유기물 함량기준을 만족시키며, 밀도는 적정밀도로 2.37 g/cm³에 알맞은 밀도를 유지한다. 회수율의 경우, 건식의 경우가 비교적 양호하며, 특히, 수분함량에 있어서 건식의 경우, 훨씬 양호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었고, 불순물의 함량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었다.
파쇄기 재질을 SUS 440을 쓰고, 텅스텐 카바이드(WC)를 0.4mm 코팅하여 내마모도를 높이고, 불순물 혼입을 막기 위해, 자력선별을 통해 품질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일반유리와는 달리, 편상의 유리이므로, 습식 세척후, 건조 단계에서 콘베이어 형의 가열기를 쓰는 경우, 수분을 제어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어, 2차 건조시 유동상형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공업 LCD 유리 제조ㆍ가공 공정에서 발생하여 전량 매립ㆍ폐기되는 폐 LCD 트림 유리를 재활용함으로서, 폐기시 발생하는 2차 오염물질 방지 및 고온가열이나 용융, 약품처리 등의 고가의 재생처리를 하지 않고, 직접 LCD 유리 제조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원료절감, 원료의 고부가화, 기타 재료로의 폐기물의 자원화하는 에너지 절약 및 자원 재이용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폐 LCD 트림 유리를 파쇄를 제 1공정, 체질을 제 2공정, 자력 선별을 제 3공정, 세척을 제 4공정, 건조를 제 5공정으로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적정 입도를 확보하는 LCD 폐유리 재활용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파쇄시, 건식처리 및 습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함.
  3. 제 1항에 있어서, 체질하는데 진동체를 이용하여, 7메쉬(2.87m/m) 이하의 미분을 체질하고, 비닐을 분리하여, 적정 입도를 확보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선별공정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철 등의 유색금속의 혼입량이 3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세척시 메틸알콜(CH3OH)과 에틸알코올(C2H5OH)등의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습식 세척시, 오존(O3)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세척 후, 100℃ 이하로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제조방법.
KR1020040076706A 2004-09-15 2004-09-15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KR20060025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06A KR20060025097A (ko) 2004-09-15 2004-09-15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06A KR20060025097A (ko) 2004-09-15 2004-09-15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97A true KR20060025097A (ko) 2006-03-20

Family

ID=3713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06A KR20060025097A (ko) 2004-09-15 2004-09-15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509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69B1 (ko) * 2009-01-07 2009-12-0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의 파유리를 원료로한 소다석회붕규산염계 단섬유 유리 뱃지조성물
KR101315111B1 (ko) * 2011-09-06 2013-10-0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lcd패널의 유리를 이용한 고주파용 자성재료의 제조 방법
KR101383129B1 (ko) * 2012-10-25 2014-04-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lcd 글래스를 이용한 고주파용 자성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8769B1 (ko) * 2012-03-07 2014-04-23 류재송 폐유리를 자원화하기 위한 폐유리 재생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제품
KR20140082722A (ko) * 2011-11-22 2014-07-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폐유리를 이용한 발포유리 제조방법 및 팽창계수 측정 장비를 이용한 유리의 발포구간 예측방법
KR20190120557A (ko) * 2018-04-16 2019-10-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필름-유리 분리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과 유리의 분리 선별 방법
KR20220030642A (ko) 2020-09-03 2022-03-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회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69B1 (ko) * 2009-01-07 2009-12-0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의 파유리를 원료로한 소다석회붕규산염계 단섬유 유리 뱃지조성물
KR101315111B1 (ko) * 2011-09-06 2013-10-0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lcd패널의 유리를 이용한 고주파용 자성재료의 제조 방법
KR20140082722A (ko) * 2011-11-22 2014-07-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폐유리를 이용한 발포유리 제조방법 및 팽창계수 측정 장비를 이용한 유리의 발포구간 예측방법
KR101388769B1 (ko) * 2012-03-07 2014-04-23 류재송 폐유리를 자원화하기 위한 폐유리 재생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제품
KR101383129B1 (ko) * 2012-10-25 2014-04-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lcd 글래스를 이용한 고주파용 자성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20557A (ko) * 2018-04-16 2019-10-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필름-유리 분리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과 유리의 분리 선별 방법
KR20220030642A (ko) 2020-09-03 2022-03-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ella et al. Separation and recovery of glass, plastic and indium from spent LCD panels
CN102189037B (zh) 石英砂除杂工艺
CN101280175B (zh) 铈系研磨剂的再生方法
JP6050222B2 (ja)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KR101051207B1 (ko) 희토류 금속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lcd 및 pdp 유리패널용 재생 무기 연마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무기 연마재 폐슬러지 재생 방법
Santos et al. Processing of quartz lumps rejected by silicon industry to obtain a raw material for silica glass
JP5561326B2 (ja) 焼却灰の洗浄方法
JP2009061365A (ja) 焼却灰の洗浄方法
JP2012125693A (ja) 液晶パネルの分離回収装置および再資源化方法
KR20060025097A (ko) 폐 액정표시장치(lcd) 유리의 재회수 방법
CN107379321A (zh) 一种废旧塑料无水清洗回收的方法
JP2011245379A (ja) 液晶パネルの再資源化方法
KR101381728B1 (ko) 사파이어웨이퍼 래핑공정 연마재의 재생방법
KR20080036816A (ko) 디스플레이용 유리패널의 연마를 위한 폐연마재의 재생방법
CN113019682A (zh) 一种高纯熔融石英砂加工提纯工艺
KR100948612B1 (ko) 폐실리콘 슬러리 정제방법
CN107162008A (zh) 一种tft‑lcd基板玻璃用石英砂粉的制备工艺
JP4918839B2 (ja) 表示パネル廃棄物の処理方法
JP2015124413A (ja) 銅製錬における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JP2011235252A (ja) ガラス基板の再資源化方法
JP6150182B2 (ja) 鉛ガラスからの鉛の分別方法及び装置
CN206405168U (zh) 一种固废处理装置
CN103506368B (zh) 控制破碎分离低值物质与贵物质的方法及装置
JP2012239974A (ja) 膜が形成されたガラスの再資源化方法
KR101641634B1 (ko) 디스플레이 폐유리와 파유리를 재활용한 장섬유 유리용 또는 플리트용 실리카 분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