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763A - 와이어링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763A
KR20060021763A KR1020040070641A KR20040070641A KR20060021763A KR 20060021763 A KR20060021763 A KR 20060021763A KR 1020040070641 A KR1020040070641 A KR 1020040070641A KR 20040070641 A KR20040070641 A KR 20040070641A KR 20060021763 A KR20060021763 A KR 2006002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pper housing
wiring connector
hous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640B1 (ko
Inventor
홍만오
이철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6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탭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 외측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랙기어 형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형성된 캠돌기가 안착되어 그 슬라이딩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 작동이 자유로우며, 조립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링 커넥터, 상부 하우징, 레버, 슬라이더, 하부 하우징

Description

와이어링 커넥터{Wiring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 및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하우징 11 : 걸림편
12 : 걸림돌기 13 : 힌지핀
14 : 가이드홈 15 : 고정홈
20 : 슬라이더 21 : 캠돌기
22a,22b : 가이드돌기 23 : 랙기어
30 : 레버 31 : 피니언 기어
32 : 걸림홈 33 : 지지부
34 : 고정돌기 40 : 하부 하우징
41 : 돌기유동부 42 : 걸림턱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적은 힘으로 레버를 회전시켜 커넥터의 상.하부 하우징이 각각 탈거 및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이 장착된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과, 탭(tap)이 구비된 캡 하우징(cap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및 탭의 후단에는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캡 하우징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 하우징 내의 탭이 이에 대응되는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전기가 인가는 되는 것이다.
상기 캡 하우징에 구비된 탭 1개가 1개의 리셉터클에 삽입됨으로써, 다수의 탭과 리셉터클이 내장된 플러그 및 캡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약 40개의 이상의 탭과 리셉터클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커넥터로는 불가능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커넥터로 나누어 연결해야 되는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커넥터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고, 작업공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다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2개의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레이-아웃(lay-out) 공간이 넓어지게 되고, 이는 제품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와 반대로 제품의 부피를 작게 할 경우에는 커넥터의 레이-아웃 공간이 협소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커넥터 설치 및 분리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탭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 외측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랙기어 형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형성된 캠돌기가 안착되어 그 슬라이딩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 작동이 자유로우며, 조립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탭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40) 및 이 두 하우징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힌지핀(1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레버(30)와;
상기 레버(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체결 또는 탈거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캠돌기(2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레버(30) 및 슬라이더(20)는 피니언-랙기어의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핀(13)은 그 외측에 레버(30)가 90°회전시 그 레버(30)의 걸림홈(32)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2)와, 그 레버 (30)의 상단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1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유동부(41)는 그 단부에 상기 레버(30)의 기울기가 90°가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캠돌기(21)가 그 돌기유동부(41)에 삽입되거나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턱(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슬롯의 소정 각도는, 상기 캠돌기(21)가 상기 돌기유동부(41)에 안착된 후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하부 하우징(40)이 맞물릴 정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레버(30)를 조립후 상기 레버(30)가 외부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레버(30)에 이탈 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레버(30)의 지지부(33)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4)와, 상기 고정돌기(34)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부에 형성된 고정홈(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각 구성들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탭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40)으 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1) 및 걸림돌기(12)가 구비된 힌지핀(1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그 내측에 피니언 기어(31)가 형성된 지지부(33)를 갖는 레버(30)와, 상기 레버(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랙기어(23)가 구비된 사각 판재 형태의 슬라이더(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캠돌기(21)가 안착되며, 체결 또는 탈거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캠돌기(2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41)가 상기 하부 하우징(4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하우징(10,40)에 각각 구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 작동이 자유로우며, 조립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 및 탭이 서로 결합 가능한, 레버를 포함한 작동 구성요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 및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슬라이더(20)가 장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22a,22b)가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레버(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핀(13)이 양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핀(13)의 외측면에는 레버 (30)가 90°회전시 그 레버(30)의 걸림홈(32)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버(30)의 90°회전시 그 레버(30)의 상단이 걸리도록 걸림편(11)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단 및 측면 하단부에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가이드홈(14)에 안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22a,2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레버(30)는 그 내측에 피니언 기어(31)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지지부(33)를 가지며,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힌지핀(13)에 장착되어 걸림편(11) 및 걸림돌기(12)에 걸리는 걸림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하단부에 탭이 설치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캠돌기(21)가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할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40)이 상하로 작동하면서 장착된 탭이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리셉터클에 체결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유동부(41)의 단부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30)의 기울기가 90°가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캠돌기(21)가 돌기유동부(41)에 삽입되거나 탈거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경사슬롯의 소정 각도는, 상기 캠돌기(21)가 상기 돌기유동부 (41)에 안착된 후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하부 하우징(40)이 맞물릴 정도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레버(30)를 조립후 상기 레버(30)가 외부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레버(30)에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레버(30)의 지지부(33)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4)와, 상기 고정돌기(34)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부에 형성된 고정홈(15)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체결 과정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하우징(10)에 슬라이더(20) 및 리셉터클을 조립한 상태에서, 레버(30)를 90°로 세워 피니언 기어(31)를 슬라이더(20)의 랙기어(23)에 체결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고정홈(15)에 레버(30)의 고정돌기(34)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서로 내측으로 대향되게 구비된 캠돌기(21)를 하부 하우징(40)의 돌기유동부(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30)를 수평되게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30)의 피니언 기어(31)가 회전하고, 이와 연동되는 랙기어(23)로 인하여 슬라이더(20)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캠돌기(21)가 경사진 경사슬롯을 돌기유동부(41)를따라 이동함으로써, 하부 하우징(4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에는 상부 하우징(10)으로 삽입, 고정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 (4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의 연결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 작동이 자유로우며, 조립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 하우징과 레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 등이 구비됨에 따라 조립후 외부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체결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커넥터를 레이-아웃 상 유리한 LIF커넥터로 대체할 수 있어 비용 및 작업 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탭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40) 및 이 두 하우징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힌지핀(1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레버(30)와;
    상기 레버(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체결 또는 탈거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캠돌기(2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슬롯을 갖는 돌기유동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30) 및 슬라이더(20)는 피니언-랙기어의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3)은 그 외측에 레버(30)가 90°회전시 그 레버(30)의 걸림홈(32)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2)와, 그 레버(30)의 상단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1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유동부(41)는 그 단부에 상기 레버(30)의 기울기가 90°가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캠돌기(21)가 그 돌기유동부(41)에 삽입되거나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턱(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슬롯의 소정 각도는, 상기 캠돌기(21)가 상기 돌기유동부(41)에 안착된 후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하부 하우징(40)이 맞물릴 정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레버(30)를 조립후 상기 레버(30)가 외부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 및 레버(30)에 이탈 방지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레버(30)의 지지부(33)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4)와, 상기 고정돌기(34)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부에 형성된 고정홈(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KR1020040070641A 2004-09-04 2004-09-04 와이어링 커넥터 KR10063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41A KR100633640B1 (ko) 2004-09-04 2004-09-04 와이어링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41A KR100633640B1 (ko) 2004-09-04 2004-09-04 와이어링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763A true KR20060021763A (ko) 2006-03-08
KR100633640B1 KR100633640B1 (ko) 2006-10-11

Family

ID=3712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641A KR100633640B1 (ko) 2004-09-04 2004-09-04 와이어링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98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20230162358A (ko) 2022-05-20 202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0244A (ja) 2006-11-16 2008-06-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458681Y1 (ko) 2009-12-17 2012-03-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워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98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20230162358A (ko) 2022-05-20 202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640B1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30440Y (zh) 模块化配线系统、配线单元装置以及功能单元
US7119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locking a standard plug to a standard receptacle
EP1981128B1 (en) A lever-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255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lever assist with latch hold down mechanism
US6193531B1 (en) Lever type connector
US6739889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assembly
EP2276122B1 (en) Lever-type connector
EP1923964A2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therefor
JP200633199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4115349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6679714B2 (en) Low insertion force type connector
EP1331700B1 (en) Mate Assist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110086003A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WO200401230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JP2022547590A (ja) 急速接続式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KR100633640B1 (ko) 와이어링 커넥터
US6241548B1 (en) Device for locking two mating connectors
US542565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am lever lock mechanism
JP578914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448813Y1 (ko) 레버형 커넥터
JP200320894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6114357A (ja) コネクタ
JP200829372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TWI819798B (zh) 電連接裝置
JP454819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