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358A -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358A
KR20230162358A KR1020220062136A KR20220062136A KR20230162358A KR 20230162358 A KR20230162358 A KR 20230162358A KR 1020220062136 A KR1020220062136 A KR 1020220062136A KR 20220062136 A KR20220062136 A KR 20220062136A KR 20230162358 A KR20230162358 A KR 20230162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wiring
branc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범우
임근택
최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358A/ko
Publication of KR2023016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메인 와이어링(20)이 결합된 메일커넥터(100)의 제1,2터미널(110,120)이 제1,2탄지부(140,150)의 접촉에 의해 상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CAN통신 주선(L1)을 활용한 작업의 진행이 가능하고, 차량 범퍼의 전자부품(40)과 연결된 CAN통신 지선(L2)의 길이를 설계 가이드에 부합하는 적합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WIRING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과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서브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커넥터는 양쪽의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용구로서 사용되며, 통상 메일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커넥터(female connector)로 구성된다.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는 서로 끼워 맞춤되는 방식으로 조립되고,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면 커넥터의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단자)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으면, 일부 차종의 경우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오픈(open)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 메인 와이어링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주선이 연결되지 않아서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On-Board Diagnostics)진단 작업 등) 공정을 진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내에서 CAN통신의 주선이 연결되도록 처리하고, CAN통신 지선을 주선과 연결하여 차량 범퍼측으로 연장하고, 지선에 와이어링 커텍터를 적용하여 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주선과 지선간에 CAN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방안이 있다.
이 경우는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이 상시 쇼트(short)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CAN통신 주선의 연결에 의해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진단 작업 등)의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CAN통신 지선이 설계 가이드를 초과해서 과도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CAN통신의 불량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763호
본 발명은,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이 결합된 메일커넥터 및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에 해당하는 서브 와이어링이 결합된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로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서로 체결되기 전 상태일 때 메일커넥터에 구비된 2개의 터미널은 서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조립시 메일커넥터에 구비된 2개의 터미널은 오픈(open)되며 동시에 메일커넥터의 터미널과 피메일커넥터의 터미널이 서로 연결되어서 정상적으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메인 와이어링이 결합된 메일커넥터의 2개의 터미널이 상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CAN통신 주선의 연결에 의해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진단 작업 등)의 진행이 가능하고, CAN통신 지선의 길이를 설계 가이드에 부합하는 적합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CAN통신의 불량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는, 메인 와이어링이 결합된 메일커넥터 및 서브 와이어링이 결합된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에는 각각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구비되며;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면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오픈되며 동시에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고 제2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어서 메일커넥터과 피메일커넥터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와이어링은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이고; 상기 서브 와이어링은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이며; 상기 차량 범퍼는 프론트범퍼 및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가 됨에 따라 CAN통신 주선은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는 서로 상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도체의 제1탄지부 및 제2탄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상태일 때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는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커버링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동시에 수용되는 공동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동부에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내에 피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 위치하는 부도체의 분리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조립되면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제1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고 제2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될 때에, 분리돌기가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사이로 삽입되어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의 쇼트상태를 오픈상태로 변경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 위치하는 부도체의 분리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서로 조립됨에 따라 분리돌기가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사이로 삽입되어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오픈상태가 되면, 메인 와이어링과 서브 와이어링은 서로 연결되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고, CAN통신 주선과 지선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는,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메인 와이어링이 결합된 메일커넥터의 제1,2터미널이 제1,2탄지부의 접촉에 의해 상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CAN통신 주선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진단 작업 등)의 진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 범퍼에 구비된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CAN통신 지선의 길이를 설계 가이드에 부합하는 적합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CAN통신의 불량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탄지부 및 제2탄지부를 실시예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2의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된 상태의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4의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사이에 분리돌기가 삽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를 구성하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1)는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되는 메일커넥터(100) 및 피메일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와이어링 커넥터(1)는 두 개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wire to wire connector)로 명명될 수 있다.
메일커넥터(100)에는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2)에 해당하는 메인 와이어링(20)이 결합되고, 피메일커넥터(200)에는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3)에 해당하는 서브 와이어링(30)이 결합된다.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2)은 차량 플로어(floor) 와이어링으로 명명될 수 있고, 차량 범퍼는 프론트범퍼 및 리어범퍼를 포함하며, 차량 범퍼에는 레이더, 라이다, 센서 등의 전자부품(40)들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부품(40)은 서브 와이어링(30)과 연결된다.
메일커넥터(100)는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 및 제1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은 서로 이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은 제1하우징(130)속으로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제1하우징(130)은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을 커버링하면서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에는 전도체인 제1탄지부(140) 및 제2탄지부(150)가 각각 구비된다.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탄성을 구비한 전도체로서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별물로 제작된 후 통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이 제1하우징(130)속으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이때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제1하우징(130)속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은 쇼트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일 때 제1터미널(110)의 제1탄지부(140)와 제2터미널(120)의 제2탄지부(150)는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메인 와이어링(20)이 결합된 메일커넥터(100)의 제1,2터미널(110,120)이 제1,2탄지부(140,150)의 접촉에 의해 상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CAN통신 주선(L1)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진단 작업 등)의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이 제1하우징(130)속으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사이에 위치해서 서로 접촉하며, 이를 위해 제1하우징(130)에는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가 동시에 수용되는 공동부(131)가 마련되며, 공동부(131)에서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가 서로 접촉하는 구조가 된다.
공동부(131)의 크기는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일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가 탄성 변형될 때에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의 움직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7과 같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후술하는 분리돌기에 의해 함께 탄성 변형되면서 쇼트상태에서 오픈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는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120)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가 제2터미널(120)쪽으로 편심되게 치우쳐진 상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며, 이 경우는 도 8과 같이 후술하는 분리돌기에 의해 제1탄지부(140)만이 탄성 변형되면서 쇼트상태에서 오픈상태로 변경된다.
피메일커넥터(200)는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 및 제2하우징(230)을 포함한다.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은 서로 이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은 제2하우징(230)속에서 고정된다.
제2하우징(230)은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을 커버링하면서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메일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30)과 조립되어서 결합될 수 있다.
메일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3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30)이 조립되면,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1터미널(210)이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메일커넥터(100)의 제2터미널(12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20)이 서로 연결된다.
또한, 피메일커넥터(200)는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사이에 위치하는 비전도체의 분리돌기(240)를 더 포함한다.
분리돌기(240)는 제1터미널(210)과 제2터미널(220)사이에서 제1터미널(210) 및 제2터미널(220)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메일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3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30)이 조립되면서 메일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1터미널(210)이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메일커넥터(100)의 제2터미널(120)과 피메일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20)이 서로 연결될 때에, 분리돌기(240)는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사이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의 쇼트상태를 오픈상태로 변경된다.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가 서로 조립됨에 따라 분리돌기(240)가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50)사이로 삽입되어서 제1탄지부(140)와 제2탄지부(140)가 오픈상태가 되면, 메인 와이어링(20)과 서브 와이어링(30)은 서로 연결되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N통신 주선(L1)은 서브 와이어링(30)에 구비된 조인트커넥터(50)를 통과하는 라인이 되며, CAN통신 주선(L1)과 지선(L2)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가 된다.
CAN통신 지선(L2)은 조인트커넥터(50)와 차량 범퍼에 구비된 전자부품(40)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CAN통신 지선(L2)의 길이를 설계 가이드에 부합하는 적합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CAN통신의 불량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메일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30)에 실링부재(160)가 구비되며, 실링부재(160)는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의 조립시 제1하우징(130)과 제2하우징(230)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실링부재(160)는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1)는, 차량 조립라인에서 차량 바디측에 프런트범퍼 또는 리어범퍼가 조립되지 않더라도, 메인 와이어링(20)이 결합된 메일커넥터(100)의 제1,2터미널(110,120)이 제1,2탄지부(140,150)의 접촉에 의해 상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CAN통신 주선(L1)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CAN통신을 활용한 기타 작업(브레이크액 주입 작업, OBD진단 작업 등)의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 범퍼에 구비된 전자부품(40)을 연결하는 CAN통신 지선(L2)의 길이를 설계 가이드에 부합하는 적합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CAN통신의 불량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와이어링 커넥터 2 -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
3 -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 20 - 메인 와이어링
30 - 서브 와이어링 40 - 전자부품
50 - 조인트커넥터 100 - 메일커넥터
110 - 제1터미널 120 - 제2터미널
130 - 제1하우징 131 - 공동부
140 - 제1탄지부 150 - 제2탄지부
160 - 실링부재 200 - 피메일커넥터
210 - 제1터미널 220 - 제2터미널
230 - 제1하우징 240 - 분리돌기
L1 - CAN통신 주선
L2 - CAN통신 지선

Claims (12)

  1. 메인 와이어링이 결합된 메일커넥터 및 서브 와이어링이 결합된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에는 각각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구비되며;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면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오픈되며 동시에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고 제2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어서 메일커넥터과 피메일커넥터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와이어링은 차량 바디측 와이어링이고;
    상기 서브 와이어링은 차량 범퍼측 와이어링이며;
    상기 차량 범퍼는 프론트범퍼 및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가 됨에 따라 CAN통신 주선은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는 서로 상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도체의 제1탄지부 및 제2탄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기 전 상태일 때 서로 접촉해서 쇼트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는 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커버링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동시에 수용되는 공동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동부에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내에 피메일커넥터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 위치하는 부도체의 분리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조립되면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제1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되고 제2터미널끼리 서로 연결될 때에, 분리돌기가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사이로 삽입되어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의 쇼트상태를 오픈상태로 변경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사이에 위치하는 부도체의 분리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서로 조립됨에 따라 분리돌기가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사이로 삽입되어서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가 오픈상태가 되면, 메인 와이어링과 서브 와이어링은 서로 연결되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고, CAN통신 주선과 지선은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KR1020220062136A 2022-05-20 2022-05-20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KR20230162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36A KR20230162358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36A KR20230162358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358A true KR20230162358A (ko) 2023-11-28

Family

ID=8895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136A KR20230162358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3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63A (ko) 2004-09-04 200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63A (ko) 2004-09-04 200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954B2 (en) Integrated circuit vehicle diagnostics interface adapter apparatus and method
US9545887B2 (en) Wire harness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N100357132C (zh) 车辆用电源装置
US7899954B2 (en) Relay connector unit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8650351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a vehicle
US8688323B2 (en) Wire harness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20140111963A1 (en) Wiring harness assembly and electronic control system
US9517737B2 (en) Relay control between power distribution center and body control module
JP5286105B2 (ja) 通信中継コネクタ
CN103085668B (zh) 用于车辆的组件以及控制车辆电力系统的方法
US20190168693A1 (en) Circuit body for vehicle
US10431925B2 (e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device in vehicle
US10965074B2 (en) OBD adapter
US20180326930A1 (en)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 vehicle
US20230054502A1 (en) Charging inlet assembly having a proximity resistor assembly
CN110979207A (zh) 线束
KR20230162358A (ko) 차량용 와이어링 커넥터
CN107959490B (zh) 用于汽车应用的智能开关
JP2022508531A (ja) 車載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986710B2 (ja) 導通検査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CN112867634A (zh) 配线分支箱
CN210779360U (zh) 车载终端连接装置
CN111448623B (zh) 布线系统
KR102141510B1 (ko) 차량용 can 통신 단자 커넥터
JP5763368B2 (ja) 中継コネクタ、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及び、識別情報設定治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