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080A -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 Google Patents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080A
KR20060021080A KR1020040069903A KR20040069903A KR20060021080A KR 20060021080 A KR20060021080 A KR 20060021080A KR 1020040069903 A KR1020040069903 A KR 1020040069903A KR 20040069903 A KR20040069903 A KR 20040069903A KR 20060021080 A KR20060021080 A KR 2006002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rod
lateral
lateral ro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080A/ko
Publication of KR2006002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가해지는 횡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축(2)과 프레임(5)을 연결하는 래터럴로드(4)가 구비된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래터럴로드(4)가 차축(2)의 중앙에 자신의 중앙부분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로드(4a)와, 이 절곡로드(4a)의 양단에 각각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들은 각각 프레임(5)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 직선로드(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체의 회전이 차축(2)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량이 제한되어 급선회시 과도 쏠림으로 인한 타이어 스커프 현상과 잭업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lateral rod structure of rigid axle type rear suspension}
도 1은 종래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로드가 적용된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부인 절곡로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스프링, 2 : 차축,
3 : 트레일링암, 4 : 래터럴로드,
4a : 절곡로드, 4b : 직선로드,
5 : 프레임, 6 : 토션바스프링.
본 발명은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의 일 구성요소인 래 터럴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리어서스펜션에는 비독립식인 차축식 현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차량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리프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중 도 1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1)을 사용하는 방식이 승용차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코일스프링(1)만으로는 차축(2)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트레일링암(3)이나 래터럴로드(4)등의 링크류 부품을 사용하여 차축(2)을 지지하고 있다.(상기 트레일링암은 컨트롤암의 일종으로 로워컨트롤암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로워컨트롤암이 설치될 경우, 추가로 어퍼컨트롤암이 설치될 수 있는 등, 차종에 따라 다양한 보조 링크류 부품이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링암(3)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발생되는 힘을 지지하고, 래터럴로드(4)는 횡방향의 힘 즉, 횡력에 대응하여 작용하게 된다.
상기 래터럴로드(4)는 그 일단은 차축(2)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반대쪽 위치의 프레임(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으로 차축(2)과 프레임(5, 즉, 차체)을 연결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주행중 범프(bump)나 리바운드(rebound) 발생시 래터럴로드(4)와 프레임(5)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차축(2)을 포함한 서스펜션 전체가 회동되는 거동을 갖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래터럴로드(4)와 차축(2)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프레임(5)이 회동되는 거동이 발생한다.
즉, 차축(2)이나 차체의 회동이 래터럴로드(4)의 한쪽 끝 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그 거동량이 크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 중 서스펜션의 회동에 의하여 노면에서 타이어가 끌리는 스커프(scuff)현상이 발생하여 차체에 좌우방향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차체가 선회 방향 외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잭-업(jack-up)현상이 발생하여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정상 주행시 횡력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추면서, 급선회시에는 서스펜션이나 프레임 즉, 차체의 회동 거동이 줄어들어 스커프 및 잭업 현상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도록 된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가해지는 횡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래터럴로드가 구비된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래터럴로드가 차축의 중앙에 자신의 중앙부분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로드와, 이 절곡로드의 양단에 각각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들은 각각 프레임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 직선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급선회시 차체나 서스펜션의 상대 회동이 차축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져 그 거동량이 감소됨으로써 타이어가 횡방향으로 끌리는 스커프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절곡로드의 회동범위에 의해 차체의 회전량이 제한받으므로 차체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잭-업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절곡로드의 중심이 토션바스프링을 매개로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션바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하여 래터럴로드에 의한 차체의 자세 제어는 더욱 강력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이 적용된 래터럴로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로드(4)는 종래와 같이 한 몸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한 절곡로드(4a)는 L형 또는 V형으로 중간 부분이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절곡된 중앙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 방향으로 로드가 돌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절곡로드(4a)는 차축(2)의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액슬하우징의 중앙 겉면에 핀, 부시 등을 매개로 장착된다.
상기 절곡로드(4a)의 양측에는 직선로드(4b)가 각각 설치된다.
직선로드(4b)는 그 일측 단부가 절곡로드(4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은 해당 방향의 프레임(5) 끝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래터럴로드(4)에 의한 차축(2)과 프레임(5) 즉, 차체의 연결구조가 이루어진다.
도 4에는 급선회 상태에서 상기 래터럴로드(4)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은 양단이 직선로드(4b)에 의해 잡혀 있고, 양측 직선로드(4b)들에 연결된 절곡로드(4a)가 차축(2)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5) 즉, 차체의 회동은 상기 절곡로드(4a)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체가 기울어지는 쪽의 직선로드가 절곡로드를 밀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의해 절곡로드는 반대쪽 직선로드를 잡아 당기게 된다.
반대쪽 직선로드를 잡아 당기는 힘의 수직분력은 하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차체의 상승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차체의 회동량은 상기 절곡로드(4a)의 회전 가능 범위에 의해 결정되게 되는데, 절곡로드(4a)는 회전방향의 반대쪽 부분이 연결된 직선로드(4b)에 의해 잡혀 있으므로 회전 가능 범위가 크지 않으며, 이 범위 내에서 차체의 회동량도 제한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차축(2)을 포함한 서스펜션 부분이나 이에 대응되는 프레임(5) 이상의 차체부분이 모두 상대적으로 회동가능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급선회 시 차체가 선회 외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쏠림으로써 발생되는 타이어 스커프현상이나 잭업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로드(4a)가 차축(2)에 단순하게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이 아니라, 양단이 회동불가하게 고정되는 토션바스프링(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곡로드(4a)는 토션바스프링(6)의 탄성한도 내에서 제한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 상기 절곡로드(4a)를 중심으로 한 차체의 회동 발생시 토션바스프링(6)에 의한 반력에 의하여 차체의 회동이 더욱 억제되며, 이에 의하여 타이어 스커프현상이나 잭업현상은 보다 강력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토션바스프링의 강도는 토션바스프링에 의하여 서스펜션의 강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승차감이 저하되지는 않는 한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중 타이어 상하 운동시 타이어 스커프 현상이나 선회시 잭-업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에 가해지는 횡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축(2)과 프레임(5)을 연결하는 래터럴로드(4)가 구비된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래터럴로드(4)가 차축(2)의 중앙에 자신의 중앙부분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로드(4a)와, 이 절곡로드(4a)의 양단에 각각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들은 각각 프레임(5)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 직선로드(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로드(4a)가 토션바스프링(6)을 매개로 차축(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KR1020040069903A 2004-09-02 2004-09-02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KR20060021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03A KR20060021080A (ko) 2004-09-02 2004-09-02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03A KR20060021080A (ko) 2004-09-02 2004-09-02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80A true KR20060021080A (ko) 2006-03-07

Family

ID=3712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903A KR20060021080A (ko) 2004-09-02 2004-09-02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0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174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2518349B2 (ja)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US11691471B2 (en) Automobile suspension device
US7077407B2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JP346801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2569714B2 (ja)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JP2001270313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リアサスペンション
KR20060021080A (ko) 차축식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로드 구조
JP2005112213A (ja) サスペンション
KR100559863B1 (ko) 자동차의 전/후륜 서스펜션 구조
KR10047182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2000887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JPH05104921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ダブルウイツシユボーン型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9990007181U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JPH07246816A (ja) 車両用懸架装置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100316890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100320504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57973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링크구조
JPH03706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79732B1 (ko) 트레일링 타입 차량 현가장치
JP3691530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JP2004203195A (ja)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