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519A - 미러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519A
KR20060020519A KR1020040069367A KR20040069367A KR20060020519A KR 20060020519 A KR20060020519 A KR 20060020519A KR 1020040069367 A KR1020040069367 A KR 1020040069367A KR 20040069367 A KR20040069367 A KR 20040069367A KR 20060020519 A KR20060020519 A KR 2006002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ring
spring holder
ro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527B1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4006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5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콘트롤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회동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액션 로드와; 상기 액션 로드가 수평 이동되면 수직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로드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액션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 홀더 및 액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홀더 및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홀더 삽입홀이 형성된 스프링 바디와; 상기 홀더 삽입홀과 상기 스프링 홀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스프링 홀더와 홀더 삽입홀 사이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 및 조립 작업이 간편해지고, 미러 스위치의 작동 불량도 최소화되어 스위치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트롤 노브, 스위치 바디, 스프링 홀더, 액션 로드, 액션 스프링, 가이드 홈, 리브

Description

미러 스위치 장치{Mirror switch device}
도 1은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에서 스프링 홀더가 분리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에서 스프링 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스위치 바디 55 : 홀더 삽입홀
55a : 가이드 홈 60 : 콘트롤 노브
63 : 작동 로드 65 : 콘택트 홀더
67 : 콘택트 단자 68 : PCB
70 : 리턴 기구 71 : 액션 로드
73 : 스프링 홀더 73a : 리브
75 : 액션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미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 홀더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바디(10)에 일측에 미러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작동시키는 콘트롤 노브(20)가 위치되고, 타측에 좌우측 미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노브(21)와 좌우측 미러를 전동식으로 접는 노브(22)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로서, 상기 콘트롤 노브(20)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10)의 내측으로 작동 로드(23)가 길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로드(23)의 끝단에는 콘택트 홀더(25)가 결합되어 상기 콘트롤 노브(2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서 스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택트 홀더(25)와 스위치 바디(10)에는 양쪽 미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치 회로를 변경시키는 콘택트 단자(27) 및 이 콘택트 단자와 접촉되는 터미널 단자가 형성된 PCB(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 노브(20)와 콘택트 홀더(25) 사이의 공간인 상기 작동 로드(23)의 둘레에는 상기 콘트롤 노브(20)가 상하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움직인 후 원위치되도록 하는 리턴 기구(30)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 기구(30)는 상기 작동 로드(23)의 둘레에 끼워져 작동 로드(23)를 따라 이동하는 액션 로드(31)와, 상기 액션 로드(31)에 접촉되면서 액션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액션 로드(31)를 원위치시켜 리턴되도록 하는 스프링 홀더(3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은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에서 상기 스프링 홀더(33)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로서, 상기 스위치 바디(10)에는 상기 스프링 홀더(33)가 삽입되는 홀더 삽입홀(15)이 형성되어, 상기 액션 로드(2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프링 홀더(33)가 홀더 삽입홀(15)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리턴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에서 참조 부호 21A는 상기 선택 노브(21)가 설치되는 부분이고, 22A는 좌우측 미러를 전동식으로 접는 노브(22)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미러 스위치 장치는, 스프링 홀더(33)가 상기 홀더 삽입홀(15)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스위치 작동시 원위치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홀더(33)의 외경과 홀더 삽입홀(15)의 내경이 적절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스위치 작동 후에 리턴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미러 스위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프링 홀더(33)가 홀더 삽입홀(15) 내에서 상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치수 관리를 정확하게 해야 하다. 하지만, 스프링 홀더(33)와 홀더 삽입홀(15)의 치수가 거의 정확히 일치하게 하면 상호 접촉 부위가 빡빡하게 되어 원위치 기능이 잘 수행되지 않고, 너무 느슨하게 하면 스프링 홀더(33)의 유동이 발생하여 역시 원위치 기능이 잘 수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두 부품 사이의 치수 설정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생산 및 조립 작업도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링 홀더와 홀더 삽입홀 사이에 스프링 홀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두 부품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 및 조립 작업이 간편해지고, 미러 스위치의 작동 불량도 최소화되어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콘트롤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회동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액션 로드와; 상기 액션 로드가 수평 이동되면 수직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로드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액션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 홀더 및 액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홀더 및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홀더 삽입홀이 형성된 스프링 바디와; 상기 홀더 삽입홀과 상기 스프링 홀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로서, 스위치 바디(50)의 상부에 미러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작동시키는 콘트롤 노브(20)가 위치되고, 그 옆에는 좌우측 미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노브(61)와 발광 램프(62)가 위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 4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상기 콘트롤 노브(60)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내측으로 작동 로드(63)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로드(63)의 끝단에는 콘택트 홀더(65)가 결합되어 상기 콘트롤 노브(6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서 스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 홀더(65)와 스위치 바디(50)에는 양쪽 미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치 회로를 변경시키는 콘택트 단자(67) 및 이 콘택트 단자(67)와 접촉되는 터미널 단자가 형성된 PCB(68)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작동 로드(63)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콘트롤 노브(60)가 상하 좌우로 움직인 후 원위치되도록 하는 리턴 기구(70)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 기구(70)는 상기 작동 로드(63)의 둘레에 끼워져 작동 로드(63)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판 구조의 액션 로드(71)와, 상기 액션 로드(71)에 접촉되면서 액션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액션 로드(71)를 원위치시켜 리턴되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스프링 홀더(73)와,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홀더(73)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홀더 삽입홀(5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 홀더(73)는 상기 액션 스프링(75)에 지지되어 홀더 삽입홀(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액션 로드(71)가 상기 콘트롤 노브(60)의 작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측으로 이동하였다가 스위치 작동력이 제거되면 액션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액션 로드(71)를 중앙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홀더(73)와 액션 로드(71)는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73b)과 이 경사면(73b)에 접촉되는 곡면(71b)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 삽입홀(55)과 상기 스프링 홀더(7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홀더(73)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는 바, 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스프링 홀더(73)에서 돌출된 리브(73a)와, 상기 홀더 삽입홀(55)에 형성되어 상기 리브(73a)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5a)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 수단은 도 6에 도시된 스위치 바디(50)와 스프링 홀더(73)의 배면 형상을 통해 잘 나타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홀더(73) 및 상기 홀더 삽입홀(55)은 원통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리 브(73a)와 가이드 홈(55a)은 상기 스프링 홀더(73)와 상기 홀더 삽입홀(55)에 원주 방향으로 4 개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리브(73a)와 가이드 홈(55a)은 상기 콘트롤 노브(60)의 작동 방향과 일치하게 도 6에서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개수로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스프링 홀더(73)에 리브(73a)가 형성되고 홀더 삽입홀(55)에 가이드 홈(55a)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홀더 삽입홀(55)에 리브를 형성하고 스프링 홀더(73)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 미러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하기 위해 콘트롤 노브(60)를 상하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작동 로드(63)가 콘트롤 노브(60)가 움직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콘택트 홀더(65)를 이동시켜 미러 조작을 위한 스위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로드(63)에 결합된 액션 로드(71)가 작동 로드(63)를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스프링 홀더(73)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서 액션 스프링(75)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 노브(6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액션 스프링(75)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홀더(73)가 상기 액션 로드(71)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작동 로드(63) 및 콘트롤 노브(6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 노브(6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 홀더(73)가 상기 홀더 삽입홀(55) 내에서 상하 이동될 때, 스프링 홀더(73)의 리브(73a)와 홀더 삽입홀(55)의 가이드 홈(55a)의 결합으로 다른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므로, 콘트롤 노브(60)에 제공된 힘이 제거되면 오작동됨이 없이 신속하게 스프링 홀더(73)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체적인 스위치의 원위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스프링 홀더와 홀더 삽입홀 사이에 스프링 홀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리브 및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부품 사이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 및 조립 작업이 간편해지고, 미러 스위치의 작동 불량도 최소화되어 스위치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콘트롤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회동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액션 로드와;
    상기 액션 로드가 수평 이동되면 수직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로드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액션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 홀더 및 액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홀더 및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홀더 삽입홀이 형성된 스프링 바디와;
    상기 홀더 삽입홀과 상기 스프링 홀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스프링 홀더와 홀더 삽입홀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된 리브와, 상기 리브가 형성되지 아니한 다른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 및 상기 홀더 삽입홀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스프링 홀더 및 상기 홀더 삽입홀에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KR1020040069367A 2004-08-31 2004-08-31 미러 스위치 장치 KR10062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67A KR100625527B1 (ko) 2004-08-31 2004-08-31 미러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67A KR100625527B1 (ko) 2004-08-31 2004-08-31 미러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19A true KR20060020519A (ko) 2006-03-06
KR100625527B1 KR100625527B1 (ko) 2006-09-20

Family

ID=3712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367A KR100625527B1 (ko) 2004-08-31 2004-08-31 미러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3B1 (ko) * 2007-12-14 2009-11-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러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36B1 (ko) 2010-10-07 2011-09-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테스트 수단이 구비된 공압식 알람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3B1 (ko) * 2007-12-14 2009-11-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러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527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7090B2 (en) Switching apparatus
US7122756B2 (en) Push switch
JP5681282B2 (ja) 詳細には電気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ための、スイッチ
KR20120068727A (ko)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US4357511A (en) Modular push-button switch with lighted push-button element
KR10062552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6011915B2 (ja) 車輌用前照灯
JP6052973B2 (ja) 灯具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9277431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JP2006347267A (ja) シフトスイッチ
KR101141329B1 (ko) 스위치 유니트
KR100670022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5930774B2 (ja) スイッチ装置
JP4481784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348432B1 (ko) 차량용 누름 작동형 스위치
US4182944A (en) Toggle switch with a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attached to the top end of a knob
KR100863099B1 (ko) 스위치 조립체
KR100366214B1 (ko) 회전형 스위치의 디텐트 장치
KR100558620B1 (ko) 등화 스위치 레버
KR20020044808A (ko) 안개등 스위치 겸용 헤드램프 스위치 장치
KR101797111B1 (ko) 로터리형 푸시 록 스위치
JP6392821B2 (ja) 車輌用灯具ユニット
KR100312562B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스위치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