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684A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684A
KR20060019684A KR1020040068292A KR20040068292A KR20060019684A KR 20060019684 A KR20060019684 A KR 20060019684A KR 1020040068292 A KR1020040068292 A KR 1020040068292A KR 20040068292 A KR20040068292 A KR 20040068292A KR 20060019684 A KR20060019684 A KR 2006001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ont panel
pickup
image form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444B1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44B1/ko
Priority to US11/150,304 priority patent/US7472904B2/en
Publication of KR2006001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65H2403/533Slotted link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적재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급지카세트와,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 픽업장치가 결합되는 픽업브라켓과, 급지카세트의 착탈시 전면패널과 연동하여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픽업장치를 하강시키고,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적재부가 탈착되도록 하는 픽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급지장치와 달리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픽업장치가 하강하게 되므로 픽업장치에 의한 용지의 스큐(skew)나 잼(jam)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급지카세트를 탈착하게 되므로, 픽업장치가 급지카세트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feed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급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픽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급지카세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급지카세트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픽업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 중 급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픽업장치가 상승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픽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픽업장치가 하강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c에 도시된 픽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이 결합 해제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는 전면패널이 결합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픽업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105...상보적결합부
110...급지카세트 장착부 120...급지카세트
130...적재부 150...슬라이딩부재
160...탄성부재 165...결합고리
170...전면패널 180...손잡이부
190...결합부재 200...픽업부
202...프레임 205...픽업장치
210...회전축 220...픽업제어부
225...베어링부 230...가이드부
240...캠부 250...탄성부
311...감광드럼 312...현상롤러
313...대전롤러 314...공급롤러
320...제1전사부 330...노광부
331,332...지지롤러 335...중간전사벨트
340...제2전사부 350...정착부
360...화상형성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Dam) 분리방식의 급지카세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카세트의 착탈과 연동하여 픽업장치를 기구적으로 업다운 구동시키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부에 의해 최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픽업하여 화상형성부로 이송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급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에 도시된 픽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20)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10) 상측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부(미도시)로 이송하는 픽업부(30)를 포함한다.
픽업부(30)는 급지카세트(20)가 착탈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롤러(31)와, 급지카세트(20)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픽업롤러(31)를 급지카세트(20) 측으로 업다운되도록 구동시켜 주는 업다운부(32)와,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하여 픽업롤러(31)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3)을 포함한다.
종래의 급지장치에서 픽업롤러(31)는 급지카세트(20)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지를 픽업하도록 설치되며, 급지카세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대해 인쇄용지가 픽업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업다운부(32)는 급지카세트(20)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캠곡선부가 돌출 형성된 캠돌기(21)와, 본체(1)의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5)과, 급지카세트(20)의 착탈시 상기 캠돌기(21)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하도록 지지프레임(35)에 설치된 캠레버(40)와, 캠레버(4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2)과, 회전축(42)과 연동하여 캠레버(4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록킹아암(50) 및 그 록킹아암(50)에 의해 구속되어 업다운되도록 지지프레임(35)에 설치된 회전축(61)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픽업브라켓(60)을 포함한다.
캠레버(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1)에 의해 급지카세트(2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42)에 의해 록킹아암(50)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록킹아암(50)은 회동시 그 자유단에 구비된 걸림핀(51)이 픽업브라켓(60)의 급지카세트(20)측을 간섭하여 업다운 가능하도록 구속한다. 따라서, 픽업브라켓(60)은 록킹아암(50)의 자유단에 구비된 걸림핀(51)과 연동하여 업다운하게 된다.
픽업브라켓(60)의 자유단은 픽업롤러(3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프레임(35)의 지지편(62a)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2)에 의해 급지카세트(20)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된다. 픽업롤러(31)는 용지 이송시에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최상측의 용지면을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이송한다.
그리고, 픽업브라켓(60)은 그 몸체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편(38)을 가지며, 그 돌출편(38)은 후술할 후크부재(72)와 간섭함으로써 픽업브라켓(60)의 동작을 구속한다.
픽업롤러(31)의 구동부(33)는 지지프레임(35)에 설치된 구동모터(34)와, 구동모터(34)의 회전구동력을 픽업롤러(3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픽업브라켓(60)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록킹/언록킹부(36)는 지지프레임(35)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재(70a)와 접촉 유무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70)와, 그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지지프레임(35)에 설치된 회전축(71) 및 그 회전축(71)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축(71)이 회동함에 따라 픽업브라켓(60)을 간섭하여 록킹/언록킹시키는 후크부재(72)를 포함한다. 후크부재(72)는 픽업브라켓(6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38)과 간섭하며, 솔레노이드 구동부(70)와 연동되는 회전축(71)의 회전에 따라 픽업브라켓(60)을 록킹/언록킹시킨다.
즉, 급지카세트(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 장착시 캠돌기(21)와 캠레버(40)가 간섭하게 되고,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재(70a)와 솔레노이드 구동부(70)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캠돌기(21)와 캠레버(40)의 간섭으로 걸림핀(51)의 구속이 해제가 되고,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작동으로 회전축(71)이 회동되므로 후크부재(72)에 의한 구속도 해제가 되어 픽업브라켓(60)은 하강하게 된다.
급지카세트(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서 착탈시 캠돌기(21)와 캠레버(40)의 간섭이 해제되고,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재(70a)와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접촉도 해제된다. 따라서, 캠레버(40)와 연동되는 걸림핀(51)에 회전에 의해 픽업브라켓(60)이 상승하게 되고, 후크부재(72)는 돌출편(38)을 구속하여 픽업브라켓(60)을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의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 용지가 적재된 급지카세트(20)가 삽입됨에 따라 급지카세트(20)의 선단부에 구비된 캠돌기(21)에 의해 캠레버(40)가 간섭되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아암(50)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픽업브라켓(60)은 록킹아암(50)의 자유단에 구비된 걸림핀(51)에 의한 구속상태가 해제되는 반면에, 후크부재(72)에 의한 구속은 계속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픽업브라켓(60)은 처음의 초기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급지카세트(20)가 더 삽입되면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재(70a)와 솔레노이드 구동부(70)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작동으로 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는 돌출편(38)을 구속하는 후크부재(72)에 의한 구속도 해제가 되므로, 픽업브라켓(60)은 그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최상단 용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픽업브라켓(60)은 그 선단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됨에 따라 픽업롤러(31)가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단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면, 구동모터(34)에 의한 구동력이 픽업롤러(31)에 전달되고, 픽업롤러(31)는 그 회전구동력에 의해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인쇄가 진행이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을 거쳐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된 상태에서 새로운 용지를 적재하기 위하여 급지카세트(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서 착탈하게 된다. 급지카세트(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서 착탈시 캠돌기(21)와 캠레버(40)의 간섭이 해제되어 캠레버(40)는 코일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아암(50)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록킹아암(50)의 자유단에 구비된 걸림핀(51)에 의해 픽업브라켓(60)도 상승하게 된다. 급지카세트(20)가 착탈됨에 따라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재(70a)와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구동부(70)의 작동으로 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후크부재(72)도 픽업브라켓(60)에 구비된 돌출편(38)을 구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구동부(70)와 연동되는 후크부재(72)에 의해 픽업브라켓(60)의 업다운이 구속되는 경우 급지카세트(20)를 장착시 장착부(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픽업브라켓(60)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픽업롤러(31)가 하강하면서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최상단의 용지를 밀어 용지가 틀어진 상태로 있다가, 인쇄가 시작되어 용지가 픽업이 되면 용지의 스큐(skew)나 잼(jam)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급지카세트(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0)에서 착탈시 픽업롤러(31)가 상승하면서 급지카세트(20)에 걸리기 쉬워 픽업롤러(31)의 일부가 파손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급지카세트의 착탈 동작과 연동하여 장착 완료 후 픽업롤러가 다운되고, 픽업롤러가 상승된 후에 급지카세트가 탈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장치와; 일단에 상기 픽업장치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업브라켓과; 상기 급지카세트의 착탈시 상기 전면패널과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상기 픽업장치를 하강시키고, 상기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상기 적재부가 탈착되도록 하는 픽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카세트를 착탈시 사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상기 손잡이부에 연동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의 전면에 착탈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보적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걸리는 결합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해제시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제어부는, 상기 픽업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픽업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픽업브라켓을 시소(seesaw)운동시켜 상기 픽업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시 상기 프레임에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패널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장치와; 일단에 상기 픽업장치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업브라켓과; 상기 급지카세트의 착탈시 상기 전면패널과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상기 픽업장치를 하강시키고, 상기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상기 적재부가 탈착되도록 하는 픽업제어부를; 갖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카세트를 착 탈시 사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상기 손잡이부에 연동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의 전면에 착탈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제어부는, 상기 픽업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픽업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픽업브라켓을 시소(seesaw)운동시켜 상기 픽업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시 상기 프레임에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패널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급지장치의 급지카세트를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은 급지장치의 픽업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급지장치 중 급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20)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 부(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부(미도시)로 이송하는 픽업부(200)를 포함한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20)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130)와, 적재부(13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도록 슬라이딩부재(150)에 의해 적재부(130)에 결합되는 전면패널(170)을 포함한다.
전면패널(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0)가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 장착이 완료된 후 적재부(130)측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150)에 의해 적재부(130)에 설치된다. 전면패널(170)에는 급지카세트(120)의 착탈시 사용되는 손잡이부(180)가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80)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결합부재(190)가 일측에 마련된다. 전면패널(170)은 적재부(1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결합부재(19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상보적결합부(105)나 도 7에 도시된 결합고리(165)에 착탈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150)는 적재부(130)에 대해 전면패널(170)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전면패널(170)은 슬라이딩부재(150)에 의해 적재부(130)에 결합되고, 적재부(13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면패널(170)에는 슬라이딩부재(15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홀(15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재(150)는 전면패널(170)에 마련된 슬라이딩홀(155) 속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슬라이딩부재(150)는 적재부(130)의 측면이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재(150)의 외주에는 탄성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60)는 결합부재(190)에 의한 결합 해제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면패널(170)을 적재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픽업부(200)는 급지카세트(120)가 착탈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장치(205)와, 픽업장치(205)를 지지하는 프레임(202)과, 일단에 픽업장치(205)가 결합되는 픽업브라켓(215)과, 급지카세트(120)의 장착 및 착탈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픽업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픽업장치(205)는 급지카세트(120)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지를 픽업하도록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대해 용지가 픽업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된다. 픽업장치(205)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적재부(130)에 적재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프레임(202)은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픽업브라켓(21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10) 및 가이드부(230)를 지지한다.
픽업브라켓(215)은 프레임(202)에 설치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210)에 결합되고, 그 일단에는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장치(205)가 결합된다.
픽업제어부(220)는 급지카세트(120)의 착탈시 상기 전면패널(170)과 연동하여 적재부(130)가 장착이 완료된 후 픽업장치(205)를 하강시키고, 픽업장치(205)가 상승된 후 급지카세트 장착부(110)로부터 적재부(130)가 탈착되도록 한다. 픽업제어부(220)는 픽업장치(205)가 결합된 픽업브라켓(215)의 반대쪽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225)와, 전면패널(170)과 간섭되어 회전축(210)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230)와, 베어링부(225)와 결합되는 캠부(240)와, 프레임(202)에 간섭되어 가이드부(230)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250)를 포함한다.
베어링부(225)는 픽업장치(205)가 결합된 픽업브라켓(215)의 반대쪽 타단에 형성되어 픽업브라켓(215)이 결합된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픽업장치(205)의 승하강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한다. 즉, 픽업브라켓(215)이 결합된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픽업장치(205)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픽업장치(205)와 일체로 회전한다.
가이드부(230)는 픽업브라켓(215)이 설치된 회전축(210)과 나란하게 프레임(202)에 설치되며, 그 일단에 마련된 간섭부(232)가 전면패널(170)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캠부(240)는 가이드부(230)의 타단에 설치되어 베어링부(225)와 결합되며, 전면패널(170)의 동작에 연동되어 픽업브라켓(215)을 시소(seesaw)운동시켜 픽업장치(205)를 승하강시킨다. 캠부(240)에는 상하방향으로 굴곡부(242)가 마련된다. 픽업브라켓(215)의 베어링부(225)는 가이드부(230)의 왕복운동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굴곡부(242)에 결합된다. 캠부(240)에 마련된 굴곡부(242)는 하측부(243)와 상측부(244)를 구비하며, 베어링부(225)의 동작을 간섭하여 픽업브라켓(215)의 일단에 설치된 픽업장치(205)의 승하강 동작을 구속한다. 따라서, 픽업장치(205)는 전면패널(170)의 간섭에 연동되는 가이드부(230)에 마련된 캠부(240)의 왕복운동에 구속되어 승하강된다. 베어링부(225)가 굴곡부(24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측부(244)에 도달시 픽업장치(205)는 하강하여 용지에 접촉된다. 상측부(244)에서 용지 가 픽업 이송됨에 따라 베어링부(225)는 상승하게 되므로, 상측부(244)는 하측부(243)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250)는 그 내부에 지지부(255)와 탄성부재(260)를 구비하며, 전면패널(170)이 가이드부(230)의 간섭부(232)를 간섭시 그 일측이 프레임(202)에 간섭되어 압축되며, 탄성부재(260)는 지지부(255)를 전면패널(17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전면패널(170)에 의한 가이드부(230)의 간섭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6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부(255)가 탄성부(250)의 내벽을 전면패널(170) 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30)는 전면패널(170) 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8a, 8b, 8c, 8d는 픽업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9a, 9b는 전면패널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픽업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 급지카세트의 적재부(130)가 삽입된다.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 적재부(130)의 삽입이 완료된 후 전면패널(17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0) 측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부재(190)를 이용해 도 4에 도시된 상보적결합부(105)나 도 7에 도시된 결합고리(165)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슬라이딩부재(150)는 전면패널(170)에 마련된 슬라이딩홀(155) 속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며, 탄성부재(160)는 압축되어 전면패널(170)을 적재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 스시킨다.
전면패널(170)은 적재부(130) 측으로 슬라이딩되며 프레임(202)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부(230)의 간섭부(232)를 간섭한다. 전면패널(170)이 적재부(130) 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가이드부(230)도 전면패널(170)의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가이드부(230)에 마련된 탄성부(250)는 프레임(202)에 간섭되어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가이드부(230)의 동작에 구속되는 캠부(240)도 슬라이딩되고, 베어링부(225)는 캠부(240)에 형성된 굴곡부(242)를 따라 하측부(243)에서 상측부(244)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동시에 픽업장치(205)는 하강하여 적재부(130)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단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면, 구동원(미도시)에 의한 구동력이 픽업장치(205)에 전달되고, 픽업장치(205)는 그 회전구동력에 의해 적재부(130)에 적재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인쇄가 진행이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을 거쳐 적재부(130)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된 상태에서 새로운 용지를 적재하기 위하여 급지카세트(1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서 착탈하게 된다. 급지카세트(120)를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서 착탈시 전면패널(170)에 마련된 손잡이부(180)를 이용해 결합부재(190)를 도 4에 도시된 상보적결합부(105)나 도 7에 도시된 결합고리(165)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결합이 해제되면 전면패널(170)은 탄성부재(160)에 의해 적재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전면패널(170)이 적재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면패널(170)에 의해 간섭된 가이드부(230)도 프레임(202)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탄성부(2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면패널(170) 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30)의 동작에 구속되는 캠부(240)도 슬라이딩되며, 베어링부(225)는 캠부(240)에 형성된 굴곡부(242)를 따라 상측부(244)에서 하측부(243)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동시에 픽업장치(205)는 상승하게 되고, 픽업장치(205)의 상승이 완료된 후 급지카세트 장착부(110)에서 급지카세트(120)를 탈착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장치(205)는 전면패널(170)의 동작에 간섭 연동되는 캠부(240)에 구속되어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30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360)와, 용지를 적재한 급지카세트(120), 급지카세트(120)로부터 용지를 인출하는 픽업부(200),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장치(384)를 구비한다.
화상형성부(36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 제1전사부(320), 노광부(330C, 330M, 330Y, 330K), 중간전사벨트(335)를 포함한다.
각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으로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을 채용한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감광드럼(311)과 현상롤러(312)와 대전롤러(313)와 공급롤러(314)와 저장부(319)와 규제부재(미도시)와 클리닝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감광드럼(311)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다.
대전롤러(313)에는 감광드럼(31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313)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31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311)으로 공급한다. 현상롤러(312)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3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312)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311)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측에는 현상롤러(312)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공급롤러(314)와 현상롤러(31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가 하우징(315)에 설치되어 있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휘저어주는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미도시)는 하우징(315)에 설치되며 일단이 감광드럼(311)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드럼(311)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드럼(311)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클리닝부재(미도시)는 하우징(315)에 별도로 설치되는 지지부재(미도시)에 그 일측 가장자리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클리닝부재(미도시)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감광드럼(311)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드럼(311)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드럼(311)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폐토너저장부(미도시)는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내부에 구비되어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감광드럼(311)에서 제거된 토너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노광부(330C, 330M, 330Y, 330K)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드럼(311)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미도시)를 구비한다. 감광드럼(311)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중간전사벨트(335)와 대면된다.
중간전사벨트(335)는 그 일면은 감광드럼(311)에, 그 타면은 제1전사부(320)와 대면되게 설치되며, 감광드럼(311)과 제1전사부(320) 사이를 경유하여 다수의 지지롤러들(331)(332)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4개의 제1전사부(320)는 중간전사벨트(335)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전사부(320)는 감광드럼(31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드럼(311)과 제1전사부(32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335)로 옮겨진다.
제2전사부(340)는 용지가 통과하는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331)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사부(340)는 중간전사벨트(335)로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중간전사벨트(335)와 제2전사부(3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로 옮겨진다.
정착부(350)는 가열롤러(351)와 가압롤러(352)를 포함하며,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351)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352)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352)는 가열롤러(35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디컬부(355)는 정착부(350)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컬(curl)이 발생된 용지의 컬(curl)을 제거한다. 배출롤러(35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부(360)로부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배출롤러(357)에서 배지된 용지는 배지부(358)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가 채용된다. 급지카세트(120)의 구조와 기능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픽업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부가 채용된다. 픽업부(200)의 구조와 기능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급지카세트(120)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어 용지를 화상형성부(360) 측으로 이송한다. 픽업부(200)에서 픽업된 용지는 다수의 롤러(미도시)들에 의해 화상형성부(360)를 거쳐 배출롤러(35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픽업부(200)에 의해 이송된 용지는 이송경로(380)를 따라 전사부인 제2전사부(340)의 닙(Nip) 전까지 이송된다. 이송장치(384)는 이송경로(380)에 설치되며, 픽업부(200)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화상형성부(360)로 이송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은 대전롤러(313)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미도시)를 통하여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으로 조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한편, 토너는 공급롤러(314)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현상롤러(312)로 공급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312)와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드럼(311)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며, 각 현상카트리지 (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에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는 픽업부(200)에 의하여 급지카세트(120)로부터 인출된다. 용지는 이송장치(384)에 의하여 제2전사부(340)의 닙(Nip)으로 인입된다. 용지는 중간전사벨트(335)의 주행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에 의해 중간전사벨트(335)로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의 선단이 제2전사부(340)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용지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전사벨트(335)에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은 용지가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제2전사부(340)와 이송롤러(331) 사이를 통과시 용지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드럼(311)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된다. 정착부(350)는 전사 후 용지에 형성된 칼라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디컬부(355)는 정착부(350)를 통과시 컬(curl)이 발생된 용지에서 컬(curl)을 제거한다. 디컬부(355)를 통과한 용지는 배출롤러(357)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롤러(357)에서 배지된 용지는 배지부(358)에 적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픽업장치가 하강되고,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급지카세트를 탈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픽업장치가 하강하게 되므로 픽업장치에 의한 용지의 스큐(skew)나 잼(jam)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급지카세트를 탈착하게 되므로, 픽업장치가 급지카세트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장치와;
    일단에 상기 픽업장치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업브라켓과;
    상기 급지카세트의 착탈시 상기 전면패널과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상기 픽업장치를 하강시키고, 상기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상기 적재부가 탈착되도록 하는 픽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카세트를 착탈시 사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상기 손잡이부에 연동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의 전면에 착탈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보적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걸리는 결합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해제시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제어부는,
    상기 픽업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픽업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픽업브라켓을 시소(seesaw)운동시켜 상기 픽업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시 상기 프레임에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패널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의 급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제어부는,
    상기 픽업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픽업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픽업브라켓을 시소(seesaw)운동시켜 상기 픽업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시 상기 프레임에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패널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10.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급지카세트 장착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장치와;
    일단에 상기 픽업장치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급지카세트 장착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업브라켓과;
    상기 급지카세트의 착탈시 상기 전면패널과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의 장착이 완료된 후 상기 픽업장치를 하강시키고, 상기 픽업장치가 상승된 후 상기 적재부가 탈착되도록 하는 픽업제어부를; 갖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카세트를 착탈시 사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상기 손잡이부에 연동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적재부의 전면에 착탈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제어부는,
    상기 픽업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픽업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픽업브라켓을 시소(seesaw)운동시켜 상기 픽업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시 상기 프레임에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패널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68292A 2004-08-28 2004-08-28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6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92A KR100561444B1 (ko) 2004-08-28 2004-08-28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150,304 US7472904B2 (en) 2004-08-28 2005-06-13 Paper-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92A KR100561444B1 (ko) 2004-08-28 2004-08-28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684A true KR20060019684A (ko) 2006-03-06
KR100561444B1 KR100561444B1 (ko) 2006-03-17

Family

ID=3594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292A KR100561444B1 (ko) 2004-08-28 2004-08-28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2904B2 (ko)
KR (1) KR10056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3519B2 (en) * 2006-11-27 2011-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ick system and method
JP2009227378A (ja) * 2008-03-21 2009-10-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給紙装置を内蔵する筺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26327A (ja) * 2008-11-28 2010-06-10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85875B2 (ja) * 2010-09-14 2014-09-10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67033B2 (ja) * 2011-12-02 2016-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4255B2 (ja) 2012-12-14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826209B2 (ja) * 2013-04-26 2015-12-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18001B2 (ja) * 2015-02-23 2018-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29284B2 (ja) * 2015-03-05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535469B2 (en) * 2019-12-27 2022-12-27 Canon Finetech Nisca Inc. Sheet feeding apparatus
JP2022126064A (ja) * 2021-02-18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ワーク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6491A (en) * 1964-10-14 1967-02-28 American Photocopy Equip Co Apparatus and structure for handling copy paper
JP3279365B2 (ja) 1992-12-03 2002-04-3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3285973B2 (ja) 1992-12-03 2002-05-27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940194A (ja) 1995-07-25 1997-02-10 Toshiba Corp 給紙装置
US5622364A (en) * 1996-03-27 1997-04-22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media level in a supply tray
JP3730329B2 (ja) 1996-09-05 2006-01-05 株式会社東芝 給紙カセット装置及び給紙装置
US5932313A (en) * 1997-04-17 1999-08-03 Lexmark International, Inc. Rubber-based paper feed rollers
KR100601597B1 (ko) 1999-01-25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0362389B1 (ko)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 픽업장치
KR100476961B1 (ko) 2002-10-21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3664A1 (en) 2006-03-02
US7472904B2 (en) 2009-01-06
KR100561444B1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904B2 (en) Paper-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45313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aterial carrier unit or an intermediate transfer body unit
JP4717455B2 (ja) 画像形成装置
US103867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intermediate transfer unit movably supported on main body cover
US8360418B2 (en) Sheet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900854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71067B2 (en) Paper cassette feeder for easily removing paper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28209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5167774B2 (ja) 画像形成装置
US93777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bearing member protection
JP4161953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226337A1 (en)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aching developing cartridge from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181106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60806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EP386281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05261B2 (ja) 給紙カ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23214B2 (en) Print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3241616A (ja) 画像形成装置
WO20040253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paper feed trays
JP479474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17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1714A (ja) 画像形成装置
CN114955616A (zh) 供纸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