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734A -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734A
KR20060017734A KR1020057002322A KR20057002322A KR20060017734A KR 20060017734 A KR20060017734 A KR 20060017734A KR 1020057002322 A KR1020057002322 A KR 1020057002322A KR 20057002322 A KR20057002322 A KR 20057002322A KR 20060017734 A KR20060017734 A KR 2006001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data
recording medium
track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음악 컨텐츠의 전송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개념을 훼손하지 않는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한다. 퍼스널 컴퓨터(100)는 악곡의 실체로 구성되는 앨범과 악곡의 실체에의 포인터로 구성되는 플레이 리스트로 음악 컨텐츠를 관리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악곡을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으로 체크아웃할 때,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악곡이 속하는 앨범의 모든 악곡을 체크아웃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으로 플레이 리스트를 전송하고, 전송한 플레이 리스트와 체크아웃한 악곡으로 링크한다. 이에 의하여, 앨범마다 체크아웃의 가능 회수를 일률로 하고, 음악 컨텐츠의 전송 작업 간소화와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개념을 훼손하지 않는 체크아웃을 실현한다.
오디오 데이터, 데이터 전송 시스템, 포인터, 제어부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PROGRAM}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퍼스널 컴퓨터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로 음악 컨텐츠의 전송 및 반환을 행하는 것에 적용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서는 음악 등의 기록 재생을 행하도록 된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하여 극히 소형으로 구성된 제품이 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는 통상, 기록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관리를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여 행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가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수의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퍼스널 컴퓨터로 뮤직 서버를 구성한다. 음악 데이터는 CD(Compact Disc)로부터의 립핑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에 전개되는 음악 분배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에 의해 취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퍼스널 컴퓨터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를 케이블 접속하여, 퍼스널 컴 퓨터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한다.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전송된 음악 데이터를 내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한다. 사용자는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를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 내에 구성된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예를 들면 옥외에서 즐길 수가 있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카트리지에 수납된 직경 64mm의 광자기 디스크인 미니 디스크(MD)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N4D 시스템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가 사용되고, 음악 데이터의 관리에는 U-TOC(사용자 T0C(Table 0f Contents)가 이용되고 있다. 즉, 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내주에는 U-TOC라는 기록 영역이 설치된다. U-TOC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있어서, 트랙(오디오 트랙/데이터 트랙)의 곡순, 기록, 소거 등에 따른 재기입 관리 정보이며, 각 트랙 또는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에 대하여, 개시 위치, 종료 위치나, 모드를 관리하는 것이다.
MD 시스템에서는 이같이,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일반적인 FAT(File Allocation Table)에 근거하는 파일 시스템과는 상이한 파일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범용 컴퓨터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FAT 시스템 등의 범용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을 높인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고려된 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전술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한 뮤직 서버에 접속 하고, 뮤직 서버 내의 라이브러리를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서,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는 기록 용량이 160MB 정도이지만, 현행의 MD와의 호환성을 확보하면서, 기록 용량을 증대시킨 디스크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한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고려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파장이나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레이저 파장이나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자기 초해상도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대용량화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의 대용량화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를 케이블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 기록 매체의 용량을 메운만큼의 곡의 선택이 매우 귀찮게 된다.
일본국 특개2003-29795호 공보에는 데이터 전송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마음에 드는 리스트 파일을 작성하고, 마음에 드는 리스트 파일의 악곡을 메모리에 전송(일괄 복원)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곡을 실체, 즉 오디오 데이터 그 자체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로 관리하는 경우와 포인터로 관리하는 경우가 있다. 실체는 계층 구조를 가지며, 그 계층 구조를 앨범(그룹이라고도 함)이라 한다. 이 구조는 음악 배포 미디어인 레코드, CD의 구조로부터 오고 있고, 현재에도 지배적인 개념의 하나이다. 포인터는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는 실체의 링크이며, 곡의 실체는 동반하 지 않는다. 포인터의 집합에 의해 곡의 재생순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플레이 리스트(프로그램 재생 리스트와도 말함)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플레이 리스트와 앨범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앨범1은 악곡1 ~ 악곡7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2는 악곡8 ~ 악곡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악곡1 ~ 악곡14는 곡의 실체이다. 플레이 리스트1은 재생순으로 되는 곡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플레이 리스트1을 선택하여 재생을 행하면, 악곡1, 악곡2, 악곡2, 악곡8, 악곡5, 악곡13, 악곡14의 순으로 곡이 재생된다. 플레이 리스트1을 구성하는 악곡1(링크), 악곡2(링크), 악곡2(링크), ···, 악곡14(링크)는 포인터이며, 각각의 포인터가 대응하는 곡의 실체를 앨범1, 앨범2로부터 참조하도록 링크가 쳐지고 있다. 플레이 리스트1에는 곡에의 포인터만이 포함되어 있고, 곡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다.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1의 악곡1(링크), 악곡2(링크) 등을 삭제해도, 링크가 빗나갈 뿐이며, 실체인 앨범의 악곡1, 악곡2 등의 대응하는 곡은 삭제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 앨범 및 플레이 리스트의 개념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와 기록 재생 장치를 케이블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종래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에의 곡의 전송 회수가 3회까지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곡을 전송할 때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3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곡을 전송할 때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 및 도 3 중의 악곡의 선두에 나타낸 숫자는 그 곡의 전송 가능 회수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 리스트1로 지시받은 곡을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 플레이 리스트1로 지시받은 곡의 각각을 전송 대상의 곡의 집합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1로 지시받은 곡을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면 기록 재생 장치 상에서는 앨범 또는 실체의 구성 개념(도 2에 나타낸 앨범3)으로 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 측에 있어서의 플레이 리스트의 개념이, 기록 재생 장치 측에서는 앨범의 개념으로 변화하여 버린다. 종래의 플레이 리스트에 의한 재생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도 부득이했다. 그러나, 플레이 리스트에 의한 재생 기능을 서포트하는 기록 재생 장치가 증가하고 있는 최근에서는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운 행동으로 되어 버린다. 또, 퍼스널 컴퓨터 측의 앨범이라는 구성 단위 중, 곡의 전송 가능 회수가 곡마다 상이하게 되어 버린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플레이 리스트의 개념을 남긴 채,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곡을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고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플레이 리스트로 2회 참조되는 악곡2의 전송 가능 회수가 잔여 1회로 되어 버렸지만, 이 방법에서는 2회로 된다. 이것은 플레이 리스트의 개념에 의하여, 악곡2의 전송은 앨범을 기록 재생 장치 측에서 구성하기 위한 1회만으로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록 재생 장치 측의 앨범1, 앨범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이 소속된 앨범의 개념이 훼손되어 버리고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 측의 앨범이라는 구 성 단위 중, 곡의 전송 가능 회수가 곡마다 상이하게 되어 버린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예와 같다.
이상으로부터, 종래는 플레이 리스트에 의한 음악 컨텐츠의 전송을 행하면, 앨범이라는 곡이 속하는 기본 계층과는 다른 룰로 전송 가능 회수가 줄어들어 버리므로, 앨범 단위로 음악 컨텐츠를 전송하려 할 때, 그 앨범 중에 전송할 수 없는 곡이 나와 버린다는 매우 번거로운 상황이 생겨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는 플레이 리스트에 의한 음악 컨텐츠의 전송을 행하면, 앨범, 플레이 리스트의 개념이 훼손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컨텐츠의 전송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앨범, 플레이 리스트 등의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개념을 훼손하는 일없이 음악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1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와,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경우에, 제2 집합체에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다.
또, 본 발명은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l의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에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지시를 수신하고,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를 검색하고,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1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상기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에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지시를 수신하고,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 함되는 제1 집합체를 검색하고,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에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전송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제2 기록 매체로 전송함으로써, 제1 집합체와 제2 집합체와의 구성의 개념을 훼손하지 않고, 제2 집합체로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일괄하여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록 매체에의 음악 컨텐츠의 전송 회수가, 앨범마다 일률로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하는 음악 컨텐츠가 속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모든 음악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 측의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함으로써, 전송 회수를 제1 집합체마다 일률로 할 수 있다. 또, 제1 기록 매체상의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제2 기록 매체 상에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 컨텐츠의 전송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개념을 훼손하는 일없이 음악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4는 차세대 MD1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차세대 MD1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차세대 MD2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차세대 MD2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UID의 일례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9는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워블을 사용한 어드레스 신호의 생성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현행의 MD 시스템 및 차세대 MD1 시스템의 ADIP 신호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현행의 MD 시스템 및 차세대 MD1 시스템의 ADIP 신호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차세대 MD2 시스템의 ADIP 신호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차세대 MD2 시스템의 ADIP 신호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현행의 MD 시스템 및 차세대 MD1 시스템에서의 ADIP 신호와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차세대 MD1 시스템에서의 ADIP 신호와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차세대 MD2 시스템에서의 컨트롤 신호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1은 미디어 드라이브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2는 차세대 MD1에 의한 디스크의 일례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고,
도 23은 차세대 MD2에 의한 디스크의 일례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고,
도 24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트랙 인덱스 파일의 설 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7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8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프로그램 플레이 오더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29a 및 도 29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0a 및 도 30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1a 및 도 31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파트 인포메이션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2a 및 도 32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네임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3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 의한 일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4는 네임 테이블의 네임 슬롯이 복수 참조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5a 및 도 35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부터 파트를 삭제하는 처리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6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7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트랙 인덱스 파일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9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0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1a 및 도 41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2a 및 도 42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3a 및 도 43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네임 테이블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4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의한 일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5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로, 인덱스에 의해 1개의 파일의 데이터가 복수개의 인덱스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6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로, 트랙의 연결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7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로, 다른 방법에 의한 트랙의 연결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8a 및 도 48b는 퍼스널 컴퓨터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기입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관리 권한을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9는 오디오 데이터의 일련의 체크아웃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적용 가능한 일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51a 및 도 51b는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약선도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적용 가능한 일례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체크아웃할 때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디스크 시스템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10의 섹션에 따라 설명한다.
1. 기록 방식의 개요
2. 디스크에 대하여
3. 신호 포맷
4.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5.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의한 디스크의 초기화 처리에 대하여
6. 음악 데이터의 제1 관리 방식에 대하여
7. 음악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
8. 퍼스널 컴퓨터와의 접속 시의 동작에 대하여
9. 디스크 상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 제한에 대하여
10.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하여
1. 기록 방식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기록매체로서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된다. 폼 팩터와 같은 디스크의 물리적 속성은 이른바 MD(Mini-Disc)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디스크와 실질적으로 같다. 그러나,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가 어떻게 디스크 상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종래의 MD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적용되는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위하여, 파일 관리 시스템으로서 FAT(File Allocation Table)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당해 장치는 현행의 퍼스널 컴퓨터로 사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호환성을 보증할 수 있다.
여기서는 「FAT」 또는 「FAT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각종의 PC 베이스의 파일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총칭적으로 사용되고, DOS(Disk Operating System)로 이용되는 특정의 FAT 베이스의 파일 시스템, Windows(등록상표)95/98로 사용되는 VFAT(Virtual FAT), Windows98/ME/2000으로 이용되는 FAT32, 및 NTFS(NT File System(New Technology File System 라고도 함))의 어떤 것인지를 나타낸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NTFS는 WindowsNT operating system, 또는 (옵션에 의해) Windows2000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며, 디스크에 대한 판독/기입 시에, 파일의 기록 및 취출을 행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대하여, 에러 정정 방식이나 변조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 용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동시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동시에 부정 카피를 방지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저작권의 보호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기록 재생의 포맷으로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이용되고 있는 디스크와 완전히 마찬가지의 디스크(즉, 물리 매체)를 사용하도록 한 차세대 MD1의 사양과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이용되고 있는 디스크와 폼 팩터 및 외형은 마찬가지이지만, 자기 초해상도(MSR)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선기록 방향의 기록 밀도를 올려, 기록 용량을 보다 증대시킨 차세대 MD2의 사양이 있고, 이들이 본원 발명자에 의해 개발되어 있다.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직경 64mm의 광자기 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크의 두께는 12mm이며, 그 중앙에 11mm의 직경의 센터 홀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의 형상은 길이 68mm, 폭 72mm, 두께 5mm이다.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도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도, 이들 디스크의 형상이나 카트리지의 형상은 모두 같다. 리드 인 영역의 개시 위치 대하여도, 차세대 MD1의 사양 및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도,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29mm의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와 같다.
트랙 피치에 대해서는 차세대 MD2에서는 1.2μm로부터 1.3μm(예를 들면 1.25μm)로 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유용하는 차세대 MD1에서는 트랙 피치가 1.6μm로 되어 있다. 비트 길이는 차세대 MD1이 0.44μm/비트로 되어, 차세대 MD2가 0.16μm/비트로 된다. 용장도는 차세대 N4D1 및 차세대 MD2 모두 20.50%이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자기 초해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선밀도 방향의 기록 용량을 향상하도록 하고 있다. 자기 초해상 기술은 소정의 온도가 되면, 절단층이 자기적으로 뉴트럴인 상태가 되어, 재생층에 전사되어 있던 자벽이 이동함으로써, 미소한 마크가 빔 스폿의 가운데에서 크게 보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즉,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층으로 되는 자성층과 절단층과 정보 재생용의 자성층이 적층된다. 절단층은 교환 결합력 조정용층으로 된다. 소정의 온도가 되면, 절단층이 자기적으로 뉴트럴인 상태가 되어, 기록층에 전사되어 있던 자벽이 재생용의 자성층에 전사된다. 이로써, 미소한 마크가 빔 스폿 중에 보이게 된다. 그리고, 기록 시에는 레이저 펄스 자계 변조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미소한 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디트랙 마진, 랜드로부터의 크로스토크, 워블 신호의 크로스토크, 포커스의 누출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루브를 종래의 MD디스크보다 깊게 하고, 그루브의 경사를 예리하게 하고 있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그루브의 깊이는 예를 들면 160nm에서 180nm이며, 그루브의 경사는 예를 들면 60도에서 70도이며, 그루브의 폭은 예를 들면 600nm에서 700nm이다.
또, 광학 목표의 사양에 대해서는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레이저 파장 λ가 780nm으로 되어, 광학 헤드의 대물 렌즈의 개구율 NA가 0.45로 되어 있다. 차세대 MD2의 사양도 마찬가지로, 레이저 파장 λ가 780nm으로 되어,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가 0.45로 되어 있다.
기록 방식으로서는 차세대 MD1의 사양도 차세대 N1D2의 사양도, 그루브 기록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즉, 디스크의 원반면 상에 형성된 홈인 그루브를 트랙으로서 기록 재생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에러 정정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에 의한 컨벌루션 부호가 이용되고 있었지만,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RS-LDC(Reed Solomon-Long Distance Code)와 BIS(Burst Indicator Subcode)를 조합된 블록 완결형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블록 완결형의 에러 정정 부호를 채용함으로써, 링킹 섹터가 불필요하게 된다. LDC와 BIS를 조합된 에러 정정 방식에서는 버스트 에러가 발생했을 때, BIS에 의해 에러 로케이션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에러 로케이션을 사용하여, LDC 코드에 의하여, 이레이저 정정을 행할 수 있다.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싱글 스파이럴에 의한 그루브를 형성한 후, 이 그루브의 양측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워블을 형성한 워블드 그룹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 방식은 ADIP(Address in Pregroove)로 불리고 있다. 현행의 MD 시스템과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선밀도가 상이한 동시에,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에러 정정 부호로서, ACIRC 라는 컨벌루션 부호가 이용되고 있는데 대하여,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LDC와 BIS를 조합된 블록 완결형의 부호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용장도가 상이하고, ADIP와 데이터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한다. 그래서, 현행의 MD 시스템과 같은 물리 구조의 디스크를 유용하는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ADIP 신호의 취급을, 현행의 MD 시스템 때와는 상이하게 하고 있다. 또,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차세대 MD2의 사양에 의해 합치하도록, ADIP 신호의 사양으로 변경을 더하고 있다.
변조 방식 에 대해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EFM(8 to 14 Modulation)이 이용되고 있는데 대하여,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1-7 PP 변조라는 RLL(1, 7)PP(RLL; Run Length Limited, PP: Parity Preserve/Prohibit rmtr(repeated minimum transition runlength)가 채용되고 있다. 또, 데이터의 검출 방식은 차세대 MD1에서는 파셜 리스폰스 PR(1, 2, 1) ML를 사용하고, 차세대 MD2에서는 파셜 리스폰스 PR(1, -1) ML를 사용한 비터비 복호 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 디스크 구동 방식은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또는 ZCAV(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로, 그 표준 선속도는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2.4m/초으로 되어,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1.98m/초로 된다. 그리고, 현행의 MD 시스템의 사양에서는 60분 디스크에서 1.2m/초, 74분 디스크에서 1.4m/초로 되어 있다.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디스크를 그대로 유용하는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디스크 1매 당의 데이터 총기록용량은 80분 디스크라는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 약 300M 바이트(80분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가 된다. 변조 방식이 EFM로부터 1-7 PP 변조로 됨으로써, 윈도우 마진이 0.5에서 0.666이 되어, 이 점에서, 1.33배의 고밀도화가 실현할 수 있고. 또,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 ACIRC 방식으로부터 BIS와 LDC를 조합된 것으로 함으로써, 데이터 효율이 상승, 이 점에서, 1.48배의 고밀도화가 실현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는 완전히 마찬가지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현행의 MD 시스템에 비하여, 약 2배의 데이터 용량이 실현된 것이 된다.
자기 초해상도를 이용한 차세대 N4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또한 선밀도 방향의 고밀도화가 도모되고, 데이터 총기록용량은 약 1G 바이트가 된다.
데이터 레이트는 표준 선속도에서, 차세대 MD1에서는 4.4M비트/초이며, 차세대 MD2에서는 9.8M비트/초이다.
2. 디스크에 대하여
도 4는 차세대 MD1의 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차세대 MD1의 디스크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그대로 유용한 것이다. 즉, 디스크는 투명의 폴 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기판 상에, 유전체막과 자성막과 유전체막과 반사막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상에, 보호막이 적층된다.
차세대 MD1의 디스크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가장 내측의 주의 리드 인 영역에, P-TOC(프리 마스타드 T0C(Table 0f Contents)) 영역이 설치된다. 이 기록 영역의 가장 내측의 주는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가장 내측을 나타낸다. 여기는 물리적인 구조로서는 프리 마스타드 영역으로 된다. 즉, 엠보스 피트에 의하여, 컨트롤 정보 등이, 예를 들면, P-TOC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P-TOC 영역이 설치되는 리드 인 영역의 외주는 레코더블 영역으로 되어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더블 영역의 내주에는 U-TOC(사용자 TOC)가 설치된다. 여기서 외주란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의 주이다. 또, 레코더블 영역과는 광자기 기록 가능한 영역이다.
U-TOC는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U-TOC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것이다. U-TOC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있어서, 트랙의 곡순, 기록, 소거 등에 따라 재기입 관리 정보이며, 각 트랙이나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에 대하여, 개시 위치, 종료 위치나, 모드를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트랙이란 오디오 트랙 및/또는 데이터 트랙을 총칭하고 있다.
U-TOC의 외주에는 얼라이트 트랙이 설치된다. 이 트랙에는 디스크가 현행의 MD 시스템에 로드되었을 경우에, MD 플레이어에 의해 기동되어 출력되고 경고음이 기록된다. 이 경고음은 그 디스크가 차세대 MD1 방식에서 사용되어 현행의 시스템에서는 재생할 수 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레코더블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은 리드 아웃 영역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퍼지고 있다. 레코더블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에 관해서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코더블 영역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선두에는 U-TOC 및 얼라이트 트랙이 설치된다. U-TOC 및 얼라이트 트랙이 포함되는 영역은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EFM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된다. EFM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외주에, 차세대 MD1 방식의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이 설치된다. EFM으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과,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과의 사이는 소정의 거리의 사이만 이격되며, 「가이드 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밴드가 설치되므로, 현행의 MD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가 장착되어,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선두로 되는 내주 측에는 DDT(Disc Description Table) 영역과, 리저브 트랙이 설치된다. DDT 영역에는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영역에 대한 교체 처리를 하기 위해 설치된다. DDT 영역에는 또한, 디스크마다 고유의 식별 코드가 기록된다. 이하, 이 디스크마다 고유의 식별 코드를 UID(유니크 ID)라고 한다. 차세대 MD1의 경우, UID는 예를 들면 소정으로 발생된 난수에 근거해 생성되어 예를 들면 디스크의 초기화 시에 기록된 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UID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 내용에 대한 시큐리티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리저브 트랙은 컨텐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에는 FAT(File Allocation TabIe)영역이 설치된다. FAT 영역은 FAT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FAT 시스템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로 사용되고 있는 FAT 시스템에 따른 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FAT 시스템은 루트에 있는 파일이나 디 렉토리의 엔트리 포인트를 나타낸 디렉토리와 FAT 클러스터의 연결 정보가 기술된 FAT 테이블을 사용하여, FAT 체인에 의해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FAT의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PC operating system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상이한 파일 관리 방법을 나타낸 바와 같이 총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에 있어서는 U-TOC 영역에는 얼라이트 트랙의 개시 위치의 정보와,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의 정보가 기록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U-TOC 영역이 판독되고, U-TOC의 정보로부터, 얼라이트 트랙의 위치를 알 수 있어, 얼라이트 트랙이 액세스되어 얼라이트 트랙의 재생이 개시된다. 얼라이트 트랙에는 이 디스크가 차세대 MD1 방식으로 사용되어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없음을 나타낸 경고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 경고음으로부터, 이 디스크가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경고음으로서는 「이 플레이어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것과 같은 언어에 의한 경고도 할 수 있다. 물론, 단순한 비프음, 톤, 또는 그 외의 경고 신호로 하도록 해도 된다.
차세대 MD1에 따른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U-TOC 영역이 판독되고, U-TOC의 정보로부터,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개시 위치를 알 수 있어, DDT, 리저브 트랙, FAT 영역이 판독된다. 1-7 PP 변조의 데이터의 영역에서는 U-TOC를 사용하지 않고,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크는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기판 상에, 유전체막과 자성막과 유전체막과 반사막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위에 보호막이 적층된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내측의 주에 해당하는 디스크의 내주의 리드 인 영역에는 ADIP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는 리드 인 영역에는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ADIP 신호에 의한 컨트롤 정보가 이용된다. 리드 인 영역의 외주로부터 레코더블 영역이 개시되어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더블 영역에는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된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막으로 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층으로 되는 자성층(101)과 절단층(102)과 정보 재생용의 자성층(103)가 적층된 것이 이용된다. 절단층(102)은 교환 결합력 조정용층으로 된다. 소정의 온도가 되면, 절단층(102)이 자기적으로 뉴트럴인 상태가 되어, 기록층(101)에 전사되어 있던 자벽이 재생용의 자성층(103)에 전사된다. 이로써, 기록층(101)에서는 미소한 마크가 재생용의 자성층(103)의 빔 스폿 중에 확대되어 보이게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차세대 MD2의 사용의 디스크에서는 기록 가능 영역의 내주측의, 컨슈머(consumer) 전용의 기록 재생 장치로 재생 가능하지만 기록 불가인 영역에, 전술한 UID가 미리 기록된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의 경우, UID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로 이용되고 있는 BCA(Burst Cutting Area)의 기술과 마찬가지의 기술에 의하여, 디스크의 제조 시에 미리 기록된다. 디스크의 제조 시에 UID가 생성되고 기록되므로, UID의 관리가 가능해져, 전술한 차세대 MD1에 의한, 디스크의 초기화 시 등에 난수에 근거해 UID를 생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UID의 포맷 등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차세대 MD2에 있어서 UID가 미리 기록되는 이 영역을, 이후, BCA라고 부르기로 한다.
차세대 MD1인가 차세대 MD2인가는 예를 들면, 리드 인의 정보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드 인에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가 검출되면, 현행의 MD 또는 차세대 MD1의 디스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리드 인에 ADIP 신호에 의한 컨트롤 정보가 검출되어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가 검출되지 않으면, 차세대 MD2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BCA에 UI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그리고, 차세대 MD1과 차세대 MD2와의 판별은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코더블 영역에서는 모두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고,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선두의 내주측에는 DDT 영역과, 리저브 트랙이 설치된다. DDT 영역은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영역에 대한 교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교체 영역 관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DDT 영역은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상기 영역으로 대체되는 레코더블 영역을 포함하는 치환하여 영역을 관리하는 관리 테이블을 기록한다. 이 관리 테이블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논리 클러스터를 기록하고, 그 결함이 있는 논리 클러스터에 대체되는 것으로서 할당되고 치환하여 영역 내의 1개 또는 복수개의 논리 클러스터도 기록한다. 또한, DDT 영역에는 전술한 UID가 기록된다. 리저브 트랙은 컨텐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에는 FAT 영역이 설치된다. FAT 영역은 FAT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FAT 시스템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로 사용되고 있는 FAT 시스템에 따른 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 있어서는 U-TOC 영역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차세대 MD2에 따른 플레이어에, 차세대 MD2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소정의 위치에 있는 DDT, 리저브 트랙, FAT 영역이 판독되고,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한다.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서는 시간이 걸리는 초기화 작업은 불필요해진다. 즉,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DDT나 리저브 트랙, FAT 테이블 등의 최저한의 테이블의 작성 이외에, 초기화 작업은 불필요하여, 미사용의 디스크로부터 레코더블 영역의 기록 재생을 직접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차세대 MD2의 디스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제조 시에 UID가 생성되고 기록되므로, 보다 강력하게 시큐리티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디스크에 비해 막의 적층수가 많고, 보다 고가이다. 그래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 및 리드 인, 리그 아웃 영역은 차세대 MD1과 공통으로 하고, UID만, DVD와 마찬가지의 BCA를 사용하여 차세대 MD2와 마찬가지로 하여 디스크의 제조 시에 기록하도록 한 디스크 시스템으로서 차세대 MD1.5이라는 디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차세대 MD1.5에 관해서, 특별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즉, 차세대 MD1.5는 UID에 관해서는 차세대 MD2에 준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재생 등에 관해서는 차세대 MD1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UID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 있어서, UID는 DVD로 이용되고 있는 BCA라는 기술과 마찬가지의 기술에 의하여, 디스크의 제조 시에 미리 기록된다. 도 8은 이 UID의 일례의 포맷을 개략 적으로 나타낸다. UID의 전체를 UID 레코드 블록이라 칭한다.
UID 블록에 있어서, 선두로부터 2바이트분이 UID 코드의 필드로 된다. UID 코드는 2바이트 즉 16비트 중 상위 4비트가 디스크 판별용으로 된다. 예를 들면, 이 4비트가〔0000〕으로 당해 디스크가 차세대 MD2의 디스크인 것이 나타나고〔0001〕으로 당해 디스크가 차세대 MD1.5의 디스크인 것이 나타낸다. UID 코드의 상위 4비트의 다른 값은 예를 들면 장래의 확장을 위해 예약된다. UID 코드의 하위 12비트는 어플리케이션 ID으로 되어, 4096 종류의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다.
UID 코드의 다음에 1바이트의 버전 넘버의 필드가 배치되고, 그 다음에, 1바이트로 데이터 길이의 필드가 배치된다. 이 데이터 길이에 의하여, 데이터 길이의 다음에 배치되는 UID 레코드 데이터의 필드의 데이터 길이가 나타낸다. UID 레코드 데이터의 필드는 UID 전체의 데이터 길이가(188)바이트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4m(m=0, 1, 2, ···) 바이트분, 배치된다. UID 레코드 데이터의 필드에, 소정의 방법으로 생성한 유니크 ID를 저장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크 개체가 식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차세대 MD1의 디스크에서는 이 UID 레코드 데이터의 필드에, 난수에 근거해 생성된 ID가 기록된다.
UID 레코드 블록은 최대 188바이트까지의 데이터 길이로, 복수개 만들 수가 있다.
3. 신호 포맷
다음에,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시스템의 신호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 다.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 컨벌루션 부호인 ACIRC가 이용되고 있어 서브 코드 블록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2352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섹터를 기록 재생의 액세스 단위로 하고 있다. 컨벌루션 부호의 경우에는 에러 정정 부호화 계열이 복수개의 섹터에 걸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재기입할 때는 인접하는 섹터 사이에, 링킹 섹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싱글 스파이럴에 의한 그루브를 형성한 후, 이 그루브의 양측에 대해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워블을 형성한 워블드 그루브 방식으로 있는 ADIP가 사용되고 있다.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2352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섹터를 액세스하는 것에 최적이도록, ADIP 신호가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시스템의 사양에서는 LDC와 BIS를 조합된 블록 완결형의 부호가 사용되고, 64K 바이트를 기록 재생의 액세스 단위로 하고 있다. 블록 완결형의 부호에서는 링킹 섹터는 불필요하다. 그래서,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유용하는 차세대 MD1의 시스템의 사양에서는 ADIP 신호의 취급을, 새로운 기록 방식으로 대응하도록,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또, 차세대 MD2의 시스템의 사양에서는 차세대 MD2의 사양에 의해 합치하도록, ADIP 신호의 사양으로 변경을 더하고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에러 정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시스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같은 LDC에 의한 에러 정정 부호화 방식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같은 BIS 방식이 조합되어 있다.
도 9는 LDC에 의한 에러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에러 정정 부호화 섹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4바이트의 에러 검출 코드 EDC가 부가되어 수평 방향으로 304바이트, 수직 방향으로216바이트의 에러 정정 부호화 블록에, 데이터가 이차원 배열된다. 각 에러 정정 부호화 섹터는 2K 바이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304바이트, 수직 방향으로 216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에러 정정 부호화 블록에는 2K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에러 정정 부호화 섹터가 32섹터분 배치된다. 이같이, 수평 방향으로 304바이트, 수직 방향으로 216바이트에 이차원 배열된 32개의 에러 정정 부호화 섹터의 에러 정정 부호화 블록의 데이터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32비트의 에러 정정용 리드 솔로몬 코드의 패리티가 부가된다.
도 10 및 도 11은 BIS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38바이트의 데이터마다, 1바이트의 BIS가 삽입되고, 38×4=152바이트의 데이터와, 3바이트의 BIS 데이터와, 2.5바이트의 프레임 싱크와의 합계 157.5바이트가 1프레임으로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같이 구성되는 프레임을 496프레임 모아, BIS의 블록이 구성된다. BIS 데이터(3×496=1488바이트)에는 576바이트의 사용자 컨트롤 데이터와, 144바이트의 어드레스 유닛 넘버와 768바이트의 에러 정정 코드가 포함된다.
이같이, BIS 데이터에는 1488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768바이트의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강력하게 에러 정정을 행할 수 있다. 이 BIS 코드 를 38바이트마다 매립하고 둠으로써, 버스트 에러가 발생했을 때, 에러 로케이션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에러 로케이션을 사용하여, LDC 코드에 의하여, 이레이저 정정을 행할 수 있다.
ADIP 신호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글 스파이럴의 그루브의 양측에 대해 워블을 형성함으로써 기록된다. 즉, ADIP 신호는 FM 변조된 어드레스 데이터를 가지고, 디스크 소재로 그루브의 워블로서 형성되므로 기록된다.
도 13은 차세대 MD1의 경우의 ADIP 신호의 섹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IP 신호의 1섹터에 상당하는 ADIP 섹터는 4비트의 싱크와 8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상위 비트와 8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비트와 8비트의 ADIP 섹터 넘버와 14비트의 에러 검출 코드 CRC으로 이루어진다.
싱크는 ADIP 섹터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 패턴의 신호이다. 종래의 MD 시스템에서는 컨벌루션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링킹 섹터가 필요하게 된다. 링킹 용무의 섹터 넘버는 부의 값을 가진 섹터 넘버로, 「FCh」, 「FDh」, 「FEh」, 「FFh」(h는 16진수를 나타냄)의 섹터 넘버의 것이다. 차세대 MD1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유용하기 위하여, 이 ADIP 섹터의 포맷은 현행의 MD 시스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차세대 MD1의 시스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IP 섹터 넘버 「FCh」로부터 「FFh」 및 「0Fh」로부터 「1Fh」까지의 36섹터로, ADIP 클러스터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ADIP 클러스터에, 2개의 레 코딩 블록(64K 바이트)의 데이터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5는 차세대 MD2의 경우의 ADIP 섹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ADIP 섹터가 16섹터로, ADIP 섹터가 구성된다. 따라서, ADIP의 섹터 넘버는 4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또, 차세대 MD에서는 블록 완결의 에러 정정 부호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링킹 섹터는 불필요하다.
차세대 MD2의 ADIP 섹터는 도 15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비트의 싱크와 4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상위 비트와 8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중위 비트와 4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비트와 4비트의 ADIP 섹터 넘버와 18비트의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로 이루어진다.
싱크는 ADIP 섹터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 패턴의 신호이다. ADIP 클러스터 넘버로서는 상위 4비트, 중위 8비트, 하위 4비트의 16비트분이 기술된다. 16개의 ADIP 섹터로 ADIP 클러스터가 구성되기 때문에, ADIP 섹터의 섹터 넘버는 4비트로 되어 있다. 현행의 MD 시스템에서는 14비트의 에러 검출 코드이지만, 18비트의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도 16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ADIP 클러스터에, 1레코딩 블록(64K 바이트)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 17은 차세대 MD1의 경우의 ADIP 클러스터와 BIS의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ADIP 섹터 「FC」~ 「FF」 및 ADIP 섹터 「(00)」~ 「(1F)」의(36)섹터로, 1개의 ADIP 클러스터가 구성 된다. 기록 재생의 단위로 되는 1레코딩 블록(64K 바이트)의 데이터는 1개의 ADIP 클러스터에, 2개분 배치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ADIP 섹터는 전반의 18섹터와 후반의 18섹터로 나눌 수 있다.
기록 재생의 단위로 되는 1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는 496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BIS의 블록에 배치된다. 이 BIS의 블록에 상당하는 496프레임분의 데이터의 프레임(프레임 「10」으로부터 프레임 「505」)의 전에, 10프레임분의 프리앰블(프레임 「0」으로부터 프레임 「9」)이 부가되고, 또, 이 데이터의 프레임의 후에, 6프레임분의 포스트앰블의 프레임(프레임(506)으로부터 프레임(511)이 부가되어 합계, 512프레임분의 데이터가, ADIP 섹터 「FCh」로부터 ADIP 섹터 「0Dh」의 ADIP 클러스터의 전반에 배치되는 동시에, ADIP 섹터 「0Eh」로부터 ADIP 섹터 「1Fh」의 ADIP 클러스터의 후반에 배치된다. 데이터 프레임의 전의 프리앰블의 프레임과 데이터의 뒤의 포스트앰블의 프레임은 인접하는 레코딩 블록과의 링킹 시에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이용된다. 프리앰블은 데이터용 PLL의 인입, 신호 진폭 제어, 신호 오프셋 제어 등에도 이용된다.
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때의 물리 주소는 ADIP 클러스터와 그 클러스터의 전반인가 후반인가에 의해 지정된다. 기록 재생 시에 물리 주소가 지정되면, ADIP 신호로부터 ADIP 섹터가 판독되고, ADIP 섹터의 재생 신호로부터, ADIP 클러스터 넘버와 ADIP 섹터 넘버가 판독되고, ADIP 클러스터의 전반과 후반 이 판별된다.
도 18은 차세대 MD2의 사양의 경우의 ADIP 클러스터와 BIS의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세대 MD2의 사양에서는 ADIP 섹터가 16섹터로, 1개의 ADIP 클러스터가 구성된다. 1개의 ADIP 클러스터에, 1레코딩 블록(64K 바이트)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재생의 단위로 되는 1레코딩 블록(64K 바이트)의 데이터는 496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BIS의 블록에 배치된다. 이 BIS의 블록에 상당하는 496프레임분의 데이터의 프레임(프레임 「10」으로부터 프레임 「505」)의 전에, 10프레임분의 프리앰블(프레임 「0」으로부터 프레임 「9」)이 부가되고, 또, 이 데이터의 프레임의 후에, 6프레임분의 포스트앰블의 프레임(프레임(506)으로부터 프레임(511)이 부가되어 합계, 512프레임분의 데이터가, ADIP 섹터 「0h」로부터 ADIP 섹터 「Fh」으로 이루어지는 ADIP 클러스터에 배치된다.
데이터 프레임의 전의 프리앰블의 프레임과 데이터의 뒤의 포스트앰블의 프레임은 인접하는 레코딩 블록과의 링킹 시에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이용된다. 프리앰블은 데이터용 PLL의 인입, 신호 진폭 제어, 신호 오프셋 제어 등에도 이용된다.
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때의 물리 주소는 ADIP 클러스터로 지정된다. 기록 재생 시에 물리 주소가 지정되면, ADIP 신호로부터 ADIP 섹터가 판독되고, ADIP 섹터의 재생 신호로부터, ADIP 클러스터 넘버가 판독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스크에서는 기록 재생을 개시할 때, 레이저 파워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하여, 각종의 컨트롤 정보가 필요하다.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인 영역에 P-TOC가 설치되어 있고, 이 P-TOC로부터, 각종의 컨트롤 정보가 취득된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는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는 설치되지 않고, 컨트롤 정보가 리드 인 영역의 ADIP 신호에 의해 기록된다. 또,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자기 초해상도의 기술이 사용되므로, 레이저의 파워 컨트롤이 중요하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리드 인 영역과 리그 아웃 영역에는 파워 컨트롤 조정용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이 설치된다.
즉, 도 19는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의 리드 인 및 리그 아웃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리드 인 및 리그 아웃 영역에는 레이저 빔의 파워 컨트롤 영역으로서, 파워 캘리브레이션 영역이 설치된다.
또, 리드 인 영역에는 ADIP에 의한 컨트롤 정보를 기록한 컨트롤 영역이 설치된다. ADIP에 의한 컨트롤 정보의 기록이란, ADI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비트로서 할당되어 있는 영역을 사용하여, 디스크의 컨트롤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즉, ADIP 클러스터 넘버는 레코더블 영역의 개시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리드 인 영역에서는 부의 값이 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세대 MD2의 ADIP 섹터는 4비트의 싱크와 8비트의 ADIP 클러스터 넘버의 상위 비트와 8비트의 컨트롤 데이터(ADI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비트)와 4비트의 ADIP 섹터 넘버와 18비트의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로 이루어진다. ADl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비트로서 할당되어 있는 8비트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타입이나, 자기 위상, 강도, 판독 파워 등의 컨트롤 정보가 기술된다.
그리고, ADIP 클러스터의 상위 비트는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현재 위치는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알 수가 있다. 또, ADIP 섹터 「0」과, ADIP 섹터 「8」은 ADIP 클러스터 넘버의 하위 8비트를 남겨 둠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ADIP 클러스터를 정확하게 알 수가 있다.
ADIP 신호에 의한 컨트롤 정보의 기록 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특원 2001-123535호의 명세서 중에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다.
4.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20, 도 21에 의하여,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 시스템으로 기록/재생에 이용되는 디스크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예로서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0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에 접속 가능한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미디어 드라이브부(2),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 보조 메모리(5),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6, 8), USB 허브(7), 시스템 컨트롤러(9), 오디오 처리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미디어 드라이브부(2)는 장전된 디스크(90)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한다. 디스크(90)는 차세대 MD1의 디스크, 차세대 MD2의 디스크, 또는 현행의 MD의 디스크이다. 미디어 드라이브부(2)의 내부 구성은 도 21에서 후술한다.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는 미디어 드라이브부(2)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나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공급하는 기록 데이터에 대한 수수의 제어를 행한다.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는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의해 디스크(90)의 데이터 트랙으로부터 레코딩 블록 단위로 판독된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보조 메모리(5)는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의해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된 각종 관리 정보나 특수 정보를 기억한다.
시스템 컨트롤러(9)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내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의 통신 제어를 행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9)는 USB 인터페이스(8), USB 허브(7)를 통하여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기입 요구, 판독 요구 등의 커맨드의 수신이나 스테이터스 정보 그 외의 필요 정보의 송신 등을 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9)는 예를 들면 디스크(90)가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장전되는 것에 따라, 디스크(90)로부터의 관리 정보 등의 판독을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지시하고,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에 의해 판독한 관리 정보 등을 보조 메모리(5)에 저장시킨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어느 FAT 섹터의 판독 요구가 있었을 경우는 시스템 컨트롤러(9)는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그 FAT 섹터를 포함하는 레코딩 블록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판독된 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는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에 의해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에 기입된다.
시스템 컨트롤러(9)는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에 기입되어 있는 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로부터, 요구된 FAT 섹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USB 인터페이스(6), USB 허브(7)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어느 FAT 섹터의 기입 요구가 있었을 경우는 시스템 컨트롤러(9)는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먼저 그 FAT 섹터를 포함하는 레코딩 블록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판독된 레코딩 블록은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에 의해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에 기입된다.
시스템 컨트롤러(9)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FAT 섹터의 데이터(기록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6)를 통하여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에 공급시켜,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 상에서, 해당하는 FAT 섹터의 데이터의 재기입을 실행시킨다.
시스템 컨트롤러(9)는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에 지시하여, 필요한 FAT 섹터가 재기입 상태로 클러스터 버퍼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레코딩 블록의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전송시킨다.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서는 그 레코딩 블록의 기록 데이터를 변조하여 디스크(90)에 기입한다.
시스템 컨트롤러(9)에 대하여, 스위치(50)가 접속된다. 이 스위치(50)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동작 모드를 차세대 MD1 시스템 및 현행 MD 시스템의 어느 쪽인가로 설정한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90)에 대하여, 현행의 MD 시스템의 포맷과 차세대 MD1 시스템의 포맷의 양쪽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이 스위치(5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대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본체의 동작 모드를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가능하다. 기계적 구조의 스위치가 나타나 있지만, 전기 또는 자기를 이용한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hybrid)형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51)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51)는 텍스트 데이터나 간단한 아이콘 등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시스템 컨트롤러(9)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상태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에게 대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0)는 입력계로서, 예를 들면 라인 입력 회로/마이크로폰 입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입력부, A/D 변환기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 오디오 처리부(10)는 ATRAC 압축 인코더/디코더나, 압축 데이터의 버퍼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0)는 출력계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나, D/A 변환기 및 라인 출력 회로/헤드폰 출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디스크(90)가 현행의 MD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디스크(90)에 대하여 오디오 트랙이 기록될 때에, 오디오 처리부(10)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된 리니어 PCM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입력되고 A/D 변환기로 변환되어 얻어진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압축 인코드되어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타이밍(ADIP 클러스터 상당한 데이터 단위)으로 버퍼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어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전송된다.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서는 전송되어 오는 압축 데이터를, EFM로 변조하여 디스크(90)에 오디오 트랙으로서 기입을 행한다.
디스크(90)가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디스크(90)의 오디오 트랙이 재생되는 때는 미디어 드라이브부(2)는 재생 데이터를 ATRAC 압축 데이터 상태로 복조하여,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를 통하여 오디오 처리부(10)에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10)는 ATRAC 압축 디코드를 행하여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로 하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한다. 또는 D/A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서 라인 출력/헤드폰 출력을 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접속은 USB가 아니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등의 다른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접속은 유선에 한정되지 않고, 전파, 적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접속으로 해도 된다.
기록 재생 데이터 관리는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행해지고, 레코딩 블록과 FAT 섹터와의 변환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특원2001-289380호의 명세서 중에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다.
데이터 트랙 및 오디오 트랙의 양쪽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의 미디어 드라이브부(2)의 구성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미디어 드라이브부(2)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미디어 드라이브부(2)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와 차세대 MD1의 디스크와 차세대 MD2의 디스크 가 장전되는 턴테이블을 가지고 있고,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서는 턴테이블에 장전된 디스크(90)를 스핀들 모터(29)에 의해 CLV 방식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90)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시에 광학 헤드(19)에 의해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19)는 기록 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 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고, 또 재생 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 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한다. 그러므로, 광학 헤드(19)에는 여기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분할기나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헤드(19)에 구비되어 대물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2축 기구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근 및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디스크(90)를 협지하여 광학 헤드(19)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 헤드(18)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 l8은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디스크(90)에 인가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헤드(19) 전체 및 자기 헤드(18)를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레드 모터 및 스레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광학 헤드(19) 및 자기 헤드(18)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펄스 구동 자계 변조를 행함으로써, 미소한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현행 MD의 디스크나, 차세대 MD1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DC 발광의 자계 변조 방식으로 된다.
이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서는 광학 헤드(19), 자기 헤드(18)에 의한 기록 재생 헤드계, 스핀들 모터(29)에 의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외에, 기록 처리계, 재생 처리계, 서보계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디스크(90)로서는 현행의 MD 사양의 디스크와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가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디스크에 의 하여, 선속도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29)는 이들 선속도의 상이한 복수 종류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턴테이블에 장전된 디스크(90)는 현행의 MD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와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기록 처리계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경우에, 오디오 트랙의 기록 시에, ACIRC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EFM으로 변조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부위와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경우에, BIS와 LDC를 조합된 방식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1-7 PP 변조로 변조하여 기록하는 부위가 설치된다.
재생 처리계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 EFM의 복조와 ACIRC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와,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 시스템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 파셜 리스폰스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근거하는 1-7 복조와 BIS와 LDC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는 부위가 설치된다.
또, 현행의 MD 시스템이나 차세대 MD1의 ADIP 신호로 어드레스를 디코드하는 부위와 차세대 MD2의 ADIP 신호를 디코드하는 부위 가 설치된다.
광학 헤드(19)의 디스크(90)에 대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그 반사광으로서 검출된 정보(포토디텍터에 의해 레이저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광 전류)는 RF 앰프(21)에 공급된다.
RF 앰프(21)에서는 입력된 검출 정보에 대하여 전류-전압 변환, 증폭, 매트릭스 연산 등을 행하고, 재생 정보로서의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루브 정보(디스크(90)에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어 있 는 ADIP 정보) 등을 추출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는 RF 앰프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4) 및 ACIRC 디코더(25)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4)로 2치화되어 EFM 신호열로 된 후, EFM 복조되고, 또한 ACIRC 디코더(25)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즉 이 시점에서 ATRAC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는 셀렉터(26)는 B접점 측이 선택되어 있고, 그 복조된 ATRAC 압축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한편,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에는 RF 앰프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RLL(1-7)PP 복조부(22) 및 RS-LDC 디코더(23)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RLL(1-7)PP 복조부(22)에 있어서, PR(1, 2, 1)ML 또는 PR(1, -1)ML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의해 RLL(1-7)부호열로서의 재생 데이터를 얻고, 이 RLL(1-7)부호열에 대하여 RLL(1-7)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또한 RS-LDC 디코더(23)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그리고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는 셀렉터(26)는 A접점 측이 선택되어 있고, 그 복조된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RF 앰프(21)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27)에 공급되고, 그루브 정보는 ADIP 복조부(30)에 공급된다.
ADIP 복조부(30)는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밴드 패스 필터에 의해 대역 제한하여 워블 성분을 추출한 후, FM 복조, 바이페이즈 복조를 행하여 ADIP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된 ADIP 신호는 어드레스 디코더(32) 및 어드레스 디코더(33)에 공급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 또는 차세대 MD1의 시스템의 디스크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IP 섹터 넘버가 8비트가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차세대 MD2의 시스템의 디스크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IP 섹터 넘버가 4비트가 되어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32)는 현행의 MD 또는 차세대 MD1의 ADIP 어드레스를 디코드한다. 어드레스 디코더(33)는 차세대 MD2의 어드레스를 디코드한다.
어드레스 디코더(32 및 33)에서 디코드된 ADIP 어드레스는 드라이브 컨트롤러(31)에 공급된다. 드라이브 컨트롤러(31)에서는 ADIP 어드레스에 따라,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 그루브 정보는 스핀들 서보 제어를 위해 서보 회로(27)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27)는 예를 들면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재생 클록(디코드 시의 PLL계 클록)과의 위상 오차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따라, CLV 또는 CAV 서보 제어를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 서보 회로(27)는 스핀들 에러 신호나, RF 앰프(21)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드라이브 컨트롤러(31)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액세스 지령 등에 따라서 각종 서보 제어 신호(트래킹 제어 신호, 포커스 제어 신호, 스레드 제어 신호, 스핀들 제어 신호 등)를 생성하고, 모터 드라이버(28)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서보 에러 신호나 지령에 대하여 위상 보상 처리, 게인 처리, 목표치 설정 처리 등의 필요 처리를 행하여 각종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모터 드라이버(28)에서는 서보 회로(27)로부터 공급된 서보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로서는 2축 기구를 구동하는 2축 드라이브 신호(포커스 방향, 트래킹 방향의 2종), 스레드 기구를 구동하는 스레드 모터 구동 신호, 스핀들 모터(29)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은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의하여, 디스크(90)에 대한 포커스 제어, 트래킹 제어, 및 스핀들 모터(29)에 대한 CLV 또는 CAV 제어를 하게 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셀렉터(16)가 B접점에 접속되고, 따라서 ACIRC 인코더(14) 및 EFM 변조부(15)가 기능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오디오 처리부(10)로부터의 압축 데이터는 ACIRC 인코더(14)에서 인터리브 및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EFM 변조부(15)에서 EFM 변조를 한다.
그리고 EFM 변조 데이터가 셀렉터(16)를 통하여 자기 헤드 드라이버(17)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8)가 디스크(90)에 대하여 EFM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행함으로써 오디오 트랙의 기록을 한다.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셀렉터(16)가 A접점에 접속되고, 따라서 RS-LDC 인코더(12) 및 RLL(1-7) PP 변조부(13)가 기능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로부터의 고밀도 데이터는 RS- LDC 인코더(12)에서 인터리브 및 RS-LDC 방식의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RLL(1-7) PP 변조부(13)에서 RLL(1-7)변조를 한다.
그리고 RLL(1-7)부호열로서의 기록 데이터가 셀렉터(16)를 통하여 자기 헤드 드라이버(17)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8)가 디스크(90)에 대하여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트랙의 기록을 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0)는 상기와 같은 재생 시 및 기록 시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에 레이저 발광 동작을 실행시키지만, 이른바 APC(Automatic Lazer Power Control) 동작도 행한다.
즉,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광학 헤드(19) 내에는 레이저 파워 모니터용의 디텍터가 설치되고, 그 모니터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APC(20)에 피드백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0)는 모니터 신호로서 얻어지는 현재의 레이저 파워를, 설정되어 있는 레이저 파워와 비교하여, 그 오차분을 레이저 구동 신호에 반영시키는 것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고 레이저 파워가, 설정값으로 안정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레이저 파워로서는 재생 레이저 파워, 기록 레이저 파워로서의 값이 드라이브 컨트롤러(31)에 의하여, 레이저 드라이버/APC(20) 내부의 레지스터에 세트된다.
드라이브 컨트롤러(31)는 시스템 컨트롤러(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이상의 액세스, 각종 서보, 데이터 기입, 데이터 판독의 각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도 21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A부, B부는 예를 들면 1칩의 회로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5.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의한 디스크의 초기화 처리에 대해서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의한 디스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FAT 외에 UID(유니크 ID)가 기록되고, 이 기록된 UID를 사용하여 시큐리티 관리가 이루어진다.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대응한 디스크는 원칙적으로는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에 UID가 미리 기록되어 출시된다. 차세대 MD1에 대응한 디스크에서는 UID가 예를 들면 리드 인 영역에 미리 기록된다. 이 경우, UID가 미리 기록되는 위치는 리드 인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스크의 초기화 후에 UID가 기입되는 위치가 고정적이면, 그 위치에 미리 기록해 둘 수도 있다. 차세대 N4D2 및 차세대 MD1.5에 대응한 디스크에서는 전술한 BCA에 UID가 미리 기록된다.
한편, 차세대 MD1에 의한 디스크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UID가 기록되지 않고 이미 나돌고 있는 다수의 현행의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가 차세대 MD1의 디스크로서 사용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UID가 기록되지 않고 나돌아 버린 현행의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에 대해서는 규격에서 지켜진 영역을 설치하고, 당해 디스크의 초기화 시에 그 영역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있어서 난수 신호를 기록하고, 이것을 당해 디스크의 UID로서 사용한다. 또, 사용자가 이 UID가 기록된 영역에 액세스하는 것은 규격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그리고, UID는 난수 신호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이커 코드, 기기 코드, 기기 시리얼 번호 및 난수를 조합시켜, UID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이커 코드, 기기 코드 및 기기 시리얼 번호의 어느 쪽인가 또는 복수와 난수를 조합시켜, UID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도 22는 차세대 MD1에 의한 디스크의 일례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최초의 스텝 S100에서,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가 액세스되어 UID가 기록되어 있는지가 확인된다. UID가 기록되어 있지 것으로고 판단되면, 그 UID가 판독되어, 예를 들면 보조 메모리(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스텝 S100에서 액세스되는 위치는 예를 들면 리드 인 영역과 같은 차세대 MD1 시스템에 의한 포맷의 FAT 영역 밖이다. 당해 디스크(90)가, 예를 들면 과거에 초기화되었던 적이 있는 디스크와 같이, 이미 DDT가 설치되어 있으면, 그 영역을 액세스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스텝 S100의 처리는 생략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101에서, U-TOC가 EFM 변조에 의해 기록된다. 이 때, U-TOC에 대하여, 얼라이트 트랙과 전술한 도 5에 있어서의 DDT 이후의 트랙, 즉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과를 확보하는 정보가 기입된다. 다음의 스텝 S102에서는, 스텝 S101에서 U-TOC에 의해 확보된 영역에 대하여, 얼라이트 트랙이 EFM 변조에 의해 기록된다. 그리고, 스텝 S103에서, DDT가 1-7 PP 변조에 의해 기록된다.
스텝 S104에서는 UID가 FAT 외의 영역, 예를 들면 DDT 내에 기록된다. 전술한 스텝 S100에서, UID가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판독되어 보조 메모리(5)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그 UID가 기록된다. 또, 전술한 스텝 S100에서,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에 UID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있었을 경우, 또는 전술한 스텝 S100가 생략되었을 경우에는 난수 신호에 따라 UID가 생성되어 이 생성된 UID가 기록된다. UID의 생성은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9)에 의해 생성된 UID가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를 통하여 미디어 드라이브(2)에 공급되고, 디스크(90)에 기록된다.
다음에, 스텝 S105에서, FAT 등의 데이터가, 1-7 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에 대하여 기록된다. 즉, UID의 기록되는 영역은 FAT 외의 영역이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세대 MD1에 있어서는 FAT로 관리되어야 할 레코더블 영역의 초기화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도 23은 차세대 MD2 및 차세대 MD1.5에 의한 디스크의 일례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최초의 스텝 S110에서 디스크 상의 BCA에 상당하는 영역이 액세스되어 UID가 기록되어 있는지가 확인된다. UID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UID가 판독되어, 예를 들면 보조 메모리(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UID의 기록 위치는 포맷 위에서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상의 다른 관리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전술한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의 스텝 S111에서, DDT가 1-7 PP 변조로 기록된다. 다음, 스텝 S112에서, UID가 FAT 외의 영역, 예를 들면 DDT에 기록된다. 이 때 기록되는 UID는 전술한 스텝 S110에서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판독되어 보조 메모리(5)에 기억된 UID가 이용된다. 여기서, 전술한 스텝 S110에서,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에 UID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지가 판단되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난수 신호에 따라 UID가 생성되어 이 생성된 UID가 기록된다. UID의 생성은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9)에 의해 생성된 UID가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3)를 통하여 미디어 드라이브(2)에 공급되고, 디스크(90)에 기록된다.
그리고, 스텝 S113에서, FAT 등이 기록된다. 즉, UID의 기록되는 영역은 FAT 외의 영역이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세대 MD2에 있어서는 FAT로 관리되어야 하는 레코더블 영역의 초기화는 행해지지 않는다.
6. 음악 데이터의 제1 관리 방식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 적용 가능한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시스템에서는 FAT 시스템으로 데이터가 관리된다. 또,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원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되어 저작자의 권리의 보호를 위하여, 암호화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ATRAC3, ATRAC5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물론, MP3(MPEG1 Audio Layer-3)나 AAC(MPEG2 Advanced Audio Coding) 등, 그 이외의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오디오 데이터뿐만이 아니라, 정지화상 데이터나 동영상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물론, FAT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범용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하고, 또한 실행 가능한 명령을 디스크 상에 부호화할 수도 있어 따라서,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는 실행 가능 파일을 포함하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 록 재생할 때의 관리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세대 MD1의 시스템이나 차세대 MD2의 시스템에서는 장시간에 고음질의 음악 데이터가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부터, 1매의 디스크로 관리되는 악곡의 수도, 방대하게 되어 있다. 또,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관리함으로써, 컴퓨터와의 친화성이 도모되어 있다. 이것은 본원 발명자의 인식에 의하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라는 메리트가 있는 반면, 음악 데이터가 위법으로 카피되어 버려, 저작권자의 보호가 도모되고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점에 대해 배려하고 있다.
도 24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예로 들 수 있는 관리 방식에서는 디스크 상에는 트랙 인덱스 파일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 및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FAT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파일이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음악 데이터가 1개의 파일로서 저장된 것이며, FAT 시스템으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보면, 거대한 파일로 보인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그 내부가 파트로서 단락지어져 오디오 데이터는 파트의 집합으로서 취급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가 기술된 파일이다. 트랙 인덱스 파일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 오더 테이블과,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과,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과,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과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과, 네임 테이블을 구 비하고 있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디폴트로 정의된 재생 순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 넘버(곡번)에 대한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트랙 디스크립터(도 30a 및 도 30b)에의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 TINF1, TINF2, …가 저장되어 있다. 트랙 넘버는 예를 들면 「1」로부터 시작되는 연속한 넘버이다.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재생 순서를 각 사용자가 정의한 테이블이다.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 넘버에 대한 트랙 디스크립터에의 링크의 정보 트랙 정보 PINF1, PINF2, …가 기술되어 있다.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에는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룹은 연속한 트랙 넘버를 가지는 1개 이상의 트랙의 집합, 또는 연속한 프로그램드 트랙 넘버를 가지는 1개 이상의 트랙의 집합이다.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그룹의 그룹 디스크립터로 기술되어 있다. 그룹 디스크립터에는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그룹이 개시되는 트랙 넘버와 종료 트랙의 넘버와 그룹 네임과 플래그가 기술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30a 및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곡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마다(각 곡마다)의 트랙 디스크립터로 이루어진다. 각 트랙 디스크립터에는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화 방식, 저작권 관리 정보, 컨텐츠의 복호 키 정 보, 그 악곡이 개시하는 엔트리로 되는 파트 넘버에의 포인터 정보, 아티스트 네임, 타이틀 네임, 원곡순 정보, 녹음 시간 정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아티스트 네임, 타이틀 네임은 네임 그것이 아니고, 네임 테이블에의 포인터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부호화 방식은 코덱의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복호 정보로 된다.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31a 및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트 넘버로부터 실제의 악곡의 위치를 액세스하는 포인터가 기술되어 있다.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파트마다의 파트 디스크립터로 이루어진다. 파트란, 1트랙(악곡)의 전부, 또는 1트랙을 분할한 각 파트이다. 도 31b는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 내의 파트 디스크립터의 엔트리를 나타내고 있다. 각 파트 디스크립터는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 위의 그 파트의 선두의 어드레스와 그 파트의 종료의 어드레스와 그 파트에 계속되는 파트에의 링크가 기술된다.
그리고, 파트 넘버의 포인터 정보, 네임 테이블의 포인터 정보, 오디오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하는 어드레스로서는 파일의 바이트 오프셋, 파트 디스크립터 넘버, FAT의 클러스터 넘버, 기록매체로서 이용되는 디스크의 물리 주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의 바이트 오프셋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는 오프셋 방법 중의 특정의 실시형태이다. 여기서, 파트 포인터 정보는 오디오 파일의 개시부터의 오프셋 값이며, 그 값은 소정의 단위(예를 들면, 바이트, 비트, n비트의 블록)로 표현된다.
네임 테이블은 네임의 실체로 되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테이블이다. 네임 테이블은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네임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각 네임 슬롯은 네임을 나타낸 각 포인터로부터 링크되어 호출된다. 네임을 호출 포인터는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그룹 네임 등이 있다. 또, 각 네임 슬롯은 복수로부터 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네임 슬롯은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정보인 네임 데이터와, 이 문자 정보의 속성인 네임 타입과 링크로 이루어진다. 1개의 네임 슬롯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 같은 긴 네임은 복수개의 네임 슬롯에 분할하여 기술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네임 슬롯으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거기에 계속되는 네임이 기술된 네임 슬롯에의 링크가 기술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 예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 오더 테이블(도 27)에 의하여, 재생하는 트랙 넘버가 지정되면,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링크의 트랙 디스크립터(도 30a 및 도 30b)가 판독되어, 이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부호화 방식, 저작권 관리 정보, 컨텐츠의 복호 키 정보, 그 악곡이 개시하는 파트 넘버에의 포인터 정보, 아티스트 네임 및 타이틀 네임의 포인터, 원곡순 정보, 녹음 시간 정보 등이 판독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파트 넘버의 정보로부터,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도 31a 및 도 31b)에 링크되어 이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그 트랙(악곡)의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파트의 위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액세스된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로 지정되는 위치의 파트의 데이터가 액세스되면, 그 위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된다. 이 때, 트 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판독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화를 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판독된 키 정보가 사용된다.
그 파트에 계속되는 파트가 있는 경우에는 그 파트의 링크가 파트 디스크립터가 기술되어 있고, 이 링크에 따라, 파트 디스크립터가 순으로 판독된다. 이 파트 디스크립터의 링크를 더듬어서 오디오 디데이터 파일 위에서, 그 파트 디스크립터로 지정되는 위치에 있는 파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감으로써, 원하는 트랙(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의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네임 포인터 정보)에 있는 네임 테이블의 네임 슬롯(도 32a 및 도 32b)이 호출되어 그 위치에 있는 네임 슬롯으로부터, 네임 데이터가 판독된다. 네임 포인터 정보는 예를 들면, 네임 슬롯 넘버, FAT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러스터 넘버, 또는 기록 매체의 물리 주소이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네임 테이블의 네임 슬롯은 복수 참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일한 아티스트의 악곡을 복수 기록하도록 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아티스트 네임으로서 동일한 네임 테이블이 참조된다. 도 34의 예에서는 트랙 디스크립터 「1」과 트랙 디스크립터 「2」와 트랙 디스크립터 「4」는 모두 동일한 아티스트 「DEF BAND」의 악곡이며, 아티스트 네임으로서 동일한 네임 슬롯을 참조하고 있다. 또, 트랙 디스크립터 「3」과 트랙 디스크립터 「5」와 트랙 디스크립터 「 6」은 모두 동일 위치의 아티스트 「GHQ GIRLS」의 악곡이며, 아티스트 네임으로서 동일한 네임 슬롯을 참조하고 있다. 이같이, 네임 테이블의 네임 슬롯을, 복수개의 포인터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하여 두면, 네임 테이블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예를 들면, 동일한 아티스트 네임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 네임 테이블에의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명이 「DEF BAND」의 악곡의 일람을 표시하고 싶은 것 같은 경우에는 「DEF BAND」의 네임 슬롯의 어드레스를 참조하고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가 더듬어진다. 이 예에서는 「DEF BAND」의 네임 슬롯의 어드레스를 참조하고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를 더듬는 것으로, 트랙 디스크립터 「1」과 트랙 디스크립터 「2」와 트랙 디스크립터 「4」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악곡 중, 아티스트 명이 「DEF BAND」의 악곡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네임 테이블은 복수 참조가 가능하게 되므로, 네임 테이블로부터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을 역으로 더듬는 링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새롭게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FAT 테이블에 의하여, 원하는 수의 레코딩 블록 이상, 예를 들면, 4개의 레코딩 블록 이상 연속한 미사용 영역이 준비된다. 원하는 레코딩 블록 이상 연속한 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가능한 한 연속한 영역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액세스에 낭비가 없기 때문이다.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준비되면, 새로운 트랙 디스크립터가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 상에 1개 할당되고, 이 오디오 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컨텐츠의 키가 생성된다. 그리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준비된 미사용 영역에,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 FAT의 파일 시스템 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최후미에 연결된다.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연결됨에 따라, 이 연결된 위치의 정보가 작성되어 새롭게 확보된 파트 디스크립션에, 새롭게 작성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새롭게 확보된 트랙 디스크립터에, 키 정보나 파트 넘버가 기술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네임 슬롯에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 등이 기술되어 트랙 디스크립터에, 그 네임 슬롯에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에 링크하는 포인터가 기술된다. 그리고, 플레이 오더 테이블에, 그 트랙 디스크립터의 넘버가 등록된다. 또 저작권 관리 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로부터, 지정된 트랙 넘버에 대응하는 정보가 요구되어 재생해야 할 트랙의 트랙 디스크립터가 취득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그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키 정보가 취득되고, 또, 엔트리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을 나타낸 파트 디스크립션이 취득된다. 그 파트 디스크립션으로부터,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트의 선두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 위의 위치가 취득되어 그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꺼내진다. 그리고, 그 위치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취득된 키 정보를 사용하여 암호가 해독되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된다. 파트 디스크립션에 링크가 있는 경우에는 지정되어 파트에 링크되어, 마찬가지의 순서가 반복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상에서, 트랙 넘버 「n」인 악곡을, 트랙 넘버 「n+m」 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Dn을 얻을 수 있다. 트랙 정보 TINFn+1로부터 TINFn+m의 값(트랙 디스크립터 넘버)이 모두 1개 앞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트랙 정보 TINFn+m에, 트랙 디스크립터 Dn의 넘버가 저장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에서, 트랙 넘버 「n」인 악곡을 삭제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Dn가 취득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의 엔트리, TINFn+1로부터 후의 유효한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가 모두 1개 앞으로 이동된다. 또한, 트랙 「n」은 지워져야할 것이므로, 트랙 「n」의 뒤의 모든 트랙 정보의 엔트리가,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에서 1개 앞으로 이동된다. 상기 트랙의 소거에 따라 취득된 트랙 디스크립터 Dn으로부터,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로, 그 트랙에 대응하는 부호화 방식, 복호 키가 취득되는 동시에, 선두의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을 나타낸 파트 디스크립터 Pn의 넘버가 취득된다. 파트 디스크립터 Pn에 의해 지정된 범위의 오디오 블록이, FAT의 파일 시스템 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부터 떼어내진다. 또한, 이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그 트랙의 트랙 디스크립터 Dn가 소거된다. 그리고, 파트 디스크립터가 파트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소거되어 파일 시스템으로 그 파트 디스크립션이 해방된다.
예를 들면, 도 35a에 있어서, 파트 A, 파트 B, 파트 C는 그때까지 연결하고 있고, 그 중에서, 파트 B를 삭제하는 것으로 한다. 파트 A 파트 B는 같은 오디오 블록을(또한 같은 FAT 클러스터를)공유하고 있고, FAT 체인이 연속하고 있는 것으 로 한다. 파트 C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중은 파트 B의 직후에 위치하고 있지만, FAT 테이블을 조사하면, 실제로는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예의 경우에는 도 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트 B를 삭제할 때, 실제로 FAT 체인으로부터 제외하는(빈 영역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것은 현행의 파트와 클러스터를 공유하고 있지 않은 2개의 FAT 클러스터이다. 즉,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서는 4오디오 블록에 단축된다. 파트 C 및 그 이후에 있는 파트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블록의 넘버는 이에 따라 모두 4만큼 작게 된다.
그리고, 삭제는 1트랙 모두가 아니고, 그 트랙의 일부에 대해 행할 수 있다. 트랙의 일부가 삭제되고 경우에는 나머지의 트랙의 정보는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에서 그 파트 디스크립터 Pn으로부터 취득된 그 트랙에 대응하는 부호화 방식, 복호 키를 사용하여 복호할 수 있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상의 트랙 n과 트랙 n+1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으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n이 취득된다. 또,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1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m가 취득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1로부터 후의 유효한 TINF의 값(트랙 디스크립터 넘버)이 모두 1개 앞의 TINF로 이동된다.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을 검색하여, 트랙 디스크립터 Dm를 참조하고 있는 트랙이 모두 삭제된다. 새로운 암호화 키를 발생시켜, 트랙 디스크립터 Dn으로부터, 파트 디스크립터의 리스트가 꺼내지고 그 파트 디스크립터의 리스트의 최후미에, 트랙 디스크립터 Dm으로부터 인출한 파트 디스크립터의 리스트가 연결된다.
트랙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트랙 디스크립터를 비교하여, 저작권 관리상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파트 디스크립터를 얻어, 양쪽의 트랙을 연결한 경우에 프래그먼트(fragment)에 관한 규정이 채워지는지 여부를, FAT 테이블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네임 테이블에의 포인터의 갱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트랙 n을, 트랙 n과 트랙 n+1에 분할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으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n가 취득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1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m 취득된다. 그리고,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1로부터 후의 유효한 트랙 정보 TINF의 값(트랙 디스크립터 넘버)이, 모두 1개 뒤로 이동된다. 트랙 디스크립터 Dn에 대하여, 새로운 키가 생성된다. 트랙 디스크립터 Dn으로부터, 파트 디스크립터의 리스트가 꺼내진다. 새로운 파트 디스크립터가 할당되고, 분할 전의 파트 디스크립터의 내용이 거기에 카피된다. 분할점의 포함되는 파트 디스크립터가, 분할점의 직전까지 단축된다. 또 분할점 이후의 파트 디스크립터의 링크가 중지된다. 새로운 파트 디스크립터가 분할점의 직후에 설정된다.
7. 음악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
다음에,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b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이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예로 들 수 있는 관리 방식에서는 디스크 상에는 트랙 인덱스 파일과 복수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 및 복수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FAT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파일이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는 1곡이 1파일의 음악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다. 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는 헤더가 형성되어 있다. 헤더에는 타이틀과 복호 키 정보와, 저작권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시에, 인덱스 정보가 설치된다. 인덱스는 1개의 트랙의 악곡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것이다. 헤더에는 인덱스에 의해 분할된 각 트랙의 위치가 인덱스 넘버에 대응하여 기록된다. 인덱스는 예를 들면, 255개 설정할 수 있다.
트랙 인덱스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가 기술된 파일이다. 트랙 인덱스 파일은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 오더 테이블과,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과,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과,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과, 네임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디폴트로 정의된 재생 순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 넘버(곡번)에 대한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트랙 디스크립터(도 41a 및 도 41b)에의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 TINF1, TINF2, …가 저장되어 있다. 트랙 넘버는 예를 들면 「1」로부터 시작되는 연속한 넘버이다.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은 재생 순서를 각 사용자가 정의한 테이블이다. 프로그램드 플레이 오더 테이블에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 넘버 에 대한 트랙 디스크립터에의 링크의 정보 트랙 정보 PINF1, PINF2, …가 기술되어 있다.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에는 도 41a 및 도 4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룹은 연속한 트랙 넘버를 가지는 1개 이상의 트랙의 집합, 또는 연속한 프로그램드 트랙 넘버를 가지는 1개 이상의 트랙의 집합이다.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4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그룹의 그룹 디스크립터로 기술되어 있다. 그룹 디스크립터에는 도 4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그룹이 개시되는 트랙 넘버와 종료 트랙의 넘버와 그룹 네임과 플래그가 기술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42a 및 도 4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곡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도 4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마다(각 곡마다)의 트랙 디스크립터로 이루어진다. 각 트랙 디스크립터에는 도 4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악곡이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포인터, 인덱스 넘버, 아티스트 네임, 타이틀 네임, 원곡순 정보, 녹음 시간 정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아티스트 네임, 타이틀 네임은 네임 그것이 아니고, 네임 테이블에의 포인터가 기술되어 있다.
네임 테이블은 네임의 실체로 되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테이블이다. 네임 테이블은 도 4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네임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각 네임 슬롯은 네임을 나타내는 각 포인터로부터 링크되어 호출된다. 네임을 호출 포인터는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 그룹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그룹 네임 등이 있다. 또, 각 네임 슬롯은 복수로부터 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네임 슬롯은 도 4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임 데이터와, 네임 타입과 링크로 이루어진다. 1개의 네임 슬롯으로 들어가지 않는 긴 네임은 복수개의 네임 슬롯으로 분할하여 기술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네임 슬롯으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거기에 계속되는 네임이 기술된 네임 슬롯에의 링크가 기술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 예에서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 오더 테이블(도 39)에 의하여, 재생하는 트랙 넘버가 지정되면,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링크의 트랙 디스크립터(도 42a 및 도 42b)가 판독되어, 이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그 악곡의 파일 포인터 및 인덱스 넘버, 아티스트 네임 및 타이틀 네임의 포인터, 원곡순 정보, 녹음 시간 정보 등이 판독된다.
그 악곡의 파일의 포인터로부터, 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액세스되어 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헤더의 정보가 판독된다. 오디오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헤더로부터 판독된 키 정보가 사용된다. 그리고, 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재생된다. 이 때, 만약, 인덱스 넘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헤더의 정보로부터, 지정된 인덱스 넘버의 위치가 검출되어 그 인덱스 넘버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또,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의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있는 네임 테이블의 네임 슬롯이 호출되어 그 위치에 있는 네임 슬롯으로부터, 네임 데이터가 판독된다.
새롭게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FAT 테이블에 의하여, 원하는 수의 레코딩 블록 이상, 예를 들면, 4개의 레코딩 블록 이상 연속한 미사용 영역이 준비된다.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준비되면,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에 새로운 트랙 디스크립터가 1개 할당되고, 이 오디오 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가 생성된다. 그리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새롭게 확보된 트랙 디스크립터에, 새롭게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파일 포인터나, 키 정보가 기술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네임 슬롯에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 등이 기술되어 트랙 디스크립터에, 그 네임 슬롯에 아티스트 네임이나 타이틀 네임에 링크하는 포인터가 기술된다. 그리고, 플레이 오더 테이블에, 그 트랙 디스크립터의 넘버가 등록된다. 또 저작권 관리 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로부터, 지정된 트랙 넘버에 대응하는 정보가 요구되어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재생해야 할 트랙의 트랙 디스크립터가 취득된다.
그 트랙 디스크립터로부터, 또 그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 포인터 및 인덱스 넘버가 취득된다. 그리고, 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액세스되어 파일의 헤더로부터, 키 정보가 취득된다. 그리고, 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에 대하여, 취득된 키 정보를 사용하여 암호가 해독되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된다. 인덱스 넘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인덱스 넘버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트랙 n을, 트랙 n와 트랙 n+1에 분할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으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n가 취득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1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m이 취득된다. 그리고,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1로부터 후의 유효한 트랙 정보 TINF의 값(트랙 디스크립터 넘버)이, 모두 1개 뒤로 이동된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파일의 데이터는 복수개의 인덱스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인덱스 넘버와 인덱스 영역의 위치가 그 오디오 트랙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다. 트랙 디스크립터 Dn에,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 포인터와 인덱스 넘버가 기술된다. 트랙 디스크립터 Dm에,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 포인터와 인덱스 넘버가 기술된다. 이로써, 오디오 파일의 하나의 트랙의 악곡 M1은 외관상, 2개의 트랙의 악곡 M11과 M12로 분할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상의 트랙 n와 트랙 n+1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n가 취득된다. 또,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트랙 정보 TINFn+1로부터, 그 트랙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트랙 디스크립터 넘버 Dm이 취득된다. 플레이 오더 테이블 내의 TINFn+1로부터 후의 유효한 TINF의 값(트랙 디스크립터 넘버)이 모두 1개 앞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트랙 n과 트랙 n+1이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 내에 있어, 인덱스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의 인덱스 정보를 삭제 함으로써, 연결이 가능하다. 이로써, 2개의 트랙의 악곡 M21과 M22는 1개의 트랙의 악곡 M23에 연결된다.
트랙 n이 1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인덱스로 분할된 후반이며, 트랙 n+1이 다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선두에 있는 경우에는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로 분할되어 있던 트랙 n의 데이터에 헤더가 부가되어 악곡 M32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이것에, 트랙 n+1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헤더가 제거되어 이 악곡 M41의 트랙 n+1의 오디오 데이터가 연결된다. 이로써, 2개의 트랙의 악곡 M32와 M41은 1개의 트랙의 악곡 M51로서 연결된다.
이상의 처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인덱스로 분할되어 있던 트랙에 대하여, 헤더를 부가하고, 다른 암호 키로 암호화하여, 인덱스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를 1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헤더를 제외하고, 다른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연결하는 기능이 지 더해지고 있다.
8. 퍼스널 컴퓨터와의 접속 시의 동작에 대하여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친화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FAT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의한 디스크는 오디오 데이터만이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로 일반적으로 취급되는 데이터의 읽고 쓰기에도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는 디스크(90) 상으로부터 판독되고, 재생된다. 그러므로, 특히 휴대형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액세스 성을 고려하면, 일련의 오디오 데이터는 디스크 상에 연속적으로 기록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일반적인 데이터 기입은 이와 같은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디스크 상의 빈 영역을 적당하게 할당하여 행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 적용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00)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를 USB 허브(7)에 의해 접속하고,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대한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인 데이터의 기입은 퍼스널 컴퓨터 측의 파일 시스템의 관리하에서 행해지고, 오디오 데이터의 기입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파일 시스템의 관리하에서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 48a 및 도 48b는 이같이, 퍼스널 컴퓨터(100)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가 도시되지 않는 USB 허브(7)로 접속된 상태로, 기입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관리 권한을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a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일반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기록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파일 시스템에 의하여, 디스크(90) 상의 FAT 관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디스크(90)는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임의의 시스템에서 포맷된 디스크인 것으로 한다.
즉, 퍼스널 컴퓨터(100) 측에서는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가 퍼스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하나의 리무버블 디스크와 같이 보인다. 따라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의 읽고 쓰기 를 행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대한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파일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100)에 탑재되는 기본 소프트웨어인 OS(Operating System)의 기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OS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프로그램 파일로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가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된다. 이 프로그램 파일이 퍼스널 컴퓨터(100)의 기동 시에 판독되어 소정에 실행됨으로써, OS로서의 각 기능을 제공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48b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기록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100)가 가지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는 기록 매체에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00)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ATRAC 압축 인코드하는 동시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장착된 디스크(90)에의 오디오 데이터의 기입 및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하는 유틸리티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는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의 트랙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고,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에 프로그램 파일로서 기록된다.
일례로서, 퍼스널 컴퓨터(100)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는 미리 기동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에게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하여, HDD에 기록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A로 함)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기록하도록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 조작에 근거하여, 오디오 데이터 A의 디스크(90)에 대한 기록을 요구하는 기입 요구 커맨드가 당해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의해 출력되고. 기입 요구 커맨드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송신된다.
계속하여,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A가 판독된다.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 A는 퍼스널 컴퓨터(100)에 탑재된 전술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의해 ATRAC 압축 인코드 처리가 행해지고, ATRAC 압축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ATRAC 압축 데이터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A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전송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기입 요구 커맨드가 수신됨으로써, ATRAC 압축 데이터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A가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고, 또한, 전송된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서 디스크(90)에 기록하는 것이 인식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A를, USB 허브(7)로부터 수신하고, USB 인터페이스(6) 및 메모리 전송 컨트롤 러(3)를 통하여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보낸다. 시스템 컨트롤러(9)에서는 오디오 데이터 A를 미디어 드라이브부(2)에 보낼 때, 오디오 데이터 A가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FAT 관리 방법에 근거해 디스크(90)에 기입되도록 제어한다. 즉, 오디오 데이터 A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FAT 시스템에 근거하여, 4레코딩 블록, 즉 64k바이트×4를 최소의 기록 길이로서, 레코딩 블록 단위로 연속적으로 기입된다.
그리고, 디스크(90)에의 데이터의 기입이 종료할 때까지, 퍼스널 컴퓨터(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사이에서는 소정의 프로토콜로 데이터나 스테이터스, 커맨드의 교환이 행해진다. 이로써, 예를 들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서 클러스터 버퍼(4)의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가 일어나지 않게,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제어된다.
퍼스널 컴퓨터(100) 측에서 사용 가능한 커맨드의 예로서는 전술한 기입 요구 커맨드 외에, 삭제 요구 커맨드가 있다. 이 삭제 요구 커맨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된 디스크(90)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요구하는 커맨드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가 접속되고, 디스크(90)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장착되면, 전술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의해 디스크(90) 상의 트랙 인덱스 파일이 판독되어, 판독된 데이터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된다.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타이틀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표시된 타이틀 일람에 근거하는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B로 함)를 삭제하려고 한 경우, 삭제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 B를 나타내는 정보가 삭제 요구 커맨드와 함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송신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서는 이 삭제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자체의 제어에 근거하여, 요구된 오디오 데이터 B가 디스크(90) 상으로부터 삭제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자체의 FAT 시스템에 근거하는 제어에 의해 행해지므로, 예를 들면 도 35a 및 도 35b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1개의 파일로서 정리된 거대 파일 중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도 가능하다.
9. 디스크 상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 제한에 대하여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다른 기록 매체 등에의 카피에 제한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전송하고,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 등에 기록하는 것을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디스크(90)는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시스템으로 포맷된 디스크인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체크아웃, 체크인 등의 동작은 퍼스널 컴퓨터(100) 상에 탑재되는 전술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의 관리하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49의 순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90)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200)가 퍼스널 컴퓨터(PC)(100)에 무브된다. 여기서 말하는 무브는 대상 오디오 데이터(200)가 퍼스널 컴퓨터(100)에 카피되는 동시에, 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원래의 기록 매체(디스크(90))로부터 삭제되고 일련의 동작을 말한다. 즉, 무브에 의하여, 무브 원래의 데이터는 삭제되고, 무브선에 당해 데이터가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어느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카피되어 카피원 데이터의 카피 허가 회수를 나타낸 카피 회수 권리가 1 감소되는 것을, 체크아웃 이라고 한다. 또, 체크아웃된 데이터를 체크아웃 앞으로부터 삭제하고, 체크아웃 원래의 데이터의 카피 회수 권리를 되돌리는 것을, 체크인이라고 한다.
오디오 데이터(200)가 퍼스널 컴퓨터(100)에 무브되면, 퍼스널 컴퓨터(100)의 기록 매체, 예를 들면 HDD 상에 당해 오디오 데이터(200)가 이동되고(오디오 데이터(200'), 원래의 디스크(90)로부터 당해 오디오 데이터(200)가 삭제된다. 그리고, 도 49의 순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200')에 대하여, 체크아웃(CO) 가능(또는 소정의) 회수(201)가 설정된다. 여기서는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는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에 설정된다., 당해 오디오 데이터(200')는 이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외부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에 설정된 회수만큼, 또한 체크아웃을 행하는 것이 허가된다.
여기서, 체크아웃된 오디오 데이터(200)가 원래의 디스크(90) 상으로부터 삭제된 채라면, 사용자에게 불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래서,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하여 체크아웃된 오디오 데이터(200')가, 디스크(90)에 대하여 다시 기록된다.
당해 오디오 데이터(200')를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원래의 디스크(90)에 써 되돌릴 때는 도 49의 순서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1회 소비되어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3-1=2회로 된다. 도 49의 순서 C에서는 소비된 체크아웃 회수를 기호 「#」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퍼스널 컴퓨터(100)의 오디오 데이터(200')는 체크아웃할 수 있는 권리가 앞으로 2회분 남아 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100) 상으로부터는 삭제되지 않는다. 즉, 퍼스널 컴퓨터(100) 상의 오디오 데이터(200')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디스크(90)에 카피되어 디스크(90) 상에는 오디오 데이터(200')가 카피된 오디오 데이터(200")가 기록되게 된다.
그리고,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는 트랙 인포메이션 테이블에 있어서의 트랙 디스크립터의 저작권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된다(도 30b참조). 트랙 디스크립터는 각 트랙마다 설치되므로,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를 음악 데이터 등의 각 트랙마다 설정할 수 있다. 디스크(9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카피된 트랙 디스크립터는 퍼스널 컴퓨터(100)에 무브된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정보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9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무브되면,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한 트랙 디스크립터가 퍼스널 컴퓨터(100) 에 카피된다. 퍼스널 컴퓨터(100) 상에서는 디스크(90)로부터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가 이 트랙 디스크립터에 의해 행해진다. 오디오 데이터가 무브되고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 등에 기록되는데 따라, 트랙 디스크립터 중의 저작권 관리 정보에 있어서,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가 규정의 회수(이 예에서는 3회)에 설정된다.
그리고, 저작권 관리 정보로서, 전술한 체크아웃 가능 회수(201) 외에, 체크아웃 원래의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기기 ID, 체크아웃된 음악 컨텐츠(오디오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ID도 관리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49의 순서 C에서는 카피하려고 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 중의 기기 ID에 근거하여, 카피처의 기기의 기기 ID의 인증을 한다. 저작권 관리 정보 중의 기기 ID와 카피처 기기의 기기 ID 가 상이한 경우, 카피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9의 순서 A ~ 순서 C에 의한 일련의 체크아웃 처리에서는 디스크(90) 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한 번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하여 무브하고, 다시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디스크(90)에 써 되돌려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는 순서가 번잡하고 번거롭고, 또, 디스크(9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시간과 디스크(90)에 오디오 데이터를 써 되돌리는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이 낭비로 느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디스크(90) 상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일단 삭제되어 버릴 것은 사용자의 감각에 익숙하지 않은 것이 고려된다.
그래서, 디스크(90)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체크아웃 시에, 전술한 도중의 처리를 행한 것으로 보아 생략하여, 도 49의 순서 C에 나타내는 결과만이 실현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순서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90)에 기록된 오디오 파일 A라는 오디오 데이터를 체크아웃해」라고 한 것 같은 사용자로부터의 단일의 지시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다.
(1)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에 카피하는 동시에, 디스크(90) 상의 당해 오디오 데이터를, 당해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데이터의 일부를 무효로 하는 것으로 소거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 오더 테이블로부터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에의 링크 정보 TINFn과 프로그램드 파일 오더 테이블로부터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에의 링크 정보 PINFn을 삭제한다.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 그 자체를 삭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당해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크(90) 상에서 사용 불가 상태로 되어, 당해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 무브된 것이 된다.
(2) 그리고, 순서 (1)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퍼스널 컴퓨터(100)에의 카피 시에,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도, 함께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에 카피된다.
(3)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디스크(90)로부터 카피된,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에 있어서의 저작권 관리 정보 내의 체크아웃 가능 회수에, 규정 회수, 예를 들면 3회가 기록된다.
(4)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디스크(90)로부터 카피된 트랙 디스크립터에 근거하여,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가 취득되어 당해 컨텐츠 ID가 체크인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낸 컨텐츠 ID으로서 기록된다.
(5)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에 있어서의 저작권 관리 정보 내의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전술한 순서 3으로 설정된 규정 회수로부터 1만 줄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3-1= 2회로 된다.
(6) 다음에, 디스크(90)가 장착되는 도시되지 않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있어서, 무브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가 유효화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순서 (1)에 있어서 삭제되고 링크 정보 TINFn 및 PINFn을 각각 복원 또는 재구축함으로써,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가 유효화된다. 전술한 순서 (1)에 있어서 당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를 삭제하고 경우에는 당해 트랙 디스크립터가 재구축된다. 퍼스널 컴퓨터(100) 상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하는 트랙 디스크립터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전송하고, 디스크(90)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1) ~ (6)의 순서에 따라, 일련의 체크아웃 처리가 완료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디스크(9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00)에의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가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또, 이 (1) ~ (6)의 순서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는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를 이용하여, 디스크(90)에 스스로 녹음(기록)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 체크아웃된 다음에 체크인할 때는 퍼스널 컴퓨터(100)는 자기 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 및 트랙 디스크립터 중의 제어 정보, 예를 들면 저작권 관리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따라 판단을 행하고, 체크인을 실행한다.
10.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하여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인 오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일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시스템」이란, 복수개의 것이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이며, 각각의 것이 동일 상자체 내에 있는지의 여부는 묻지 않는다.
퍼스널 컴퓨터(100)에,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이 탑재된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은 CD(Compact Disc)로부터의 립핑이나, 인터넷이라고 한 네트워크를 통한 음악 분배 서버 등으로의 다운로드에 의해 얻어진 음악 데이터 등의 컨텐츠를 축적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라이브러리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립핑이란, 음악 CD 등 컨텐츠가 수록되어 있는 오리지널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를 디지털 데이터인 채 판독하여, 컴퓨터의 파일 등으로서 추출하는 것이 있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은 또한, 퍼스널 컴퓨터(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와의 접속 제어를 행한다. 또, 전술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쥬크 박스 어플리케이션(300)에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즉, 도 50면에 나타낸 소프트웨어는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제1 기록 매체인 HDD 등의 기록 매체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제2 기록 매체인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디스크(90)로, 음악 컨텐츠의 전송 및 반환을 행한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은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을 가지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은 디스크(90)를 식별하기 위한 디스크 ID와 라이브러리 내의 그룹을,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리스트로 관련지어 관리한다. 이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UID를 디스크 ID으로서 사용한다.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이 관리하는 그룹, 및,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리스트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은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OS(303)상에서, 시큐리티 모듈(302)을 통하여 동작한다. 시큐리티 모듈(302)은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에 규정되고 라이센스 적합 모듈(LCM)을 가지고,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한다. 시큐리티 모듈(302)에서는 컨텐츠 ID와 UID와의 정합성의 체크 등도 행한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과의 컨텐츠의 교환은 모두 시큐리티 모듈(302)을 통하여 행해진다.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차세대 MD드라이브 펌웨어(firmware)(320)가 탑재된다. 퍼스널 컴퓨터(100)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제어나, 퍼스널 컴퓨터 (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은 차세대 MD드라이브 펌 웨어(320)와 OS(303)의 사이에서 차세대 MD 디바이스 드라이버(304)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차세대 MD드라이브 펌 웨어(320)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를 접속하는 소정의 케이블이나 네트워크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버전 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은 예를 들면 CD-R0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된다. 퍼스널 컴퓨터(100)에 이 기록 매체를 장전하고,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이 퍼스널 컴퓨터(100)의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소정에 저장된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또는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의 인스톨러)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00)에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브러리에서는 그룹을 설정할 수 있고, 컨텐츠를 적당한 기준에 근거해 그룹에 관련지음으로써,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또한, 디스크(90)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디스크 ID와 그룹을 관련짓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 ID으로서는 전술한 UID가 이용된다.
도 51a 및 도 51b를 사용하여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이 구비하는 데이 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로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1a는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리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리스트에서는 디스크 ID에 대하여 그룹을 관련지어 관리한다. 디스크 ID에 대하여 또다른 속성, 예를 들면 앨범명, 앨범의 장르, 아티스트명, 데이터(압축) 형식, 데이터 베이스에의 등록일, 컨텐츠의 입수원 등의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그리고, 이 도 51a 및 도 51b에 예시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일례로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1a에 나타낸 필드 「디스크 ID」는 디스크 ID가 등록되는 필드이다. 디스크 ID는 디스크(90)마다 유니크 기록 매체 식별자이다.
필드 「그룹명」은 그룹의 이름이 등록되는 필드이다. 그룹은 사용자가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에 있어서 미리 준비된 그룹을 사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그룹은 예를 들면 애인과 듣기 용, 드라이브(운전)용, 통근용 등의 장면별이거나, 가수, 연주자 등의 아티스트별, 클래식, 재즈 등의 장르별이나, 최신 컨텐츠 등 사용자가 희망하는 컨텐츠의 분류로 구성된다.
한편, 컨텐츠마다 유니크 컨텐츠 식별자인 컨텐츠 ID의 각각에 대하여, 디스크 ID 및 체크아웃 가능 회수 등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관련지어진다. 도 51b는 이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관련 컨텐츠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컨텐츠 ID리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컨텐츠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컨텐츠 ID리스트는 예를 들면,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 리스트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301)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된다.
필드 「컨텐츠 ID」는 컨텐츠 ID가 등록되는 필드이다. 컨텐츠 ID는 예를 들면 128비트의 데이터 길이를 가지고, 컨텐츠가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에 취입되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될 때, 시큐리티 모듈(302)에 의해 할당된다.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각각은 컨텐츠 ID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1b의 필드 「디스크 ID」는 도 51a의 필드 「디스크 ID」이다. 따라서, 디스크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디스크 ID 리스트와, 컨텐츠 ID 데이터 베이스 또는 컨텐츠 ID 리스트와는 디스크 ID에 의해 관련지어지고, 디스크 ID와 컨텐츠 ID에 의하여,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일의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컨텐츠 ID의 각각에 대하여, 당해 컨텐츠의 속성, 디스크 ID가 관련. 도 51b의 예에서는 필드 「디스크 ID」에, 디스크 ID가 등록되어 필드 「CO 가능 회수」에, CO(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등록되어 필드 「컨텐츠 ID」에 저장되고 컨텐츠 ID와 관련지어진다. 물론, 또다른 정보를 컨텐츠 ID에 관련 것이 가능하다.
도 51b에서는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각 컨텐츠 ID의 각각에 대해 디스크 ID를 관련지어지지만 디스크 ID에 대하여 컨텐츠 ID를 관련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컨텐츠 ID에 그룹을 관련 구성이나, 디스크 ID에 CO가능 회수를 관련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라이브러리를, 전술한 음악 데이터의 제1 관리 방법이나 제2 관리 방법에 따라 관리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의 한 형태는 전술한 소프트웨어에서의 체크아웃의 처리로 적용된다. 그리고, 이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체크아웃의 가능 회수가 3회까지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체크아웃의 가능 회수는 SDMI 등의 규정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것이며, 3회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도 52 및 도 53은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2는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으로 체크아웃을 행한 때의 동작의 일례이다. 퍼스널 컴퓨터(100)는 음악 컨텐츠를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라는 2개의 개념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도 52 중의 악곡의 선두에 나타낸 숫자는 그 곡의 체크아웃(CO) 가능 회수를 나타낸다.
앨범은 전술한 그룹 또는 그룹과의 관련에 의해 음악 컨텐츠를 관리하는 개념이다. 앨범은 음악 컨텐츠의 실체로 이루어지는 제1 집합체이다. 그리고, 앨범은 기본적으로는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의 실체로 구성되지만, 하나만의 음악 컨텐츠의 실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앨범이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디스크 ID를 그룹과 컨텐츠 ID에 관련지음으로써, 그룹과 음악 컨텐츠의 실체를 관련지어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앨범은 디스크 ID와 컨텐츠 ID의 각각에 관련되어 있다.
음악 컨텐츠의 실체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다. 이 데이터 구조는 예를 들면 음악 배포 미디어인 레코드, CD의 구조로 되어 있는 계층 구조를 가진다.
플레이 리스트는 음악 컨텐츠의 포인터로 이루어지는 제2 집합체이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는 기본적으로는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의 포인터로 구성되지만, 하나만의 음악 컨텐츠의 포인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 리스트는 곡의 재생순을 나타내는 리스트이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로도 불린다. 플레이 리스트는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기록 매체에 체크아웃 실행 전 또는 체크아웃 실행 시에 작성된다.
포인터는 음악 컨텐츠의 실체에의 링크이며, 음악 컨텐츠의 실체는 동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곡을 삭제해도 링크가 빗나갈 뿐, 실체인 오디오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는다.
도 52에서는 앨범1이 악곡1 ~ 악곡7로 구성되며, 앨범2가 악곡8 ~ 악곡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악곡1 ~ 악곡14는 음악 컨텐츠의 실체 즉 오디오 데이터이다.
플레이 리스트1은 재생곡의 순번이, 악곡1(링크), 악곡2(링크), 악곡2(링크), 악곡8(링크), 악곡5(링크), 악곡13(링크), 악곡14(링크)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악곡1(링크), 악곡2(링크), …, 악곡14(링크)는 포인터이며, 각각의 포인터가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악곡)의 실체를 앨범1, 앨범2로부터 참조하도록 링크가 쳐져 있다.
도 53은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플레이 리스트로 지시받은 음악 컨텐츠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 체크아웃할 때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퍼스널 컴퓨터(100)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를 접속하고, 플레이 리스트의 악곡의 체크아웃을 개시하면, 체크아웃하는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악곡이 속하는 모든 앨범이 검색된다(스텝 S201. 플레이 리스트1의 악곡을 체크아웃하는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1에 포함되는 악곡이 속하는 앨범의 검색 결과는 앨범1 및 앨범2로 된다.
이어서, 음악 컨텐츠가 기록된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기록 매체로부터, 스텝 S201에서 검색된 앨범에 포함되는 모든 음악 컨텐츠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디스크(90)로 체크아웃된다(스텝 S202). 즉, 앨범1에 포함되는 악곡1 ~ 악곡7과 앨범2에 포함되는 악곡8 ~ 악곡14가 체크아웃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00) 측의 앨범1과 앨범2가 앨범 단위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 전송되는 것으로 된다.
체크아웃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 등으로 관리되어 있는 체크아웃(CO) 가능 회수가 앨범 단위로 1줄일 수 있다. 즉, 앨범1 및 앨범2의 각 악곡의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각각 함께, 3회에서 2회로 변경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플레이 리스트1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 전송되고, 전송된 플레이 리스트1의 각 악곡과 체크아웃한 앨범1 및 앨범2의 각 악곡 사이에 링크가 쳐진다(스텝 S203). 따라서, 이 체크아웃의 처리에서는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 상에서의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와 같은 데이터 구조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 구축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하면, 플레이 리스트로 지시받은 음악 컨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디스크(90)로 체크아웃할 때, 플레이 리스트로 지시받은 음악 컨텐츠가 속하는 모든 앨범을 검색하고, 검색된 앨범에 포함되는 모든 음악 컨텐츠를 체크아웃하기 위한, 체크아웃 작업이 간단하다. 또, 이로써, 체크아웃 가능 회수가 앨범마다 일률로 되어, 앨범 단위로 음악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할 때, 그 앨범 중에 전송될 수 없는 곡이 나와 버릴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고, 음악 컨텐츠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 플레이 리스트의 음악 컨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디스크(90)로 체크아웃할 때, 플레이 리스트의 음악 컨텐츠가 속하는 모든 앨범을 검색하고, 검색된 앨범에 포함되는 모든 음악 컨텐츠를 체크아웃하고, 플레이 리스트를 퍼스널 컴퓨터(100) 측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디스크(90)에 전송하고, 전송한 플레이 리스트와 체크아웃한 음악 컨텐츠로 링크하는 것으로, 컴퓨터(100) 측의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의 디스크(90)에 구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곡의 실체, 포인터라는 개념을 이해하지 않아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 측에서 퍼스널 컴퓨터(100) 측과 마찬가지로 음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 면, 전술한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서의 각 스텝은 기재된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처리가 행해지는 것만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가 행해지지 않아도, 병렬적, 개별적으로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전술한 실시의 한 형태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CD,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300) 등의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100)에 인스톨하고, HDD 등의 기록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실행 가능한 것으로 하였으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내장하고 있는 컴퓨터 등,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는 그 처리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체크아웃 앞의 기록 매체인 디스크(90)로서, 차세대 MD1, 차세대 MD2 등의 유니크 식별자를 가지는 MD를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록 매체, 예를 들면, 재기입 가능한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크(90)로서는 예를 들면 10000곡 등, 대량의 곡을 기록 가능한 대기록 용량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Claims (10)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1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상기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와,
상기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집합체에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집합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1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상기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에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를 검색하고,
상기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집합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로부터 형성되는 제1 집합체가 복수 기록된 제1 기록 매체와 제2 기록 매체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1 이상의 상기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동시에 재생 순서가 나타난 각각의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에의 지시를 하는 포인터를 규정하는 제2 집합체에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를 검색하고,
상기 제2 집합체에 의해 지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상기 제1 기록 매체 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모두의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를 상기 제1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2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마다 상이한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집합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KR1020057002322A 2003-06-09 2004-06-08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프로그램 KR20060017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3470 2003-06-09
JP2003163470 2003-06-09
JPJP-P-2004-00163321 2004-06-01
JP2004163321A JP4264949B2 (ja) 2003-06-09 2004-06-01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734A true KR20060017734A (ko) 2006-02-27

Family

ID=3351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322A KR20060017734A (ko) 2003-06-09 2004-06-08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64949B2 (ko)
KR (1) KR20060017734A (ko)
WO (1) WO2004109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717A (ja) * 2005-02-22 2006-09-07 Sony Corp コンテンツ転送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35015B2 (ja) 2005-07-2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送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
JP4784371B2 (ja) 2006-04-06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
JP4506840B2 (ja) * 2008-01-21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226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4135287B2 (ja) * 2000-02-01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携帯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転送及び再生方法
JP2001243709A (ja) * 2000-02-25 2001-09-07 Aiwa Co Ltd 情報記録制御装置
JP3934309B2 (ja) * 2000-06-13 2007-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連係再生方式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関連装置
JP4701550B2 (ja) * 2001-07-06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29795A (ja) * 2001-07-17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音楽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JP2003068053A (ja) * 2001-08-24 2003-03-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25922A (ja) 2005-01-27
WO2004109685A1 (ja) 2004-12-16
JP4264949B2 (ja)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308B1 (ko) 컨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컨텐츠 데이터 전송 방법
JP3855862B2 (ja) 編集方法および装置
JP3855863B2 (ja) 再生方法および装置、記録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59850A (ko) 파일 전송 시스템 및 파일 전송 방법
JP426494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JP3888353B2 (ja) データ編集装置及びデータ編集方法
JP2005049730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端末装置
JP2005044465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
US20060167574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program
JP4182790B2 (ja) 記録方法
JP4066862B2 (ja) データアクセス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4214886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08708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196882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5018842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5032379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4087077A (ja) 記録方法、記録媒体のドライブ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2004087078A (ja) データアクセス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2004087084A (ja) 記録媒体の初期化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の初期化および初期化解除方法
JP2004087079A (ja) 記録媒体および記録方法
JP2004087075A (ja)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ならびに、編集方法
JP200519685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4079091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5276241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4087080A (ja) トラック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