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191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191A
KR20060017191A KR1020040065763A KR20040065763A KR20060017191A KR 20060017191 A KR20060017191 A KR 20060017191A KR 1020040065763 A KR1020040065763 A KR 1020040065763A KR 20040065763 A KR20040065763 A KR 20040065763A KR 20060017191 A KR20060017191 A KR 2006001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electrode
plasma
electrode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394B1 (ko
Inventor
백홍구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6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3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37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10Treatment of gases
    • H05H2245/17Exhaust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극에 절연제인 유전막대를 씌워 형성하고, 상기 상측 유전막대의 하단에 상기 하측 유전막대의 방향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하측 유전막대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된 유전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아크방전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전기장 형성 작용을 이루게 되고, 상기 전극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호 최적의 플라즈마 형성 거리로 근접되는 유전막대 및 유전돌기로 플라즈마 형성 작용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전극간의 이상작용을 방지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유전막대 및 유전돌기에 최적화된 플라즈마가 형성되도록 된 것이다.
공기청정기, 정화장치, 플라즈마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N AIR CLEANER}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정화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플라즈마 정화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분리·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전압·전류파형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공기청정기 20 - 공기정화장치
30 - 전원 31 - 전선
40 - 전극 50 - 유전체
60 - 유전막대 61 - 상판
62 - 하판 70 - 유전돌기
80 - 지지대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간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 및 유해가스 등을 전리시켜 제거하도록 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자동차의 매연이나 공장의 유해가스 등 미세한 먼지가 공기 중에 포함되는 대기오염이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대기오염에 따라 공기를 정화하도록 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상기 미세한 크기의 먼지는 기존의 망사형상으로 형성된 필터 등으로 걸러지지 않으므로, 전극과 전극사이의 전기장에서 발생되는 방전현상으로 상기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플라즈마 정화기의 개발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플라즈마 정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00)과, 이 전원(100)의 양극에 연결되는 전선(400)과, 상기 양극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전선(400)에 각각 연결된 전극(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100)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전원(100)의 음극에 연결된 전극(200)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이 방출된 전자가 상기 음의 전극(200)에 대응되는 전극(200)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전극(200)간에 위치된 공기 중의 입자들에 전자를 더하여 음의 극성을 띠도록 하고, 이 음의 극성을 띤 입자들이 양의 극성을 갖는 다른 물질 및 상기 대응되는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되었다.
또, 상기 전극(200)의 전기장을 증폭시키도록 상기 전극(200)에 절연물인 유전체(300)를 더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의 개발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상기 전극(200)간의 거리가 멀어 상기 전극(200)간에 전기장이 형성되기 어렵고, 상기 전기장의 형성을 위해 상기 전극(200)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이거나 상기 전극(200)간의 거리를 좁히는 경우, 상기 전극(200)간의 기체절연상태가 깨지면서 아크방전(arc discharge)이 발생되어 상기 전극(200)이 증발되는 장비손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전원(100)의 전력손실이 커져 활용이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 상기 전극(200)간의 전압과 거리에 관계없이 상기 전극(200)의 주변에만 플라즈마가 미소하게 발생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은 불가능하였다.
여기서, 상기 일측의 전극(200)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대응되는 전극(200)에 이르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00)간에 전자의 유도역할을 이루는 유전체(500)를 연결하는 구성이 있었으나, 이 구성 또한 상기 일측의 전극(200)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에너지가 미비하여 상기 전자가 도 1의 유전체(300) 구성보다 조금 더 길게 방출되나 상기 아크방전을 방지하도록 멀리 이격된 2개의 전극(200)사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 상기 전극을 봉과 원통형으로 구성하거나, 전자의 방출을 돕는 코팅을 이루는 등의 시도가 있었으나, 상기 플라즈마의 형성 및 공기의 정화는 상기한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플라즈마의 형성을 위해 전압을 높이므로 해서 아크방전 및 스파크의 발생은 물론,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 되어 실질적인 공기청정기의 구현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65068호(유전체장벽구조를 갖는 혼합일체형 유해가스정화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집구조를 갖는 다수의 담체셀(700)에 각각 전극(600)을 삽입하여 상기 전극(600)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상기 담체셀(600)의 내부에 코팅된 화합물에 접해 광촉매역할을 하도록 하는 구조가 있었으나, 이는 전극(600)과 전극(600) 사이에 벽체를 두어 상기 전극(600)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담체셀(600)의 벽체에 이르는 것으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봉형상의 전극과 판형상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플라즈마형성장치를 다수 연결한 것으로 해당 플라즈마의 효율이 낮아 이를 벽체에 코팅된 화합물로써 보완하도록 된 구성이며, 상기 담체셀(600)의 내부로 유통되는 가스는 상기 코팅된 화합물과 반응되는 가스로 한정되어 통상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전극들(200, 600)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전극(200,600)과 공기 중의 산소 등이 반응하여 상기 전극(200, 600)이 부식되거나, 상기 전극과 전극 또는 전극(600)과 담체셀(700) 등의 구성품이 아크방전되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플라즈마 형성장치들은 전극간의 아크방전 등 이상작용을 방지하려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이루는 간격을 멀리하여야 하고, 또 상기 전극간의 간격을 멀리하면 플라즈마의 형성이 불가능하거나 각 전극의 주변에만 미소하게 형성되어 그 활용이 불가능하며, 전극간의 거리를 멀리하고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고압전원의 인가로 인한 부담 및 아크방전 등의 이상작용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이 발생되므로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켜 제거하도록 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이 전극과 상기 전극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유전체의 단순구성 만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가 형성되는 전극간의 거리를 전극에 더 부착된 유전체로 이루도록 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에 부착된 유전체 간의 전자방출을 유도하도록 되어 상기 유전체 간의 아크방전 등 이상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로 인한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도록 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쌍을 이루는 전극의 전기장에 의해 방전작용을 이루고, 상기 각 전극에 부착됨과 더불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유전체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쌍을 이루는 전극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배열되고, 상기 각 전극에 유전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전극은 폭이 좁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의 상/하면에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유전막대가 상기 전극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 중에서 상측 유전막대의 하단에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 중에서 하측 유전막대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하측 유전막대와의 사이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된 유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유전돌기는 상측 유전막대의 하단에 상기 유전막대의 형상에 따라 다수가 배열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 양측단 상/하면에 각각 접해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가 이루는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유전돌기와 하측의 유전막대가 이루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유전돌기의 하면과 하측 유전막대의 상면이 이루는 간격은 0.1~0.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가 공기청정기(10)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의 각 구성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의 직류전압에서의 전압 전류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공기정화장치(20)는 전원(30)과, 전선(31)과, 전극(40) 및 유전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30)은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통상의 전원(30)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으로 8㎸의 전압을 단발적으로 통전시키도록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의 전압 위상이 초당 1000회 나타나도록 1㎑의 주기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31)은 상기 전원(30)에서 후술하는 전극(4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30)의 전류를 전극(40)으로 통전시키도록 된 통상의 전선(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40)은 상기 전원(30)의 통전에 따라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2개의 전극(40)이 쌍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40)간의 거리는 아크방전 등의 이상작용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극(40)간에 인가되는 8㎸의 전압으로 아크방전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3㎜ 이상의 거리로 한다.
또, 상기 전극(40)은 상호 표면방전(surface discharge)을 이루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공기청정기(10) 필터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폭이 좁은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40)은 본 실시예에서 비교적 전도성이 크고 활용이 가능한 구리(Cu)로 구성된다.
상기 유전체(50)는 상기 쌍을 이루는 전극(40)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전극(40)이 형성하는 전기장에 의해 방전작용을 이루도록 된 절연체로 구성된다.
또, 상기 유전체(50)는 유전막대(60)와, 유전돌기(70) 및 지지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전막대(60)는 도 5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판형상의 상판(61)과 하판(6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40)에 부착되도록 상기 전극(40)의 형상과 유사한 폭이 좁은 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상판(61)과 하판(6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전극(40)이 유전막대(6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상판(61)과 하판(62)이 상기 전극(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전극(40)의 외곽부에서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60)가 상호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전막대(60)는 상기 전극(40)에 연결되는 전원(30)을 절연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전극(4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유전분극 [誘電分極, dielectric polarization]을 일으키도록 된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aluminum oxide, Al2O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돌기(70)는 상기 유전막대(60)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60) 중에서 하측의 유전막대(60) 상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과 상기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유전돌기(70)는 상기 유전막대(60)의 형상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 유전막대(60) 하면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그 하면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전돌기(70)는 상기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과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의 이격거리는 0.1~0.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이격거리는 가까울수록 플라즈마의 효율이 증가하나, 상기 이격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정화될 공기의 유통이 불가능하게되고, 상기 이격거리가 너무 멀게 형성되면 플라즈마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플라즈마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전원(30)(8㎸)에 적절한 이격거리로는 0.1~0.2㎜의 거리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전돌기(70)는 상기 유전막대(60)의 재질과 동일한 알루미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전막대(60)와 유전돌기(70)는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접합면에서의 방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전돌기(70)는 그 좌/우 폭을 크게 형성하여 상기 유전막대(60)와의 플라즈마 형성면적을 넓힐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전기장의 세기에 최적화된 유전돌기(70)의 높이와 유사한 좌/우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전돌기(70)간의 거리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유전돌기(70) 간에 상호 전기작용이 차단되는 거리로 배열된다.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한 쌍의 유전체(50)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유전체(50)들이 상호 배열되는 경우,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전막대(60)의 양측단에 쌍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대(80)는 그 상면이 상기 상측 유전막대(60)의 하면에 접하고, 그 하면이 상기 하측 유전막대(60)에 접하도록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유전막대(60)와 하측 유전막대(60)가 접해 이루는 유전막대(60)의 상/하 길이가 2㎜로 형성되고, 상기 유전돌기(70)의 상/하 길이가 2.3~2.4㎜로 형성되면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가 상호 0.1~0.2㎜로 이격되도록 2.5㎜의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전극(40) 및 유전체(50)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경우, 상측 유전막대(60)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유전돌기(70)가 하측 유전돌기(7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이 하측 유전돌기(70)의 하단에 다시 상기 유전돌기(70)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유전돌기(70)의 하측에 형성된 또 다른 하측 유전돌기(7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전극(40) 및 유 전체(50)가 상/하방향으로 연속되는 전기장을 형성함과 더불어 연속적으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전극(40)의 상/하면에 접합된 유전막대(60)의 상판(61)과 하판(62)은 상기 유전돌기(70)와 일체로 유전분극 작용되거나, 상기 유전돌기(70)와 대응되면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8㎸의 전압을 1㎑의 주기로 인가하는 전원(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8㎸의 전압이 전원(30)의 일측에 연결된 전선(31)을 통해 상기 전원(30)의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전극(40)으로 통전된다.
이때, 전원(30)의 타측에 연결된 전극(40)으로는 통전이 차단된다.
상기 전원(30)의 일측에 연결된 전극(40)에 전원(30)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쌍을 이루는 전극(40)의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기장의 내부에 형성된 유전체(50)에 유전분극 [誘電分極, dielectric polarization]이 발생되면서 상기 8㎸의 전원(30)이 통전되는 상측 전극(40)에 체결된 유전체(50)는 음의 극성으로 유기된다.
또, 상기 유전체(50) 전체가 음의 극성을 띠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유전체(50)의 최외 돌출부인 유전돌기(70)의 하면에서 전하가 방출된다.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에서 전자가 방출되면서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유전막대(60) 중에서 하측의 유전막대(60)의 상면 사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상기 플라즈마가 형성되면서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과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플라즈마의 내부에서 음의 극성을 갖도록 이온화되고, 이 이온화된 이물질이 양의 극성을 띤 상기 하측 유전체(50)의 표면 또는 공기정화장치(20) 외측의 타 장치에 부착되면서 상기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사이로 유통되는 공기가 정화된다.
또, 상기 플라즈마로 유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 등이 상기 플라즈마의 내부에서 전자를 받아 무해한 가스로 변화되어 유통되면서 상기 유전돌기(70)와 유전막대(60)의 사이로 유통되는 공기가 청정된다.
이때, 상기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사이로 유통되는 공기는 상기 플라즈마의 내부로 유통되면서 다수의 기체가 이온화되어 음이온화 된 기체를 공급함은 물론, 상기 다수의 기체가 전자를 얻어 라디칼로 변화되면서 유해가스 및 물질을 무해가스로 변화시키도록 되고, 상기 공기 중의 산소를 받아 2~3중의 화학변화를 거쳐 오존(O3)이 형성된다.
또, 상기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통되지 않는 공기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각 유전돌기(70)의 사이공간으로 유통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공간에서 형성되어 방출되는 오존의 분해작용에 의해 청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 에 형성되는 플라즈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의 전압에서 가장 최적화된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되며, 상기 유전돌기(70)의 하면에서 하측 유전막대(60)의 상면에 이르는 0.1~0.2㎜의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한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상기 유전돌기(70)와 유전막대(60)의 사이로 유통되는 공기 전체를 정화시키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전원(30)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30)의 세기가 작으면 상기 유전돌기(70)와 유전막대(60)의 사이공간 전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원(30)의 세기가 크면 상기 유전돌기(70)와 유전막대(60)의 사이공간에서 아크방전이 발생되거나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된다.
또, 상기 전원(30)의 제어로 인해 상기 플라즈마 공간에서 생성되는 오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8㎸의 전압으로 최적화된 플라즈마 공간에서 생성되는 오존의 양은 0.06~0.1ppm(정부 허용치)이하이다.
또한, 상기 전극(40)이 유전체(5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전극(40)의 부식이나 손상 등이 방지되고, 전극(40) 간의 직접 방전으로 인한 아크방전 등의 소음요인이 제거되어 무음운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극(40)에 체결된 유전돌기(70)와 하측 유전막대(60)의 사이에 형성된 플라즈마 공간에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공기를 이온화시키고,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켜 청정작용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플라즈마 공간에서 오존을 생성하여 유해한 유기물 및 무기물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작용을 이루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간의 거리를 아크방전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전극에 체결된 유전체로써 최적의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최적의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공기정화장치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전극의 부식이나 아크생성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플라즈마 형성으로 인한 소음이 최소화됨과 더불어 낮은 전압을 사용하므로 가정용 공기청정기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전압의 변경으로 오존의 생성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각 환경에 따라 적합한 오존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전극;
    상기 한 쌍의 전극에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전극의 전기장에 의해 유전분극 작용되면서 대향되는 면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전체;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대향되는 면으로써 표면방전을 이루도록 폭이 좁은 한 쌍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전극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전극의 상/하면에 접해 상판과 하판이 상호 접합되어 형성된 유전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중에서 하측 유전체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측 유전체의 하면에서 박스형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유전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돌기는 상기 유전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돌기와 하측 유전체의 이격거리는 0.1~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간의 이격거리 및/또는 상기 유전돌기와 하측 유전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전체의 양측단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들을 지지하는 박스형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040065763A 2004-08-20 2004-08-20 공기정화장치 KR10060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763A KR100601394B1 (ko) 2004-08-20 2004-08-20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763A KR100601394B1 (ko) 2004-08-20 2004-08-20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191A true KR20060017191A (ko) 2006-02-23
KR100601394B1 KR100601394B1 (ko) 2006-07-13

Family

ID=3712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763A KR100601394B1 (ko) 2004-08-20 2004-08-20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3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8395A (zh) * 2014-09-22 2015-02-11 江苏大学 空气净化器过滤膜电场清洗装置及方法
US9117616B2 (en) 2012-07-13 2015-08-25 Sp Tech Co., Lt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type electrode structure for generating plasma having conductive body protrusion on electrodes
CN105665142A (zh) * 2016-03-23 2016-06-15 北京上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柱状介电电泳电极的平板式空气过滤器
KR20170040654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에프티넷 연면방전과 공간방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형 유전체 장벽 방전 전극
WO2022265006A1 (ja) * 2021-06-14 2022-12-22 日本未来科学研究所合同会社 プラズマ発生ユニット、プラズマ発生装置及び殺菌システム
WO2023282089A1 (ja) * 2021-07-08 2023-01-12 日本未来科学研究所合同会社 二酸化炭素処理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処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832B1 (ko) 2010-12-24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62A (ja) 1983-12-05 1985-06-29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JPS62254852A (ja) 1986-04-30 1987-11-06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機
KR100464902B1 (ko) * 2001-02-12 2005-01-05 (주)에스이 플라즈마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
KR200254463Y1 (ko) 2001-07-27 2001-12-01 최진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KR20020023779A (ko) * 2001-12-17 2002-03-29 김기호 프라즈마(Plasma) 발생장치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7616B2 (en) 2012-07-13 2015-08-25 Sp Tech Co., Lt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type electrode structure for generating plasma having conductive body protrusion on electrodes
CN104338395A (zh) * 2014-09-22 2015-02-11 江苏大学 空气净化器过滤膜电场清洗装置及方法
CN104338395B (zh) * 2014-09-22 2016-03-02 江苏大学 空气净化器过滤膜电场清洗装置及方法
KR20170040654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에프티넷 연면방전과 공간방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형 유전체 장벽 방전 전극
CN105665142A (zh) * 2016-03-23 2016-06-15 北京上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柱状介电电泳电极的平板式空气过滤器
WO2022265006A1 (ja) * 2021-06-14 2022-12-22 日本未来科学研究所合同会社 プラズマ発生ユニット、プラズマ発生装置及び殺菌システム
WO2023282089A1 (ja) * 2021-07-08 2023-01-12 日本未来科学研究所合同会社 二酸化炭素処理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394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955B1 (ko) 공기 정화 및 공기 살균을 위한 장치
AU2004239985B2 (en) 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or, and electric device
WO2014010851A1 (ko) 전극상에 도전체 돌출부를 갖는 유전체장벽 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발생 전극 구조체
KR100657476B1 (ko) 연면 방전형 공기정화장치
KR100624731B1 (ko) 연면 방전형 공기정화장치
CN1847736B (zh) 放电装置以及具有所述放电装置的空调
WO2000078670A1 (en) High efficiency corona discharge device for generating ozone
WO2017061735A1 (ko) 연면방전과 공간방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형 유전체 장벽 방전 전극
KR100709764B1 (ko) 오존 발생 장치 및 코로나 발생 장치
KR100606721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KR100601394B1 (ko) 공기정화장치
EP1635123B1 (en) Surface discharge type air cleaning device
US9381267B2 (en)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JP2004103257A (ja) 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オン発生装置、ならびに電気機器
KR100650051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하수 및 폐수 정화방법
JPS6186403A (ja) セラミツクを用いたオゾナイザ−装置
KR20040009771A (ko) 유전체 매입형 전극 보호 구조의 다단식 배리어 방전장치
WO2004023615A1 (ja)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素子の製造方法、イオン発生素子を備えた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4015757B2 (ja) 電気集塵器用電極ユニット
RU177612U1 (ru) Генератор холодной плазмы
KR100997165B1 (ko) 공기 청정 및 살균용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변압기
JP2004349145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RU91009U1 (ru) Газоразрядный блок установки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KR100600755B1 (ko) 연면 방전형 공기정화장치
RU2801666C2 (ru) Н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плазменной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