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398A -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398A
KR20060016398A KR1020040064820A KR20040064820A KR20060016398A KR 20060016398 A KR20060016398 A KR 20060016398A KR 1020040064820 A KR1020040064820 A KR 1020040064820A KR 20040064820 A KR20040064820 A KR 20040064820A KR 20060016398 A KR20060016398 A KR 2006001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passenger
armres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398A/ko
Publication of KR2006001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는 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시 상기 암레스트와 연동되어 착석된 상기 승객을 감싸는 벨트어셈블리와; 상기 벨트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벨트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트에 5개소가 고정되어 승객을 안착시키기 때문에 승객을 충격 및 충돌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승객의 전방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승객을 감싸는 암레스트에 의해 벨트가 착용됨으로서 착용이 간편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Seat belt structure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암레스트
22 : 프레임 24 : 힌지
30 : 벨트어셈블리 32 : 벨트
34 : 리트랙터 36 : 텅
38 : 버클 40 : 벨트에어백
42 : 쿠션 44 : 인플레이터
46 : 튜브 50 : 벨트에어백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5점식 시트 벨트에 의해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감싸는 것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벨트에서 쿠션이 전개되는 벨트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벨트(Seat Belt)는 자동차 충돌 시 차 실내의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트에 몸을 밀착시키는 벨트이다.
그리고 에어백(Air Bag)은 자동차 충돌 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휠 사이,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루먼트패널 사이 또는 운전자의 무릎부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로 전개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3636호에 등록된 차량의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종래 차량용 안전벨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의 측면에 설치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벨트(2)를 시트(1)에 착석한 승차자의 신체에 부합되게 조절한 후 시트(1)에 착석한 승차자의 신체를 벨트(2)로 시트(1)에 밀착시켜 충돌 시 시트(1)에 착석한 승차자가 전방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2)에는 차량의 충돌 시 팽창되는 벨트에어백(3)이 구비되고, 상기 벨트에어백(3)은 벨트(2)의 내측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벨트(2)의 내측면, 즉 승객 측으로 부풀어올라 벨트(2)와 승차자의 신체 사이에 쿠션부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벨트(2)는 승객을 지지하기 위해 시트(1)의 3군데에 고정되는 3점식 벨트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벨트에어백(3)은 3점식 벨트(2)로 구성되기 때문에 벨트에어백(3)이 작동하더라도 벨트에어백(3)에 의한 승객보호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의 착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승객의 보호효과가 월등한 시트 벨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는 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시 상기 암레스트와 연동되어 착석된 상기 승객을 감싸는 벨트어셈블리와; 상기 벨트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벨트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구조는 승객이 착석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전방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20)와,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암레스트(arm rest, 20)의 회전 시 상기 암레스트(20)와 함께 연장되어 승객을 감싸는 벨트어셈블리(30)와, 상기 벨트어셈블리(30)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승객 측으로 전개되는 벨트에어백(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레스트(20)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암레스트(20)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승객을 감싸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시트(10)를 연결하는 힌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24)는 상기 시트(10)의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24)의 높이는 승객이 시트(10)에 앉았을 경우 승객의 허리에 대응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어셈블리(30)는 상기 시트(10) 내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22)을 관통하며, 상기 암레스트(20)의 회전 시 상기 벨트어셈블리(20)는 상기 암레스트(20)의 회전각에 따라 연장되는 구조이다.
그래서 상기 벨트어셈블리(30)는 승객에 밀착되는 벨트(32)와, 승객의 의도에 의해 상기 벨트(32)가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32)를 감고 있는 리트랙터(retractor, 34)와, 상기 벨트(32)의 타단에 고정된 텅(tongue,36)과, 상기 텅(36)과 결합되는 버클(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34)는 상기 시트(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32)의 일단은 상기 리트랙터(34)에 고정된다.
상기 벨트(32)는 상기 시트(10)의 내부에서 상기 시트(10)의 상단을 관통하여 시트(10) 밖으로 설치되고, 상기 벨트(32)는 승객을 양어깨를 감싸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벨트(32)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22)을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22)을 관통한 벨트(32)의 타단에는 상기 텅(36)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22)에 걸리는 텅(36)에 의해 상기 리트랙터(34)에 감겨지는 벨트(32)의 감김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버클(38)은 상기 시트(1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벨트에어백(40)은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충돌을 감지하여 전개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3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에어백(40)은 사익 벨트(32)에 설치되는 쿠션(42)과, 상기 쿠션(42)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42)은 벨트(32)에 고정되어 폴딩되어있고, 상기 인플레이터(44)에서 분출된 가스는 상기 쿠션(42)과 상기 인플레이터(44)를 연결시키는 튜브(46)를 통해 상기 쿠션(42)에 유입된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에어백(50)은 상기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작동됨으로서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복부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4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하기 전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어셈블리(30) 및 암레스트(20)가 위치된다.
즉, 상기 암레스트(20)는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벨트(32)는 리트랙터(34)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벨트(32)의 타단에 위치된 텅(36)은 상기 프레임(22)이 위치된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후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한 다음 상기 암레스트(20)의 프레임(22)을 잡아당기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2)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승객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고, 상기 벨트(32)는 리트랙터(34)로부터 연장되어 승객의 양어깨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승객이 상기 텅(36)을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버클(38)에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벨트(32) 및 암레스트(20)는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텅(36)과 상기 버클(38)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을 일으킬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벨트에어백(40)을 작동시키고, 상기 벨트에어백(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44)는 고압을 가스를 분출시키며, 상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상기 벨트(32)에 장착된 쿠션(42)이 전개되어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구조는 벨트(32)가 고정된 시트(10)의 상단 양측, 상기 프레임(22)이 장착된 힌지(24) 양측 및 상기 텅(36)과 버클(38)이 결합된 시트(10) 하측을 고정하는 5점식 고정구조이기 때문에 승객이 시트(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한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22)은 승객의 착석 시 승객의 전방 및 좌/우측 둘레에 위치되는 바, 승객이 상기 프레임(22)에 기댈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승차에 따른 피로를 완화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구조는 암레스트를 이용하여 시트에 5개소에 고정되어 승객을 안착시키기 때문에 승객을 충격 및 충돌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구조는 승객의 전방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승객을 감싸는 암레스트에 의해 벨트가 착용됨으로서 착용이 간편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구조는 승객과 밀착되는 벨트에 벨트에어백이 구비됨으로서 차량의 충돌 시 벨트에 설치된 쿠션이 전개되어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구조는 프레임에도 벨트에어백이 설치됨으로서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복부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시 상기 암레스트와 연동되어 착석된 상기 승객을 감싸는 벨트어셈블리와;
    상기 벨트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벨트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어셈블리는 시트의 내부에 고정된 리트랙터와;
    상기 리트랙터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감겨지는 벨트와;
    상기 암레스트를 관통한 상기 벨트의 타단에 고정된 텅과;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상기 텅과 결합되는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어백은 상기 암레스트에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의 시트 벨트구조.
KR1020040064820A 2004-08-17 2004-08-17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KR20060016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0A KR20060016398A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0A KR20060016398A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98A true KR20060016398A (ko) 2006-02-22

Family

ID=3712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20A KR20060016398A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3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04A3 (ko) * 2009-10-13 2011-09-15 Park Nam-Young 자동차용 안전벨트
JP2018171999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Subaru アームレスト
WO2019208947A1 (ko) * 2018-04-23 2019-10-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04A3 (ko) * 2009-10-13 2011-09-15 Park Nam-Young 자동차용 안전벨트
US8783782B2 (en) 2009-10-13 2014-07-22 Nam-Young Park Safety belt for a vehicle
JP2018171999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Subaru アームレスト
WO2019208947A1 (ko) * 2018-04-23 2019-10-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1541837B2 (en) 2018-04-23 2023-01-0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CN109421650B (zh) 用于车辆的气囊和相关的车辆
KR102305270B1 (ko)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 차량 좌석
KR102434043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1241157B1 (ko) 내장 에어백 장치
CN114340945B (zh) 安全气囊装置及车辆座椅
US11312326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0747379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JP538219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546111A1 (en) Head Airbag
KR20210070413A (ko) 시트 내장형 에어백 장치
JP2009154812A (ja) 乗員保護装置
KR10108127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20200043122A (ko)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JP7402783B2 (ja) 車両用シート・エアバッグ一体型乗員保護装置
JP2002316615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JP3713823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1161748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20220075368A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WO2023185000A1 (zh) 安全气囊装置和组件
JP7381772B2 (ja) シート内蔵エアバッグ装置
KR20100031370A (ko) 에어백 모듈
KR20060016398A (ko) 차량의 시트 벨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