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622A -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 - Google Patents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622A
KR20060015622A KR1020057022531A KR20057022531A KR20060015622A KR 20060015622 A KR20060015622 A KR 20060015622A KR 1020057022531 A KR1020057022531 A KR 1020057022531A KR 20057022531 A KR20057022531 A KR 20057022531A KR 20060015622 A KR20060015622 A KR 2006001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ponent
groove
adjustment member
adju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트헤루스 씨. 제이. 비어호프
요하네스 제이. 에이치. 비. 슐라이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1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Lens Barrel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프레임(2)에 대해 부품(3)의 위치를 지정하여, 적어도 1개의 위치지정부재(12)가 프레임의 적어도 1개의 개구(8)를 통해 도입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위치지정 부재의 일단이 프레임에 놓인 부품의 홈(13)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이 위치지정부재의 상기 일단이 홈의 경계를 이루는 적어도 1개의 벽에 가압되어, 부품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프레임, 위치조정, 조정부재, 광학부품, 레이저 발생원

Description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 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METHOD OF ADJUSTING A COMPONENT RELATIVE TO A FRAME, SYSTEM FOR THIS PURPOSE, AND PRODUCT COMPRISING AN ADJUSTED COMPONENT LOCATED ON A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배치된 부품을 조정하며, 조정부재를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스크류를 구비한 조정장치들을 사용하여 2개의 부품을 서로에 대해 조정하는 방법이 국제특허출원 WO 01/151500에 공지되어 있다. 원하는 방향으로 충분히 정확한 조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크류들의 피치가 비교적 작아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1개의 조정부재가 프레임의 적어도 1개의 개구를 통해 도입됨으로써, 상기 조정부재의 일단이 프레임에 놓인 부품의 홈 내부에 배치되고, 조정부재의 일단이 적어도 상기 홈과 경계를 이루는 벽에 가압되어, 상기 부품 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조정부재에 의해 홈의 벽에 기해진 압력은 부품에 압축력을 일으켜, 이로 인해 부품이 프레임에 대해 변위한다. 조정부재가 부품의 벽에 기대므로, 조정부재의 일단에 기대어진 부품의 위치를 명백하게 조정부재의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홈의 반대쪽에 대향한 상기 부품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부품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부품이 상기 프레임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부품이 조정부재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조정되고 있는 동안, 이 부품이 프레임에 꼭 끼게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부품의 조정은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부품이 스프링 힘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힘은 간단한 방법으로 부품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부품이 원하는 위치로 일단 조정되면, 이 부품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일단 조정된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부품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원하는 위치로 상기 부품이 조정된 후에, 상기 조정부재가 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품의 조정후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대한 부품의 고정을 거친 후에 조정부재를 분리한다는 사실은, 조정부재가 부품을 구비한 프레임의 일부를 더 이상 구성하지 않으므로, 이 프레임의 무게가 비교적 제한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그후에 다른 프레임에 다른 부품을 조정하는데 이 조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게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조정부재가 프레임의 개구 내부에 배치되어, 조정부재의 일단이 부품의 홈 내부에 놓일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홈의 경계를 이루는 벽에 조정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사용하여 부품을 프레임에 대해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홈의 벽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결과, 벽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부품과 함께 변위한다. 이에 따르면, 홈의 벽 또는 벽들의 방향에 따라 조정 방향 또는 방향들이 좌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단부에 연결된 상기 조정부재의 지지부가 이 단부 그 자체보다 폭이 넓고, 이 조정부재의 지지부는 프레임 내부에 놓인 지지면의 개구 주위의 홈으로부터 이격된 프레임의 일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정부재가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이 조정부재는 상기 지지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변위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부품이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는 방향의 수가, 간단하게 예를 들어 한가지의 원하는 조정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지지면이 V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재의 지지부의 벽들이 V 홈 형태의 지지면에 기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 홈 지지면은, 간단하게 조정부재에 대한 지지와, 조정부재의 변위 가능성에 대한 제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하고도 간단하게 프레임에 배치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상기 부품이 프레임 내부의 개구의 반대측에 배치된 홈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통계상, 홈을 구비한 부품이 이 홈의 벽이 변위, 이에 따라 프레임에 대한 그루브의 변위를 통해 조정되었기 때문에, 상기 홈이 프레임 내부의 개구에 대해 비교적 자주 비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하,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III-III선에 따른 도 2의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IV-IV선에 따른 도 2의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부여된다.
도 1은 광학 부품(3)이 놓인 프레임(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1)의 사시도이다. 광학 부품들(3)은, 예를 들면, 렌즈, 콜리메이터, 편향기 및 필터일 수 있다. 제품(1)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레이저 발생원(4)을 더 구비한다.
광학 부품들(3)은 V자 형태의 표면들(5) 내부에 유지된다. 부품들(3)은 스프링(6)의 스프링 힘에 의해 표면들(5)에 가압된다.
레이저 발생원(4)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빔이 광학 부품들(3)을 통해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레임(2)에 대한 광학 부품들(3)의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광학 부품들(3)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정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시스템(11)을 평면도와 단면도로 각각 나타낸 것으로, 이 시스템은 조정부재(12)를 사용하여 제품(1)의 옆에 설치되며, 이하에서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이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부품(3)이 X 방향과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V자 형태의 홈(5)은 프레임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6)의 스프링 힘에 의해 V자 형태의 홈(5)에서 멀리 떨어진 면에 위치한 V자 형태의 홈(5)에 대해 부품(3)이 가압되도록, 부품(3)이 V자 형태의 홈(5) 내부에 놓인다. 이에 따르면, Z 방향과 이 Z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광학부재(3)의 변위가 불가능하다. 더구나, 홈(5)의 V자 형태는, β 방향과 γ 방향과 이들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부품(3)의 회전을 마찬가지로 불가능하게 만든다. 더욱이, V자 홈(5)으로 인해, Y 방향과 이것에 대양하 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Z 방향으로의 변위와 조합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V자 홈(5)으로 인해, 부품(3)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변위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부품(3)의 Y 방향과 이것과 대양하는 방향으로의 범위도 차단된다.
α 방향 또는 이것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X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품(3)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부품(3)이 V자 형태의 표면(5)에 대응하는 이와 맞물리는 V자 형태의 면들(7)(도 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 방향 또는 이것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부품(3)을 변위시키기 위해, 프레임(2)은 부품(3)과 대향하는 면에 V자 홈 형태 또는 원추형 지지 표면(9)으로 나가는 원통형 구멍(8)을 구비한다. V자 홈 형태의 지지 표면(9) 내부에 중앙 배치된 오목부(10)가 설치된다.
부품(3)은, 프레임(1)과 대향하며 오목부(10)의 반대측에 있는 일면에 벽들(11, 12)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홈(130을 구비한다. 홈(13)은 Y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조정부재(12)는, 가늘고 긴 손잡이와, 이 손잡이에 연결된 반경 R1을 갖는 구형 부분(14)과, 손잡이에서 멀리 떨어진 측에 구형 부분(14)에 연결된 연결편(15)과, 구형 부분(1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면에서 연결편(15)에 연결된 반경 R2를 갖는 구형 부분(16)을 구비한다. 홈(13)의 벽들 11 및 12 사이의 거리는 반경 R2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약간 크며, 이로 인해 구형 부분(15)이 부품(3) 내부에 꼭 맞게 설치될 수 있다.
오목부(10)의 폭은, 연결편(15)과 이 연결편에 연결된 구형 부분(16)이 쉽게 이 오목부를 통과할 수 있는 한편, 더 큰 구형 부분(14)이 이 오목부(10)를 통과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더 작은 구형 부분(16)이 홈(13) 내부에 놓일 때, 더 큰 구형 부분(14)이 V자 홈 형태의 지지 표면(9)에 기대어지도록, 조정부재(12)의 치수들이 설정된다.
X로 표시된 방향 또는 이와 빈대 방향으로 프레임(2)에 대해 부품(3)을 조정하고자 하면, 조정부재(2)를 Y축을 중심으로 화살표 P2로 표시한 방향으로 또는 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이 동안에, 더 큰 구형 부분(14)이 V자 형상의 지지 표면(9) 위를 굴러가는 한편, 구현 부분(14)에 연결된 더 작은 구형 부분(16)도 화살표 P1으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회전 변위를 겪게 된다. 화살표 P1으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형 부분(61)의 좌측이 홈(13)의 벽(11)에 기대어지게 하여, 구형 부분(16)의 변위가 부품(3)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화살표 P1의 반대 방향으로의 조정부재(12)의 회전은 구형 부분의 우측을 홈(13)의 벽(12)에 대해 밀며, 이로 인해 부품(3)이 반대의 X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정부재(12)의 손잡이가 구형 부분들 14 및 16 사이의 거리에 비해 비교적 길면, 손잡이의 비교적 큰 회전 운동이 X 방향 또는 이것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부품(3)의 비교적 작은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2)에 대해 부품(3)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품이 프레임(2)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놓였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기계적인 틈새 측정기, 광 빔 등의 공지된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X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부품(3)을 변위시키는 동안, 스프링(6)이 홈(13)에서 멀리 떨어진 부품(3)의 면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프링(6)은 스 프링(6)을 거의 가로질러 연장되는 핀(17)을 사용하여 화살표 P2로 표시된 방향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 변위를 수행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핀(17)은 프레임(2)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18) 내부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6)이 부품(3)과 함께 움직이므로, 스프링(6)은 홈(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만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6)이 부품(3)에 힘을 가해, 이로 인해 부품(3)이 β 방향과 이와 반대 방향으로 선회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일이 방지된다.
부품(3)이 프레임(2)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레임(2)에 부품(3)을 설치하기 전에, 부품(3)과 프레임(2) 사이에 접착제, 예를 들면 UV 경화 접착제가 설치되고, 프레임(2)에 대해 부품(3)이 정확하게 배치된 후에, 이 접착제를 UV 방사빔을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부품이 프레임(2)에 고정된 후에, 홈(13)과 프레임(2)으로부터 조정부재(12)를 분리함으로써, 다음의 부품(3)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부재(1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부품에서의 홈은 가늘고 길 수도 있지만, 한쪽이 막힌 사각형의 또는 둥근 구멍을 홈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정부재가 신장될 때 통과하는 프레임 내부의 구멍 또는 홈은 원통형 구멍, 길다란 슬롯 등일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 그 자체가, 예를 들어 광학 부품(3)일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 하다.

Claims (17)

  1.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조정부재가 프레임의 적어도 1개의 개구를 통해 도입됨으로써, 상기 조정부재의 일단이 프레임에 놓인 부품의 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부재의 일단이 적어도 상기 홈과 경계를 이루는 벽에 가압되어, 상기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반대쪽에 대향한 상기 부품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부품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부품이 상기 프레임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스프링 힘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원하는 위치로 일단 조정되면, 이 부품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로 상기 부품이 조정된 후에, 상기 조정부재가 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7. 프레임에 놓인 부품을 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부재가 프레임의 개구 내부에 배치되어, 조정부재의 일단이 부품의 홈 내부에 놓일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홈의 경계를 이루는 벽에 조정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사용하여 부품을 프레임에 대해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 연결된 상기 조정부재의 지지부가 이 단부 그 자체보다 폭이 넓고, 이 조정부재의 지지부는 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프레임 내부에 놓인 지지면의 개구 주위에 놓인 프레임의 일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이 V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재의 지지부의 벽들이 V 홈 형태의 지지면에 기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가 한가지 자유도로 변위가능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홈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평행한 방향으로만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부품의 면의 반대측에 부재가 배치되고, 이 부재를 사용하여 부품이 프레임에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부품에 기대어지고, 이 일단이 조정 방향으로 상기 부품과 함께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4. 제 6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프레임의 V 홈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5. 제 6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광학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
  16.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으로서, 프레임 상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프레임의 개구의 반대측에 놓인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부품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57022531A 2003-05-27 2004-05-14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 KR20060015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1536 2003-05-27
EP03101536.5 2003-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622A true KR20060015622A (ko) 2006-02-17

Family

ID=3348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531A KR20060015622A (ko) 2003-05-27 2004-05-14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06531A1 (ko)
EP (1) EP1631849A1 (ko)
JP (1) JP2006528796A (ko)
KR (1) KR20060015622A (ko)
CN (1) CN1795410A (ko)
WO (1) WO2004107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26263B (zh) 2007-01-18 2010-04-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紫外胶固化装置和镜头模组组装方法
CN104076614B (zh) * 2013-03-27 2016-07-06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物镜框架连接件
JP2015059432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242A (en) * 1984-04-27 1986-07-2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ical snap switch
JPH0266733A (ja) * 1988-08-31 1990-03-06 Asahi Optical Co Ltd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学系
US5943153A (en) * 1995-04-21 1999-08-24 Minolta Co., Ltd. Lens holding apparatus and a light-beam scanning optical apparatus
JPH11203719A (ja) * 1998-01-09 1999-07-30 Sony Corp 光学素子ホルダーと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7006A1 (en) 2004-12-09
CN1795410A (zh) 2006-06-28
US20070006531A1 (en) 2007-01-11
EP1631849A1 (en) 2006-03-08
JP2006528796A (ja)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5622A (ko) 프레임에 대해 부품을 조정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과,프레임에 배치된 조정된 부품을 구비한 제품
US20150316741A1 (en) Apparatus for fixing solid immersion lens
CA2130862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lignment of Optical Fibers
US6754416B1 (en) Method for tensioning and positioning a fiber optic cable
KR100416758B1 (ko) 마이크로미러 액튜에이터
JP2007316474A (ja) 光ファイバア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TWI531825B (zh) 條帶式透鏡用的可調整的透鏡支座
KR20130141432A (ko) 2개의 광학 부품을 위한 다단계 조절형 마운트 어셈블리
US6898029B2 (en) Optical bench with alignment subassembly
JP6492277B2 (ja) 傾斜調整装置
US6584269B1 (en) Fiber optic cable tension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JP2649143B2 (ja) 電気光学走査装置
US7689091B1 (en) Unitary fiber clamp with flexible members and a member mover
KR101290906B1 (ko) 센서와 종이 제품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센서 사전 정렬 방법
SU901968A1 (ru) Юст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GB2395290A (en) Optical mirror fixing method using a boss on base plate
CN209842192U (zh) 一种一字线光源
CN209842191U (zh) 一种点线光源
JPH06265802A (ja) ビーム整形レンズモジュール構造およびレーザユニット
JP5066038B2 (ja) 光路長の調節装置
JP7218135B2 (ja) 画像読取装置
JP3568439B2 (ja) 光学ヘッドの光検出器取付装置
US20210255420A1 (en) Flexure Device
KR20190071248A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수평면 변위측정장치
KR20160076304A (ko) 레이저 가공장치용 미러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