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982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982A
KR20060013982A KR1020040062621A KR20040062621A KR20060013982A KR 20060013982 A KR20060013982 A KR 20060013982A KR 1020040062621 A KR1020040062621 A KR 1020040062621A KR 20040062621 A KR20040062621 A KR 20040062621A KR 20060013982 A KR20060013982 A KR 2006001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an
cooking chamber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257B1 (ko
Inventor
조성욱
장홍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257B1/ko
Priority to US11/195,796 priority patent/US7276679B2/en
Priority to JP2005229733A priority patent/JP4028561B2/ja
Publication of KR2006001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실 및 조리실로 구획되며, 상기 부품실과 관통된 부품실관통부를 갖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부품실을 냉각하도록 상기 부품실관통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을 구동하는 팬모터를 갖는 팬조립체와; 상기 부품실관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부품실에 마련된 발열부품으로 안내하는 송풍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품실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 { MICROWAVE OVE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부품실관통부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자렌지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전자렌지의 팬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팬조립체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렌지
10 : 본체케이싱 11 : 본체프레임
13 : 부품실 15 : 조리실
17 : 마그네트론 18 : 고압트랜스
19 : 관통부 21 : 부품실관통부
23 : 조리실관통부 26 : 그릴
27 : 격벽 31 : 배출부
35 : 본체커버 38 : 간섭부
40 : 송풍가이드 41 : 가이드본체
43 : 보조가이드 45 : 스토퍼
50 : 팬조립체 51 : 흡기팬
53 : 흡기블레이드 55 : 흡기팬커버
61 : 배기팬 63 : 배기블레이드
65 : 배기팬커버 66 : 배기커버본체
71 : 팬모터 73 : 팬모터지지대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실을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실 및 조리실로 전자파를 조사할 수 있도록 각종 부품이 배치된 부품실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과,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부품실의 전방에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대개 조리실 내의 음식냄새 등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거나 전자렌지가 배치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등의 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는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47077호 개시된 벽걸이형 전자렌지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의 배기팬 및 팬모터를 갖는 배기팬조립체를 장착하여 송풍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기팬조립체를 회전시켜 배출공이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전자렌지의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외부덕트의 형상에 따라 배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의 전자렌지는 부품실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는 배기팬조립체가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부품실을 냉각하기 위해 별도의 송풍팬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배기팬조립체가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하며, 부품실로 공기를 송풍하여 부품실 내에 장착된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다면 별도의 송풍팬 등을 장착할 필요가 없어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부품실로 송풍된 공기가 부품실 내에 장착된 부품들 중 고온의 발열부품으로 향하도록 가이드를 마련한다면 냉각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실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하나의 팬모터를 이용하여 부품실의 냉각 및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렌지에 있어서, 부품실 및 조리실로 구획되며, 상기 부품실과 관통된 부품실관통부를 갖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부품실을 냉각하도록 상기 부품실관통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을 구동하는 팬모터를 갖는 팬조립체와; 상기 부품실관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부품실에 마련된 발열부품으로 안 내하는 송풍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부품실관통부로부터 상기 부품실로 예각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본체와, 송풍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조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발열부품에 대응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절취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조리실과 관통된 조리실관통부와, 상기 조리실관통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조리실관통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송풍하는 배기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모터는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조리실관통부는 각각 상기 부품실 및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관통부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관통부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조리실관통부 사이에 마련된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실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리실과 상기 부품실 사이의 상기 본체케이싱에는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의 흡기팬 및 배기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배출부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팬조립체와 간섭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된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팬조립체에 근접한 상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1)는 음식 등을 조리하는 조리실(15) 및 조리실(15)로 전자파를 조사할 수 있도록 각종 부품이 배치된 부품실(13)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0)과, 조리실(15)을 개폐하도록 본체케이싱(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3)와, 부품실(13)의 전방에 마련되어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조작패널(5)과, 본체케이싱(10)에 장착되어 부품실(13)을 냉각하는 팬조립체(50)와, 팬조립체(5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가이드(4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은 부품실(13)과 관통된 부품실관통부(21)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은 조리실(15)과 관통된 조리실관통부(23)와, 조리실관통부(23)를 통해 조리실(15)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출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싱(10)은 조리실(15) 및 부품실(13)을 형성하며 부품실관통부(21) 및 조리실관통부(23)가 마련된 본체프레임(11)과, 본체프레임(11)의 좌우측 및 상측을 커버하는 본체커버(35)를 더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에는 팬조립체(50)가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팬조립체(50)와 간섭되도록 간섭부(38)가 마련된다.
본체프레임(11)은 열에 강한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열에 강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조리실(15)과 부품실(13) 사이에 마련된 본체프레임(11)에는 부품실(13)로 송풍된 공기가 조리실(15)로 공급되도록 관통공(19)이 마련된다.
조리실(15)은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그 상측에는 음식물 등에서 배출된 냄새 등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조리실관통부(23)가 마련된다.
부품실(13)은 조리실(15)로 전자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와 같은 부품을 배치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는 작동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품으로써 이러한 고온 발열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부품실(13)의 상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부품실관통부(21)가 마련된다.
부품실관통부(21)는 본체프레임(11)의 상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부품실관통부(21)에는 송풍가이드(40)가 장착되어 후술할 팬조립체(50)의 흡기팬(5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부품실(13)에 마련된 고온의 발열부품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조리실관통부(23)는 본체프레임(11)의 상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부품실관통부(21) 및 조리실관통부(23)의 사이에는 조리실관통부(23)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조리실관통부(23)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벽(27)이 마련된다.
격벽(27)은 본체프레임(11) 및 본체커버(35) 사이에 삽입되어 마련된다. 격 벽(27)은 조리실관통부(23)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후술할 팬조립체(50)의 배기팬(61)에 의해 배출부(31)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격벽(27)은 본체프레임(11) 및 본체커버(3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격벽(27) 사이에는 조리실(15)을 조명하기 위한 램프(미도시)가 설치되며, 램프(미도시)에 대응한 본체프레임(11)의 상측에는 램프(미도시)에서 발생된 빛이 조리실(15)로 비추도록 빛통과공(미도시)이 마련된다. 격벽(27)의 전방에는 전자렌지(1)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그릴(26)이 설치된다. 이에, 후술할 팬조립체(50)의 배기팬(61)은 격벽(27)에 의해 안내되어 조리실관통부(23) 및 그릴(26)로부터 조리실(15) 내의 공기 및 실내공기를 동시에 배출하게 된다.
배출부(31)는 본체케이싱(10)에 조리실관통부(23) 및 그릴(26)을 통해 조리실(15) 내의 공기 및 실내공기를 배출하도록 관통되어 마련된다. 배출부(31)는 조리실(15) 내의 공기 및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실외로 연장 형성된 외부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31)는 전자렌지(1)가 설치될 건물의 외부덕트(미도시)의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건물의 외부덕트(미도시)가 전자렌지(1)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전자렌지(1)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일예로 외부덕트(미도시)가 전자렌지(1)의 상측 혹은 전자렌지(1)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배출부(31)를 본체케이싱(10)의 후방 및 상측에 마련하였다. 즉, 배출부(31)는 본체프레임(11)의 상측 후방에 마련된 제1배출부(33)와, 본체커버(35)의 후방에 마련된 제2배출부(36)를 포 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출부(31)는 본체케이싱(10)의 좌우측, 전방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복수의 배출부(31) 중 어느 하나를 건물의 외부덕트(미도시)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본체커버(35)는 본체프레임(11)의 외측에 역 U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체커버(35)는 본체프레임(11)과 스크루 등에 의해 결합되며, 상측에는 제2배출부(36)가 형성된다.
팬조립체(50)는 부품실(13)을 냉각하도록 부품실관통부(21)로 공기를 송풍하는 흡기팬(51)과, 흡기팬(51)을 구동하는 팬모터(71)를 포함한다. 팬조립체(50)는 흡기팬(51)과 팬모터(71)를 사이에 두고 조리실관통부(23)를 통해 조리실(15) 내의 공기를 배출부(31)로 송풍하는 배기팬(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조립체(50)는 본체케이싱(10)의 상측 후방에 부품실관통부(21) 및 배출부(31)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팬조립체(50)는 본체프레임(11)과 본체커버(35) 사이 및 격벽(27)의 후방영역에 마련된다. 팬조립체(50)는 흡기팬(51) 및 배기팬(61) 중 적어도 하나가 부품실관통부(21) 및 배출부(31)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간섭부(38)에 의해 간섭되어 본체케이싱(10)에 설치되지 않게 된다.
흡기팬(51)은 팬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흡기블레이드(53)와, 흡기블레이드(53)의 외측에 마련되며 흡기블레이드(53)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부품실관통부(21)로 향하도록 마련된 흡기팬커버(55)를 포함한다. 흡기팬(51)은 팬모터(71)의 일측에 부품실관통부(21)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흡기블레이드(53)는 팬모터(71)에 의해 회전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며, 팬모 터(71)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배치된다.
흡기팬커버(55)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흡기블레이드(53)를 수용하는 흡기커버본체(56)와, 흡기블레이드(53)의 회전에 발생된 송풍을 모아 배출하도록 원통면 상에 관통된 흡기부(57)와, 팬모터(71)와 결합되는 반대방향에 주위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된 흡기커버관통부(58)를 포함한다. 흡기팬커버(55)는 흡기부(57)가 부품실관통부(21)에 대해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간섭부(38)와 간섭될 수 있다. 흡기팬커버(55)는 후술할 팬모터지지대(73)에 대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흡기팬커버(55)는 후술할 팬모터지지대(73)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스크루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흡기커버본체(56)는 흡기블레이드(53)의 회전에 발생된 송풍을 흡기부(57)로 모우기 위해 흡기블레이드(53)의 회전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증가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흡기커버본체(56)는 흡기부(57)가 부품실관통부(21)를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만 간섭부(38)와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흡기부(57)가 부품실관통부(21)를 향하지 않고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간섭부(38)에 간섭되어 설치되지 않게 된다.
흡기부(57)는 부품실관통부(21)에 대응하여 흡기커버본체(56)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배기팬(61)은 팬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블레이드(63)와, 배기블레이드(63)의 외측에 마련되며 배기블레이드(63)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배출부(31)로 향하도록 마련된 배기팬커버(65)를 포함한다. 배기팬(61)은 팬모터(71)의 타측에 제1 및 제2배출부(33,36) 중 하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배기블레이드(63)는 팬모터(71)에 의해 회전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며, 팬모터(71)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배치된다.
배기팬커버(65)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기블레이드(63)를 수용하는 배기커버본체(66)와, 배기블레이드(63)의 회전에 발생된 송풍을 모아 배출하도록 원통면 상에 관통된 배기부(67)와, 팬모터(71)와 결합되는 반대방향에 조리실관통부(23) 및 그릴(26)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된 배기커버관통부(68)를 포함한다. 배기팬커버(65)는 배기부(67)가 복수의 배출부(31) 중 어느 하나로 향하도록 팬모터(71)에 대해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배기팬커버(65)는 후술할 팬모터지지대(73)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스크루(69) 등으로 결합되며, 팬모터(71)에 대해 이탈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배출부(33,36) 중 어느 하나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스크루(69)로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배기부(67)가 외부덕트(미도시)의 대응하는 배출부(31)방향으로 향하도록 배기팬커버(65)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배기커버본체(66)는 전술한 흡기커버본체(56)와 유사하게 배기블레이드(63)의 회전에 발생된 송풍을 배기부(67)로 모우기 위해 배기블레이드(63)의 회전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증가되도록 마련된다. 배기부(67)는 배출부(31)에 대응하여 흡기커버본체(56)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팬모터(71)는 흡기팬(51)과 배기팬(61)사이에 마련되어 흡기블레이드(53) 및 배기블레이드(63)를 회전시킨다. 팬모터(71)는 양측에 마련된 팬모터지지대(73)에 의해 지지되어 흡기팬(51) 및 배기팬(61)과 결합된다.
간섭부(38)는 팬조립체(50)의 흡기팬(51) 및 배기팬(61) 중 적어도 하나가 부품실관통부(21) 및 배출부(31)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팬조립체(50)와 간섭되도록 본체케이싱(10)에 마련된다. 간섭부(38)는 팬조립체(50)에 근접한 본체케이싱(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38)는 흡기팬(51)의 흡기부(57)가 부품실관통부(21)를 향해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흡기팬커버(55)와 간섭되지 않으며, 흡기부(57)가 부품실관통부(21)를 향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흡기팬커버(55)와 간섭된다. 간섭부(38)는 팬조립체(50)의 후방에 위치한 본체프레임(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간섭부(38)는 팬조립체(50)의 후방에 위치한 본체프레임(11)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간섭부(38)는 팬조립체(50)의 흡기팬(51) 후방에 위치한 본체프레임(11)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가이드(40)는 부품실관통부(21)로부터 부품실(13)로 예각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본체(41)와, 송풍된 공기가 가이드본체(41)의 양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본체(4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조가이드(43)를 포함한다. 송풍가이드(40)는 가이드본체(41)가 고온의 발열부품에 대응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유지하도록 가이드본체(41)를 지지하는 스토퍼(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가이드(40)는 본체케이싱(10)의 상기 부품실관통부(21)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싱(10)의 본체프레임(11)으로부터 절취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41)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흡기팬(5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고온의 발열부품인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본체(41)는 부품실관통부(21)로부터 부품실(13)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A)을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소정이 경사각(A)은 예각(0도 내지 90도)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정의 경사각(A)은 대략 30도 내지 60도 사이가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본체(41)는 부품실관통부(21)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싱(10)으로부터 절취된 후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가이드(43)는 가이드본체(41)의 양측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보조가이드(43)는 가이드본체(41)의 하측의 폭이 상측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가이드본체(41)의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은 폭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에,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의 발열부품에 더욱 집중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스토퍼(45)는 가이드본체(41)의 배면에 접촉가능하게 복수개로 마련되어 가이드본체(41)가 소정의 경사각(A) 이상의 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5)는 본체케이싱(10)의 본체프레임(11)에서 절취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5)는 4개로 마련되며, 가이드본체(41)의 배면에 접촉하여, 송풍되는 공기 등에 의해 가이드본체(41)가 소정의 경사각(A) 이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스토퍼(45)는 가이드본체(41)의 배면에 접촉가능하게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가이드본체(41)의 배면 및 부품실관통부(21)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마련된 송풍가이드(40)의 기능 및 개략적인 공기순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팬조립체(50)가 작동하면, 흡기팬(51)에 의해 부품실관통부(21) 통해 부품실(13)로 공기가 송풍된다. 그러면, 부품실관통부(21)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송풍가이드(40)에 의해 흡기팬(51)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고온 발열부품인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면, 송풍된 공기는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를 집중적으로 냉각시키며, 부품실(13)을 냉각한 공기는 관통공(19) 통해 조리실(15)로 공급된다. 그리고, 조리실(15) 내의 공기는 배기팬(61)에 의해 조리실관통부(23)를 통해 배출부(31)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팬(61)에 의해 그릴(26)을 통해 실내공기를 동시에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송풍가이드(40)에 의해 부품실(13) 내에 고온 발열부품인 마그네트론(17) 및 고압트랜스(18)를 집중적으로 냉각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팬조립체가 본체케이싱에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덕트(미도시)의 대응하는 배출부(31)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배출부(31)에 대응하여 팬조립체(50)의 배기팬커버(65)를 회전시켜 조립한다. 그런 후 본체프레임(11)의 상측에 부품실관통부(21) 및 선택된 배출부(31)에 대응하여 팬조립체(50)를 장착한다. 이때, 팬조립체(50)가 부품실관통부(21) 및 선택된 배출부(31)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배치되면 팬조립체(50)는 간섭부(38)와 간섭되지 않아 팬조립체(50)는 본체케이싱(10)에 장착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팬조립체(50)가 부품실관통부(21) 및 선택된 배출부(31)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면 팬조립체(50)는 간섭부(38)와 간섭되어 장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팬조립체(50)는 본체케이싱(10)과 스크루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송풍가이드에 의해 부품실 내에 마련된 고온 발열부품을 집중적으로 냉각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기팬 및 배기팬이 마련된 팬조립체로 동시에 부품실의 냉각 및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그릴을 통해 실내공기를 동시에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간섭부를 마련함으로써 팬조립체가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실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기팬 및 배기팬이 마련된 팬조립체로 동시에 부품실의 냉각 및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간섭부를 마련하여 팬조립체가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전자렌지에 있어서,
    부품실 및 조리실로 구획되며, 상기 부품실과 관통된 부품실관통부를 갖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부품실을 냉각하도록 상기 부품실관통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을 구동하는 팬모터를 갖는 팬조립체와;
    상기 부품실관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부품실에 마련된 발열부품으로 안내하는 송풍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부품실관통부로부터 상기 부품실로 예각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본체와, 송풍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발열부품에 대응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자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절취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조리실과 관통된 조리실관통부와, 상기 조리실관통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조리실관통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송풍하는 배기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모터는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조리실관통부는 각각 상기 부품실 및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관통부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관통부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조리실관통부 사이에 마련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실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리실과 상기 부품실 사이의 상기 본체케이싱에는 관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조립체의 흡기팬 및 배기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품실관통부 및 상기 배출부에 대응하여 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팬조립체와 간섭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된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팬조립체에 근접한 상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40062621A 2004-08-09 2004-08-09 전자렌지 KR10069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21A KR100699257B1 (ko) 2004-08-09 2004-08-09 전자렌지
US11/195,796 US7276679B2 (en) 2004-08-09 2005-08-03 Microwave oven
JP2005229733A JP4028561B2 (ja) 2004-08-09 2005-08-08 電子レン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21A KR100699257B1 (ko) 2004-08-09 2004-08-09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982A true KR20060013982A (ko) 2006-02-14
KR100699257B1 KR100699257B1 (ko) 2007-03-27

Family

ID=3575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621A KR100699257B1 (ko) 2004-08-09 2004-08-09 전자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76679B2 (ko)
JP (1) JP4028561B2 (ko)
KR (1) KR1006992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381B1 (ko) *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100938584B1 (ko) * 2007-11-2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100938583B1 (ko) * 2007-11-2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US8461500B2 (en) 2007-11-16 2013-06-1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US8546735B2 (en) 2007-12-17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KR101460358B1 (ko) * 2007-12-05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9938A (en) * 1975-05-17 1977-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oven
CA1229780A (en) 1983-07-14 1987-12-01 Alexander P. Murray Iron removal from edta solutions
US4556772A (en) * 1985-05-07 1985-12-03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cavity air flow system
US4596915A (en) * 1985-05-07 1986-06-24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having resonant antenna
US4546225A (en) * 1985-05-07 1985-10-08 Amana Refrigeration, Inc. Bearing support for microwave oven antenna
JPH04181685A (ja) 1990-11-15 1992-06-29 Sanyo Electric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0120669Y1 (ko) * 1995-10-09 1998-08-01 김광호 강제대류식 전자렌지의 모터보호덮개
KR0186155B1 (ko) 1995-12-30 1999-03-20 구자홍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환기구조
KR100287833B1 (ko) 1998-11-26 2001-05-02 전주범 환기모터를 이용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조리실램프와 스터러모터 냉각구조
KR200219832Y1 (ko) 1998-12-08 2001-05-02 전주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KR100350418B1 (ko) * 1999-12-13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756508B1 (ko) * 2000-11-10 2007-09-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694255B1 (ko) 2000-12-30 2007-03-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조립체의 구조
KR100419206B1 (ko) 2002-05-23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444964B1 (ko) 2002-06-29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40047077A (ko) 2002-11-2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538169B1 (ko) * 2003-01-0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1500B2 (en) 2007-11-16 2013-06-1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KR100938584B1 (ko) * 2007-11-2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100938583B1 (ko) * 2007-11-2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101460358B1 (ko) * 2007-12-05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100938381B1 (ko) *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US8546735B2 (en) 2007-12-17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52940A (ja) 2006-02-23
JP4028561B2 (ja) 2007-12-26
US20060027573A1 (en) 2006-02-09
KR100699257B1 (ko) 2007-03-27
US7276679B2 (en)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345894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US20060011622A1 (en) Microwave having a top vent
US5951907A (en)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JP4028561B2 (ja) 電子レンジ
KR10042397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50120474A (ko) 전자렌지
KR100609910B1 (ko) 전자렌지
KR100394419B1 (ko) 가열조리기
KR100654795B1 (ko) 전자렌지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423977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JP2007155224A (ja) レンジフード付き高周波加熱装置
KR19980058169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
JP4642690B2 (ja) レンジフード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JP468837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189531Y1 (ko) 전자렌지
KR100369820B1 (ko) 전자렌지
KR100468122B1 (ko) 전자렌지
KR100217189B1 (ko) 가열조리기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90065060A (ko) 전자레인지
KR19990031172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의 캐비넷구조
JP200101274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