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832Y1 -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832Y1
KR200219832Y1 KR2019980024407U KR19980024407U KR200219832Y1 KR 200219832 Y1 KR200219832 Y1 KR 200219832Y1 KR 2019980024407 U KR2019980024407 U KR 2019980024407U KR 19980024407 U KR19980024407 U KR 19980024407U KR 200219832 Y1 KR200219832 Y1 KR 200219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exhaust
front grill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474U (ko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4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83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83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환기모터(20b)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환기모터(20b)로부터 전방그릴(20a)의 일측으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환기가이드(60)와, 전장실(30)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방그릴(20a)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전장실(30)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가이드(70)와, 상기 전장실(30)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전장실(30)로부터 그 상부인 상기 전방그릴(20a)의 일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가이드(81)와, 조리실(50)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판(40)의 일측 상부로부터 상기 전방그릴(20a)의 타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가이드(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인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는, 상기 흡기가이드(70)를 통해 전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온의 전장실(30) 상부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를 저온인 상태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1,2 배기가이드(81)(89)에 의한 이중 배기구조에 따라 배기량 증대 및 전장실(30)의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냉각효과 및 제품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흡기가이드와 제1,2 배기가이드를 구성하고, 상기 흡기가이드와 제1,2 배기가이드를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와 배기구조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기가이드를 통하여 전장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온의 전장실 상부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를 저온인 상태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1,2 배기가이드에 의한 이중 배기구조에 따라 배기량 증대 및 전장실의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냉각효과 및 제품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에 후드기능이 부가되어 가스렌지 및 오븐렌지와 같은 조리기구와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후드겸용 전자렌지에는 전방그릴과 환기모터가 내설된 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덕트의 상단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배기를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드가 조리실과 전장실의 상부 전영역에 걸쳐 설치된다.
따라서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환기모터에 의해 하부로부터 덕트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덕트의 전,후방 또는 수직상부로 배기되며, 상기 덕트의 전방그릴을 통하여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는 상판과 에어 가이드의 사이로 유도되고 또한 일부는 조리실 내부로 직접 유입되어 외부로 배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도면 중에서 도 1은 종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도시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후드겸용 전자렌지에서 공기의 흡기 및 배기구조를 첨부도면에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드겸용 전자렌지(10)의 조리실(6) 상면을 이루는 상판(5)의 상부로는 에어 가이드(9)가 조리실(6)과 전장실(3)의 상부 전반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9)는 하판(9a)과, 상기 하판(9a)의 상면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환기모터(2b)가 덕트(2)의 전방그릴(2a)로 배출하는 경우에 가이드하기 위한 전방가이드(9b)와, 상기 하판(9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전장실(3)의 상부로 위치되는 흡기가이드(9c)와, 상기 하판(9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조리실(6)의 상판(5) 상부로 위치되는 배기가이드(9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5)의 상부로 에어 가이드(9)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상판(5)과 에어 가이드(9)의 하판(9a) 사이에는 전장실(3)로부터 덕트(2)의 전방그릴(2a)로 연결된 공기통로(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장실(3)과 조리실(6)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장실(3)과 조리실(6)을 격리시키는 측판(4)에는 전장실(3)로 흡입된 공기가 조리실(6)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측판다공(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6)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9)의 배기가이드(9d)를 통해 전방그릴(2a)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배기가이드(9d)에 대향되는 조리실(6)의 상판(5)에는 다수개의 상판다공(5a)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후드겸용 전자렌지에서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장실(3)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모터(3a)가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는 전장실(3)의 상부에 위치된 덕트(2)의 전방그릴(2a) 일측으로 유도된 후 에어 가이드(9)의 흡기가이드(9c)를 따라서 전장실(3)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유입공기는 전장실(3) 내부에서 고온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b) 및 고압트랜스(3c) 등을 냉각시킨 후 유입공기의 일부는 상판(5)과 에어 가이드(9)의 하판(9a)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7)로 유동되고, 또한 상기한 유입공기의 일부는 측판(4)에 형성된 측판다공(4a)을 통하여 조리실(6)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통로(7)로 유동되는 공기는 그 내부인 상판(5)의 상면과 에어 가이드(9)의 하판(9a) 하부를 경유한 후 덕트(2)의 전방그릴(2a) 타측을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의 외부로 배기되었으며, 또한 상기 조리실(6)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실(6) 상판(5)의 상판다공(5a)을 통하여 에어 가이드(9)의 배기가이드(9d)로 유입된 후 덕트(2)의 전방그릴(2a)을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의 외부로 배기되었다.
그리고 상기 덕트(2)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모터(2b)가 전방배기 타입일 경우, 상기 환기모터(2b)에 의해 하부로부터 덕트(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에어 가이드(9)의 전방가이드(9b) 사이로 유입된 후 덕트(2)의 전방그릴(2a)을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의 외부로 배기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후드겸용 전자렌지(10)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3)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9)의 흡기가이드(9c)는 고온의 전장실(3)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외부의 저온 공기가 흡기가이드(9c)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고온으로 미리 변환됨에 따라 전장실(3) 및 조리실(6)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또한 상기 전장실(3)로 유입된 공기는 설명된 바와 같이 타 구조부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전장실(3)의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따라서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10)의 냉각효과 및 제품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전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온의 전장실 상부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를 저온인 상태로 유입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장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냉각효과 및 제품수명이 증대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전방그릴과 환기모터를 구비하는 덕트의 상단 내부에서 조리실 상판과 전장실의 상부 전영역으로 설치되고, 하판을 구비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터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환기모터로부터 상기 전방그릴의 일측으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환기가이드와, 상기 전장실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방그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전장실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가이드와, 상기 전장실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전장실로부터 그 상부인 상기 전방그릴의 일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가이드와,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상부로부터 상기 전방그릴의 타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도시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도시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덕트 20a : 전방그릴
20b : 환기모터 30 : 전장실
40 : 상판 50 : 조리실
60 : 환기가이드 70 : 흡기가이드
81 :제1 배기가이드 89 : 제2 배기가이드
90 : 에어 가이드 90a : 하판
100 : 후드겸용 전자렌지
첨부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도시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 고안을 상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는, 전방그릴(20a)과 환기모터(20b)를 구비하는 덕트(20)의 상단 내부에서 조리실(50) 상판(40)과 전장실(30)의 상부 전영역으로 설치되고, 하판(90a)을 구비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에어 가이드(90)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터(20b)로부터 전방그릴(20a)의 일측으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환기가이드(60)와, 상기 전방그릴(20a)의 타측으로부터 전장실(30)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가이드(70)와, 상기 전장실(30)로부터 전방그릴(20a)의 일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가이드(81)와, 상기 상판(40)의 일측 상부로부터 전방그릴(20a)의 타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가이드(89)가 상기 하판(90a)에 각각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0)과 조리실(50)을 격리시키는 측판(35)에는 다수개의 측판다공(35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기가이드(89)와 대향되는 조리실(50)의 상판(40)에는 다수개의 상판다공(40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환기가이드(60)와 흡기가이드(70)는 하판(90a)의 상면에서 전방그릴(20a)을 향해 직립되게 연장된 격판(65)에 의해 서로 격리 형성된다.
상기 환기가이드(60)는 환기모터(20b)에 의해 덕트(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전방그릴(20a)의 일측으로 배기 유도하는 환기통로(60a)가 형성되도록 상기 격판(65)과 제2 배기가이드(89)의 측면이 그 배기 경로상의 직립된 둘레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판(90a)의 상면 일측에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가이드(70)는 전방그릴(20a)의 타측으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30)의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통로(70a)가 형성되도록 상기 격판(65)과 제1 배기가이드(81)의 측면이 그 배기 경로상의 직립된 둘레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판(90a)의 상면 타측에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배기가이드(81)는 전장실(30)의 공기를 그 상부에 위치된 전방그릴(20a)의 일측 단부로 직접 배기 유도하도록 상기 전장실(30)의 상부에서 하판(9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기가이드(89)는 상판다공(40a)을 통하여 유입된 조리실(50) 내부의 공기를 전방그릴(20a)의 타측 단부로 배기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50) 상판(40)의 일측 상부에서 하판(90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의해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장실(30)에 내설된 송풍모터(30a)가 작동하면 전방그릴(20a)을 통해 외부의 저온 공기가 에어 가이드(90)의 흡기가이드(70)로 유입되고, 상기 흡기가이드(70)로 유입된 공기는 흡기가이드(70)의 흡기통로(70a)를 따라서 전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전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고온의 전장실(30) 상부를 직접 경유하지 않게 되어 저온인 상태로 전장실(3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한 저온의 유입공기는 전장실(30)의 내부에서 고온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0b) 및 고압트랜스(30c) 등을 신속하게 냉각시킨 후, 유입공기의 일부는 전장실(30)의 상부에 위치된 에어 가이드(90)의 제1 배기가이드(81)로 직접 유도되고, 또한 상기한 유입공기의 일부는 측판(35)에 형성된 측판다공(35a)을 통하여 조리실(50)로 유입된다.
먼저 상기 전장실(30)로부터 제1 배기가이드(81)로 직접 유도된 공기는 전장실(30)의 상부에 위치된 전방그릴(20a)의 일측 단부를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35)의 측판다공(35a)을 통하여 조리실(50)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시에 파생되는 조리실(50) 내부의 열기를 냉각시킨 다음 조리실(50) 상판(40)의 상판다공(40a)을 통하여 에어 가이드(90)의 제2 배기가이드(89)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배기가이드(89)의 전방으로 개구된 전방그릴(20a)의 타측 단부를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제1,2 배기가이드(81)(89)에 의한 이중 배기구조에 따라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배기량이 증대되는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덕트(20)에 내설된 환기모터(20b)가 전방배기 타입일 경우, 상기 덕트(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환기모터(20b)를 통과하여 에어 가이드(90)의 환기가이드(60)로 유입되고, 상기 환기가이드(60)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가이드(60)의 환기통로(60a)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된 후 전방그릴(20a)을 통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에 따르면, 상기 환기모터(20b)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는 환기가이드(60)와, 상기 전장실(3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 유도하는 흡기가이드(70)와, 상기 전장실(30)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는 제1 배기가이드(81)와, 상기 조리실(50)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는 제2 배기가이드(89)로 이루어진 에어 가이드(90)를 구성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90)의 흡기가이드(70)와 제1,2 배기가이드(81)(89)를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흡기와 배기구조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기가이드(70)를 통하여 전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고온의 전장실(30) 상부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를 저온인 상태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1,2 배기가이드(81)(89)에 의한 이중 배기구조에 따라 배기량 증대 및 전장실(30)의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냉각효과 및 제품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그릴(20a)과 환기모터(20b)를 구비하는 덕트(20)의 상단 내부에서 조리실(50) 상판(40)과 전장실(30)의 상부 전영역으로 설치되고, 하판(90a)을 구비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100)의 에어 가이드(90)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터(20b)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환기모터(20b)로부터 상기 전방그릴(20a)의 일측으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환기가이드(60);
    상기 전장실(30)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방그릴(20a)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전장실(30)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가이드(70);
    상기 전장실(30)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전장실(30)로부터 그 상부인 상기 전방그릴(20a)의 일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가이드(81); 및
    상기 조리실(50)의 공기가 배기 유도되도록 상기 상판(40)의 일측 상부로부터 상기 전방그릴(20a)의 타측 단부로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가이드(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KR2019980024407U 1998-12-08 1998-12-08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KR200219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407U KR200219832Y1 (ko) 1998-12-08 1998-12-08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407U KR200219832Y1 (ko) 1998-12-08 1998-12-08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74U KR20000015474U (ko) 2000-08-05
KR200219832Y1 true KR200219832Y1 (ko) 2001-05-02

Family

ID=6950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407U KR200219832Y1 (ko) 1998-12-08 1998-12-08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8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181B1 (ko) * 2000-01-06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385180B1 (ko) * 2000-01-06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US7276679B2 (en) 2004-08-09 2007-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KR20160068574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181B1 (ko) * 2000-01-06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385180B1 (ko) * 2000-01-06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US7276679B2 (en) 2004-08-09 2007-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KR20160068574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46400B1 (ko) 2014-12-05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74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7482562B2 (en) Microwave range configured both to heat food and to exhaust contaminated air generated by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therebeneath
US7482563B2 (en) Microwave range configured both to heat food and to exhaust contaminated air generated by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therebeneath
US4623771A (en) High-voltage transformer cooling assembly of microwave oven
KR20030090901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90055329A (ko) 밴트그릴
US5951907A (en)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JP2001143861A (ja) 電子レンジ
KR100419208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219832Y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7375310B2 (en) Air flow system for circulating air in a microwave oven
KR200219831Y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 구조
KR20020050025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525263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21462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흐름장치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790400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287833B1 (ko) 환기모터를 이용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조리실램프와 스터러모터 냉각구조
KR20040059039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JPH074790Y2 (ja) 高周波加熱装置の冷却構造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100437382B1 (ko) 전자레인지의 구조
KR20070053569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