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375A -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 - Google Patents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375A
KR20060013375A KR1020057020124A KR20057020124A KR20060013375A KR 20060013375 A KR20060013375 A KR 20060013375A KR 1020057020124 A KR1020057020124 A KR 1020057020124A KR 20057020124 A KR20057020124 A KR 20057020124A KR 20060013375 A KR20060013375 A KR 2006001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ymbol
bits
receiver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375B1 (ko
Inventor
니켓 케샤브 팻워드핸
Original Assignee
니켓 케샤브 팻워드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켓 케샤브 팻워드핸 filed Critical 니켓 케샤브 팻워드핸
Publication of KR2006001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4Distributors combined with modulato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송신기를 통해 높은 비트율로 넓은 영역의 서비스구역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의 디지털 방송 변조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시간, 코드, 방향, 주파수 등의 채널 이외의 송신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 부가 차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식의 이점은 낮은 파워로 한 영역에 대해 동일한 전체 비트율을 제공할 수 있는 점, 동일 파워를 이용하면서도 보다 넓은 서비스영역의 제공하는 점, 동일 주파수를 분할하여 송신기들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대중에 대한 데이터 방송을 지원하는데 적합하다.
보간, 비트율, 비혼동 그룹, 해시

Description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RATE ADAPTIVE DATA BROADCAST TECHNIQUE}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잡음에 대한 장애허용을 위한 데이터 엔코팅 및 디코딩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도래와 함께 무선 링크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방송하는 것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송신될 수 있는 정보량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비례한다는 섀넌의 법칙(Shannon's law)에 근거할 때 어떠한 통신매체라도 그 이용에는 일정한 제약이 따른다. 가시선적(可視線的) 제약, 우천시 또는 안개발생시의 과도한 감쇠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 유용한 스펙트럼이 제한적이나마 존재한다. 스펙트럼을 재활용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지향성 송수신, 로우 파워 셀(low power cell)의 이용, 주파수 홉핑 또는 코딩 등을 들 수 있다. 대역폭 헤르츠 당 1 비트/초(이 단위를 "bit/Hz"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상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대체로 무선 데이터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비율에 근사한 송신량을 갖는다. 광대역(높은 비트율) 접속을 위한 요구로 인해 이 비율(또는 레이트)을 높이고 스펙트럼 상에서 보존하는 방법을 찾도록 산업계가 압력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IEEE 802.11a 표준은 고대역폭 모드에서의 변조기술로서 64QAM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6 비트/Hz에 상당하 는 것이다. 이 수치를 증가시키는 능력은 수신기에서 신호대잡음비(S/N ratio, 이하 "S/N비"를 혼용함)로 인해 일정한 제약을 받는데, 그 이유는 신호대잡음비가 심볼 집단 중에서 서로 상이한 심볼들을 구별할 수 있는 수신기 능력에 대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관계는 일반적으로 대수적(logarithmic)인 성격을 가지며, 모든 추가분의 비트/초/Hz에 대해 S/N비를 2배로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시스템에 대해 가해지는 이러한 효과는 서비스 영역을 감소시키거나 최대요구신호강도(Maximum Required Signal Strenth)를 증대시키게 된다.
디지털 송신을 이용하는 또 다른 문제는 매우 선명한 컷오프가 있다는 것이다. 이 선명한 컷오프는 잡음이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정 포인트에 이르는 부분을 말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신호는 급속히 혼란해져 전혀 쓸모가 없어진다. 많은 디지털 송신신호를 메시지 블록으로 조직화하고 특정 올바르지 못한 에러가 발견되면 전체 블록을 폐기하게 되어 컷오프의 선명도가 강화된다. 바람직한 디지털 TV 방송에 대해 좋은 화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용도로는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거나, 비상사태에 처한 개인이나 경찰은 보다 낮은 질의 접속을 원할 수도 있지만 완전히 컷오프가 되는 것은 재앙이 된다.
하이 비트/초/Hz 디지털 시스템에서 또 다른 문제점은 컷오프 범위에서 신호가 잡음 플로어(noise floor) 보다 훨씬 높다는 것과, 송신기와 동일 주파수에서 수신이 불가능한 컷오프 범위 이상의 넓은 구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20 비트/초/Hz에서 이 구역의 넓이는 수신이 가능한 구역의 400배가 된다.
이 부분을 아날로그 방송과 비교하면, 송신기로부터 더 넓은 구역으로 진행할수록 선명도가 감소하지만 송신신호로부터 상당량의 신호를 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송신기와의 어떠한 협조작용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수신기에서 수신에 적절한 값을 확인할 목적으로 디지털 송신 속도(레이트)를 적합시키는데 많은 기술이 사용되어 왔지만 이들 모든 기술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타협에 의존한다. 또한 낮은 비트율 송신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송신은 일어날 수 없다. 예를들면, 802.11a에서 수신된 S/N비가 감소함에 따라 변조기술을 64QAM에서 항상 BPSK로 하향 변경할 수 있다.
참조문헌
[1] 미국특허 제6,377,562호는 본 발명의 주요 응용부분과 목적 중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2]미국특허 제5,590,403호는 중앙 네트워크와 이동 유니트 간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3]1997년 8월, 비히클러 테크놀로지의 IEEE 회보(IEEE Transaction in Vehicular Technology), 권 46 제3호에 공표, 안드레아 골드스미스(Andrea Goldsmith)의 "가변 레이트와 파워를 갖는 하향 링크 페이딩 채널의 능력(The Capacity of Downlink Fading Channels with Variable Rate and Power)"는 여러 가지 변조기술의 능력을 비교하고 있으며, 특히 "연속 디코딩를 갖는 중첩 코딩"의 장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송신이 페일소프트(failsoft) 능력을 또한 갖고 있어 잡음량 또는 범위가 증대함에 따라 링크를 완전히 상실하는 것 없이도 비트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엔코딩/디코딩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환경에서 사용할 때, 인근 수신기들이 풀 비트율로 접근하는 한편, 먼 거리의 수신기는 수신기에서 S/N비와 호환되는 비트율을 갖는다. 또한, 인근 수신기들은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얻고, 한편으로는 원격 이격된 수신기에 대한 송신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원격 이격 수신기용 비트율만이 상실될 수 있는 엔코딩/디코딩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 요지는 심볼 집단 중에서 심볼들간을 구별하는 수신기의 구별 능력을 고정레벨의 잡음이 제한하지 않고 오로지 일부 심볼쌍들 사이만을 구별하는 수신기의 능력을 고정레벨잡음이 제한한다는 사실에 두고 있다. 따라서, 특정 레벨의 잡음을 위한 그룹 내에 수신기가 머물기 위한 심볼 그룹을 발견(또는 생성)하면(즉, 심볼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가에 대해 혼돈이 없게 된다), 원래의 심볼이 무엇인가에 대해 일부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 여러 가지 상이한 잡음 레벨을 위한 "비혼동" 그룹의 계층에 이들 그룹을 배열할 수 있다면, 각 심볼에 대한 라벨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라벨의 MSB(Most Significant Bit)가 특정 레벨의 잡음에 대해 정확하게 된다. 단지 동일 중요도 비트만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한다면, 특정 S/N비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도의 중요도를 갖는 비트로 엔코딩된 모든 메시지가 정확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갖는 비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실질적으로 메시지의 모든 것을 상실하는 것 보다는 메시지의 중요부분만을 복구시킬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부가적 차원을 생성하게 되며, 이 부가적 차원을 통해 시간, 주파수, 공간, 코드와 같은 친숙한 것이 아닌 다른 송신채널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용하는 코딩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는 종래의 코딩과 본 발명의 코딩 모두를 위한 임의의 수신기를 위한 BER이 동일하여도 메시지 에러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모든 불량 비트를 메시지의 일부 서브세트로 집중하기 때문이며, 그 결과 나머지 메시지가 전혀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IEEE 802.11이 시도하는 것과는 정확히 정반대이다-여기서는 비트의 순서를 신중히 스크램블하여 불량비트의 장수명을 방지한다.
이 기술은 4개 이상의 심볼로된 심볼 집단을 갖는 임의 변조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심볼 집단에서 각 심볼 쌍을 구별할 수 있는 수신기 능력에 대해 표준 잡음 효과를 연구 및 맵핑하고, 그 결과 심볼을 계층적 그룹으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변조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심볼 집단으로부터 일부 심볼을 제거하여 그룹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시스템과 레이트 적응 능력을 제공하는 다른 시스템의 차이점은 서로 상이한 수신 S/N비를 가지고 수신기에 메시지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낮은 S/N비를 갖는 수신기로의 송신은 보다 높은 S/N비를 갖는 수신기로의 송신을 억제하지 않으며, 단지 낮은 수신 S/N비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유용 비트 레이트의 일부분 만큼 송신을 늦출 뿐이다. 이 부분을 802.11a의 상황과 비교하면, 원격 이격 수신기에 대한 송신은 인근 수신기로의 송신을 억제하며, 이 송신은 느린 송신이고, 매체가 한동안 차단될 수도 있다. 원격 이격 수신기로의 송신 중에, 6비트/초/Hz 가 아니라 단지 1비트/초/Hz 만이 송신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원격이격 수신기는 1 비트/초/Hz을 얻는 반면, 인근 수신기는 단지 5비트/초/Hz만을 얻게 되며, 송신기는 전혀 속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멀티플렉서(1)는 각 메시지로부터 1비트를 취하고 이것을 심볼 라벨로 조합한다. 이와는 달리, 메시지 당 1비트 이상을 심볼 라벨로 조합할 수도 있다. 이 조합된 심볼 라벨은 DA변환기(2)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심볼로 변환되고 이어서 변조기(3)에서 캐리어를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심볼 라벨은 복조기(4)로 송신되며, 여기서는 아날로그 심볼을 재생하고, A/D 변환기(5)에 의해 라벨이 재생된다. 이어서 심볼 라벨은 디멀티플렉서(6)로 공급되며, 여기서 디멀티플렉서는 대응 메시지의 다음 비트로서 라벨의 각 비트를 출력한다. 메시지가 완료되면 체커(7)로 전달되며, 여기서는 에러 없이 메시지가 수신되었나의 여부를 검증한다(체크섬(checksum) 또는 MD5 해쉬(MD5 hash)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검증). 에러 없이 수신되면 메시지는 일부 백 채널(back channel)(8)을 통해 승인(acknowledge)되고, 메시지는 최종 수신기(9)로 전달된다. 선택적 S/N비 측정 회로(10)는 추가의 정보 를 체커에 제공하여 불사용 채널을 체커가 검증하지 않도록 해준다. 체크와 승인은 현재의 컴퓨터 시스템의 IP 서브시스템에 의해 이미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려할 수 있는 변조 포맷은 AM(Amplitude Modulation : 진폭 변조)이지만 다른 변조포맷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 변조포맷을 위한 신호대잡음비는 (전력기반이라기 보다는)전압기반이다.
8비트 워드로 256AM에서 모든 심볼에 라벨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필수적으로 256개의 등간격 전압 레벨이다. 등급 8 비트 DA 변환기를 DA변환기(2)로 사용할 수 있다. 완벽한 DA 및 AD 변환기라고 가정하고, 신호대잡음비가 256이라면, 수신기는 단지 인근 심볼들만을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변환기에서의 불완전성을 또한 잡음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신호대잡음비가 2(3dB)이면, 수신기는 한 심볼에 대해 127 레벨까지 이격된 심볼들을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양쪽 모두에 있어, 이것들을 2개의 비혼동 그룹으로 분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라벨에서 임의 비트의 올바름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라벨의 제2 MSB(Most Significant Bit)에서 1을 갖는 심볼을 송신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허락된 심볼 공간은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그 중 하나는 라벨의 MSB가 1이고, 다른 하나는 MSB가 0이며, 이들 간에 큰 갭이 있다. 신호대잡음비가 2(3dB) 이상이면 수신기는 항상 라벨의 MSB가 올바른 것을 얻으며, 따라서 이 비트만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는 에러를 갖지 않는다.
정규 256 AM 송신에서 각 심볼은 8비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필요로 하는 것은 다중 메시지가 동시에 송신되고 각 심볼은 각 메시지에 대해 하나의 추가 비트를 공급하는 것이다. 효과적으로, 송신신호의 다중채널을 생성하는 한편 채널 0의 각 심볼 부분의 비트 0, 채널 1의 각 심볼 부분의 비트 1 등을 갖는다. 한 채널에서 모든 비트의 메시지는 소정의 SN비에 대해서 유사한 에러 개연성을 갖는다.
대신 라벨 127 및 128을 갖는 심볼을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동의하면, 다시 수신기는 항상 올바른 MSB를 얻는다. 단 S/N비가 128(12dB)를 초과하는 것만은 예외로 한다.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신기가 수신된 심볼로서 127 또는 128을 생성한다면 이 비트의 정확성은 그 S/N비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남는다. 즉, 128(12dB) 이상으로서 S/N비를 추정하는 어떤 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수신기가 이들 2개의 값 중 하나를 생성할 때를 제외하고는 비트 값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입력 스트림에 존재하는 이들 심볼의 개연성이 충분히 낮으면 허용된 심볼 공간으로부터 이들 심볼을 삭제하지 않아도 이 비트는 시스템을 통해 완전한 메시지를 얻기에 충분한 정도의 정밀성을 종종 갖는다.
제2 MSB에서 a1을 송신하지 않을 것을 동의하였을 때 우리(발명자)가 한 것은 심볼 공간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눈 것이며, 이 2개의 그룹은 신호 절반 이하의 잡음 하에서 수신기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심볼 127 및 128을 송신하지 않을 것을 동의하였을 때 우리(발명자)가 한 것은 최대 신호의 1/128 이하의 잡음과 관련하여 2개의 비혼동 그룹으로 공간을 나눈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또 다른 단계(step)를 취하였으며, 우리(발명자)는 라벨의 제2 MSB 및 제4 MSB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동의하지 않았을 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2(3dB) 이상의 S/N비에 대해서 MSB는 항상 올바르다. 8(9dB) 이상의 S/N비에 대해 제3MSB는 항상 올바르다.
본 발명자는 삭제할 비트를 선택하여 적절히 램프(ramp)를 삭감하였다. 예를 들면, 라벨의 모든 제3비트를 삭제할 수 있었다. 그러면, 4(6dB), 32(15dB) 및 256(24dB)의 SN비에 대해 6비트를 유지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은 등급 2진 DA변환기 및 AD변환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2진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3진 DA변환기(각 비트는 선행 비트에 대해 3배의 값이 된다)는 심볼 공간 사이의 내장 갭을 제공한다. 이것은 비트당 3(4.99dB)의 SN 램프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이 파워 표준 심볼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방송되면(이를테면 TV 방송에서 프레임 및 라인 동기 신호와 같은 것), S/N비는 추정회로(10) 및 식별된 사용가능 채널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이 신호는 또한 TV 수신기처럼 수신기의 AGC게인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가 AGC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면 SN비 추정회로는 엄밀한 의미에서 필요하지 않다. PPP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술을 통해 메시지 경계를 얻게 된다. 각 메시지에 대해 해시(hash) 신호 (또는 체크섬-checksum)를 생성 및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된 메시지의 연산된 해시 신호 (또는 체크섬)와 비교하여 메시지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나의 여부에 대한 높은 개연성을 얻을 수 있다.
명백히 송신율을 8비트/Hz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지 D-A변환 및 A-D변환에 필요한 정밀도에 의해서만 제한될 뿐이다. 또한 여러 가지 심볼에 대한 수신기의 혼동 개연성을 이해하고 신호대잡음비에 기초하여(또는 대부분 혼동 개연성에 기초하여) 심볼을 계층적 비 혼동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면 변조 방식을 AM 이외의 변조방식으로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디지털 TV,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 분배, 또는 심지어 고대역 인터넷 액세스 분야(이 경우 백 채널은 다른 수단을 통해 형성한다)와 같은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 시스템의 이점은 다중의 높은 대역 낮은 파워 셀 송신기를 설정하는 대신에 단일 높은 파워 높은 대역 송신기를 설정할 수 있고 S/N 공간 내에서의 채널을 수신기로 할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량의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방송되고 매우 큰 사용자 기반에 의해 캐쉬화되며, 일부 데이터와 사용자를 위한 갱신 우선권 레벨의 다양한 변화가 있는 응용환경을 지원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시스템의 잠재적 능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N비가 약 60dB 이면 표준 TV 송신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한다. AM을 사용하면 심볼의 파워 레벨에 대해 일 비트의 정보를 생성하는데 약 3dB가 필요하다. 따라서 표준 TV 채널로부터 20 비트/초/Hz을 얻을 수 있다. TV 송신은 6MHz의 대역폭을 이용하므로 이론적으로 충분히 정밀한 DA 및 AD 변환기를 얻으려면 TV송신기의 보호 영역 내에서 최소한 120 메가비트/초/Hz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0.5km 반경(실용상 약 1KW)까지 이러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점까지 송신기에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이하, 동일 채널(또는 파워)을 이용하여 다음 송신기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을 설명한다. 그 신호는 제1송신기 아래서 60dB가 필요하다. 간격 기반 감쇠가 범위 2배당 약 6dB 이므로, 제2송신기는 최소한 0.5km의 210배, 즉, 500km 이상이 필요하다. 또는 가시선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더 가깝다면 20비트/초/Hz을 얻는 현재의 기술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완전한 손실을 야기하기에 충분한 장애를 그 송신작업에서 발생시키게 된다. 둘째, 0.5km를 벗어나면 주변 잡음은 데이터의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유효한 이들 2개의 송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 0.5km 내지 500km 범위의 영역에서 동일한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수신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250km 범위에 이르기까지는 각 심볼의 1비트(MSB) 이상은 대부분 항상 올바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시지가 각 심볼의 일부 비트만을 이용하므로 단지 이 1비트만을 사용한 메시지는 올바르게 수신된다. 따라서 250km 떨어져서, 디지털 데이터의 6 메가비트/초를 얻을 수 있다. 현재 시스템은 인근 수신기 및 원격 이격 수신기에 대한 데이터 속도(또는 레이트)를 변경하여 이 문제를 인식하고 어드레스 하며, 레이트 헤더를 프리픽스하여 수신기가 어떤 레이트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효과적으로 여기에 자동적으로 제안되는 기구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하여 S/N비가 요구할 때 시스템을 1 비트/초/Hz으로 전환 시킨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LSB(Less Significant Bits)의 송신을 정지하지 않아야 하고, 레이트 헤더를 필요로 하지 않아 동일한 송신기가 더 많은 정보를 동일한 파워로 동일한 영역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 5.875GHz U-NII 대역에서 비인가 송신을 위해 FCC가 허용하는 것과 같 은 1W 송신기를 이용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 송신을 위한 범위는 주변 잡음과 지형에 따라 결정되지만 IEEE 802.11a 사양은 -65dBm 수신 파워라면 6 비트/초/Hz을 수신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23dBm은 20 비트/초/Hz을 수신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28m에서 13 비트/초/Hz을 수행할 수 있고, 281m에서 6 비트/초/Hz을 수행할 수 있으며, 2.8Km에서 1 비트/초/Hz을 수행할 수 있다. 각 802.11a 채널은 채널당 250K 심볼/초, 전체 채널에 대해 12M 심볼/초로 동작하는 48채널로 구성된다. 에러 정정의 필요성 때문에 그리고 6 비트/초/Hz의 제한 때문에 IEEE 802.11a는 54 메가비트/초에서 최대 출력이 되며, 이 레이트를 얻기 위해 최원거리 수신기는 281m 이하로 떨어져야 한다(6 비트/초/Hz). 매 교번 비트, 즉, 6dB 마다 한개의 유용 비트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가정하면, 본 발명의 경우 12 메가비트/초/Hz, 1.7km 범위 이격, 12 메가비트/초/Hz, 850m 범위 이격, 12 메가비트/초/Hz, 425m 범위 이격, 12 메가비트/초/Hz, 212m 범위 이격, 12 메가비트/초/Hz, 106m 범위 이격 (이 경우 전체로는 60 메가비트/초)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며, 더욱 이격 범위를 줄여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송신 신호의 양자화에 의존하며 잡음 만이 연속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최선의 응용은 한 송신기가 다중 수신기에 정보를 방송할 경우이며, 다중 송신기가 한 수신기에서 수신가능할 때는 해당되지 않는다. 물론, 송신기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고 AGC가 충분히 빠르게 작용할 수 없다면, 또는 각각의 수신기에 대해 한 송신기를 제외한 모든 송신기가 잡음으로 간주할 정도로 희미해져도 여전히 유용하다.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TV 채널에서 동작하는 RF 송신기에는 20 비트 DA 변환기로부터 기저대역 신호가 공급된다. 이 DA 변환기에는 20비트 워드가 공급되며, 백만분의 일 만큼의 정밀한 출력을 생성해야 한다. 오늘날, 비디오 카드는 쉽게 이러한 정밀성을 얻을 수 있으며, 그 현재 표준은 1024 X 768 픽셀을 갖는 스크린 상에 24비트 칼라를 갖는 픽셀이며, 2048 X 1024 픽셀 만큼 높일 수 있다. 레드, 그린, 블루 각각에 대해 8 비트를 갖는 각 픽셀의 색상과 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수신기 측에서, 고화질 수신기는 그 기저대역 출력을 AD 변환기(예를 들면 비디오 캡쳐 카드)로 공급한다. 여기서 다시 24 비트 비디오 캡쳐 카드가 이미 존재하고 디지털 출력을 직접 메모리로 저장한다. 이것은 송신기 상에 비디오 메모리의 내용을 지정된 메모리로 복사하여 수신기 상에서 비디오 캡쳐를 수신하는 시스템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TSC B&W 비디오 리미트 내에 남을 수도 있다. NTSC 시스템 상에서 대략 초당 15750 라인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14400이 사용가능하다. 비디오 대역폭 리미트 내에 남고, 블랭킹 간격을 지원하기 위해 각 라인은 실질적으로 단지 100 데이터 심볼 만을 운반하며, 각 심볼은 20 비트 깊이이다. 비디오 카드가 라인당 720 데이터포인트(픽셀) 까지 생성하므로 코드는 보간에 의해 송신기 상에서 픽셀 값을 연산해야 하며, 유사하게 수신기 차원에서 원래의 심볼을 역시 보간에 의해 복구시켜야 한다.
본 발명 기술의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 20비트 메시지로서 각 심볼을 처리하는 대신에, 각 심볼은 최대 20개의 메시지로부터의 비트 조합으로 처리한다. 20개의 메시지를 조합할 경우, 심볼의 각 비트는 각 메시지에서 1 비트씩 추출한 것이다. 상기한 NTSC 기반 시스템에서 이러한 시스템의 각 프레임은 100 비트의 9600 데이터 블록을 지원하게 된다. 전체 비트율(또는 비트 레이트)은 28.8 메가비트/초이며, 각 채널은 약 1.44 메가비트/초를 얻는다. 원거리 이격 수신기용 메시지가 잡음에 가장 민감하지 않은 각 심볼의 비트에 할당되는 반면(예를 들면, 각 칼라의 MSB), 인근 수신기용 메시지는 더욱 민감한 비트에 할당된다. 임의의 에러 검출 및 정정 비트는 각 메시지에 대해 별도로 연산되는 한편 메시지의 비트와 동일한 심볼의 비트를 이용한다. 한 심볼의 각 비트는 다른 채널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매 심볼의 비트 0은 채널 0의 부분이고, 매 심볼의 비트 1은 채널 1의 부분이며, 매 심볼의 비트 2는 채널 2의 부분 등이다.
수신측에서 각 라인은 20개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리된다(그러나 많은 부분은 미리 정렬된다). 필요에 따라, 다중 라인에서 다중 데이터 블록을 조합하여 메시지를 형성한다. 각 메시지는 에러를 찾기 위해 개별적으로 체크하여 올바르지 않으면(에러가 발견되면) 폐기한다. 종종, 수신기는 일부 다른 매체(예를 들면 다이얼업 접속)를 통해 송신기에 각 채널에 대한 에러 통계를 통보하며, 이것은 송신기가 각 발신 메시지에 대해 최적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부분적 비트/Hz을 지원할 수 있으며, "프레임"에서 메시지가 동일한 스포트에서 반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신기가 한 채널에서 과다한 에러를 받으면 이 채널에서 높은 상관계수로 프레임을 합산하여 다시 이 기술(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다. 송신기는 어느 채널이 특정 수신기에 대해 높은 에러율(또는 에러 레이트)을 갖는가를 알고 있거나, 단순히 어느 채널이 높은 에러 레이트를 갖기 쉬운가 하는 우선순위를 알고 있으므로, 이 채널 상에서 다중 연속 프레임 상의 수신기로 메시지를 재송신할 수 있다. 정규 아날로그 TV 시스템 상에서, 다중 통로 반사에 기인한 고스트(ghost)는 이러한 평균 프로세스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나, 각 채널은 비상관 메시지를 운반하고 보다 높은 채널이 낮은 반복(repeat)을 가지므로, 이 시스템 상에서 고스트 또한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는 선반재고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최선의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주문 시스템은 비디오 강도에 할당된 대역폭을 확대할 수 있고, 프레임 동기화 마크를 제외한 TV 시스템의 모든 다른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에도 심볼 집단에서 심볼 쌍을 구별할 수 없는 수신기 개연성에 대해 잡음 효과를 이해한다면 AM 이외의 변조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하는 기구로서,
    다중 메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디지털 심볼로 조합하여, 각 심볼이 다중 메시지로부터의 비트를 갖도록 하는 멀티플렉서와;
    별도의 DA 변환기와 RF 변조기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디지털 심볼을 아날로그 심볼로 변환하는 DA 변환기와;
    별도의 RF복조기와 AD변환기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아날로그 심볼을 디지털 심볼로 다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다중 디지털 심볼 중에서 대응부분으로부터 각 메시지를 재생성하는 디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기구.
  2. 전체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송신될 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청구범위 제1항의 기구로서,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 사이에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는 심볼을 계층적 비혼동 그룹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심볼에 라벨을 부여하여 라벨의 각 일부분이 상기 계층의 특정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계층 중 동일 레벨을 선택하는 각 심볼용 라벨의 상기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각 메시지가 송신되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전체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송신될 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심볼 라벨의 일부분을 사용하지 않고 남겨두어 상기 심볼 라벨의 일부분은 보다 중요도가 낮은 비트를 사용하는 메시지가 보다 중요도가 높은 비트를 사용하는 메시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안내 대역으로 작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송신되는 전체 데이터 속도(레이트)를 증대시키기 위해,
    서로 상이한 수신기를 서로 다른 S/N비를 갖는 그룹들로 그룹화하고,
    보다 낮은 S/N비를 갖는 그룹의 수신기로 송신하는 작업은 보다 중요도가 높은 비트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보다 높은 S/N비를 갖는 그룹의 수신기로 송신하는 작업은 보다 중요도가 낮은 비트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바르게 수신되는 높은 우선권 메시지의 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다 주용도가 높은 비트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우선권 메시지를 송신하고, 보다 중요도가 낮은 비트를 이용하여 보다 낮은 우선권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수단으로서,
    송신된 메시지에 의해 채널이 사용되는가를 컴퓨터가 판정하고, 정보를 각 메시지에 부가하여 에러 체크가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컴퓨터는 메시지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나의 여부를 판정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각 채널을 위한 에러 레이트에 대해 통계를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이들 통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컴퓨터로 전달하며;
    상기 제1컴퓨터는 제2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 선택을 하는 수단.
  7. 청구범위 제2항 또는 제3항의 시스템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동기화 마크에 의해 표현되는 프레임 내에서 각 메시지를 송신하고;
    올바르게 수신된 것으로 승인되지 않은 메시지를 연속 프레임의 동일 스포트에서 재송신하며;
    올바르지 않게 수신된 메시지를 프레임 채널 버퍼에 부가하고;
    프레임 채널 버퍼의 동일 중요도를 갖는 비트(equally significant bit)를 조합하여 다른 메시지를 형성하는 방법.
  8. 제1항의 수단으로서,
    DA 변환기는 비디오 그래픽 카드이고;
    AD 변환기는 비디오 캡쳐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9. 제8항에 있어서,
    비디오 그래픽 카드가 포함된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그리고 비디오 그래픽 카드에 의해 송신 데이터를 픽셀을 통해 분산시키고 디스플레이하여 출력신호가 NTSC 리미트 내에 머물게 되며,
    비디오 캡쳐 카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의 소프트웨어는 비디오 캡쳐 카드에 의해 수신된 픽셀을 보간하여 송신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수단.
KR1020057020124A 2003-04-23 2004-04-21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 KR101064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509603P 2003-04-23 2003-04-23
US60/465,096 2003-04-23
PCT/US2004/012339 WO2004095757A2 (en) 2003-04-23 2004-04-21 Rate adaptive data broadcast tech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375A true KR20060013375A (ko) 2006-02-09
KR101064375B1 KR101064375B1 (ko) 2011-09-14

Family

ID=3331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124A KR101064375B1 (ko) 2003-04-23 2004-04-21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35862B2 (ko)
EP (1) EP1618687A2 (ko)
JP (1) JP2006524478A (ko)
KR (1) KR101064375B1 (ko)
CN (1) CN1788441B (ko)
AU (1) AU2004231568B2 (ko)
CA (1) CA2522889C (ko)
WO (1) WO2004095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958B2 (en) * 2004-06-24 2008-03-11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roughput in an additive gaussian noise channel with a predetermined rate set and unknown interference
KR100776943B1 (ko) 2006-08-08 2007-11-21 주식회사 디지털존 고성능 비디오 캡쳐 카드 및 다채널 비디오 캡쳐 방법
MX2009007037A (es) 2007-01-04 2009-07-10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para deteccion de espectro distribuido para comunicacion inalambrica.
US9031053B2 (en) * 2008-10-23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relay communication network
US8634769B2 (en) * 2008-10-23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cep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relay communication network
US9112618B2 (en) * 2009-07-02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latency reductions during transmitter quieting
CN114097204B (zh) * 2019-05-16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载波调制方案的设备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095A (en) * 1972-02-17 1975-10-28 Dacom Inc Dual-line data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ng, transmitting and reproducing facsimile data
CN1032099C (zh) * 1992-03-26 1996-06-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系统
JPH05276211A (ja) * 1992-03-26 1993-10-22 Yuseisho Tsushin Sogo Kenkyusho ディジタル信号の階層化変調方式
EP0732832B1 (en) * 1994-08-31 2003-07-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tter, signal receiver, and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JP3385299B2 (ja) * 1996-05-20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US6349138B1 (en) * 1996-06-14 2002-02-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transmission incorporating scrambling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while preventing bit error spreading associated with descrambling
JP2768354B2 (ja) * 1996-07-15 199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方式及びこれに用いる送信装置及び中継装置
JP3216534B2 (ja) * 1996-08-29 2001-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化方法
US6359923B1 (en) * 1997-12-18 2002-03-19 At&T Wireless Services, Inc. Highly bandwidth efficient communications
CA2262894C (en) * 1997-06-19 2004-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data multiplexing transmission system,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used therefor, and error correcting encoder and decoder
JPH11163823A (ja) * 1997-11-26 1999-06-18 Victor Co Of Japan Ltd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伝送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0068959A (ja) * 1998-08-26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3060608A (ja) * 1998-11-06 2003-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装置
US6459703B1 (en) * 1999-06-21 2002-10-01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Mixed DOCSIS 1.0 TDMA bursts with SCDMA transmissions on the same frequency channel
JP2001223665A (ja) * 2000-02-08 2001-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符号化伝送装置、信号復号化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6519773B1 (en) * 2000-02-08 2003-02-11 Sherjil Ahm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gitized CATV network for bundled services
US6912247B2 (en) * 2000-03-23 2005-06-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transmission condition i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3438700B2 (ja) * 2000-05-24 2003-08-1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Bs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bs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US6439703B1 (en) 2000-12-29 2002-08-27 Eastman Kodak Company CMOS/MEMS integrated ink jet print head with silicon based lateral flow nozzle archite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4478A (ja) 2006-10-26
KR101064375B1 (ko) 2011-09-14
AU2004231568B2 (en) 2009-02-26
CA2522889C (en) 2010-11-30
CA2522889A1 (en) 2004-11-04
WO2004095757A3 (en) 2005-03-03
WO2004095757A2 (en) 2004-11-04
CN1788441A (zh) 2006-06-14
EP1618687A2 (en) 2006-01-25
US20060133305A1 (en) 2006-06-22
US7535862B2 (en) 2009-05-19
CN1788441B (zh) 2011-05-11
AU2004231568A1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4660B1 (en) Rendering multicast service with sufficient reception quality to wireless terminals
US53456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enabled diversity signaling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RU2419211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й ретрансляции данных в сотовых сетях для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многоадресных услуг
US76306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7623589B2 (en) Cooperative multiple-access using user-clustering and space-time-frequency coding techniques for higher reliability reception
US6859466B1 (en) Physical layer header for packet data
US2006026867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ing a single frequency network
US20070054624A1 (en) Broadcasting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hierarchical modulation setup method, broadcast system, and hierarchical modulation setup computer program
KR20000052817A (ko) 자동 선택가능한 전송속도를 갖는 디지털 통신시스템
CN101237298A (zh) 在被保护的可变速率链路中的数据速率协调方法和设备
KR20010023491A (ko) Fec 코딩 및/또는 변조의 재선택에 의한 블록 arq를위한 방법 및 시스템
MXPA00003407A (es) Un sistema y metodo para mitigar las interrupciones intermitentes en un sistema de audio radiodifusion.
US20060199544A1 (en) Method for exploiting the diversity across frequency bands of a multi-carrier cellular system
IL148207A (en) Adaptive data rate control for narrowcast networks
US8761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ppropriate coding scheme and transmission rate for transmitting a frame across a communication network
US8116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uperframe across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064375B1 (ko) 비율 적응성 데이터 방송 기술
US7336683B1 (en) Efficient communication system for reliable frame transmission over broad SNR ranges
JP2005057670A (ja) デジタル通信装置及びデジタル通信システム
JPH11103279A (ja) 受信装置及び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