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838A -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 - Google Patents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838A
KR20060011838A KR1020057020401A KR20057020401A KR20060011838A KR 20060011838 A KR20060011838 A KR 20060011838A KR 1020057020401 A KR1020057020401 A KR 1020057020401A KR 20057020401 A KR20057020401 A KR 20057020401A KR 20060011838 A KR20060011838 A KR 2006001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extract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엘 마샬
바실리오스 파파도폴로스
Original Assignee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06001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약물과 관련된 신경독증을 치료를 위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약물의 예로는 화학요법제, 거기에 쓰는 조성물 및 키트가 있다. 방법은 신경독성 증상을 완화 시키기 위해 은행나무 추출물을 사용한다.
신경독증,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약물, 은행나무 추출물, 화학요법제.

Description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 AS A TREATMENT FOR THERAPEUTIC INDUCED NEUROTOXICITY}
본 발명은 신경독증 치료와 약제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많은 상태나 질병(예를 들면, 암)의 치료목적의 약제는 원하지 않는 신경계 부작용을 야기한다. 그로 인해 약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부작용의 치료방법이 없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치료의 역치에 도달한 후에는 약물치료 중인 환자는 중단해야 할 것이다. 특정 약물의 사용을 한동안 중단하거나 모든 약물의 사용을 중단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중단은 환자의 치료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보다 적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덜 효험있는 약물의 사용을 요구함으로써 악영향을 미친다.
한 실시예로,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은 중요한 진행결장암의 치료 약물이다. 이 암은 매년 5만명의 환자에게 감염되는 질병이다. 옥살리플라틴의 사용은 위장암(gastrointestinal cancer) 및 난소암을 포함한 더 넓은 환자의 집단으로 확장될 것이다. 결국, 그것은 심각한 신경독증의 예외가 되는 잘 내성된 약제(well- tolerated drug)이다. 이 신경독증은 하나의 대표적인 부적용이다. 이것은 화합물의 사용을 제한하고, 심지어는 어떤 약물이 여전히 암을 제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그 약물치료를 중단시키는 일반적인 원인이 된다. 신경독증이 심각해지고 치료중단이 필요로 하기 전까지, 최근에 환자들은 단지 5 ~ 6개월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옥살리플라틴의 신경독증을 되돌리는 시도는 복잡하고 시간을 소비하는 전해질의 정맥주입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자료(data)는 이러한 과정이 도움이 된다고 제안하지만, 그것은 단지 10 ~ 20%의 환자만이 혜택을 본 것으로 보이고, 환자의 치료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단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치료약물과 관련된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치료약물은 삶의 질과 환자(예, 진행암 환자)의 생존에 아마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요약>
본 발명은 치료약물(예를 들면, 화학요법 치료약물 및 이에 쓰이는 조성물 이나 키트)과 관련된 신경독증 치료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치료약물의 신경독증의 작용을 경감하기 위해 은행나무(Ginkgo biloba)의 추출물을 사용한다.
한 양상으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학적인 유효량의 은행나무(Ginkgo biloba) 추출액(예,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또는 ZGE)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는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therapeutic-induced neurotoxicity)환자의 치료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인 은행추출물(Gingko extracts)을 여기에 설명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환자는 은행추출물의 투여에 앞서,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을 받는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을 경감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신경독증은 치료약물에 의해 유발된다. 이 방법은 항산화제(예,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 향신경성인자(예,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예,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및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 또는 Org2766),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예,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둘, 셋, 넷 , 또는 더 많은 수의 배합을 추가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적인 화합물이 포함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과 은행나무 추출물의 배합은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으로 치료된 환자는 유방암, 결장암, 홉킨스병, 카포시육종, 레터러-시웨병, 백혈병,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비소세포폐암, 췌장암, 위암, 또는 자궁암 환자다..
예를 들면, 치료약물의 투여전, 및/또는 투여중, 및/또는 투여 후에 은행추출물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은행추출물의 투여는 또한 치료약물의 투여와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 고통, 이동성의 결핍, 조화운동불능, 무감각, 저림, 사지부실, 눈떨림, 현기증, 운동거리조절이상, 말더듬, 되풀이운동장애, 졸음, 발작, 인격변성, 무반사, 변비, 목쉼, 기립저혈압, 걸음장애, 혼미, 혼수, 기면, 착란, 우울, 환각, 간대성근견련, 진동감각 감퇴, 심부건반사 감퇴, 온도과민(예, 더위나 추위), 지각이상, 또는 이들의 배합을 수반하는 신경독증을 치료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은행나무 추출물(예,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 또는 ZGE)과 치료약물(예,옥살리플라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대표적인 추출물과 치료약물을 여기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암치료에 효과적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항산화제(예,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 향신경성인자(예,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예,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및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예,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둘, 셋, 넷, 또는 더 많은 수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치료약물은 기초상태(예, 암, 감염병, 부정맥, 고지질혈증, 과다활동 면역반응)의 치료를 위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또한 은행나무 추출물은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부가화합물과 배합하여, 치료약물로 인한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양상으로, 본 발명은 옥살리플라틴과 같은 치료약물과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 또는 ZGE와 같은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트는 치료약물유도 신경독증 치료용 키트에 사용되기 위한 라벨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은행추출액과 치료약물을 여기에 설명한다. 이 키트는 또한 항산화제(예,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 향신경성인자(예,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예,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및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예,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둘, 셋, 넷, 또는 더 많은 수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치료약물은 기초상태(예, 암, 감염병, 부정맥, 고지질혈증, 과다활동 면역반응)의 치료를 위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또한 은행나무 추출물은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부가화합물과 배합하여, 치료약물로 인한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상기한 모든 양상의 다양한 구현예에서, 치료약물은 면역억제제, 항생제, 항부정맥제, 항지질혈제(antilipidemic agent), 화학요법제, 또는 이들의 배합을 포함한다. 발명에서 의도된 항생제의 종류는 무제한으로 술폰아미드, 테트라사이틀린, 아미노글리코시드, 테트라사이클린, 폴리마익신, 베타락탐, 카르바페넴,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플루오로퀴놀론, 및 이들의 배합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치료약물은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클로르암페니콜, 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반코마이신, 에탐부톨,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린, 세프메타졸, 벤질페니실린,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아미오다론, 피리독신,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및 이들의 배합을 포함한다. 화학요법제는 예를 들면, 알킬화제, 항대사제, 항미세관제, 항축동제, 항종양 항생제, 또는 이들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요법약물의 예로는 아드리아마이신, L-아스파라긴나제, BBR3464, 카르보플라틴, 클로람부실, 시스플라틴, 사이타라빈, 독세타셀, 독소루비신, 에토포시드, 5플루오로우라실, 겜시타빈,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JM216,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SPI-77, 수라민, 탁산(예, 파클리탁셀),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 ZD0473, 및 이들의 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치료약물은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클로르암페니콜, 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반코마이신, 에탐부톨,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린, 세프메타졸, 벤질페니실린,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아미오다론, 피리독신,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L-아스파라긴나제, 카르보플라스틴, 클로람부실, 사이타라빈, 에토포시드,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 JM216, ZD0473, BBR3464, SPI-77, 네다플라틴, 및 이들이 배합을 포함한다.
“화학요법제”란, 암을 치료하기 위해 단독 또는 다른 것과 배합으로 사용되는 약물을 의미한다. 화학요법제의 대표적인 종류에는 알킬화제, 항대사제, 항미세관제, 항축동제, 항종양 항생제가 포함된다. 화학요법제의 예로는 아드리아마이신, L-아스파라긴나제, 카르보플라틴, 클로람부실, 시스플라틴, 사이타라빈, 독세타셀, 독소루비신, 에토포시드, 5플루오로우라실, 겜시타빈,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은행나무(Ginkgo biloba) 추출액” 또는 “은행 추출액”이란, 은행나무로부터의 추출에 의해 얻어진 각각의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것, 특히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나 징코라이드, 빌로발라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테르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람직한 은행 추출액은 신경독증 치료에 유용하다.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또는 ZGE 등이 대표적인 은행추출물이다. 다른 은행추출물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4,981,688호, 제5,322,688호, 제5,389,370호, 제5,399,348호, 제5,512,286호, 제5,637,302호, 제5,972,952호, 제6,030,621호, 제6,086,833호, 제6,221,356호, 제6,274,621호, 제6,328,999호, 제6,477,819호, 및 제6,475,534호,그리고 국제공개번호 WO 97/17068, WO 99/64028, WO 01/12208 및 WO 01/75181에 실린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각 공보들은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신경독증”이란,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손상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신경독증 증상은 고통, 이동성의 결핍, 조화운동불능, 무감각, 저림, 사지부실, 눈떨림, 현기증, 운동거리조절이상, 말더듬, 되풀이운동장애, 졸음, 발작, 인격변성, 무반사, 변비, 목쉼, 기립저혈압, 걸음장애, 혼미, 혼수, 기면, 착란, 우울, 환각, 간대성근견련, 진동감각 감퇴, 심부건반사 감퇴, 온도과민(예, 더위나 추위), 지각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경독증에 있어서 “경감”이란, 신경독증 체계의 완화나 제거를 의미한다. 경감은 예를 들면 신체검사, 환자의 병력조사, 신경학적 기능검사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치료약물유도”상태란, 예를 들면 화학요법제와 같은 치료약물로 처리한 결과에 의해 발생하는 예를 들면 신경독증과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치료학적인 유효량”이란,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정양을 의미한다. 여기서 약제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화합물을 포함하고 그 양은 신경독증과 같은 상태나 질병의 치료에 예방적, 치유적, 치효적 효과나 안정화, 또는 개선시키는 효과를 낳는데 충분한 것을 말한다.
“치료”란, 증상을 예방, 치효, 안정화, 개선화의 결과가 되게 할 의도를 가지고 하는 환자에 대한 의학적 처치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적극치료, 즉 특별히 질병의 개선을 위한 치료; 고식치료, 즉 질병의 치유보다는 증상의 완화를 위해 고안된 치료; 예방치료, 즉 질병의 예방을 위한 치료; 및 지지치료, 즉 질병 개선을 위한 또 다른 치료법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치료"라는 용어는 또한 기대치료, 즉 질병의 전신증상을 위한 치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약물치료법과 관련된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과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신경독증이란 유감스럽고 종종 치료약물의 선량한도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말한다. 신경독성 부작용을 일으키는 일반적 약물치료는 화학요법제와 다음과 같은 다른 약물을 포함한다. 면역억제제(예,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항생제(예, 클로르암페니콜, 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술폰아미드, 테트라사이틀린, 콜리스틴, 아미노글리코시드, 반코마이신, 에탐부톨,테트라사이틀린, 폴리마익신,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베타락탐(예, 카르바페넴,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린, 세프메타졸 및 벤질페니실린), 플루오로퀴놀론(예,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및 오플록사신)), 항부정맥제(예, 아미오다론), 항지질혈제(예,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및 다른 약제(예,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피리도신,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화학요법제의 예로는 무제한으로 백금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카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JM216, ZD473, BBR3464, SPI-77, 네다플라틴), 탁산(예를 들면, 파클리탁셀), 빈카 알칼로이드(예를 들면,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및 비노렐빈), 아드리아마이신, L-아스파라긴나제, 클로람부실, 사이타라빈, 독세타셀, 독소루비신, 에토포시드, 5플루오로우라실,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JM216,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셀로다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학요법제는 유방암, 결장암, 홉킨스병, 카포시육종, 레터러-시웨병, 백혈병, 폐암, 림프종, 흑색종, 비소세포폐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종양 및 자궁암과 같은 각종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치료약물의 표준복용량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예를 들면, Merck Manual of Diagnosis & Therapy(17판 MH Beers et al.,Merck & Co.)와 Physicians' Desk Reference 2003 (57판, Medical Economics Staff et al. Medical Economics Co., 2002)에서 알려져 있다. 당업자는 질병의 유형과 정도, 특정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상태, 화합물의 조제형 및 그것의 투여경로와 같은 변수가 결정하는 환자에 대한 각 치료법의 적당량을 결정할 수 있다. 표준임상시험은 아마 어떠한 특정 치료약물에 대한 복용량과 복용횟수도 최적화 시킬 것이다.
이러한 약물이 최고의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환자는 치료에 기인한 어떠한 부작용도 인내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의 신경독성 부작용은 특정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약물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치료의 효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치료를 연장시키거나 치료의 궁극적인 실패를 야기한다. 이에 더하여, 심지어 특정 치료가 질병이나 암과 같은 상태에 효과가 있을 때에도 신경독성 부작용은 치료가 끝난 후 남아있을 수 있다. 어떤 부작용은 시간이 흐르면서 자발적으로 완화되는 반면, 어떤 것은 영구적이거나 치료 후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된다. 그러므로 신경독성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치료는 특정약물에 대한 좀 더 지속적인 치료를 가능케 하고 치료 중이나 치료 후 부작용의 완화에 의한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존력의 증가라는 잠재적인 혜택을 입게 한다.
끝으로, 본 발명자들은 은행나무 추출물이 치료약물의 신경독성 부작용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은행추출물
특성설명.“은행추출물”은 본질적으로 은행나무 잎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몇몇의 다른 물질을 함유하는 복합혼합물로 설명된다. 본초약제와 합성약제(chemically defined drug)의 근본적 차이는 전자는 거의 항상 잠정활성물질(putative active substances)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광범위하게 다양한 품질과 효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은행나무 잎의 품질은 표준화된 은행추출물의 생산에 중요하다.
가장 잘 연구된 은행나무 추출물의 조성물인 EGb761는 독일연방건강기관(German Federal Health Authority)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부가적으로 농축물이나 분리된 활성 재료의 혼합없이, 아세톤/물 및 이어지는 정화단계를 이용하여 생산된 건조 은행잎으로부터의 건조 추출물”(DeFeudis FV 1998 Ginkgo biloba extract (EGb761): 화학에서 임상으로. Ullstein Medical, Wisbaden, Germany). EGb761는 유럽에서 TanakanTM, GinkgorTM, RokanTM, TeboninTM이라는 이름으로 상업화되어 왔다. 유럽에서는 의학적 감시 아래에서만 그것의 이용이 가능하다(처방전이 요구된다). 미국에는 의사의 처방전 없이 직접구입이 가능한(O.T.C.) 은행나무 영양제(supplement)가 많이 있다. 거기에는 EGb761가 기본재료가 된다. 예를 들면 GinkgobaTM, GinkgogoldTM 및 QuateraTM이 있다. EGb761의 품질과 활성은 명확하고 특허된 생산공정에 의하여 조절된다(유럽특허번호 제31535 B1호 및 미국특허번호 제5,339,348호는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본초 대 추출물의 비율은 평균하여 50 대 1이다.
EGb761 추출물은 24% 징코 플라본 글리코시드 및 6% 테르펜 트리 락톤(3.1% 징코라이드 및 2.9% 빌로발라이드)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EGb761는 다른 물질(예를 들면, 프로안토시아니딘, 카르복실산, 비-플라본 글리코시드(non-flavone glucosides) 및 몇 가지 분자량이 큰 구성성분)을 함유한다. 다른 물질의 농도(concentration)는 또한 생산방법에 의해 결정되고, 그것의 조화(consistency)는 또한 높은 품질을 보증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EGb761에는 징크골릭산이 없다. 수많은 연구는 EGb761의 몇몇 구성성분이 각각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고 약제학적 및 요법적 활성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여 왔다. 그러나 은행추출물에 그것의 규칙적이고 방어적 작용을 수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구성성분의 보충 및/또는 시너지 효과라고 믿어져 왔다. 그 효과는 그것을 평형(equilibrated)“토툼(totum)”(Drieu K, Jaggy H 1999 History, development and constituents of EGb761. In: Ginkgo biloba. Van Beek T(ed).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and Industrial Profiles Serie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267-277)으로 만든다. 다른 은행추출물 예를 들면 ISP200(프로안토시아니딘이 결핍된 EGb761의 시료(preparation)), LI1379, LI1370, BN52063(40% 징코라이드A, 40% 징코라이드B, 및 20% 징코라이드C를 함유함), PN246(알약당 7mg 테르펜 락톤 및 24mg 플라본 그리코시드를 함유함; Bio-Biloba, Pharma Nord, Vejle, Denmark), Geriaforce (은행잎의 물/알콜(70% v/v) 추출물, 1:4 추출물; 0.34mg/ml 총 징코라이드 및 0.20mg/ml 총 플라본 글리코시드; Biohorma B.V.), 및 ZGE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부가적 추출물은 예를 들면, 적어도 5%, 10%, 15%, 20%, 24%, 30%, 35%, 40%, 45%, 50%, 75%, 85% 또는 95%의 징코 플라본 글리코시드를 포함한다.
치료적 활성( Therapeutic Activity ). 많은 연구는 노화 및 노년기와 관련된 불면증, 기억력장애, 인지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와 모든 유형의 치매, 기분변화(mood changes), 일상의 스트레스요인에 대처하는 능력의 결핍을 가지고 있는 자에 대한 은행추출물의 은혜적 효과를 설명한다(DeFeudis FV 1998 Ginkgo biloba extract (EGb761): 화학에서 임상으로. Ullstein Medical, Wisbaden, Germany; Le Bars PL, Katz MM, Berman N, Itil TM, Freedman AM Schatzberg AF 1997 치매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의 속임약제어(placebo-controlled), 이중맹검, 무작위시험. JAMA 278:1327-Lemay M-J, Lupien S 1999 Ginkgo biloba: what good is it? Mat. Medicine Canada 2: 34-37). 또한, 5플루오로우라실, 독세타셀, 독소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과 같은 화학요법제를 사용하는 암치료법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은행추출물을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은행잎의 표준추출물, EGb761은 대부분의 이러한 연구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EGb761은 심장보호효능(cardioprotective effects)을 보여왔다. EGb761에서 가장 중요한 활성제는 세 개의 주요 플라보노이드 집단 및 두 개의 테르펜 집단 그리고 디테르펜, 징코라이드이다. 세 개의 주요 플라보노이드 집단의 구조는 뉴클레오시드, 이소알록사진, 및 폴릭산의 구조와 유사하다. 두 개의 테트펜 집단은 세스퀴테르펜, 빌로발라이드를 말한다.
신경독증에 대한 활성. 우리는 은행 추출액의 투여는 치료약물의 신경독성 부작용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서 설명한 치료를 위한 대표적인 은행추출물은 EGb761이다. 다른 은행추출물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치료되는 신경독성 부작용은 고통, 이동성의 결핍, 조화운동불능, 무감각, 저림, 사지부실, 눈떨림, 현기증, 운동거리조절이상, 말더듬, 되풀이운동장애, 졸음, 발작, 인격변성, 무반사, 변비, 목쉼, 기립저혈압, 걸음장애, 혼미, 혼수, 기면, 착란, 우울, 환각, 간대성근견련, 진동감각 감퇴, 심부건반사 감퇴, 온도과민(예, 더위나 추위), 지각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은행추출물은 약물치료와 관련된 어떠한 신경독증도 경감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치료약물보다 앞서 및/또는 치료약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은행추출물은 약물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독증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치료 중단 후에 투여 될 수 있다. 은행추출물과 치료약물에 의한 치료는 또한 교대로 할 수 있다.
은행추출물은 또한 신경독증을 치료하는 다른 화합물과 함게 투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산화제(예,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 향신경성인자(예,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예,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및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예,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과 같은 것이 있다. 이러한 다른 화합물의 표준 복용량은 예를 들면 Merck Manual of Diagraosis & Therapy (17th Ed. MH Beers et al. , Merck & Co. ) 과 Physicians' Desk Reference 2003 (57th Ed. Medical Economics Staff et al. , Medical Economics Co. , 2002)와 같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부가하여, 당업자는 화합물의 조제형, 그것의 투여경로, 특정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상태, 질병의 유형과 정도와 같은 변수에 의해 각 치료를 위한 적당 복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표준임상실험은 신경독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떠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복용량과 복용횟수도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은행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경구로 투여된다. 그러나 투여의 방법은 특정 질병이 치료되고 있는지 또는 치료약물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여의 대체적 경로는 피부에 바르는 경로, 비경구의 경로, 정맥주사의 경로, 동맥주사의 경로, 피하주사의 경로, 근육주사의 경로, 두개내의 경로, 안와내의 경로, 눈의 경로, 심실내의(또는 뇌실내의) 경로, 비강내의 경로, 분무제의 경로, 좌약을 이용한 경로, 또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투여 경로를 포함한다.
은행추출물은 또한 치료약물(예, 옥살리플라틴)과 함께 선택적으로 여기서 설명한 신경독증 치료용 다른 화합물과 함께 동일복용단위(예를 들면, 단위주사용 볼루스(bolus)나 단위알약)로 투여될 수 있다.
전체 조제형(formulations)은 근원질병(underlying disorder)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치료제의 양, 치료제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독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은행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다른 화합물의 양을 바람직하게 함유할 것이다. 조제형을 만드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은 예를 들어 레밍턴( Remington )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판 A. R. Gennaro ed. , Lippincott: Philadelphia, 2000)에서 발견된다. 그러한 조제형을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는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져있다.
은행추출물은 신경독증 치료법을 제공하는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사람인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대표적인 복용량 범위는 하루에 몸무게를 기준으로 0,1mmg/kg에서 1, 5, 또는 10 mg/kg이다(예, 0.5mg/kg). 대표적인 복용량은 하루에 두번 EGb761 120mg을 복용하는 것이다. 투여되는 은행추출물의 복용량은 질병의 유형과 정도, 특정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상태, 화합물의 조제형 및 그것의 투여경로와 같은 변수에 따라 필시 결정될 것이다. 표준임상실험은 어떠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복용량과 복용회수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환자의 신경독증의 정도는 표준신체검사나 은행추출물은행추출물 병력비교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질문서를 채우기 위해 치료전, 치료중, 및 치료후의 그들의 육체적 및 정신적 상태를 물을 수 있다.
부가하여, 신경독증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는 표준인지검사 나 표준감각검사의 조사대상이 될 수 도 있다.
다음 실시예는 절대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 실시예1 >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옥살리플라틴을 받은 환자에 대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은행나무의 직접판매(OTC)약제의 효과를 검사해 왔다. 이 약제는 표준EGb761 (GinkgobaTM ) 추출물을 함유한다. 모든 환자는 이미 옥살리플라틴을 투여받고 있고 징코의 시작(starting Ginkgo)에 앞서 신경독증으로 발전했다. 우리의 자료 및 보고된 문헌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루에 두 번 GinkgobaTM 120mg을 계속(매일) 복용할 것을 추천했다. 그리하여 급성 신경독증(acute neurotoxicity)은 징코를 받기 전의 환자의 병력에 의해 측정된다(화학요법의 이전주기). 그리고 징코치료 후의 그것과 비교한다(화학요법의 후속주기). 본 발명자들은 치료에 기인한 중대한 신경독증을 경험한 8명의 환자를 치료했다. 그러나 옥살리플라틴의 항암작용으로부터의 이점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GinkgobaTM 120mg의 양으로 하루에 두 번씩 몇 달 동안 내지 치료기간 동안 및 옥살리플라틴을 중단한 후 한 달에서 두 달 동안 치료한다. 8명 중 7명의 환자는 신경독증의 중대한 감소와 삶의 질의 향상을 보고했다. 신경독증은 환자의 병력 및 신체검사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환자 중 5명은 남자였고, 3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진행결장암을 가졌고 모두 어느 정도의 신경독증으로 발전한 상태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대략 55세 였다.
<다른 구현예 >
설명된 발명의 방법에 대한 변형과 변이는 당업자에게는 발명의 범위(scope)와 정신(spirit)으로부터 이탈 없이 명확할 것이다. 비록 발명이 특별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시켜 설명되어 왔지만. 청구범위의 발명은 그러한 특별한 실시예에 부적절하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가 갈 것이다. 실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명된 방식의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도록 한다. 상기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언급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은 마치 각각의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이 각각 참고문헌으로 삽입되는 것과 같은 정도로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다른 구현예는 청구범위내에 기재되어 있다.

Claims (60)

  1. 치료학적인 유효량의 은행나무(Ginkgo biloba) 추출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therapeutic-induced neurotoxicity) 환자의 치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독성은 면역억제제, 항생제, 항부정맥제, 항지질혈제, 화학요법제, 또는 이들의 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치료약물에 의해 신경독증을 유발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클로르암페니콜,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반코마이신, 에탐부톨,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린, 벤질페니실린,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아미오다론,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또는 이들의 배합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술폰아미드, 테트라사이틀린, 아미노글리코시드, 테트라사이클린, 폴리마익신, 베타락탐, 카르바페넴,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플루오로퀴놀론, 또는 이들의 배합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알킬화제(alkylating agent), 항대사제(antimetabolite agent), 항미세관제, 항축동제, 항종양 항생제, 또는 이들의 배합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L-아스파라긴나제, 카르보플라스틴, 클로람부실, 사이타라빈, 에토포시드,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 JM216, ZD0473, BBR3464, SPI-77, 네다플라틴, 또는 이들의 배합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가 옥살리플라틴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독증이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또는 이들이 배합에 의해 유도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또는 ZGE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유방암, 결장암, 홉킨스병, 카포시육종, 레터러-시웨병, 백혈병,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비소세포폐암, 췌장암, 위암 ,또는 자궁암 환자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결장암 환자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 글루탐산염, 칼슘- 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을 추가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간질제는 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노코르틴은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또는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인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향신경성인자는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또는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투여는 치료약물을 환장에게 투여하기 전, 중, 또는 후 ,또는 이와의 배합하여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시에 상기 치료약물과 투여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치료약물의 처리에 앞서 투여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치료제의 처리 후에 투여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투여는 치료약물의 투여와 교대로 수행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투여는 상기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을 경감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독증이 고통, 이동성의 결핍, 조화운동불능, 무감각, 저림, 사지부실, 눈떨림, 현기증, 운동거리조절이상, 말더듬, 되풀이운동장애, 졸음, 발작, 인격변성, 무반사, 변비, 목쉼, 기립저혈압, 걸음장애, 혼미, 혼수, 기면, 착란, 우울, 환각, 간대성근견련, 진동감각 감퇴, 심부건반사 감퇴, 온도과민, 지각이상, 또는 이들의 배합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앞서, 상기 환자는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환자인 방법.
  25. 치료제(therapeutic agent) 및 은행나무(Ginkgo biloba)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또는 ZGE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면역억제제, 항생제, 항부정맥제, 항지질혈제, 화학요법제, 또는 이들의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클로르암페니콜, 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반코마이신, 에탐부톨,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린, 세프메타졸, 벤질페니실린,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아미오다론, 피리독신,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또는 이들이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술폰아미드, 테트라사이틀린, 아미노글리코시드, 테트라사이클린, 폴리마익신, 베타락탐, 카르바페넴,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플루오로퀴놀론, 또는 이들의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알킬화제, 항대사제, 항미세관제, 항축 동제, 항종양 항생제, 또는 이들의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L-아스파라긴나제, 카르보플라스틴, 클로람부실, 사이타라빈, 에토포시드,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 JM216, ZD0473, BBR3464, SPI-77, 네다플라틴, 또는 이들이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가 옥살리플라틴인 약제학적 조성물.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이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또는 이들이 배합인 약제학적 조성물.
  34. 제25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인 약제학적 조성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항간질제는 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인 것을 특징을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노코르틴은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또는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인 약제학적 조성물.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향신경성인자는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또는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인 약제학적 조성물.
  39. 제25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이 치료약물에 의해 야기된 신경독증을 치료하는 데 있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액 및 항산화제, 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은 상기 치료약물에 의해 야기된 신경독증을 치료함에 있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함께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3. 치료약물(therapeutic agent) 및 은행나무(Ginkgo biloba) 추출물을 포함하 는 키트.
  44. 제43항에 있어서,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의 치료에 있어서 복장에 사용되는 라벨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EGb761, ISP200, LI1379, LI1370, BN52063, PN246, Geriaforce, 또는 ZGE를 포함하는 키트.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면역억제제, 항생제, 항부정맥제, 항지질혈제, 화학요법제, 또는 이들의 배합인 키트.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클로르암페니콜, 클로로퀸, 이소니아지드, 메트로니다졸, 니트로퓨란토인, 카프로락탐, 리팜핀, 에티오아미드, 시클로세린,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반코마이신, 에탐부톨,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이미페넴, 세페피메, 세프타지디메, 세파졸 린, 세프메타졸, 벤질페니실린, 트로바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아미오다론, 피리독신, 베자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또는 이들이 배합인 키트.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은 술폰아미드, 테트라사이틀린, 아미노글리코시드, 테트라사이클린, 폴리마익신, 베타락탐, 카르바페넴,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플루오로퀴놀론, 또는 이들의 배합인 키트.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알킬화제, 항대사제항대사제제, 항축동제, 항종양 항생제, 또는 이들의 배합인 키트.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L-아스파라긴나제, 카르보플라스틴, 클로람부실, 사이타라빈, 에토포시드, 헥사메타멜레민, 이포사미드, IL-2, 인터페론, 로라제팜, 미소니다졸, 미토테인,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플리카마이신, 프로카르바진, 수라민, 토포테칸,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셀로다, JM216, ZD0473, BBR3464, SPI-77, 네다플라틴, 또는 이들이 배합인 키트.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가 옥살리플라틴인 키트.
  5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이 알미트린, 비메실레이트, 탈리도미드, 콜치신, 디술피람, 페니토인, 다프손네, 소듐아우로티오말레이트, 또는 이들이 배합인 키트.
  53. 제43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아미포스틴, 알파리포산, 소듐티오설페이트,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메틸티오벤조산, L-및D-메티오닌, 살리실산염, 또는 글루타티온인 키트.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항간질제는 카르바마제핀 또는 가르바펜틴인 키트.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노코르틴은 아드렌노코르티코트로핀(ACTH), 알파, 베타, 또는 감마-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또는 Org2766인 키트.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향신경성인자는 신경성장인자, 뉴로트로핀-3, 뉴로트로핀-4/5, 뇌유래향신경성인자, 아교유래향신경성인자인 키트.
  5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물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키트.
  5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이 치료약물에 의해 야기된 신경독증을 치료함에 있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키트.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액 및 항산화제, 향신경성인자, 멜라노코르틴, 글루탐산염, 칼슘-마그네슘 주입액, 항간질제,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또는 이들의 배합이 치료약물에 의해 야기된 신경독증을 치료함에 있어 치료학적인 유효량으로 함께 존재하는 키트.
KR1020057020401A 2003-05-02 2004-05-03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 KR20060011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764703P 2003-05-02 2003-05-02
US60/467,647 2003-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838A true KR20060011838A (ko) 2006-02-03

Family

ID=3343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401A KR20060011838A (ko) 2003-05-02 2004-05-03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69539A1 (ko)
EP (1) EP1626693A2 (ko)
KR (1) KR20060011838A (ko)
AU (1) AU2004235761A1 (ko)
CA (1) CA2523242A1 (ko)
MX (1) MXPA05011772A (ko)
RU (1) RU2005137567A (ko)
WO (1) WO20040985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686B2 (en) 2006-11-06 2012-05-08 Poniard Pharmaceuticals, Inc. Use of picoplatin to treat colorectal cancer
US8168662B1 (en) 2006-11-06 2012-05-01 Poniard Pharmaceuticals, Inc. Use of picoplatin to treat colorectal cancer
US8178564B2 (en) 2006-11-06 2012-05-15 Poniard Pharmaceuticals, Inc. Use of picoplatin to treat colorectal cancer
US8168661B2 (en) 2006-11-06 2012-05-01 Poniard Pharmaceuticals, Inc. Use of picoplatin to treat colorectal cancer
US8197858B2 (en) * 2009-02-06 2012-06-12 Mark John Zamoyski Bone microenvironment modulated seizure treatments
MD4009C2 (ro) * 2008-07-15 2010-08-31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Академии Наук Молдовы Utilizarea 1-metil-4-(N-metilaminobutil-4)-β-carbolinei în calitate de remediu antituberculos
EP2334298B1 (en) * 2008-09-18 2014-07-30 Manu Chaudhary Novel single unit carbapenem aminoglycoside formulations
CN109596818B (zh) * 2018-12-13 2024-03-19 丁蓉 一种基于电生理学分析当归四逆汤预防奥沙利铂神经毒性机制的研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8995A1 (de) * 1983-10-27 1985-05-09 Dr. Willmar Schwabe GmbH & Co, 7500 Karlsruhe Bilobalid enthaltende arzneimittel
KR100258018B1 (ko) * 1997-12-23 2000-07-01 유승필 티클로피딘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약제조성물
FR2782008B1 (fr) * 1998-08-07 2003-04-25 Sod Conseils Rech Applic Utilisation d'extraits de ginkgo biloba pour preparer un medicament destine a traiter la sclerose laterale amyotrophique
US6653352B2 (en) * 1999-09-29 2003-11-25 Medical Merchandising, Inc. Pain reliever and method of use
US6524619B2 (en) * 2000-01-27 2003-02-25 Chronorx, Inc. Dosage forms useful for modifying conditions and function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and/or tinni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35761A1 (en) 2004-11-18
US20070269539A1 (en) 2007-11-22
MXPA05011772A (es) 2006-07-06
EP1626693A2 (en) 2006-02-22
RU2005137567A (ru) 2006-04-27
CA2523242A1 (en) 2004-11-18
WO2004098519A3 (en) 2006-06-15
WO2004098519A2 (en)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ckson et al.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in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a randomized study
UA74782C2 (uk) Застосування ет743 для лікування злоякісних пухлин та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KR20060011838A (ko) 치료약물유도신경독증 치료를 위한 은행나무 추출물
Carney The pharmacology of intravenous and oral etoposide
KR100711276B1 (ko) 주의력 결핍 증후군 치료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사용
US6548531B2 (en) Method for cancer therapy
KR100610562B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90099102A1 (en) Ginkgolide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varian Cancer
KR20050075012A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된 말초신경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아세틸-l-카르니틴
Malik Current and future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ic neuropathy
Azizi et al. Efficacy of topical and systemic vitamin E in preventing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Casas et al. Myoclonic movements as a side-effect of treatment with therapeutic doses of clomipramine
CN101014370A (zh) 用于治疗由治疗剂诱导的神经毒性的银杏提取物
RU2408383C1 (ru) Композиция с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и адаптог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арианты) и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на ее основе (варианты)
Thuy et 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Safety of Ganoderma lucidum Spores: A Systematic Review
EP0279867A2 (de) Verwendung von Vitamin-E und Vitamin-E-Kombination mit nichtsteroidalen Antirheumatika und Schmerzmittel zur Behandlung von rheumatischen Erkrankungen
KR20210097487A (ko) 후코이단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IE930485A1 (en) Antidepressant agents with a rapid onset of action
WO2024101207A1 (ja) ケルセチン又はその配糖体を含有する認知機能の低下抑制又は改善用組成物
Skelton III et al. Thiamine deficiency neuropathy: it's still common today
WO2011041920A2 (es) Composición nutracéutica que comprende extracto de shilajit, ácido fólico, vitamina b12 y vitamina b6 y su uso para prevenir y/o tratar enfermedades neurodegenerativas y/o el deterioro cognitivo asociado al envejecimiento cerebral
ES2452916T3 (es) Vicenin 2 y derivados del mismo para utilizar como agente antiespasmódico y/o procinético
Van Putten Activity of the combination of high-dose epirubicin with gemcitabine in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Canavero et al. Cannabinoids
Borges et al. Study of a new analgesic compound in the treatment of tension heada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