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522A -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및 발사관 - Google Patents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및 발사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522A
KR20060011522A KR1020040060405A KR20040060405A KR20060011522A KR 20060011522 A KR20060011522 A KR 20060011522A KR 1020040060405 A KR1020040060405 A KR 1020040060405A KR 20040060405 A KR20040060405 A KR 20040060405A KR 20060011522 A KR20060011522 A KR 2006001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injection
space
launch
launc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930B1 (ko
Inventor
심우전
김일수
오승종
하재훈
김지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4006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930B1/ko
Priority to US11/169,022 priority patent/US7484449B2/en
Priority to FR0508125A priority patent/FR2873802B1/fr
Publication of KR2006001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13Means for exhaust gas disposal, e.g. exhaust deflectors, gas evacu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2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the launching apparatus being used also as a transport container for the r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3Silos for rockets, e.g. mounting or sealing rocke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4/00Projectiles or missi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guiding or sealing them inside barrels, or for lubricating or cleaning barrels
    • F42B14/06Sub-calibre projectiles having sabots; Sabots therefor
    • F42B14/064Sabots enclosing the rear end of a kinetic energy projectile, i.e. having a closed disk shaped obturator base and petals extending forward from said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045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of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및 이의 발사관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중공 셸 형상으로 형성된 발사관과; 상기 발사관 내부에 유도탄이 내재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제2공간으로 나누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고 둘레에는 가스 배출용 관통공이 형성된 격막과; 가스 배출구가 상기 제1공간쪽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공간의 상기 격막에 고정된 가스 발생기와; 상기 유도탄의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前頭部)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를 향하는 경사를 갖고 상기 발사관의 내벽 근방에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판을 구비한 사출판을; 포함하여, 상기 가스 발생기의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상기 제2공간과 상기 격막의 상기 가스 배출용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가스가 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사출판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도탄을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발사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도탄의 추진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서 가스 발생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발사관으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사출 발사 장치, 발사관, 가스 발생기, 사출판

Description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및 발사관{MISSILE EJECTION LAUNCHING SYSTEM AND CANISTER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측면 투시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도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의 "C"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6은 도4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1의 유도탄의 탄지지대와 발사관의 수송 고정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8은 도1의 발사관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9는 도1의 배꼽 분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10은 도1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미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2는 도10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3은 도1의 사출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도탄 20: 발사관
30: 탄구속 기구 40: 가스 발생기
50: 탄지지대 60: 배꼽 분리 기구
70: 사출판 분리 기구 80: 사출판
90: 수송 고정 기구
본 발명은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및 이의 발사관에 관한 것으로, 유도탄의 추진 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발사대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킴으로써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 및 서방 국가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유도탄 발사 장치는 유도탄의 추진기관을 점화하여 발생하는 추력을 이용하여 발사대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식은 유도탄의 추진 기관으로부터 나오는 고온 고압의 화염으로 인하여, 지상 장비나 주변에 있는 유도탄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화염 처리 장치나 보호 대책을 요구하여 왔다. 또한, 이 방식은 발사 초기부터 추진 기관을 사용하여 탄 구속을 해제시키고 발사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추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유도탄의 추진 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발사대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킴으로써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화염 처리 장치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대책을 배제시킬 수 있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형 중공 셸 형상으로 형성된 발사관과; 상기 발사관 내부에 유도탄이 내재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제2공간으로 나누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고 둘레에는 가스 배출용 관통공이 형성된 격막과; 가스 배출구가 상기 제1공간쪽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공간의 상기 격막에 고정된 가스 발생기와; 상기 유도탄의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前頭部)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를 향하는 경사를 갖고 상기 발사관의 내벽 근방에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판을 구비한 사출판을 포함하여, 상기 가스 발생기의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상기 제2공간에서 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배출용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사출판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도탄을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발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가스 발생기와 사출판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유도탄의 추 진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서 가스 발생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발사관으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의 외주 끝단에는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는 가이드의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이 되거나 테프론 클립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는 유도탄의 진행시에 가이드와 발사관의 내벽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여 원활한 유도탄의 발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발사관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제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발사관은 전방 덮개와, 후방 덮개와, 전방 덮개와 후방 덮개 사이의 복수개의 튜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튜브의 조합으로 구성됨으로써 대형 공작 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발사관의 제조시에 발생되는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을 위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경우에 그 단위 튜브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취급이 용이한 장점도 아울러 갖는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튜브에는 서로 맞물리는 암수 형상의 요철이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튜브 사이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양측 튜브의 인접한 부위의 내벽에는 테이퍼 가공됨으로써 발사관 내벽의 튜브 연결 부위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접한 튜브 상하단 면의 테이퍼의 최대 형성 깊이는 0.5 mm 내지 2.0mm 인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튜브 가운데 2개 이상의 튜브에는 상기 발사관을 발사용 장치에 장착시키거나 눕혀 놓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출 발사 장치를 발사대에 장착하기 용이해지고 운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탄의 롤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안내 레일이 관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와 체결되어 상기 유도탄을 종방향으로 구속하도록 형성된 탄구속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탄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탄지지대와 접촉하여 상기 유도탄을 횡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송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상기 유도탄과 상기 발사관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여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수송 고정 기구는 상기 탄지지대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접촉력을 갖고 접촉하는 마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탄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유도탄의 동체 측면과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바닥면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유도탄이 발사되면 상기 유도탄과 접속된 상기 커넥터도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연결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도탄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유도탄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연장판의 외주 끝단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는 요입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탄의 진행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판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사출판 분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출판이 유도탄과 함께 발사관으로부터 이탈하여 유도탄의 추진 기관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사출판이 지상에 낙하함으로써 지상물에 피해를 줄 가능성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봉에는 소성 변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가요성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걸림봉의 선단부에는 "V"형상의 판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의 폭보다 더 좁은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개구부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상기 걸림봉이 상기 가이드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봉의 선단부의 "V"형상의 판스프링이 상기 걸림 돌기에 걸려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사출판이 발사관의 저면에 떨어져 발사관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발사관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전방 덮개와; 상기 유도탄의 후방부를 둘러싼 후방 덮개와; 상기 전방 덮개와 상기 후방 덮개 사이에 연결 형성된 복수개의 튜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사출 발사장치의 발사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는, 유도탄(10)을 발사하기 이전에는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는 실린더 역할을 하는 발사관(20)과, 유도탄(10)의 발사 이전에 종방향으로 유도탄(10)을 구속하는 탄구속 기구(3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 유도탄(10)을 발사관(2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압력을 형성시키는 가스 발생기(40)와, 발사관(20) 내에서 유도탄(10)에 끼워져 외주 측면에 돌출된 탄지지대(5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동체 측면에 설치된 배꼽 커넥터가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형성된 배꼽분리기구(6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후미부에 부착된 사출판(80)이 발사관(20) 내에서 분리되도록 발사관(20)의 전방부에 형성된 사출판 분리기구(70)와, 가스 발생기(40)에서 분출된 고압 가스에 밀려남에 의하여 유도탄(10)을 발사관(20) 내부에서 발사 안내하기 위하여 유도탄(1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유도탄(10)의 후미부에 설치된 사출판(80)과, 발사관(20)내에 유도탄(10)이 내재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유도탄(10)의 외주 측면에 돌출된 탄지지대(50)와 접촉함으로써 유도탄(10)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수송고정기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탄(10)은 그 후미부는 탄구속기구(30)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이전에,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이 종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사관(20)은 격막(28b)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내재되는 제1공간(I)과, 제1공간(I)을 제외한 제2공간(II)으로 구별된다. 발사관(20)은 유도탄(10)을 제1공간(I)에 안착시켜 외부의 습도, 이물질 등으로부터 유도탄(10)을 보호하고,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는 유도탄(10)을 밀어내는 실린더 역할을 하며, 유도탄(10)의 전방부를 덮는 전방 덮개(21)와, 사출 장치를 보호하고 발사시 충격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덮개(22)와, 후방 덮개(22)와 연결되어 유도탄(10)의 후미와 가스 발생기(40)등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탄구속튜브(28)와, 탄구속 튜브(28)와 전방 덮개(21)의 사이에 중공 원통 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튜브(23-27)와, 이들 튜브(23-27)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 연결부(23a-27a)와,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 유도탄(10)과 사출판(80)이 롤운동을 방지하도록 유도탄(10)의 종방향을 따라 발사관(20)의 내벽에 길게 형성된 안내 레일(29)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발사관(20)의 제1공간(I)은 전방 덮개(21)와, 전방 덮개(21)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23-27)와, 탄구속 튜브(28)의 격막(28b)으로 형성되며, 발사관(20)의 제2공간(II)은 격막(28b)을 포함한 탄구속 튜브(28)와, 후방 덮개(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사관(20)이 복수개의 튜브(23-28)로 형성된 것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발사관(10)의 제작을 보다 저렴하고 제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상당히 긴 길이의 발사관을 하나로 제작했는 데,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생산 설비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 불량률로 인한 재료비와 가공비 등의 손실이 크고, 제작후 조립 장소로 운반하는 데 있어서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튜브(23-27)와 탄구속 튜브(28)로 발사관(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도탄(10)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튜브(23-28) 사이의 연결부(23a-28a)의 내벽(20b)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도탄(10)과 함께 움직이는 사출판(80)과 간섭이 생길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각 튜브(23-28)의 연결부(24a-28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4c,25c)이 암수 형태로 형성되어, 각 튜브(23-28) 및 전방 덮개(21)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를 인접한 튜브(24-28) 및 후방 덮개(22)의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이들을 볼트(24b-28b)로 체결하고, 각 튜브(23-28)의 인접부에 약 0.5mm 내지 2.0mm의 최대 깊이의 테이퍼(25d)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23a-28a)에서 돌출부가 발생되는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튜브(23-28) 가운데 지지 튜브(27)는 그 외주면에 사출 발사 장치(1)를 발사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눕혀 놓을 수 있도록 지지대(27b)를 구비한다. 또한, 탄구속 튜브(28)는 발사관(20)의 내부를 제1공간(I)과 제2공간(II)으로 나누는 격막(28b)을 구비하며, 격막(28b)의 둘레에는 제2공간(II)으로부터의 고압 가스가 제1공간(I)에 위치한 사출판(80)을 밀어 올릴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가스 배출용 관통공(28c)을 다수 구비한다.
상기 사출판(80)은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유 도탄(10)의 후미부에 걸려있는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8b)에는 사출판(80)의 후면 돌출부(82a)를 감싸도록 제1돌기(28d)가 돌출 형성되어 제1 돌기(28d) 사이에 안착되고, 유도탄(10) 후미부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사출판(8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82b)가 형성됨으로써, 사출판(80)은 별도의 체결 기구에 의하지 않고 유도탄(10)의 후미와 격막(28a)의 전면 사이에 걸려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유도탄(10)의 후미부를 횡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사출판(80)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탄(10)의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밀폐판(81)과, 밀폐판(81)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발사관(20)의 내벽 근방에 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판(82)과,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에 90°간격으로 배치된 걸림쇠(83)와, 사출판(80)과 발사관(20)의 내벽 사이를 접촉하여 유도탄(10)의 발사를 안내하도록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의 걸림쇠(83)사이에 적절한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84)와, 안내 레일(29)과 맞물려 사출판(80) 및 유도탄(10)의 롤운동을 억제하도록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홈(86)과, 수송 고정 기구(90)의 마찰핀(9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형성된 홈(87)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쇠(83)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 형성된 걸림홈(83a)을 구비하고 있으며, 홈(83a)의 개구부에는 홈(83a)의 폭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부(83b)가 형성된다.
그리고, 발사관(20)의 내벽과 접촉하는 가이드(84)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테프론 클립(85)이 가이드(84)의 바깥표면에 장착된다. 이를 통해, 유도탄 (10)은 발사관(20)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발사관(20)의 내벽(20b)을 타고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구속 기구(30)는 탄구속 튜브(28)의 격막(28b)에 삽입 설치된 볼트(31)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31)는 격막(28b)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유도탄(20)의 후미에 형성된 자동 조심형 연결기(32)에 끼워지고, 타단이 격막(28b) 후미에 걸려있음으로써,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이전에 어떠한 외란에도 발사관(20)내에서 유도탄(10)의 종방향으로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조심형 연결기(32)는 볼트(31)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자유로와 볼트(31)의 끝단의 회전이 자유로우며, 볼트(31) 머리부와 접촉하는 반구형 와셔(34)와 반구형 와셔(32)의 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부싱(33)과 접촉하는 볼트의 머리부 또한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볼트(31)는 항상 인장력만 받게 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직전에 볼트(31)에 전류를 흘려주어 미리 파단시킴으로써 유도탄(10)의 종방향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40)는 내부 챔버에 소량의 고효율 추진재가 내장된 것으로, 격막(28b)의 중앙부 4 곳(41)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외부에서 유도탄(10)의 발사 신호가 입력되면, 후방 커버(22)를 향하여 고압 가스를 배출시키게 되고, 제2공간(II)의 밀폐 공간은 고압 가스로 가득차게 되어 압력을 형성하고, 가득찬 고압 가스는 40a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격막(28b)의 주위에 다수 관통 형성된 가스 배출 관통공(28c)을 통해 제1공간(I)으로 이동하고, 사출판(80)의 밀폐판(81)과 연장판(82)의 후면을 큰 힘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유도탄(10)은 발사관(20)내부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여기서, 가스 발생기(40)로부터의 고압 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스 발생기(40)의 가스 유출구와 사출판(80)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되는 것이 가스 발생기(40)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도탄(11)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는 사출판(80)은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 등과 같은 요입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즉, 사출판(80)의 밀폐판(81)이 만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얇은 두께로 큰 힘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밀폐판(81)의 만곡면의 요입 방향이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유도탄(10)의 길이 방향으로 사출판(80)이 차지하는 공간이 거의 없게 됨으로써, 발사관(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경사각으로 연장판(82)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가스의 압력에 따라 밀폐판(81)과 연장판(82) 사이의 굽힘 변형이 다소 발생되면, 유도탄(10)과 발사관(20) 사이의 틈새가 조금 커져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의 외주면에 요입형성된 홈에 단지 핀(51b)이 끼워진다. 다시 말하면, 핀(51b)은 유도탄(10)의 홈에 삽입될 뿐 체결되지 않는다. 탄지지대(50)는 나일론으로 형성된 외부 케이스(51)와 소정의 압축량을 갖고 설치된 스프링(52)을 구비한다. 따라서,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과 함께 발사관(20)을 함께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이후에 압축된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수송 고정 기구(9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탄(10)의 외주면 의 4곳에 90°간격으로 형성되어, 발사관(20) 내에 안착된 유도탄(10)이 이동 등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사관(20)과 유도탄(10) 사이를 탄지지대(50)와 수송 고정 기구(90) 사이의 틈새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하여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도탄(10)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다. 수송 고정 기구(90)는, 발사관(20)에 고정하는 몸체(92)와, 몸체(92) 내부에 설치되어 탄지지대(50)와 소정의 접촉력을 갖고 설치되는 마찰핀(91)과, 몸체(92)를 발사관(2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91a)와, 마찰핀(9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몸체 커버(93)를 구비한다. 마찰핀(91)의 바닥면(91a)과 탄지지대(50)의 몸체면(51a)과 상호 접촉면을 형성하며, 수직항력에 기초한 마찰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탄지지대(50)의 접촉면(51a)과 마찰핀(54)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힘이 유도탄(10)의 종방향에 대하여 작용하면, 수송 고정 기구(90)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배꼽 분리 기구(60)는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연결 커넥터(63)의 배꼽 케이블(65)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꼽 분리 기구(60)는 양단(61a,61b)이 힌지 결합되고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연결 링크(61)와, 연결 링크(61) 중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 링크(61)가 소정치 이상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62)과, 배꼽 분리 기구(60)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64)와, 유도탄(10)과 커넥터(63) 사이에 연결되는 배꼽 케이블(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링크(61)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므로 연결 링크(61)의 움직임에 무관하게 커넥터(63)는 케이스(64)의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 링크(61)중 하나는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링크(66)의 끝단에 소정의 압축량을 갖고 설치된 스프링(62)이 연결되어, 연결 링크(61)가 직립하는 힘을 받도록 작용하여 커넥터(63)는 유도탄(10)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유도탄(10)이 발사되어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커넥터(63)는 유도탄(10)과 함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이동함에 따라 커넥터(63)에 횡방향의 변위가 생기고,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에 연결된 배꼽 케이블(65)은 분리되며, 스프링(62)은 도9를 기준으로 연결 링크(61)를 좌측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연결 링크(61)와 커넥터(63)는 케이스(64)내에 누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사출판 분리기구(70)는, 유도탄(10)이 가스 발생기(40)에 의하여 1차 발사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도 유도탄(10)과 함께 발사관(20)에서 이탈되며, 발사관(20)에서 이탈된 유도탄(10)이 목표물을 향하여 유도탄(10)에 장착된 추진 기관에 의하여 2차 발사되면 사출판(80)이 분리되어 지상에 낙하하여 지상 장비 및 이웃 발사관 등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관(20)의 전방 덮개(21)와 인접한 걸림 튜브(23)에 사출판(80)의 4개의 걸림쇠(83)가 걸리도록 장착되며, 걸림 튜브(23)의 내벽에 설치된 거치대(71)와, 거치대(71)를 관통하여 고정된 걸림봉(72)과, 걸림봉(72)의 외주면에 장착된 콘 튜브(conical tube) 형상의 충격 흡수부 (73)와, 걸림봉(73)의 전방부 끝단에 장착된 "V"형상의 판스프링(74)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발사관(20) 내부에서 사출판(80)과 함께 진행하는 중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판(80)의 걸림쇠(83)의 걸림홈(83a)은 걸림봉(72)의 전방부(72a)에 끼워짐으로써 걸리게 되고, 유도탄(10)이 더욱 더 진행하게 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판(80)의 걸림홈(11c)의 진행에 따라 충격 흡수부(73)가 오그라들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사출판(80)이 더이상 유도탄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출판(80)은 유도탄(10)의 후미부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V"형상의 판스프링(74)은 걸림쇠(83)내의 걸림홈(8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83b)에 걸리게 되어, 사출판(80)은 발사관(20)의 저부로 낙하하지 않고 사출판 분리기구(70)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 내에 유도탄(10)을 설치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유도탄(10)을 종방향으로 고정해주는 탄구속 기구(30)와 유도탄(10)을 횡방향으로 고정해주는 수송 고정 기구(50)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발사관(20)의 내벽과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를 이용하여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는, 배꼽 분리 기구(60)를 통하여 유도탄(10)에 발사 신호를 전달하면, 유도탄(10)을 종방향으로 구속하는 탄구속 기구(30)가 파단되고,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과 가스 발생기(40)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가스 발생기(4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면, 유도탄(10)은 발사관(20) 내에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전방 덮개(21)는 일부분의 가스 압력이 전달되어 초기에 파단된다. 유도탄(10)의 진행에 따라, 유도탄(10)의 측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송 고정 기구(90)의 마찰핀(91)과 탄지지대(51) 사이의 마찰 접촉은 해제된다. 그리고, 배꼽 분리 기구(60)의 연결 링크(61)도 스프링(62)에 의하여 급속하게 회전 운동이 이루어져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분리된다.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의 진행은, 발사관(20)의 내벽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안내 레일(29)을 따라 사출판(80)이 이동하게 되므로, 발사관(20) 내부에서 사출판(80)에 물려있는 유도탄(10)이 롤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사출판(80)도 롤운동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출판(80)의 걸림쇠(83)가 정확히 사출판 분리 기구(70)의 걸림봉(73)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유도탄(10)이 발사관(20)을 거의 빠져 나간 상태에서는,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은 사출판 분리기구(70)에 의하여 유도탄(10)과 분리되고, 걸림봉(73) 전방부의 "V" 판스프링(74)이 걸림쇠(8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사출판(80)은 발사관(20)의 전방에 걸려 있게 된다. 발사관(20)으로부터 이탈된 유도탄(10)은 추진 기관에 의하여 목표물을 향하여 다시 발사된다. 한편, 발사 충격을 흡수시키거나 분산시키기 위하여 후방 덮개(22)는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도탄(10)은 발사관(20)내를 통과하면서 가속되며, 발사관(20)의 전방 끝에 도달하는 순간 최대의 속도로 유도탄(10)이 발사관(20)의 밖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탄의 전방부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요입 형성된 곡면 형상으로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에 부착된 사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사출판과 후방 덮개 사이는 밀폐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도탄의 추진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서 가스 발생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발사관으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유도탄의 진행시, 가이드가 발사관의 내벽을 타도록 함으로써 유도탄의 조종 날개(18)가 발사관의 내벽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발사관은 복수개의 튜브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형 공작 기계에 의하지 않고도 제작이 가능해지며 불량률이 감소되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조립시 취급이 용이해지는 장점도 아울러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도탄의 발사시에 유도탄의 롤운동을 방지하며,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와 체결된 탄구속 기구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상기 발사관 내부에서 상기 유도탄을 종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아울러, 수송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도탄을 횡방향으로 구속하게 되어, 상기 유도탄의 발사 이전에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발사관과 유도탄 사이에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출판이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사출판 분리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출판이 유도탄과 함께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어 공중에서 유도탄의 추진기관에 의하여 분리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지상물의 피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판이 발사관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사출판 분리 기구에 매달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판이 분리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발사관 내부에 낙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발사관 내부의 파손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0)

  1. 원통형 중공 셸 형상으로 형성된 발사관과;
    상기 발사관 내부에 유도탄이 내재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제2공간으로 나누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고 둘레에는 가스 배출용 관통공이 형성된 격막과;
    가스 배출구가 상기 제1공간쪽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공간의 상기 격막에 고정된 가스 발생기와;
    상기 유도탄의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前頭部)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를 향하는 경사를 갖고 상기 발사관의 내벽 근방에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판을 구비한 사출판을;
    포함하여, 상기 가스 발생기의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상기 제2공간과 상기 격막의 상기 가스 배출용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가스가 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사출판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도탄을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발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의 외주 끝단에는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가이 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의 표면에 테프론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의 표면에 테프론 클립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사관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은 전방 덮개와, 후방 덮개와, 전방 덮개와 후방 덮개 사이의 복 수개의 튜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튜브에는 서로 맞물리는 암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튜브의 내벽에는 인접부가 요입 형성되도록 내벽측으로 파여진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의 최대 형성 깊이는 0.5 mm 내지 2.0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을 구성하는 발사관은,
    상기 유도탄의 전두부 측에 형성된 전방 덮개와;
    상기 전방 덮개와 상호 연결되고 양단이 개방된 튜브로 형성된 연결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을 구성하는 발사관은,
    상기 제1공간을 구성하는 연결 튜브와 연결되고, 개방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격막과 일체로 형성된 탄구속 튜브와;
    상기 탄구속 튜브의 개방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격막과 상기 후방 덮개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제2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브 가운데 2개 이상의 튜브에는 상기 발사관을 발사용 장치에 장착시키거나 눕혀 놓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롤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 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안내 레일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와 체결되어 상기 유도탄을 종방향으로 구속하도록 형성된 탄구속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탄지지대와 접촉하여 상기 유도탄을 횡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송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고정 기구는,
    상기 탄지지대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접촉력을 갖고 접촉하는 마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유도탄과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바닥면에 모두 힌지 결합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유도탄이 발사되면 상기 유도탄과 접속된 상기 커넥터도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연결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도탄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유도탄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의 외주 끝단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는 요입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탄의 진행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판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사출판 분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에는 소성 변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가요성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의 선단부에는 "V"형상의 판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의 폭보다 더 좁은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개구부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봉이 상기 가이드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봉의 선단부의 "V"형상의 판스프링이 상기 걸림 돌기에 걸려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4.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발사관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전방 덮개와;
    상기 유도탄의 후방부를 둘러싼 후방 덮개와;
    상기 전방 덮개와 상기 후방 덮개 사이에 연결 형성된 복수개의 튜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사출 발사장치의 발사관.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브 중 어느 하나의 튜브에,
    상기 발사관을 상기 유도탄이 내재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제2공간으로 나누도록 격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발사관.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튜브에는 서로 맞물리는 암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7. 제 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튜브의 내벽에는 인접부가 요입 형성되도록 내벽측으로 파여진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의 최대 형성 깊이는 0.5 mm 내지 2.0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29. 제 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브 가운데 2개 이상의 튜브에는 상기 발사관을 발사용 장치에 장착시키거나 눕혀 놓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30. 제 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의 롤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의 사출 발사 장치.
KR1020040060405A 2004-07-30 2004-07-30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KR10062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05A KR100629930B1 (ko) 2004-07-30 2004-07-30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US11/169,022 US7484449B2 (en) 2004-07-30 2005-06-28 Missile ejection system and launching canister thereof
FR0508125A FR2873802B1 (fr) 2004-07-30 2005-07-29 Systeme d'ejection de missile et boitier de lan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05A KR100629930B1 (ko) 2004-07-30 2004-07-30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93A Division KR100607107B1 (ko) 2006-06-09 2006-06-09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22A true KR20060011522A (ko) 2006-02-03
KR100629930B1 KR100629930B1 (ko) 2006-09-29

Family

ID=3561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05A KR100629930B1 (ko) 2004-07-30 2004-07-30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84449B2 (ko)
KR (1) KR100629930B1 (ko)
FR (1) FR28738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47B1 (ko) * 2006-03-13 2007-08-22 국방과학연구소 외팔보 형태의 두 물체 분리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852547B1 (ko) * 2007-01-12 2008-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충격흡수용 무장발사관
KR101016686B1 (ko) * 2010-06-03 2011-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꼽 연결 장치
KR101298614B1 (ko) * 2010-09-29 2013-08-26 국방과학연구소 사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KR101334731B1 (ko) * 2011-10-28 2013-11-29 국방과학연구소 완충장치를 구비한 수중 사출체 발사장치
KR101958152B1 (ko) 2018-10-30 2019-03-13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초기 회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5761B2 (en) * 2005-12-19 2008-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Variable-force payload ejecting system
US7665395B2 (en) * 2006-01-30 2010-02-23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Lateral support device system for canister-launched missile
US8353239B1 (en) * 2008-05-29 2013-01-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ing the launch of a projectile
KR101378846B1 (ko) * 2013-09-03 2014-03-27 국방과학연구소 부가 하중이 고려된 발사체 사출 메커니즘 사출성능 분석 방법
US9874420B2 (en) * 2013-12-30 2018-01-23 Bae Systems Land & Armaments, L.P. Missile canister gated obturator
US9488438B1 (en) * 2014-11-17 2016-11-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mall vehicle encapsulation for torpedo tube vehicle launch
KR101677586B1 (ko) 2015-12-04 2016-11-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직선전동기를 이용한 수직 발사 시스템
CN106853871A (zh) * 2015-12-08 2017-06-16 上海机电工程研究所 一种楔形锁紧分离机构
US9841256B2 (en) * 2016-01-17 2017-12-12 Wilcox Industries Corp. Combined launch and storage tube for missile
CN106404333B (zh) * 2016-12-05 2019-03-01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气体弹射牵引装置
CN107816914B (zh) * 2017-10-31 2019-07-02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大冲量碰撞制动缓冲的滞留式尾罩分离装置
CN109737809B (zh) * 2019-01-31 2021-03-2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多燃气发生器动力系统的导弹弹射点火方法
CN110920899B (zh) * 2019-12-05 2023-06-09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机载设备通用茧式储运发射箱
CN111238305B (zh) * 2020-03-16 2021-12-03 上海机电工程研究所 适用于导弹发射装置的抗冲击尾罩及导弹发射装置
US11041692B1 (en) * 2020-05-12 2021-06-22 Michael Chromych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acceleration of objects
CN111981904B (zh) * 2020-08-26 2022-06-28 北京理工大学 一种侧向运动翻转的压强扰动波开启发射箱前盖
CN112229270B (zh) * 2020-10-13 2023-04-25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可拼接机动式运载火箭发射平台
RU2753418C1 (ru) * 2020-12-07 2021-08-16 Федеральное казё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ациональное испытатель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боеприпасные полигоны России" (ФКП "НИО "ГБИП Росс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 отстыковки объекта испытаний от каретки ракетного трека
CN113218242B (zh) * 2021-04-09 2022-07-2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通用垂直发射转弯装置
US11709035B2 (en) * 2021-08-12 2023-07-25 Raytheon Company Translating harness with passive disconnect
CN114485264B (zh) * 2022-04-19 2022-06-24 四川赛狄信息技术股份公司 一种筒装导弹发射的点火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511A (en) * 1961-01-11 1966-05-31 Zwicky Fritz Launching process and apparatus
US3088377A (en) * 1962-06-01 1963-05-07 Siegel Moses Mechanical programmed gas generator
US3548708A (en) * 1968-07-22 1970-12-22 Us Navy Pneumatic missile launcher
US4324167A (en) * 1980-04-14 1982-04-13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Flexible area launch tube rear cover
US4671163A (en) * 1985-07-15 1987-06-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launching a missile using secondary combustion
US4796510A (en) * 1987-11-09 1989-01-10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Rocket exhaust recirculation obturator for missile launch tube
US4944210A (en) * 1988-08-08 1990-07-31 Hughes Aircraft Company Missile launcher
GB8825195D0 (en) * 1988-10-27 1989-04-19 British Aerospace Impingement pressure regulator
US5009165A (en) 1988-11-18 1991-04-23 Morris James K Jacketed paint pellet
JPH05288494A (ja) 1992-04-07 1993-11-02 Mitsubishi Heavy Ind Ltd 飛しょう体の射出装置
US5365913A (en) * 1993-07-20 1994-11-22 Walton Garry L Rupture disc gas launcher
NO995142A (no) 1999-06-04 2000-10-16 Nammo Raufoss As Fremdriftsanordning for et prosjektil i et missil
US6418870B1 (en) * 2000-05-31 2002-07-16 Systems Engineering Associates Corporation Torpedo launch mechanism and method
US7398721B1 (en) * 2005-03-28 2008-07-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old-gas munitions launch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47B1 (ko) * 2006-03-13 2007-08-22 국방과학연구소 외팔보 형태의 두 물체 분리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852547B1 (ko) * 2007-01-12 2008-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충격흡수용 무장발사관
KR101016686B1 (ko) * 2010-06-03 2011-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꼽 연결 장치
KR101298614B1 (ko) * 2010-09-29 2013-08-26 국방과학연구소 사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KR101334731B1 (ko) * 2011-10-28 2013-11-29 국방과학연구소 완충장치를 구비한 수중 사출체 발사장치
KR101958152B1 (ko) 2018-10-30 2019-03-13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초기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3802B1 (fr) 2009-04-17
US20060214062A1 (en) 2006-09-28
US7484449B2 (en) 2009-02-03
KR100629930B1 (ko) 2006-09-29
FR2873802A1 (fr)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930B1 (ko)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KR100607107B1 (ko)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US2998754A (en) Missile launcher
US93226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water from a disrupter cannon
US4860969A (en) Airborne body
KR101298614B1 (ko) 사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KR100659303B1 (ko) 유도탄 발사장치의 유도탄 고정기구
CN1090312C (zh) 分离系统
KR102376793B1 (ko)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ES2305983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de vainas para una municion exenta de eslabones de cinta.
US5892217A (en) Lock and slide mechanism for tube launched projectiles
EP0108013B1 (fr) Dispositif et projectile déclencheurs d'avalanches
KR102289897B1 (ko) 충격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시험방법
CN210813626U (zh) 一种自动安装和发射消防炮弹的系统
KR102252821B1 (ko) 탄성을 이용한 발사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시험 방법
KR102252822B1 (ko) 탄 구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사관 구조체
KR102628112B1 (ko) 무장 사출 및 탑재가 가능한 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JP2001124494A (ja) 飛しょう体の発射装置
KR101957292B1 (ko) 이중사출판 구조를 갖는 유도탄 캐니스터
KR20120056123A (ko) 유도탄의 보호덮개,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 및 유도탄의 충격완화방법
US20190353468A1 (en) Protection covering for folded tail fin of projectile
KR101106904B1 (ko) 발사체 구속 장치
US3011408A (en) Shell case ejector chute
KR20210058096A (ko) 슬라이더형 안전 장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관 조립체
KR102645650B1 (ko) 발사체의 신관용 안전 잠금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