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107B1 -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 Google Patents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107B1
KR100607107B1 KR1020060052193A KR20060052193A KR100607107B1 KR 100607107 B1 KR100607107 B1 KR 100607107B1 KR 1020060052193 A KR1020060052193 A KR 1020060052193A KR 20060052193 A KR20060052193 A KR 20060052193A KR 100607107 B1 KR100607107 B1 KR 10060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navel
launch
launch tub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526A (ko
Inventor
심우전
김일수
오승종
하재훈
김지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6005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1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사관 내에서 발사되는 미사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고 해제시키는 배꼽분리기구로서, 상기 미사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미사일에 전원과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배꼽 케이블과; 상기 배꼽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넥터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사관과 연결된 고정물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 중 하나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 링크와; 상기 미사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돌출 링크에 일단이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꼽 케이블과 상기 미사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해제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배꼽 케이블과 유도탄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탄의 발사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되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사일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를 제공한다.
연결 링크, 스프링

Description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MISSILE EJECTION LAUNCHING SYSTEM AND CANISTER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꼽분리기구를 구비한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측면 투시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도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의 "C"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6은 도4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1의 유도탄의 탄지지대와 발사관의 수송 고정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8은 도1의 발사관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배꼽분리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10은 도1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미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2는 도10의 사출판 분리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3은 도1의 사출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도탄 20: 발사관
30: 탄구속 기구 40: 가스 발생기
50: 탄지지대 60: 배꼽분리기구
70: 사출판 분리 기구 80: 사출판
90: 수송 고정 기구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유도탄의 발사시 자동적으로 유도탄과의 접속이 해제되고,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도탄과의 2차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꼽분리기구는 유도탄이 발사관 내에서 발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도탄과 접속하여 전원과 필요한 신호를 전송 및 교환하며, 유도탄이 발사관 내에서부터 발사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유도탄과 분리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까지 국내 및 서방 국가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유도탄 발사 장치는 유도탄의 추진기관을 점화하여 발생하는 추력을 이용하여 발사대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식은 유도탄의 추진 기관으로부터 나오는 고온 고압의 화염으로 인하여, 지상 장비나 주변에 있는 유도탄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화염 처리 장치나 보호 대책을 요구하여 왔다. 또한, 이 방식은 발사 초기부터 추진 기관을 사용하여 탄 구속을 해제시키고 발사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추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유도탄의 발사시 자동적으로 유도탄과의 접속이 해제되고,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도탄과의 2차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사관 내에서 발사되는 미사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고 해제시키는 배꼽분리기구로서, 상기 미사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미사일에 전원과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배꼽 케이블과; 상기 배꼽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넥터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사관과 연결된 고정물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 중 하나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 링크와; 상기 미사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돌출 링크에 일단이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꼽 케이블과 상기 미사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해제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배꼽 케이블과 유도탄의 전기 적 접속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탄의 발사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되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사일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와 평행하게 배열된 또 다른 연결 링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돌출 링크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사관과 연결된 고정물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꼽분리기구(60)를 구비한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는, 유도탄(10)을 발사하기 이전에는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는 실린더 역할을 하는 발사관(20)과, 유도탄(10)의 발사 이전에 종방향으로 유도탄(10)을 구속하는 탄구속 기구(3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 유도탄(10)을 발사관(2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압력을 형성시키는 가스 발생기(40)와, 발사관(20) 내에서 유도탄(10)에 끼워져 외주 측면에 돌출된 탄지지대(5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동체 측면에 설치된 배꼽 커넥터가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형성된 배꼽분리기구(60)와,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후미부에 부착된 사출판(80)이 발사관(20) 내에서 분리되도록 발사관(20)의 전방부에 형성된 사출판 분리기구(70)와, 가스 발생기(40)에서 분출된 고압 가스에 밀려남에 의하여 유도탄(10)을 발사관(20) 내부에서 발사 안내 하기 위하여 유도탄(1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유도탄(10)의 후미부에 설치된 사출판(80)과, 발사관(20)내에 유도탄(10)이 내재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유도탄(10)의 외주 측면에 돌출된 탄지지대(50)와 접촉함으로써 유도탄(10)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수송고정기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탄(10)은 그 후미부는 탄구속기구(30)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이전에,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이 종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사관(20)은 격막(28b)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내재되는 제1공간(I)과, 제1공간(I)을 제외한 제2공간(II)으로 구별된다. 발사관(20)은 유도탄(10)을 제1공간(I)에 안착시켜 외부의 습도, 이물질 등으로부터 유도탄(10)을 보호하고,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는 유도탄(10)을 밀어내는 실린더 역할을 하며, 유도탄(10)의 전방부를 덮는 전방 덮개(21)와, 사출 장치를 보호하고 발사시 충격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덮개(22)와, 후방 덮개(22)와 연결되어 유도탄(10)의 후미와 가스 발생기(40)등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탄구속튜브(28)와, 탄구속 튜브(28)와 전방 덮개(21)의 사이에 중공 원통 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튜브(23-27)와, 이들 튜브(23-27)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 연결부(23a-27a)와,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 유도탄(10)과 사출판(80)이 롤운동을 방지하도록 유도탄(10)의 종방향을 따라 발사관(20)의 내벽에 길게 형성된 안내 레일(29)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발사관(20)의 제1공간(I)은 전방 덮개(21)와, 전방 덮개(21)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23-27)와, 탄구속 튜브(28)의 격막(28b)으로 형 성되며, 발사관(20)의 제2공간(II)은 격막(28b)을 포함한 탄구속 튜브(28)와, 후방 덮개(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사관(20)이 복수개의 튜브(23-28)로 형성된 것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발사관(10)의 제작을 보다 저렴하고 제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상당히 긴 길이의 발사관을 하나로 제작했는 데,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생산 설비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 불량률로 인한 재료비와 가공비 등의 손실이 크고, 제작후 조립 장소로 운반하는 데 있어서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튜브(23-27)와 탄구속 튜브(28)로 발사관(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도탄(10)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튜브(23-28) 사이의 연결부(23a-28a)의 내벽(20b)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도탄(10)과 함께 움직이는 사출판(80)과 간섭이 생길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각 튜브(23-28)의 연결부(24a-28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4c,25c)이 암수 형태로 형성되어, 각 튜브(23-28) 및 전방 덮개(21)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를 인접한 튜브(24-28) 및 후방 덮개(22)의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이들을 볼트(24b-28b)로 체결하고, 각 튜브(23-28)의 인접부에 약 0.5mm 내지 2.0mm의 최대 깊이의 테이퍼(25d)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23a-28a)에서 돌출부가 발생되는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튜브(23-28) 가운데 지지 튜브(27)는 그 외주면에 사출 발사 장치(1)를 발사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눕혀 놓을 수 있도록 지지대(27b)를 구비한다. 또한, 탄구속 튜브(28)는 발사관(20)의 내부를 제1공간(I)과 제2공간(II)으로 나누는 격막(28b)을 구비하며, 격막(28b)의 둘레에는 제2공간(II)으로부터의 고압 가스가 제1공간(I)에 위치한 사출판(80)을 밀어 올릴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가스 배출용 관통공(28c)을 다수 구비한다.
상기 사출판(80)은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유도탄(10)의 후미부에 걸려있는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8b)에는 사출판(80)의 후면 돌출부(82a)를 감싸도록 제1돌기(28d)가 돌출 형성되어 제1 돌기(28d) 사이에 안착되고, 유도탄(10) 후미부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사출판(8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82b)가 형성됨으로써, 사출판(80)은 별도의 체결 기구에 의하지 않고 유도탄(10)의 후미와 격막(28a)의 전면 사이에 걸려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유도탄(10)의 후미부를 횡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사출판(80)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탄(10)의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밀폐판(81)과, 밀폐판(81)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발사관(20)의 내벽 근방에 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판(82)과,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에 90°간격으로 배치된 걸림쇠(83)와, 사출판(80)과 발사관(20)의 내벽 사이를 접촉하여 유도탄(10)의 발사를 안내하도록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의 걸림쇠(83)사이에 적절한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84)와, 안내 레일(29)과 맞물려 사출판(80) 및 유도탄(10)의 롤운동을 억제하도록 연장판(82)의 외주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홈(86)과, 수송 고정 기구(90)의 마찰핀(9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형성된 홈(87)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쇠(83)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 형성된 걸림홈(83a)을 구비하고 있으며, 홈(83a)의 개구부에는 홈(83a)의 폭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부(83b)가 형성된다.
그리고, 발사관(20)의 내벽과 접촉하는 가이드(84)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테프론 클립(85)이 가이드(84)의 바깥표면에 장착된다. 이를 통해, 유도탄(10)은 발사관(20)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발사관(20)의 내벽(20b)을 타고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구속 기구(30)는 탄구속 튜브(28)의 격막(28b)에 삽입 설치된 볼트(31)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31)는 격막(28b)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유도탄(20)의 후미에 형성된 자동 조심형 연결기(32)에 끼워지고, 타단이 격막(28b) 후미에 걸려있음으로써,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이전에 어떠한 외란에도 발사관(20)내에서 유도탄(10)의 종방향으로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조심형 연결기(32)는 볼트(31)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자유로와 볼트(31)의 끝단의 회전이 자유로우며, 볼트(31) 머리부와 접촉하는 반구형 와셔(34)와 반구형 와셔(32)의 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부싱(33)과 접촉하는 볼트의 머리부 또한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볼트(31)는 항상 인장력만 받게 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발사되기 직전에 볼트(31)에 전류를 흘려주어 미리 파단시킴으로써 유도탄(10)의 종방향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40)는 내부 챔버에 소량의 고효율 추진재가 내장된 것으로, 격막(28b)의 중앙부 4 곳(41)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외부에서 유도탄(10)의 발 사 신호가 입력되면, 후방 커버(22)를 향하여 고압 가스를 배출시키게 되고, 제2공간(II)의 밀폐 공간은 고압 가스로 가득차게 되어 압력을 형성하고, 가득찬 고압 가스는 40a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격막(28b)의 주위에 다수 관통 형성된 가스 배출 관통공(28c)을 통해 제1공간(I)으로 이동하고, 사출판(80)의 밀폐판(81)과 연장판(82)의 후면을 큰 힘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유도탄(10)은 발사관(20)내부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여기서, 가스 발생기(40)로부터의 고압 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스 발생기(40)의 가스 유출구와 사출판(80)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되는 것이 가스 발생기(40)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도탄(11) 후미 단부를 밀폐시키는 사출판(80)은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 등과 같은 요입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즉, 사출판(80)의 밀폐판(81)이 만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얇은 두께로 큰 힘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밀폐판(81)의 만곡면의 요입 방향이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유도탄(10)의 길이 방향으로 사출판(80)이 차지하는 공간이 거의 없게 됨으로써, 발사관(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탄(10)의 전두부(10a)를 향하는 경사각으로 연장판(82)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가스의 압력에 따라 밀폐판(81)과 연장판(82) 사이의 굽힘 변형이 다소 발생되면, 유도탄(10)과 발사관(20) 사이의 틈새가 조금 커져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의 외주면에 요입형성된 홈에 단지 핀(51b)이 끼워진다. 다시 말하면, 핀(51b)은 유도탄(10)의 홈에 삽입될 뿐 체결되지 않는 다. 탄지지대(50)는 나일론으로 형성된 외부 케이스(51)와 소정의 압축량을 갖고 설치된 스프링(52)을 구비한다. 따라서,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과 함께 발사관(20)을 함께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이후에 압축된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지지대(50)는 유도탄(1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수송 고정 기구(9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탄(10)의 외주면의 4곳에 90°간격으로 형성되어, 발사관(20) 내에 안착된 유도탄(10)이 이동 등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사관(20)과 유도탄(10) 사이를 탄지지대(50)와 수송 고정 기구(90) 사이의 틈새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하여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도탄(10)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다. 수송 고정 기구(90)는, 발사관(20)에 고정하는 몸체(92)와, 몸체(92) 내부에 설치되어 탄지지대(50)와 소정의 접촉력을 갖고 설치되는 마찰핀(91)과, 몸체(92)를 발사관(2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91a)와, 마찰핀(9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몸체 커버(93)를 구비한다. 마찰핀(91)의 바닥면(91a)과 탄지지대(50)의 몸체면(51a)과 상호 접촉면을 형성하며, 수직항력에 기초한 마찰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도탄(10)이 탄지지대(50)의 접촉면(51a)과 마찰핀(54)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힘이 유도탄(10)의 종방향에 대하여 작용하면, 수송 고정 기구(90)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배꼽분리기구(60)는 유도탄(10)이 발사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연결 커넥터(63)의 배꼽 케이블(65)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꼽분리기구(60)는 양단(61a,61b)이 힌지 결합되고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연 결 링크(61)와, 연결 링크(61) 중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 링크(61)가 소정치 이상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62)과, 배꼽분리기구(60)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64)와, 유도탄(10)과 커넥터(63) 사이에 연결되는 배꼽 케이블(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링크(61)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므로 연결 링크(61)의 움직임에 무관하게 커넥터(63)는 케이스(64)의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 링크(61)중 하나는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 링크(66)의 끝단에 소정의 압축량을 갖고 설치된 스프링(62)이 연결되어, 연결 링크(61)가 직립하는 힘을 받도록 작용하여 커넥터(63)는 유도탄(10)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유도탄(10)이 발사되어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커넥터(63)는 유도탄(10)과 함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이동함에 따라 커넥터(63)에 횡방향의 변위가 생기고,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에 연결된 배꼽 케이블(65)은 분리되며, 스프링(62)은 도9를 기준으로 연결 링크(61)를 좌측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연결 링크(61)와 커넥터(63)는 케이스(64)내에 누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사출판 분리기구(70)는, 유도탄(10)이 가스 발생기(40)에 의하여 1차 발사되는 경우에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도 유도탄(10)과 함께 발사관(20)에서 이탈되며, 발사관(20)에서 이탈된 유도탄(10)이 목표물을 향하여 유도탄(10)에 장착된 추진 기관에 의하여 2차 발사되면 사출판(80)이 분리되어 지상에 낙하하여 지상 장비 및 이웃 발사관 등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관(20)의 전방 덮개(21)와 인접한 걸림 튜브(23)에 사출판(80)의 4개의 걸림쇠(83)가 걸리도록 장착되며, 걸림 튜브(23)의 내벽에 설치된 거치대(71)와, 거치대(71)를 관통하여 고정된 걸림봉(72)과, 걸림봉(72)의 외주면에 장착된 콘 튜브(conical tube) 형상의 충격 흡수부(73)와, 걸림봉(73)의 전방부 끝단에 장착된 "V"형상의 판스프링(74)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발사관(20) 내부에서 사출판(80)과 함께 진행하는 중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판(80)의 걸림쇠(83)의 걸림홈(83a)은 걸림봉(72)의 전방부(72a)에 끼워짐으로써 걸리게 되고, 유도탄(10)이 더욱 더 진행하게 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판(80)의 걸림홈(11c)의 진행에 따라 충격 흡수부(73)가 오그라들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사출판(80)이 더이상 유도탄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출판(80)은 유도탄(10)의 후미부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V"형상의 판스프링(74)은 걸림쇠(83)내의 걸림홈(8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83b)에 걸리게 되어, 사출판(80)은 발사관(20)의 저부로 낙하하지 않고 사출판 분리기구(70)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 내에 유도탄(10)을 설치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유도탄(10)을 종방향으로 고정해주는 탄구속 기구(30)와 유도탄(10)을 횡방향으로 고정해주는 수송 고정 기구(50)에 의하여 유도탄(10)이 발사관(20)의 내벽과 상대 운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1)를 이용하여 유도탄(10)을 발사하는 경우에는, 배꼽분리기구(60)를 통하여 유도탄(10)에 발사 신호를 전달하면, 유도탄(10)을 종방향으로 구속하는 탄구속 기구(30)가 파단되고,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과 가스 발생기(40)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가스 발생기(4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면, 유도탄(10)은 발사관(20) 내에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전방 덮개(21)는 일부분의 가스 압력이 전달되어 초기에 파단된다. 유도탄(10)의 진행에 따라, 유도탄(10)의 측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송 고정 기구(90)의 마찰핀(91)과 탄지지대(51) 사이의 마찰 접촉은 해제된다. 그리고, 배꼽분리기구(60)의 연결 링크(61)도 스프링(62)에 의하여 급속하게 회전 운동이 이루어져 커넥터(63)와 유도탄(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분리된다.
발사관(20) 내부에서 유도탄(10)의 진행은, 발사관(20)의 내벽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안내 레일(29)을 따라 사출판(80)이 이동하게 되므로, 발사관(20) 내부에서 사출판(80)에 물려있는 유도탄(10)이 롤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사출판(80)도 롤운동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출판(80)의 걸림쇠(83)가 정확히 사출판 분리 기구(70)의 걸림봉(73)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유도탄(10)이 발사관(20)을 거의 빠져 나간 상태에서는, 유도탄(10)의 후미에 장착된 사출판(80)은 사출판 분리기구(70)에 의하여 유도탄(10)과 분리되고, 걸림봉(73) 전방부의 "V" 판스프링(74)이 걸림쇠(8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사출판(80)은 발사관(20)의 전방에 걸려 있게 된다. 발사관(20)으로부터 이탈된 유도탄(10)은 추진 기관에 의하여 목표물을 향하여 다시 발사된다. 한편, 발사 충격을 흡수시키거나 분산시키기 위하여 후방 덮개(22)는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도탄(10)은 발사관(20)내를 통과하면서 가속되며, 발사관(20)의 전방 끝에 도달하는 순간 최대의 속도로 유도탄(10)이 발사관(20)의 밖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탄의 발사시 자동적으로 유도탄과의 접속이 해제되고,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도탄과의 2차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도탄의 전방부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요입 형성된 곡면 형상으로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에 부착된 사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사출판과 후방 덮개 사이는 밀폐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도탄의 추진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서 가스 발생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발사관으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지상 장비나 주변의 유도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유도탄의 진행시, 가이드가 발사관의 내벽을 타도록 함으로써 유도탄의 조종 날개(18)가 발 사관의 내벽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의 발사관은 복수개의 튜브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형 공작 기계에 의하지 않고도 제작이 가능해지며 불량률이 감소되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조립시 취급이 용이해지는 장점도 아울러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도탄의 발사시에 유도탄의 롤운동을 방지하며, 상기 유도탄의 후미부와 체결된 탄구속 기구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상기 발사관 내부에서 상기 유도탄을 종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아울러, 수송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도탄을 횡방향으로 구속하게 되어, 상기 유도탄의 발사 이전에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발사관과 유도탄 사이에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출판이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사출판 분리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출판이 유도탄과 함께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어 공중에서 유도탄의 추진기관에 의하여 분리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지상물의 피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판이 발사관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사출판 분리 기구에 매달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판이 분리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발사관 내부에 낙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발사관 내부의 파손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발사관 내에서 발사되는 미사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고 해제시키는 배꼽분리기구로서,
    상기 미사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미사일에 전원과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배꼽 케이블과;
    상기 배꼽 케이블을 고정하는 커넥터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사관과 연결된 고정물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 중 하나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 링크와;
    상기 미사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돌출 링크에 일단이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꼽 케이블과 상기 미사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해제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배꼽 케이블과 유도탄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탄의 발사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되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사일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와 평행하게 배열된 또 다른 연결 링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사일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돌출 링크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사관과 연결된 고정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사일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KR1020060052193A 2006-06-09 2006-06-09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KR10060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93A KR100607107B1 (ko) 2006-06-09 2006-06-09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93A KR100607107B1 (ko) 2006-06-09 2006-06-09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05A Division KR100629930B1 (ko) 2004-07-30 2004-07-30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26A KR20060070526A (ko) 2006-06-23
KR100607107B1 true KR100607107B1 (ko) 2006-08-01

Family

ID=3716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93A KR100607107B1 (ko) 2006-06-09 2006-06-09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86B1 (ko) * 2010-06-03 2011-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꼽 연결 장치
KR101222864B1 (ko) * 2010-09-24 2013-01-18 국방과학연구소 추진기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81B1 (ko) * 2006-10-16 2008-01-09 국방과학연구소 측면 부착형 배꼽 착탈 장치
KR101004793B1 (ko) * 2010-07-26 2011-01-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탄 가스관 절단장치
KR102219819B1 (ko) * 2019-08-02 2021-02-2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사용 가능한 유도 발사체 발사 시스템
KR102220390B1 (ko) * 2020-01-10 2021-02-24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인터페이스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4543601B (zh) * 2022-03-28 2023-09-29 北京中科宇航技术有限公司 一种低冲爆炸螺栓解锁捕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86B1 (ko) * 2010-06-03 2011-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꼽 연결 장치
KR101222864B1 (ko) * 2010-09-24 2013-01-18 국방과학연구소 추진기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26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930B1 (ko) 유도탄 사출 발사 장치
KR100607107B1 (ko) 유도탄 발사 장치의 배꼽분리기구
US93226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water from a disrupter cannon
KR101117100B1 (ko) 휴대용 유도탄의 사출 및 분리장치
US2998754A (en) Missile launcher
KR101298614B1 (ko) 사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KR101967309B1 (ko) 탄약의 이중 안전 장전 장치
WO2009113773A2 (ko) 탄약
KR100659303B1 (ko) 유도탄 발사장치의 유도탄 고정기구
CN1090312C (zh) 分离系统
US9702673B1 (en) Projectile tail boom with self-locking fin
US20130025442A1 (en) Protection device using net for combat vehicle
US8052444B1 (en) Latching release system for a connector assembly
KR101338156B1 (ko) 휴대용 유도탄 사출장치의 분리 구조
US20230375312A1 (en) Sound Reducing Systems for Use with Projectile Launchers
CN215491354U (zh) 一种训练用模拟地雷
KR101356555B1 (ko) 중량물 배출장치
KR102289897B1 (ko) 충격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시험방법
CN210813626U (zh) 一种自动安装和发射消防炮弹的系统
KR102252822B1 (ko) 탄 구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사관 구조체
KR101610740B1 (ko) 핫런치 타입 미사일용 화염역류 방지장치
KR101957292B1 (ko) 이중사출판 구조를 갖는 유도탄 캐니스터
KR20120056123A (ko) 유도탄의 보호덮개,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 및 유도탄의 충격완화방법
US8857308B1 (en) Cannon breechblock insert assembly
US6895850B2 (en) Pressure-released brake assembly for restraining projectile in launch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