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306A -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306A
KR20060009306A KR1020057021120A KR20057021120A KR20060009306A KR 20060009306 A KR20060009306 A KR 20060009306A KR 1020057021120 A KR1020057021120 A KR 1020057021120A KR 20057021120 A KR20057021120 A KR 20057021120A KR 20060009306 A KR20060009306 A KR 2006000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display
pulses
series
controller
add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티. 존슨
구오푸 초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0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8Application of pulses of alternating polarity prior to the drive pulse in electrophoret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는 상부 전극(6)과 하부 전극(5, 5') 사이에 끼워지는 전기영동 물질(8, 9)을 포함하는 픽셀(18)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동안에 상부 전극(6)과 제 2 전극(5, 5') 사이에 구동 전압(VD)을 인가함으로써, 픽셀(18)을 어드레스 지정한다. 구동 전압(VD)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따른 레벨을 가진다. 제어기(15)는 하부 전극(5, 5')에 평행한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향하는 전계(LF)를 얻기 위해, 이웃하는 픽셀(18)의 하부 전극(5, 5') 사이에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 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AND ADDR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스 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모니터, 랩톱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기, 전자 책(electronic book), 전자 신문, 전자 잡지에서 사용된다.
서문에서 언급된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국제 특허 출원 WO 99/53373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특허 출원은 하나는 투명하고 다른 하나에는 행과 열로 배치된 전극이 제공되는 2개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픽셀은 행과 열 전극의 교차점과 연관된다. 각 디스플레이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이후 TFT라고 함)의 주 전극을 통해 열 전극에 결합된다. TFT의 게이트는 행 전극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소자, TFT 및 행 전극과 열 전극의 이러한 배치는 함께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각 픽셀은 TFT를 통해 열 전극에 연결되는 픽셀의 전극인 픽셀 전극을 포함 한다. 영상 업데이트 또는 영상 리프레시 기간 동안, 행 구동기는 하나씩 디스플레이 소자의 모든 행을 선택하도록 제어되고, 열 구동기는 열 전극과 TFT를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의 선택된 행에 병렬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데이터 신호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데이터에 대응한다.
또한 투명한 기판 상에 제공된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자 잉크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전자 잉크는 공통 전극과 픽셀 전극 사이에 끼워진다. 전자 잉크는 약 10미크론과 50미크론의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은 유체 내에서 떠다니는 양으로 대전된 백색 입자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를 포함한다. 양의 전압이 픽셀 전극에 인가되면, 백색 입자는 투명한 기판을 향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으로 이동하고, 보는 사람에게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백색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흑색 입자는 보는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캡슐의 반대 측면에 있는 픽셀 전극으로 이동한다. 음의 전압을 픽셀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흑색 입자는 투명한 기판을 향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에 있는 공통 전극으로 이동하고, 보는 사람에게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어둡게 나타난다. 전계(electric field)가 제거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획득된 상태로 남게 되고 쌍안정(bi-stable) 특성을 보인다. 흑색 입자와 백색 입자를 구비한 이러한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는 특히 전자 책으로서 유용하다.
마이크로캡슐의 상부에서 공통 전극으로 이동하는 입자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그레이 스케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계 세기와 인가 시간의 곱으로 한정되는 양 또는 음 전계의 에너지는 마이크로캡슐의 상부로 이동하는 입자의 양을 제어한다.
알려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위 영상 잔류(image retention)를 보여준다. 하나의 영상이 바뀐 후에도, 여전히 이전 영상의 잔상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에지(block-edge) 영상 잔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청구범위 제1항에 청구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청구범위 제15항에 청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청구범위 제16항에 청구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스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종속항에는 유리한 실시예가 한정된다.
능동 매트릭스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이후 E-ink 디스플레이라고 함)에 관한 최근의 실험에서는, 블록-에지 영상 잔류라고 부르는 특별한 타입의 영상 잔류가 관찰되었다.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디스플레이가 백색 전계에서 흑색 블록을 보인 다음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된다. 영상이 순수한 그레이 영상 또는 백색 영상으로 바뀐 후, 일부 흑색/그레이 줄무늬가, 흑색 블록에서 백색 블록으로의 전이가 존재한 위치에 나타난다. 뚜렷한 밝기 강하(drop)가 이들 라인에서 또는 이들 라인 둘레에서 존재한다. 이는 특히 교란시키는 것으로, 전체 블록이 의도한 것보다 다소 밝거나 어두운 정상적인 영역 영상 잔류보다 좀더 가시적이다. 이러한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E-ink 디스플레이에서의 영상 이력 또는 영상 잔류를 삭제하도록 제안된 일반적인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없다. 이러한 일반적인 제안된 방법에서는, 상부 (공통) 전극과 하부 (픽셀) 전극을 사용하여 전체 디스플레이가 흑색과 백색으로 반복적으로 재설정된다.
이러한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하부 전극의 평면에서 전계를 생성하기 위해, 연속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 사이에서 이웃하는 픽셀의 하부 전극 사이에 일련의 AC-펄스가 인가된다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좀더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접근이 전기영동 물질이 2개의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서의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감소시킨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보통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인 이들 2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존한다.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실질적으로 상부 또는 하부 전극에 평행한 평면으로 향하는 전계가 발생하도록, 이웃하는 상부 전극 또는 이웃하는 하부 전극 사이에 AC-펄스를 인가함으로써 감소한다. 이러한 전계는 측면(lateral) 전계라고도 부른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모두 분할되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모두에 AC-펄스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2개의 이웃하는 픽셀이 반대 방향으로 스위칭 된다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백색 픽셀을 얻기 위해 한 개의 하부 전극이 양의 전위를 받고, 이웃하는 픽셀의 이웃하는 하부 전극은 흑색 픽셀을 얻기 위해 음의 전위를 받는다. 큰 측면 전계는 이웃하는 하부 전극 사이, 따라서 이들 하부 전극과 연관된 2개의 픽셀 볼륨(volume)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 전계로 인해, 일부 입자는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들 이웃하는 하부 전극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은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므로, 측면 전계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의도한 구동 전계보다 상당히 높다. 그 결과, 일부 입자는 픽셀 볼륨의 옆면에 달라붙게 된다. 이들 입자는 다음 영상 업데이트 동안에 옆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 펄스가 수직 방향의 입자만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달라붙은 입자는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초래한다.
이웃하는 픽셀 사이에 AC 측면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이들 입자는 그것들이 트래핑된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청구범위 제2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AC-펄스 중 각 펄스의 지속 기간은 한 한계 상태(예를 들어, 흑색 입자와 백색 입자가 사용된다면 흑색 또는 백색)로부터 다른 한계 상태로 광학 상태를 바꾸는데 필요한 시간 기간보다 실질적으로 더 짧다. 입자 이동은 국부적으로만 발생하고 가시적이지는 않게 된다. 펄스의 진폭은 더 높은 속도 및/또는 더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 가능한 크게 되어야 한다.
청구범위 제3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AC-펄스가 연속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의 모든 쌍 사이에 공급된다. 이러한 식으로, 블록-에지 영상 잔류의 감소가 최적화된다. 하지만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일련의 AC-펄스가 청구범위 제4항과 제5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덜 빈번하게 인가되어도 감소된다. 이는 전력 소비를 절약하고 측면 전압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영상 업데이트에 대한 영상 리프레시 시간의 속도를 높인다. 심지어 영상이 블록-에지 영상 잔류의 영향을 받기 쉬운지를 디스플레이될 영상 시퀀스에서 탐지하고, 필요할 때만 일련의 AC-펄스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6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AC-펄스가 일정한 진폭을 가진다. 일정한 진폭은 기존의 구동기로 생성하기가 용이하다.
청구범위 제7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AC-펄스에서의 펄스의 진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고, 일련의 앞서가는(leading) 펄스의 진폭은 따라가는(trailing) 펄스의 진폭보다 크다. 입자 반응은 펄스 시퀀스의 초기 단계에서 더 느리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AC-펄스를 인가하는 것의 가시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더 높은 에너지 펄스를 가지고 그 다음에 더 낮은 에너지 펄스가 따라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일련의 AC-펄스에서의 펄스의 펄스 폭은 가변적일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AC-펄스에 DC-오프셋이 인가된다. (비교적 작은) DC-오프셋은 픽셀의 구동시의 내장(built in) DC-레벨을 보상한다.
청구범위 제9항과 제10항 또는 제11항에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 수직 라인에 대한 블록-에지 영상 잔류 아티팩트(artifact)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열에 또는 수평 라인에 대한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행에 또는 양 방향으로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열과 모든 행에, 일련의 AC-펄스가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픽셀에 공급된다.
청구항들의 특징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는 이후 기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분명해지고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일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블록-에지 영상 잔류 아티팩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일부의 등가 회로도를 구비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구동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AC-펄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AC-펄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일부의 단면, 예를 들어 몇 개의 디스플레이 소자의 크기의 단면을 도시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기본 기판(2)과, 전기영동 막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전기영동 막은 투명한 픽셀 전극(5, 5')과 투명한 상대 전극(6)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 잉크를 구비한다. 전자 잉크는 약 10미크론 내지 50미크론 크기의 다수의 마이크로캡슐(7)을 포함한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7)은 유체(40) 속에서 떠다니는 양으로 대전된 백색 입자(8)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9)를 포함한다. 양의 픽셀 전압(VD)이 상대 전극(6)에 관해 픽셀 전극(5, 5')에 인가되면, 백색 입자(8)를 상대 전극(6)을 향하는 마이크로캡슐(7)의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전계가 발생하고, 디스플레이 소자는 보는 사람에게는 백색으로 보 이게 된다. 동시에, 흑색 입자(9)는 흑색 입자가 보는 사람으로부터 숨겨지는 마이크로캡슐(7)의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픽셀 전극(5, 5')과 상대 전극(6) 사이에 음의 픽셀 전압(VD)을 인가함으로써, 흑색 입자(9)는 상대 전극(6)을 향하는 마이크로캡슐(7)의 측면으로 이동하고, 디스플레이 소자는 보는 사람(미도시)에게 흑색으로 보이게 된다. 전계가 제거되면, 입자(8, 9)는 얻어진 상태에 남아 있고, 디스플레이는 쌍안정 특성을 나타내고 실질적으로 전력 소비가 없게 된다. 능동 스위칭 소자(19)(보통 TFT)가 기본 기판(2) 상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에, 이상적인 입자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입자의 위치는 픽셀 전극(5, 5')과 상대 전극(6) 사이의 전계에 의해 결정된다. 픽셀 크기는 픽셀 전극(5, 5')에 의해 결정되고 마이크로캡슐(7)에 정렬될 필요는 없다.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픽셀 전극(5)의 위에 있는 마이크로캡슐(7)의 볼륨과 연관된 가장 좌측에 있는 픽셀(P1)은 백색이어야 하고, 이웃하는 픽셀 전극(5')과 연관된 이웃하는 픽셀(P2)는 흑색이어야 하므로, 픽셀 전극(5) 상의 전압은 양이어야 하고 픽셀 전극(5') 상의 전압은 음이어야 한다. 픽셀 전극(5, 5') 사이의 전압차는 이들 픽셀 전극(5, 5') 사이에 큰 전계(LF)를 일으킨다. 이 전계(LF)는 실질적으로 측면{픽셀 전극(5, 5')의 평면에서}을 향하거나 측면 방향으로 실질적인 성분을 적어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측면 전계(LF)는 픽셀(P2)의 소수의 음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9)가 이웃하는 픽셀(P1)(미도시)의 양의 픽셀 전극(5)으로 끌어당겨 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측면 전계(LF)는 픽셀(P1)의 소수의 양으로 대전 된 백색 입자(8)가 이웃하는 픽셀(P2)(미도시)의 음의 픽셀 전극(5')으로 끌어당겨 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블록-에지 영상 잔류 아티팩트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도 2a는 흑색 블록을 둘러싸는 백색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영상 직후, 완전히 백색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그 결과 영상을 도시한다. 결과 화상은 이전 영상의 흑색 블록의 에지에서의 그레이(grey) 라인을 도시한다. 이들 그레이 라인은 블록-에지 영상 잔류의 일 예이다.
도 3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일부의 등가 회로도를 구비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능동 스위칭 소자(19), 행 구동기(16) 및 열 구동기(10)가 제공된 기본 기판(2) 상에 적층된 전기영동 막을 포함한다. 상대 전극(6)은 캡슐로 된 전기영동 잉크를 포함하는 막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능동 스위칭 소자(19)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행 또는 선택 전극(17)과 열 또는 데이터 전극(11)의 교차부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소자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행 구동기(16)는 연속적으로 행 전극(17)을 선택하고, 열 구동기(10)는 선택된 행 전극(17)에 관해 열 전극(11)에 평행하게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5)는 우선 열 전극(11)에 의해 공급될 데이터 신호로 인입 데이터(13)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라인(12)은 열 구동기(10)와 행 구동기(16) 사이의 상호 동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운반한다.
행 구동기(10)는 연관된 TFT(19)의 낮은 임피던스의 주 전류 경로를 얻기 위 해 특정 행 전극(17)에 연결되는 TFT(19)의 게이트에 적절한 선택 펄스를 공급한다. 다른 행 전극(17)에 연결되는 TFT(19)의 게이트는 그것들의 주 전류 경로가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전압을 수신한다. TFT의 소스 전극(21)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낮은 임피던스는 열 전극(11)에 존재하는 데이터 전압이 픽셀(18)의 픽셀 전극(22)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에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 전극(11)에 존재하는 데이터 신호는 픽셀의 픽셀 전극(22)에 전달되거나, 또는 TFT가 그것의 게이트 상의 적절한 레벨에 의해 선택된다면 TFT의 드레인 전극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소자(18)에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한 각 디스플레이 소자(18)의 위치에서 추가 커패시터(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 커패시터(23)는 픽셀 전극(22)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 커패시터 라인(24) 사이에 연결된다. TFT 대신, 다이오드, MIM 등의 다른 스위칭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영동 매체는 그 자체로, 예를 들어 US 5,961,804, US 6,1120,839 및 US 6,130,774호에 알려져 있고, E-ink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구동 신호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행 전극(17) 중 특정 전극 상의 선택 전압(Vsel)을 도시한다. 도 4의 b는 열 전극(11)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Vda)를 도시한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펄스를 도시한다.
순간(t0)에서,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이 시작한다. 보통, 제 1 행 전극(17)은 먼저 선택 신호(Vsel)의 양의 펄스에 의해 에너지가 주어지고, 동시에 데이터 신호(Vda)는 모든 열 전극(11)에 공급된다. 복수의 데이터 신호(Vda)는 십자 표 시되어 있다. 보통, 데이터 신호(Vd)는 행 전극(17)의 라인 선택 시간(TL) 동안에 각 데이터 전극(11)에 하나씩 병렬로 공급된다. 라인 선택 기간(TL)이 경과한 후, 다음 행 전극(17)이 순간(t1)에서 선택되고, 이러한 픽셀(18)의 행에 관한 데이터 신호(Vda)가 병렬로 공급된다. 보통 16.7㎳ 또는 20㎳의 전계 기간이나 프레임 기간(TF)과 같은 일부 시간이 지난 후, 모든 행 전극(17)이 선택되고, 순간(t2)에서 특정 행 전극(17)에, 이러한 특정 행에 관한 선택 신호(Vsel)에서의 펄스에 의해 다시 에너지가 주어지며, 동시에 데이터 신호(Vd)가 열 전극(11)에 존재하게 된다. 다시, 라인 선택 기간(TL)이 경과한 후, 다음 행 전극이 순간(t3)에서 선택된다. 전체 공정은 순간(t4)에서 시작하여 프레임 개수에 따라 반복되고, 디스플레이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동안 어드레스 지정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쌍안정 특성 때문에, 전기영동 입자는 그것들의 선택된 상태에 남게 되고, 원하는 그레이 레벨이 얻어질 때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의 여러 개의 프레임 기간(TF) 후, 데이터 신호의 반복이 중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은 3개의 프레임 기간(TF)을 포함하므로, 제 1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은 t0부터 t6까지 지속된다. 이후, 디스플레이의 상태는 순간 t6부터 t100까지 지속되는 보유 기간(HP) 동안에 보존된다. 다음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은 순간 t100부터 t106까지 지속된다.
지금까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종래의 구동이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보유 기간(HP) 동안에 AC-펄스(ACP)를 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들 AC-펄스는 상부 전극(6)과 하부 전극(5, 5') 사이에는 인가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측면 전계(LF)를 얻기 위해서 이웃하는 하부 전극(5, 5') 사이에 인가된다. 상부 전극(6)이 분할되면(미도시), 이웃하는 상부 전극(6) 사이에 AC-펄스를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존재하는 스위치(19)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전극(5, 5') 사이에 AC-펄스를 인가하는 것이 더 쉽다. AC-펄스는 펄스 기간(LFGP) 동안에 존재한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가 보유 기간 없이 구동된다면, 2개의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사이에서는 AC-펄스(ACP)를 삽입하기 위한 시간이 자유롭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AC-펄스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AC-펄스는 가변 진폭을 가진다. 처음에는 더 높은 진폭이 인가된다. 펄스 시퀀스의 초기 단계에서 입자 반응이 더 느리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이들 펄스의 가시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더 높은 에너지의 펄스가 먼저 오고 그 다음에 더 낮은 에너지의 펄스가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펄스 시퀀스의 초기 단계에서 더 높은 에너지를 펄스가 가지도록, 펄스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AC-펄스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DC-바이어스(DCB)를 구비한 AC-펄스가 도 6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것처럼 사용된다. DC-바이어스(DCB)는 예컨대 픽셀을 백색으로부터 흑색으로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것보다 흑색으로부터 백색으로 픽셀을 구동하기 위해 더 긴 기간이 사용 된다면 초래될 수 있는, 구동 동안의 DC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감소시키는 실제 방법에서는, 수직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열에서의 모든 픽셀로 AC-펄스(ACP)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수평 블록-에지 영상 잔류는 이웃하는 행에서의 모든 픽셀에 AC-펄스(ACP)를 인가함으로써 감소할 수 있다. 이들 2가지 접근법을 결합하고, 이웃하는 열에 있는 모든 픽셀에 순차적으로 AC-펄스(ACP)를 먼저 인가한 다음 이웃하는 행에 있는 모든 픽셀에 인가하거나 그 외 다른 방식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C-펄스(ACP)가 공급되어야 할 픽셀의 선택은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의 스위치(19)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좀더 확장된 실시예에서는, AC-펄스(ACP)가 디스플레이 전역에 걸쳐 움직이는 대각선의 픽셀에 인가된다.
측면 전계(LF)를 생성하는 AC-펄스(ACP)가 모든 후속 영상의 기입 사이에 인가되는데 반해, AC-펄스(ACP)를 간헐적으로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 10개의 영상 업데이트 후, 또는 매시간 또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될 때마다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또한 AC-펄스가 인가되지 않는 영상 업데이트에 관한 영상 리프레시 시간의 속도를 높인다. 또한 영상이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좀더 겪기 쉬운지를 디스플레이될 영상 시퀀스에서 탐지하고, 필요하다면 일련의 AC-펄스만을 인가하거나, 대안적으로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좀더 겪기 쉬운 영상에 있는 픽셀에만 펄스를 좀더 자주 인가하는 것이 심지어 가능할 수 있다. 모든 상황에서, 측면 전계를 인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양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탐지기는 2개의 연속하는 영상을 비교하고, 블록-에지 영상 잔류를 일으킬 수 있는 전이(transition)를 탐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픽셀 전극(5, 5')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임의의 이웃하는 픽셀(18) 사이에, 측면 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블록-에지 영상 잔류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이웃하는 픽셀(18)에만 에너지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고,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AC-펄스가 영상 업데이트 기간 중 연속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 사이에 있지만, 영상 업데이트 기간 내에 AC-펄스를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참조 번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외의 다른 요소나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몇 개의 다른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하는 디바이스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 중 몇 개는 하드웨어의 하나의 동일한 아이템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랩톱 컴퓨터, PDA, 이동 전화기, 전자 책, 전자 신문, 전자 잡지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6)

  1.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제 1 전극(6)과 제 2 전극(5, 5') 사이에 끼워진 전기영동 물질(8, 9)을 포함하는 픽셀(18),
    상기 제 1 전극(6)과 상기 제 2 전극(5, 5') 사이에,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따른 레벨을 가지는 구동 전압(VD)을 인가함으로써,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18)을 어드레스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 및
    상기 제 2 전극(5, 5')에 평행한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향하는 전계(LF)를 얻기 위해, 이웃하는 픽셀(18)의 상기 제 2 전극(5, 5') 중 이웃하는 전극 사이에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5)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중 연속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들 사이의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AC-펄스(ACP)의 각 펄스의 지속 기간은 상기 픽셀의 광학 상태를 하나의 한계 상태로부터 또 다른 한계 상태로 변경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기간보다 실질적으로 짧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연속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의 모든 쌍 사이의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결정된 개수의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마다 한번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개수는 1보다 큰 것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후에 또는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시작시에만 한번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영상이 블록-에지 아티팩트에 영향을 받기 쉬울 경우에만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블록-에지 아티팩트에 영향을 받기 쉬운 픽셀(18)에만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는 일정한 진폭을 구비한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는 때를 맞춰 감소하는 진폭 또는 감소하는 펄스 폭을 갖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는 DC 오프셋을 구비한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이웃하는 열(11)에 있는 모든 픽셀(18)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이웃하는 행(17)에 있는 모든 픽셀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는 상기 일련의 AC-펄스(ACP)를 이웃하는 열(11)에 있는 모든 픽셀(18)과 상기 이웃하는 행(17)의 모든 픽셀(18) 모두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전극(6)과 제 2 전극(5, 5') 사이에 끼워지는 전기영동 물질(8, 9)을 구비하는 픽셀(18)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스 지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전극(6)과 상기 제 2 전극(5, 5') 사이에,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따른 레벨을 가지는 구동 전압(VD)을 인가함으로써, 영상 업데이트 기간(IUP) 동안 상기 픽셀(18)을 어드레스 지정하는 단계(16, 10)와,
    상기 제 2 전극(5, 5')에 평행한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향하는 전계(LF)를 얻 기 위해, 이웃하는 픽셀(18)의 상기 제 2 전극(5, 5') 사이에 일련의 AC-펄스(ACP)를 공급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지정 회로(16, 10)를 제어하는 단계(15)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 방법.
KR1020057021120A 2003-05-08 2004-05-04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방법 KR20060009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1274 2003-05-08
EP03101274.3 2003-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306A true KR20060009306A (ko) 2006-01-31

Family

ID=3342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120A KR20060009306A (ko) 2003-05-08 2004-05-04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90649A1 (ko)
EP (1) EP1627374A1 (ko)
JP (1) JP2006525546A (ko)
KR (1) KR20060009306A (ko)
CN (1) CN1784710A (ko)
TW (1) TW200504438A (ko)
WO (1) WO2004100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745B1 (ko) * 2003-03-31 2008-09-09 이 잉크 코포레이션 쌍안정 전기광학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EP1709619A1 (en) * 2004-01-22 2006-10-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JP4609168B2 (ja) 2005-02-28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556244B2 (ja) 2006-01-20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5343640B2 (ja) * 2009-03-11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310440B2 (en) * 2008-11-10 2012-11-13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287157B2 (ja) * 2008-11-10 2013-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629879B2 (en) * 2009-04-24 2014-01-14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 controller providing PIP and cursor support
JP5652002B2 (ja) * 2009-11-13 2015-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
JP5454246B2 (ja) * 2010-03-12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回路、電子機器
JP5736666B2 (ja) * 2010-04-05 2015-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回路、電子機器
JP2013250384A (ja) * 2012-05-31 2013-12-12 Fuji Xerox Co Ltd 表示媒体の駆動装置、駆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TWI566225B (zh) * 2015-12-17 2017-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驅動裝置以及驅動方法
CN106935208A (zh) * 2015-12-30 2017-07-07 宏碁股份有限公司 驱动装置以及驱动方法
CN107393486B (zh) * 2017-08-16 2020-01-31 华南师范大学 一种减弱电泳电子纸边缘现象的方法及系统
WO2023075758A1 (en) * 2021-10-27 2023-05-04 New Vision Display, Inc. Diagonal addressing of electronic displays
US11842667B2 (en) 2021-10-27 2023-12-12 New Vision Display, Inc. Diagonal addressing of electron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481A (en) * 1974-10-05 1977-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 apparatus for an electrophoretic matrix display panel
US7259744B2 (en) * 1995-07-20 2007-08-21 E Ink Corporation Dielectrophoretic displays
US7999787B2 (en) * 1995-07-20 2011-08-16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s using dielectrophoretic forces
JP4061863B2 (ja) * 2001-06-20 2008-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4196555B2 (ja) * 2001-09-28 2008-12-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U2003205965A1 (en) * 2002-03-15 2003-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4427942B2 (ja) * 2002-08-29 2010-03-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書込装置
JP4366059B2 (ja) * 2002-09-10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4170903A (ja) * 2002-10-31 2004-06-17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
EP1665214A4 (en) * 2003-09-19 2008-03-19 E Ink Corp METHOD FOR REDUCING EDGE EFFECTS IN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0649A1 (en) 2006-12-28
EP1627374A1 (en) 2006-02-22
WO2004100121A1 (en) 2004-11-18
CN1784710A (zh) 2006-06-07
TW200504438A (en) 2005-02-01
JP2006525546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0858B1 (en) Electrophoretic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US8300006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unit
US7786974B2 (en) Driving a bi-stable matrix display device
US7872633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a method of shak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rom an extreme position
US2008023159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20060132426A1 (en)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80158142A1 (en) Method of Increasing Image Bi-Stability and Grayscale Acuracy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KR20060009306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그 디스플레이의 어드레스 지정방법
KR20060080925A (ko) 블랭킹 프레임들을 가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활성화
KR20070048704A (ko)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 구동
KR20060129191A (ko) 전기영동 디바이스에서의 누화 보상
KR20060105755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20060050050A1 (en) Driving a bi-stable matrix display device
US20060262081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2007000827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unit
US2006025034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WO2003079324A1 (en) Electrophoretic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