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755A -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755A
KR20060105755A KR1020067009576A KR20067009576A KR20060105755A KR 20060105755 A KR20060105755 A KR 20060105755A KR 1020067009576 A KR1020067009576 A KR 1020067009576A KR 20067009576 A KR20067009576 A KR 20067009576A KR 20060105755 A KR20060105755 A KR 20060105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image
driv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티. 존슨
궈푸 주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0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09G2310/063Waveforms for resetting the whole screen at o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극(5, 6) 사이의 유체(10) 내에 대전된 전하들(8, 9)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관한 것이다. 구동 수단은 전극(5, 6)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배열되고 구성되고, 구동 파형은 대전된 입자들(8, 9)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극(5, 6) 사이에 미리 정해진 위치를 차지하도록 야기하는 각 광학 변이들을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각각의 구동 신호 앞에,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한다. 이는 영상 잔상 및/ 또는 고스팅(ghosting)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DGE IMAGE RETENTION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체에 대전된 전하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구동 수단은 상기 전극에 일련의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되고, 각각의 구동 신호는 상기 입자이들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는 유체에 대전된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화상소자(픽셀), 각각의 픽셀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과, 대전된 입자들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인가된 전위차의 값과 지속 기간에 의존하여, 전극들 사이에 위치를 차지하도록 각각의 픽셀의 전극에 전위차를 인가하기 위한 전압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더 상세히,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교차하는 데이터 전극들과 선택 전극들의 교차점들과 연결된 픽셀들의 매트릭스를 구비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이다. 픽셀의 그레이 레벨 또는 컬러화의 레벨은 특정한 레벨의 구동 전압이 픽셀에 걸쳐 존재하는 시간에 의존한다. 이는 또한 픽셀에 가해지는 에너지(=전압×시간)로 불린다. 구동 전압의 극성에 의존하여, 픽셀의 광학 상태는 그 현 광학 상태로부터 연속적으로 2개의 제한 상황(즉, 극단의 광학 상태) 중 하나로 변하는데, 예를 들어 대전된 전하들의 한 종류는 픽셀의 상부에 가깝다. 중간의 광학 상태, 예를 들어 흑백 디스플레이에서 그레이스케일은 픽셀에 걸쳐 전압이 존재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주로, 픽셀들의 모두는 선택 전극들에 적당한 전압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라인별로 선택된다. 데이터는 선택된 라인과 연관된 픽셀들에 데이터 전극들을 통하여 병렬로 공급된다. 만일 디스플레이가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이면, 선택 전극은 예를 들어 TFT, MIM, 다이오드, 등등에 제공되고, 차례로 데이터가 픽셀에 공급되게 한다.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의 모든 픽셀을 한번 선택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서브-프레임 기간이라고 한다. 종래의 배열에서, 특정한 픽셀은 광학 상태에서의 변화, 즉 실행되어야할 영상 변이에 의존하여 전체 서브-프레임 기간 동안 양 구동 전압, 음 구동 전압, 또는 영의 구동 전압을 수신한다. 이 경우에, 0의 구동 전압은 실행되어야 할 영상 변이가 요구되지 않는(즉, 광학 상태의 변화가 없는) 경우의 픽셀에 주로 인가된다.
종래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국제 특허 출원 WO 99/53373에 기술된다. 이 특허 출원은 2개의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에 대해 기술하 고, 기판 중 하나는 투명하고 다른 하나는 행과 열에 배치된 전극들이 제공된다. 행과 열 전극 사이의 교차점은 화상 소자와 연관된다. 화상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통하여 열 전극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행 전극과 연결된다. 이 화상 소자들, TFT 트랜지스터들, 그리고 행과 열 전극의 배열은 액티브 매트릭스를 함께 형성한다. 게다가, 화상 소자는 픽셀 전극을 포함한다. 행 구동기는 화상 소자들의 한 행을 선택하고 열 구동기는 열 전극들과 TFT 트랜지스터들을 통하여 화상 소자들의 선택된 열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신호는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대응한다.
게다가, 전자 잉크는 투명 기판 위에 제공된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제공된다. 전자 잉크는 약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은 유체 내에 충진된 양(positively)으로 대전된 흰색 입자들과 음(negatively)으로 대전된 검은색 입자들을 포함한다. 양의 전계가 픽셀 전극에 인가되었을 때, 흰색 입자들은 투명 기판이 그 위에 제공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그 입자들은 시청자에게 보이게된다. 동시에, 검은색 입자들은 그들이 관찰자로부터 감춰지도록 마이크로캡슐의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비슷하게, 픽셀 전극에 음의 전계를 인가하여, 검은색 입자들은 그들이 관찰자에게 보이도록/검게 되도록 마이크로캡슐 위에 투명한 기판이 제공되는 마이크로 캡슐의 반대 측면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흰색 입자들은 관찰자로부터 숨겨지도록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으로 이동한다. 전계가 제거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획득한 광학 상태를 상당히 유지하고, 쌍안정 특성을 나타낸다.
그레이 스케일(즉 중간의 광학 상태)는 마이크로 캡슐들의 상부에 카운터 전극으로 이동하는 입자들의 양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계 세기와 인가 시간의 곱으로 정의되는 양의 또는 음의 전계의 에너지는 마이크로캡슐들의 상부로 이동하는 입자들의 양을 조절한다.
도면의 도 1은,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2), 상부 투명 전극(6)과 TFT(11)을 통해 베이스 기판(2)에 연결된 다수의 화상 전극(5) 사이에 있는 전자 잉크를 구비하는 전기영동 필름을 포함하는 몇몇 화상 소자들의 크기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부분의 개략 단면이다. 전자 잉크는 약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다수의 마이크로캡슐들(7)을 포함한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7)은 유체(10)에 떠있는 양(positively)으로 대전된 흰색 입자들(8)과 음(negatively)으로 대전된 검은색 입자들(9)을 포함한다. 양의 전계가 화상 전극(5)에 인가되었을 때, 검은색 입자들(9)은 전극(5)으로 끌리고 관찰자로부터 숨겨지고, 반면에 흰색 입자들(8)은 반대 전극(6) 근처에 유지되어 관찰자에게 흰색으로 보인다. 반대로, 만일 음의 전계가 화상 전극(5)에 인가되면, 흰색 입자들은 전극(5)으로 끌리고 관찰자로부터 숨겨지고, 반면에 검은색 입자들은 반대 전극(6) 근처에 유지되어 관찰자에게 검게 보인다. 이론적으로, 전계가 제거되었을때, 입자들(8, 9)은 획득한 상태를 상당히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는 쌍안정 측성을 나타내고 거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영동 입자들 사이에 전위차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들(위에서 기술된) 또는 마이크로-켭(micro-cup)들을 포함하는 필름들에 전기영동 입자들에 기초한 디스플레이에서, 접착 층들과 바이더 층들과 같은 추가적인 층들은 구성을 위해 필요하다. 이런 층들은 또한 전극들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 층들은 전압 강하를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입자들 사이에 전위차를 감소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응답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런 층들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접착 및 바인더 층들의 전기전도도는, 이 층들에서 전압강하를 가능한 한 작게하고 디바이스의 스위칭이나 응답 속도를 최대화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이상적으로 가능한 커야한다. 그렇지만, 에지 영상 잔상(image retention)/고스팅(ghosting)은 액티브 매트릭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서 종종 관측되고, 이는 접착 층의 전기전도도가 증가되었을 때 더 극심하게 된다.
에지 고스팅의 예는 도면의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흰색 배경에 단순한 검은색 블록으로 먼저 업데이트되고, 그리고 나서 전체 흰색 상태로 업데이트된다. 도시된 것처럼, 원래 검은색 블록의 에지(즉, 검은색에서 흰색 영역으로 변이가 이전에 있던 위치)에 대응하는 진한 외곽선이 나타난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이런 라인들에 또는 주위에 명백한 밝기 감소가 나타난다. 이는 횡방향의 크로스토크(crosstalk)에 기인하는 영상 업데이트 기간 동안에 이런 영역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용어 '크로스토크'는 구동 신호가 선택된 픽셀뿐만 아니라 그 주위의 다른 픽셀에도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콘트라스트가 현저히 감소되는 현상으 말한다. 크로스 토크가 발생 할 수 있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다. 예를 들어, 서로 반대의 전압들이 인접하는 픽셀 전극들(5)에 인가되어 결과적으로 반대의 광학 상태들이, 픽셀 전극들(5a 및 5b)의 경우에서와 같은 각각의 인접하는 마이크로캡슐들과 각각 마이크로 캡슐들(7a 및 7b)에 실행되도록 의도된, 경우를 고려하자. 전극(5a)의 경우에, 음의 전계가 흰색의 대전된 입자들(8)을 전극(5a) 쪽으로 이끌어 검은색의 대전된 입자들(9)을 반대 전극(6) 쪽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인가되고, 양의 전계는 검은색의 대전된 입자들(9)을 전극(5b)으로 이끌어 흰색의 대전된 입자들(8)을 반대 전극(6) 쪽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인가된다. 그렇지만, 전극(5a)과 전극(5b) 사이의 공간(12)은 비교적 작기(필연적으로, 그렇지 않으면 결과 영상의 해상도가 불리하게 영향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전극(5a)과 전극(5b) 사이에 인가된 전계는 인접한 마이크로캡슐들(7b, 7a)에 대전된 입자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따라서, 음의 전계가 전극(5a)에 인가될지라도, 음의 전계는 전극(5b)에 인가된 양의 전계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되어, 인접한 픽셀 전극(5b)에 가장 인접한 마이크로캡슐(7a)의 측면에 가까운 몇몇 검은색의 대전된 입자들(9)은 그들이 전극(6) 쪽으로 밀어질 만큼 충분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고, 몇몇 흰색의 대전된 입자들은 전극(5a) 쪽으로 끌리기에 충분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요약하면, 위에 기술된 것처럼, 바인더와 접착 층들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지 영상 잔상의 문제는 더 심각하게 된다. 이는 층들의 더 높아진 전기전도도와 관련하고, 대응하는 양의 및 음의 전압으로 주소 지정된 인접하는 화상 소자들 사이 위치(즉, 도 2a에 검은색 및 흰색 화상 소자(픽셀)의 사이에 경계에) 에 단지 작은 수직 전계를 야기한다. 이는 도면의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고, 낮은 저항의 바인더/접착 층이 제공된 경우에, 위에 상세히 기술된 횡방향의 크로스토크 때문에, 반대 극성의 픽셀(7a, 7c) 사이의 마이크로캡슐(7b)에 낮은 전계를 갖는 영역(13)이 생성되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점선들은 전계 라인들을 나타냄에 주의하라.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에지 영상 잔상과 같은 종 크로스토크의 역효과는 특히 눈에 띄고, 화상 소자가 검은색으로 스위치되고 이웃 픽셀들이 흰색으로 되어야 할 때 더 심해진다. 에지 영상 잔상은 보통 영역 영상 잔상(즉, 전체 블록이 약간 더 밝거나 더 어두운 경우) 보다 더 잘 보이기 때문에 이는 특히 시각적으로 불쾌하고, 이는 특히 가정된 흰색 영역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쌍안정 특성 때문에 대응하는 픽셀들이 업데이트 되지 않도록 그 명목상 흰색 상태에 유지되도록 요구될 때 수용될 수 없다.
쌍안정 특성 때문에, 광학 상태 변화가 없는 픽셀들은 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영상 안정성은 항상 상대적이고, 실제에서 밝기는 영상 유지 시간으이 증가된 초기 값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음 영상 업데이트 동안 이런 “고스팅(ghosting)"의 단순한 통합은, 만일 픽셀들이 단순한 ”탑-업(top-up)", 즉 적당한 극성의 단일 전압 펄스를 사용하여 흰색에서 흰색으로 단순히 업데이트된다면, 대전된 입자가 단일 전압 펄스를 사용한 다수의 업데이트에 의해 서로 및/또는 전극에 달라붙어서 다음의 원하는 영상 전이를 실행할 때 이 전하들을 없애기 힘들게 만들기 때문에, 후속 전이들 동안 위에 언급된 영상 잔상 문제는 더 악화되고 그레이스케일 정확도가 현저히 감소되기 쉽다는 점에서 또한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블록-에지(block-edge) 영상 잔상을 적어도 종래 기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추가 목적과 더불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체에 대전된 전하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구동 수단은 상기 전극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에 대전된 전하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극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배를을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확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체에 대전된 전하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극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된 구동 수단을 결합하고, a)상기 구동 파형은, 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배를을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장치로 추가로 확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구동파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체에 대전된 전하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극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된 구동 수단을 결합하고, a)상기 구동 파형은, 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배를을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파형으로 추가로 확장한다.
본 발명은 구동 파형들이 디스플레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보장하고, 디스플레이에 모든 입자들이 적어도 구동 파형의 이 부분 동안 상당한 전계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심각한 에지 잔상의 현저한 감소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 기기들에 비해 상당한 유리한 점을 제공한다. 이는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기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더 심각하게 되는 효과{즉, 소위 드웰 타임 효과(dwell time effect)}인 입자 접착과 관련한 문제들을 줄이는 입자가 정기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전압 펄스는 구동 파형의 데이터 의존 부분인 구동 신호 앞에, 그리고 더 선호되게는 실질적으로 바로 앞에 파형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펄스는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해 고정된 구성으로, 선호되게는 그 앞에, 단일한 전압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된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은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해, 그리고 선호되게는 그 앞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두 경우에, 이런 전압 펄스들은 요구사항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현 펄스와 같은)의 것 또는 긴 기간의 것일 수 있고, 그리고 전체 디스플레이(즉, 모든 화상 소자)에 선호되게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그 중요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정기적으로 또는 비 정기적으로 바뀌는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은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해, 선호되게는 그 앞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두 경우에, 이런 전압 펄스들은 요구사항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현 펄스와 같은)의 것 또는 긴 기간의 것일 수 있고, 그리고 전체 디스플레이(즉, 모든 화상 소자)에 선호되게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그 중요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 기술한 것처럼, 전체 디스플레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전압 펄스들은 각각의 영상 업데이트 신호의 초기 부분, 즉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동 신호 앞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압 펄스(들)가 구동 파형의 이 지점에 인가된 경우 가장 효율적으로 여기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체 디스플레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가 한 영상 업데이트의 완성 지점과 다른 것의 시작 지점 사이의 어떤 지점에 인가될 수 있고, 또는 게다가 영상 업데이트 파형에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는 보통의 한번에 한 라인 주소 지정 방식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화상 소자들의 2개 이상의 라인들이 주소 지정되는 "하드웨어 구동"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전체 디스플레이(또는 적어도 그 상당한 부분)가 동시에 주소 지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고려되는데, 비록 이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이는 가장 균일한 전계 분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빨리 디스플레이를 주소 지정하는 것을 통해, 이후에 긴 고정 기간("프레임 지연")을 사용하여, 펄스들의 효율성은 더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양상들은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명확하고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한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에 블록 영상 잔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도 2의 화살표 A를 따라 취해진 밝기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3은 반대 극성의 화상 소자들 사이에 전계 라인들을 도시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한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구동 파 형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구동 파형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구동 파형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균일 전계 분포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기기들에 비해 적어도 블록-에지 영상 잔상(image retention)을 감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의 구동 파형의 제공에 의하여 실현된다.
위에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구동 파형이 디스플레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거기서 디스플레이의 모든 입자들이 적어도 구동 파형의 이 부분 동안에 상당한 전계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심각한 에지 영상 잔상의 현저한 감소를 포함하는 종래 기기에 비해 현저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는 입자들이, 정기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입자들이 상당히 긴 시간의 기간 동안에 움직이지않는 경우 심각하게 되는 효과(즉, 소위 드웰 타임 효과)인 입자 접착과 관련된 문제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 장한다.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흰색과 검정색의 2개의 극단의 광학 상태와, 대전된 입자들이, 화상 소자에 2개의 극단의 광학 상태의 중간의 외관, 예를 들어 밝은 회색과 진한 회색을 주도록 2개의 전극 사이에 중간의 위치들에 있는 중간의 광학 상태를 갖는 경우를 고려해보자. 이 예에서, 픽셀 전극들의 배치는, 픽셀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할 때 픽셀은 더 희게되고, 반면에 픽셀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때 픽셀은 더 검게되도록 한다.
도 4의 a 내지 e는 각각 흰색-흰색, 연한 회색-진한 회색, 연한 회색-검정, 연한 회색-연한 회색, 연한 회색-흰색의 영상 변이들을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대표 구동 파형들을 도시한다. 도면의 도 4의 a에서, 영상 변이 흰색-흰색의 영상 전이를 실행하기 위해, 음의 구동 신호가 픽셀 전극들에 적용되고, 실질적으로 바로 뒤에 양의 극성의 단일 전압 펄스가 뒤따르고, 디스플레이에 모든 픽셀들에 동시에 적용된 양의 극성 구동 전압들과 결합하여 그 제 1 부분은 픽셀에 걸쳐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드웰 타임 이후에, 픽셀을 그 흰색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야기하는 다른 음의 구동 신호가 적용된다. 도면의 도 4의 b에서, 밝은 회색-진한 회색 영상 변이의 경우에, 음의 구동 신호가 픽셀 전극들에 적용되고, 실질적으로 바로 뒤에 양의 극성의 단일 전압 펄스가 뒤따르고, 이는 다시 디스플레이에 픽셀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드웰 타임 이후에,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해 음의 전압 펄스가 바로 뒤따르는 양의 전압 펄스로 구성된 구동 신호가 적용된다.
도면의 도 4의 c에서, 밝은 회색-검정 영상 변이의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픽셀들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양의 극성의 단일 전압 펄스가 픽셀 전극들에 적용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드웰 타임 이후에,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해 양의 단일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가 적용된다. 도 4의 d에 도시된 것처럼, 밝은 회색-밝은 회색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동 파형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밝은 회색-진한 회색 영상 전이를 위한 구동 파형과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한 마지막 구동 신호가 양의 전압 펄스가 바로 뒤따르는 음의 전압 펄스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많은 점에서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도면의 도 4의 e에서, 밝은 회색-흰색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동 파형은 픽셀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양의 전압 펄스가 바로 뒤따르는 음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드웰 타임 이후에,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해 음의 전압 펄스가 적용된다.
따라서,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구동 파형을 도시하고, 여기서 고정된 극성(이 경우 양)의 단일한 전압 펄스가 각각의 픽셀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에지 영상 잔상의 현저한 감소에 비해 그 구현의 단순하다. 이런 모든 펄스들이 구동 파형들에서 같은 지점에서 시작하고 종료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그들 펄스는 단지 극성이 동일한 공통 부분들을 갖는다. 도 4의 a 내지 e는 4개의 광학 상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에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16개의 파형들 중 단지 5개를 도시한다는 것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다른 파형들은 파형 중에 동일한 시 간 지점에 양의 극성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전업 펄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된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은 디스플레이에 걸쳐 원하는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변하는 극성의 다수의 펄스들은 디스플레이에 걸쳐 원하는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b에서, 변하는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이 사용된 가능한 16개의 구동 파형들(디바이스가 4개의 광학 상태를 갖는 경우에) 중 2개가 도시된다. 밝은 회색-진한 회색 영상 변이(도 5의 a)의 경우에, 양의 전압 펄스가 바로 뒤따르고 이후 다른 음의 전압 펄스가 뒤따르는 음의 펄스는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고, 이후에 음의 전압 펄스는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생하기 위해 적용된다. 밝은 회색-밝은 회색 영상 변이(도 5의 b)의 경우에, 양의 구동 신호가 적용되고, 이후 음의 전압 펄스 이후에 양의 전압 펄스가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뒤따르고, 이어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긴 음의 전압 펄스가 뒤따르고(짧은 드웰 타임 이후에), 마지막으로(짧은 드웰 타임 이후에) 원하는 영상 변이를 실행하기 위해 양의 구동 신호가 적용된다. 다시, 모든 다른 파형들은 파형 중에 동일한 시간 지점에 변하는 극성을 갖는 위에 언급된 적어도 3개의 전업 펄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정한 실시예의 장점은 그 특정한 구현이 도 4의 a 내지 e의 경우보다 다소 복잡할지라도, 영상 잔상을 감소하는 점에서는 훨씬 더 우세하다는 것이다.
도 6의 a 내지 e는 이 경우에 각각의 구동 파형의 시작부에 일련의 셰이킹 펄스가 적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4의 a 내지 e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파형들을 도시한다. 셰이킹 펄스가 광학 상태 위치들 중 어떤 하나에 입자들을 릴리즈하기에 충분하지만 2개의 전극 사이에 현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입자들을 이동하기에는 불충분한 에너지 값을 나타내는 단일 극성 전압 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셰이킹 펄스의 에너지 값은 화상 소자의 광학 상태를 현저히 변하게 하기에 불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셰이킬 펄스가 모든 구동 파형들에 포함될 필요가 없지만 만일 포함된다면, 셰이킹 펄스는 픽셀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또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 더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의 a 내지 e의 실시예에 대한 위에서 언급된 장점들에 더하여, 이 실시예는 드웰 타임 및 영상 히스토리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장점들을 추가로 갖는다. 추가적인 셰이킹 펄스 세트는 추가로 디스플레이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동 파형에 어떤 위치에도 삽입될 수 있다. 셰이킹 펄스는 더 효율적인 업데이트와 더 나은 영상 품질을 야기하는 셰이킹 펄스가 동시에 모든 픽셀에 공급될 수 있도록 모든 구형 파형에 시간에 맞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픽셀들 사이에 균일한 전계 분포는 도면의 도 7에 도시된다. 점선은 전계 라인들을 나타내는 것에 다시 한번 주의하라.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패시브 매트릭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주의하라. 구동 파형은 펄스 폭 변조, 전압 변조 또는 이들의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타 자기(typewriter) 모드가 있는 단일 및 다중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컬러 쌍안정 디스플레이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극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하 전극 구조, 벌집 구조 또는 인플레인 스위칭 구조, 다른 결합된 인-플레인(in-plane) 스위칭 또는 수직 스위칭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방법으로 위에 기술되었고, 변경과 변이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된 실시예들에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게다가, 청구 범위에서, 괄호 안에 위치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 범위를 제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 “포함하는”은 청구 범위에 열거된 것들과 다른 요소들이나 단계들의 존재를 제외하지 않는다. 단수로 쓰인 용어들은 복수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몇몇 특징적인 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의 수단으로, 그리고 적합한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수단들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몇몇의 이런 수단들은 하나 및 동일한 하드웨어 아이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독립항에 수단들이 열거되었다는 사실 만으로 이 수단들의 결합이 유리하게 사용되지 못함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활용하여, 영상 잔상 및 고스팅이 없는 고화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가정용 TV 시스템 및 프로젝션 그리고 산업용 영상 시스템 등에 쓰일 수 있다.

Claims (22)

  1.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있어서, 유체(10)에 대전된 전하들(8, 9)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5, 6)를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8, 9)은 상기 전극들(5, 6)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전극(5, 6)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8, 9)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b)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는 각각의 구동 신호 앞에 상기 구동 파형에 제공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는 각각의 구동 신호 바로 앞에 즉시 상기 구동 파형에 제공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는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고정된 극성의 단일한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된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은 상기 디스플레이(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제공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전압 펄스는 상기 모든 화상 소자 또는 적어도 그 상당한 부분에 동시에 적용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하는 극성의 다수의 전압 펄스들은 상기 디스플레이(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제공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압 펄스는 실질적으로 정기적으로 변하는 극성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압 펄스는 실질적으로 비정기적으로 변하는 극성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파형은 펄스 폭 변조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파형은 전압 변조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개개의 구동 파형은 실질적으로 dc-밸런스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 변이 사이클이 픽셀을 상기 사이클의 초기에서 광학상태와 말기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학 상태를 갖도록 하는 닫힌 루프의 서브-세트의 적어도 몇 개는 실질적으로 dc-밸런스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그 1개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대전된 입자들(8, 9)은 2개의 기판(2) 사이에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전된 입자들(8, 9)과 유체(10)는 밀봉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대전된 입자들(8, 9)과 유체(10)는 각각 대응하는 화상 소자를 한정하는 복수의 개개의 마이크로슐들(7)에 밀봉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광학 상태를 갖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 변이들은 실질적으로 광학 상태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1개 이상의 화상 소자에 대해 실행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영상 변이들은 실질적으로 광학 상태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모든 화상 소자에 대해 실행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10)에 대전된 전하들(8, 9)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5, 6)를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8, 9)은 상기 전극들(5, 6)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전극(5, 6)에 구동 파형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8, 9)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b)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
  21.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10)에 대전된 전하들(8, 9)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5, 6)를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8, 9)은 상기 전극들(5, 6)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전극(5, 6)에 구동 파 형을 공급하기 위해 정렬된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8, 9)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b)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장치.
  22.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는 구동 파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10)에 대전된 전하들(8, 9)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 복수의 화상 소자, 각각의 화상 소자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전극(5, 6)를 포함하고,
    대전된 입자들(8, 9)은 상기 전극들(5, 6) 사이의 복수의 위치 중의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전극(5, 6)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정렬된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파형은, a)각각의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들(8, 9)이 디스플레이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 변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구동 신호들과, b)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유도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신호에 대하여 b)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구동파형.
KR1020067009576A 2003-11-21 2004-11-1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20060105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4297.1 2003-11-21
EP03104297 2003-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55A true KR20060105755A (ko) 2006-10-11

Family

ID=3461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76A KR20060105755A (ko) 2003-11-21 2004-11-1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26693A1 (ko)
EP (1) EP1687800A1 (ko)
JP (1) JP2007512569A (ko)
KR (1) KR20060105755A (ko)
CN (1) CN1882977A (ko)
TW (1) TW200523842A (ko)
WO (1) WO200505061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4492B2 (en) 2007-09-05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KR20140091352A (ko) * 2013-01-11 2014-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WO2014134504A1 (en) * 2013-03-01 2014-09-04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KR20140131339A (ko) * 2012-02-01 2014-11-12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들
WO2018160912A1 (en) * 2017-03-03 2018-09-07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driving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4482A1 (en) 2002-06-13 2008-01-31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20080158142A1 (en) * 2004-03-01 2008-07-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Increasing Image Bi-Stability and Grayscale Acuracy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1830345A1 (en) * 2006-03-02 2007-09-05 THOMSON Licensing Driving scheme of a variable electrophoretic optical iris diaphragm
JP5186492B2 (ja) * 2006-05-26 2013-04-17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光学ディスプレイを駆動する方法
KR20080030854A (ko) * 2006-10-02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5428211B2 (ja) * 2008-06-13 2014-0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286973B2 (ja) * 2008-06-26 2013-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20110205616A1 (en) * 2008-08-07 2011-08-25 Adrea, LLC Moving Particle Display Device
KR101534191B1 (ko) 2008-10-15 2015-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287157B2 (ja) * 2008-11-10 2013-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343640B2 (ja) * 2009-03-11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629879B2 (en) * 2009-04-24 2014-01-14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 controller providing PIP and cursor support
JP2011013254A (ja) * 2009-06-30 2011-01-20 Toppan Forms Co Ltd 情報表示媒体
KR101683879B1 (ko) * 2009-12-10 2016-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JP5736666B2 (ja) 2010-04-05 2015-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回路、電子機器
JP5845614B2 (ja) * 2011-04-15 2016-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1030936B2 (en) 2012-02-01 2021-06-08 E Ink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optic display in white mode
TWI560678B (en) 2013-07-31 2016-12-01 E Ink Corp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JP6371078B2 (ja) * 2014-02-27 2018-08-08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0997930B2 (en) * 2015-05-27 2021-05-04 E Ink Corporation Methods and circuitry for driving display devices
CN106782350A (zh) * 2017-01-04 2017-05-31 深圳市国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泳显示器减弱鬼影边界的方法
CN108962153B (zh) * 2018-07-19 2020-03-31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消除电泳电子纸边缘残影的方法
CN113096608B (zh) * 2019-12-19 2022-08-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泳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WO2021158744A1 (en) * 2020-02-07 2021-08-12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 layer with thin film top electrode
CN113450729B (zh) * 2021-07-14 2023-01-03 中国科学院重庆绿色智能技术研究院 一种三色柔性电子纸的驱动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2600B2 (en) * 1999-04-30 2006-03-14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bistable electro-optic displays,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JP3750565B2 (ja) * 2000-06-22 2006-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CN101676980B (zh) * 2001-11-20 2014-06-04 伊英克公司 驱动双稳态电光显示器的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4492B2 (en) 2007-09-05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KR20140131339A (ko) * 2012-02-01 2014-11-12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들
KR20170062557A (ko) * 2012-02-01 2017-06-07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들
KR20140091352A (ko) * 2013-01-11 2014-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WO2014134504A1 (en) * 2013-03-01 2014-09-04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WO2018160912A1 (en) * 2017-03-03 2018-09-07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driving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0610A1 (en) 2005-06-02
CN1882977A (zh) 2006-12-20
TW200523842A (en) 2005-07-16
US20070126693A1 (en) 2007-06-07
JP2007512569A (ja) 2007-05-17
EP1687800A1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5755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7876305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060097128A (ko) 감소된 영상 잔상을 갖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구동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20070091117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20080158142A1 (en) Method of Increasing Image Bi-Stability and Grayscale Acuracy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70080927A1 (en) Crosstalk compensation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80150886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WO2003100515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2008023159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20080231593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1658602B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KR20050049547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60097125A (ko) 직류-균압된 오버-리셋 구동을 가지는 쌍-안정 디스플레이
US2006020294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US2006025034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20060080919A (ko)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170667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20060080869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WO2008020355A2 (en) Moving partic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