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190A -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190A
KR20060009190A KR1020040056693A KR20040056693A KR20060009190A KR 20060009190 A KR20060009190 A KR 20060009190A KR 1020040056693 A KR1020040056693 A KR 1020040056693A KR 20040056693 A KR20040056693 A KR 20040056693A KR 20060009190 A KR20060009190 A KR 2006000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tinuously variable
variable transmission
speed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981B1 (ko
Inventor
이종완
Original Assignee
이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완 filed Critical 이종완
Priority to KR102004005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9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1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 F16H37/02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the toothed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5Gearboxes for gearing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변속범위와 토크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소 변속비 대비 최대 변속비가 4 미만인 무단변속 유닛과 다수의 기어와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어서, 변속범위와 토크 범위를 확대하되 속도비 0을 포함하는 범위를 연속적으로 변속이 가능한 무단변속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무단변속장치는 토크 컨버터 또는 마찰 판의 미끄럼에 의한 동력손실이 없어서 효율이 높고, 브레이크의 수명이 연장되며,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확장, 무단, 변속기, 벨트, 기어,

Description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expanded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무단변속부 12:구동축
13:구동풀리 14:종동축
15:종동풀리 16:벨트
18:출력축 20:제 1유성기어장치
21:제 1선기어 22:제 1피니언기어
23:제 1링기어 24:제 1캐리어
30:제 2유성기어장치 31:제 2선기어
32:제 2피니언기어 33:제 2링기어
34:제 2캐리어 40:감속장치
41:제 1기어 42:제 2기어
43:제 3기어 44:방향 전환 장치
45:제 5기어 46:제 6기어
51:제 1클러치 52:제 2클러치
53:제 3클러치 60:제 3유성기어장치
61:제 3선기어, 제 1요소 62:제 3피니언기어
63:제 3링기어, 제 2요소 64:제 3캐리어
본 발명은 변속범위가 좁은 무단변속 유닛을 기어와 클러치를 사용하여, 변속범위가 변속비 0을 포함하도록 확장하는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는 토크컨버터를 사용하여 정지 상태에서부터 최대 감속 기어가 연결될 때까지의 동력전달을 한다. 토크컨버터가 동작하는 동안은 엔진의 출력축과 변속기의 주축 사이에 회전속도 차이가 있다. 이때 전달되는 토크와 미끄럼 속도의 곱은 동력의 손실로써 열로 변환된다. 또한 가속할 때는 전달 토크가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감속하는 동안에는 브레이크에 부하로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손실과 브레이크 수명이 단축되고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전자(Electro-magnetic)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마찰판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4589303은 무단변속장치의 변속범위를 확대하여 역회전에서부터 고속까지의 변속범위를 가지므로 마찰 손실이 큰 기동클러치가 필요하지 않는 무단변속기이다. 기어의 구성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유성기어(60)의 선기어(61)에 대한 링기어(63)의 잇수비가 x이고, 무단변속부(10)의 변속범위가 n~1/n 이고, 제 3기어(43)의 제 1기어(41)에 대한 잇수비가 y 일때, 확장된 최대 변속비가 확장되지 않은 최소 변속비와 일치하려면 1/y*(x+1)/x-1/n/x=1/n 이어야 하고, 따라서 y=n이 되어야 한다. 확장된 최소 변속비는 1/y*(x+1)/x-n/x 이다. 최소 변속비가 -1/n이 되려면 x=(n*n-1)/2 이다.
한 예로 무단변속부의 풀리의 최소반경은 30, 최대 반경은 60, 축간거리는 135 라고 하면, 변속범위는 2~0.5 이며, 변속비에 따른 최소 반경에 대한 종동풀리의 유효 반경의 비율은 1.25일 때 1.36, 0.7일 때 1.8, 1.26일 때 1.35가 된다. 입력토크와 입력속도는 각각 1로 한다. 또한 x는 1.5(=(2*2-1)/2)가 된다.
x가 1.5 이므로 유성기어장치의 힘의 평형을 고려하면, 종동축에 1의 토크가 걸리면 출력축에는 1.5의 토크가 걸린다. 이것은 출력속도가 -1/2 일 때 (무단변속부이 속도비가 2 이고 종동풀리의 유효반경이 최소 반경과 같다) 출력 토크가 1.5 이상이 되면 무단변속부가 용량을 초과하는 힘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출력속도가 0(=1/2*2.5/1.5-1.25/1.5) 일 때는 (무단변속부의 속도비가 1.25 이고 종동풀리의 유효반경이 최소 반경의 1.374 배 이다) 출력토크가 2.06(=1.5*1.374) 이다. 최대 출력토크는 무단변속부의 속도비가 0.7 일 때 (종동풀리의 유효반경이 최소 반경의 1.8 배 이고 출력속도가 0.37 이다) 출력토크가 2.7(=1.5*1.8)이다. 따라서 변속범위는 적절하나 토크범위(=최대 출력토크/최소 출력토크)는 5.4(=2.7/0.5)로서 대부분의 자동차의 경우에 요구되는 6에 비하여 부족하며 역회전 때는 더욱 부족하다. 토크 범위를 충족시키려면 무단변속부의 변속범위를 2.1~1/2.1 정도로 키워야 한다. 또한 엔진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정지하여 속도비가 0이 아닌 상태에서 재시동을 해야 할 경우에는 동력을 끊어주는 클러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클러치가 없이, 무단변속 유닛의 변속범위와 토크 범위를 동시에 확대하고, 속도비 0을 포함하는 변속범위에서 연속적인 변속이 가능하고 보다 작은 풀리를 사용하는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풀리가 고정된 구동축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를 가진 종동축과, 두 풀리에 걸쳐진 벨트로 구성되고, 구동축에 대한 종동축의 속도비가 0.5보다 크고 2보다 작은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무단변속부와; 종동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주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는 링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캐리어로 구성되고, 선기어에 대한 링기어의 잇수비가 상기 무단변속부의 (변속범위 -1)과 거의 일치하는 유성기어장치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캐리어로 상기 무단변속부의 최소 속도비와 동일한 속도비로 전달하는 감속장치와; 상기 종동풀리를 상기 선기어 또는 종동축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 1클러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풀리가 고정된 입력축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를 가진 종동축과, 두 풀리에 걸쳐지는 벨트로 구성된 무단변속부와; 상기 종동축에 고정된 제 1선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제 1캐리어로 구성된 제 1유성기어장치와; 상기 제 1선기어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2선기어와, 상기 제 2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2링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제 1링기어 및 출력축과 한 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캐리어로 구성된 제 2유성기어장치와; 종동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요소와, 상기 제 1요소와 맞물리는 제 3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3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2요소와, 상기 제 3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제 3캐리어로 구성된 제 3유성기어장치와; 상기 구동축과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3캐리어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3기어와, 상기 제 1,3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로 구성된 순환경로와; 상기 종동풀리를 상기 종동축 또는 상기 제 1요소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1클러치와; 상기 제 1캐리어를 상기 제 3기어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2클러치와; 상기 제 2링기어가 상기 제 2캐리어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3클러치와; 출력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선기어에 대한 제 2링기어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의 변속비가 최대이고 상기 제 1캐리어가 상기 제 3기어와 같은 속 도일 때 (제 1선기어의 속도/ 제 1링기어의 속도)-1 이 되고, 상기 제 1기어에 대한 제 3기어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의 최대 감속비와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구동풀리(13)가 고정된 입력축(12)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15)를 가진 종동축(14)이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두 풀리에는 벨트(16)가 걸쳐져서 연속적인 변속비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단변속부(10)를 형성한다. 종동축(14)에는 선기어(6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선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62)들이 캐리어(64)에 의해 지지되며, 링기어(63)는 피니언들과 맞물리며 종동축(14)에 고정된다. 상기 캐리어(64)의 외주면에는 제 3기어(43)가 형성되고, 구동축에는 제 1기어(41)가 고정되고, 상기 두 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 2기어(42)가 배치되어 순환경로(40)를 형성한다. 종동축에는 상기 종동풀리(15)가 종동축(14) 또는 선기어(61)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클러치(51)가 설치된다. 종동축의 후단에는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전환장치(44)가 부가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하되, 최소 변속비를 0으로 하면 종동축(14)의 속도를 구하는 수식 1/y*(x+1)/x-n/x=0에서 x=2*2-1=3이 된다. 따라서 선기어(61)에 1의 토크가 걸리면 종동축(14)에는 3의 토크가 걸린다. 최대 토크는 무 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약 1.26일 때 종동풀리(15)의 유효반경이 최소 반경의 약 1.35배가 되므로 4(=3*1.35)이며, 토크 범위는 8(=4/0.5)이 된다. 이때의 종동축(14)의 속도비도 0.25이고 최대 속도비에 대하여 1/8이 되어 토크 비의 역수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약 1.5배의 넓은 토크 범위를 가진다.
과도한 토크 범위를 축소하기 위하여 무단변속부(10)의 변속범위를 축소하면 크기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n을 1.84로 하면 x는 약 2.4(=1.84*1.84-1)이고 속도비가 0일 때 종동축(14)의 토크는 2.4이다. 최대 토크는 무단변속부의 속도비가 약 1.12일 때 종동풀리의 유효반경이 최소 반경의 약 1.37배가 되므로 3.3(=2.4*1.37)이며, 이때의 속도비도 0.3이다. 토크 범위는 6(=3.3*1.84)이 된다. 상기 방향전환장치(44)는 정, 역, 중립을 선택할 수 있으며, 속도비가 0인 상태에서 역회전으로 전환이 되면 연속적인 변속은 역회전 영역까지 확대된다. 이 전환도 역시 동기가 된 상태에서 일어난다.
선기어에 대한 링기어의 잇수비를 나타내는 x 값이 n*n-1보다 크면 변속비 0을 얻을 수 없고, 이보다 작으면 토크 범위가 좁아지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 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다.
구동풀리(13)가 고정된 입력축(12)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15)를 가진 종동축(14)이 평행으로 배치되고, 두 풀리에는 벨트(16)가 걸쳐져서 연속적인 변속비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단변속부(10)를 형성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무단변속부(10)와, 상기 종동축(14)에 구비되는 제 1유성기어장 치(20)와, 제 2유성기어장치(30)와, 제 3유성기어장치(60)와, 제 클러치(51)와, 제 2클러치(52)와, 제 3클러치(53)와, 상기 구동축(12)과 종동축(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경로(40)와, 출력축(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유성기어장치(20)의 제 1선기어(21)는 상기 종동축(14)에 고정 설치되고, 제 1피니언기어(22)는 상기 제 1선기어와 맞물리고, 제 1링기어(23)는 상기 제 1피니언기어와 맞물리고, 제 1캐리어(24)는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순환경로(40)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 2유성기어장치(30)의 제 2선기어(31)는 상기 제 1선기어와 한 몸으로 회전하고, 제 2피니언기어(32)은 상기 제 2선기어(31)와 맞물리고, 제 2링기어(33)는 상기 제 2피니언기어(32)와 맞물리고, 제 2캐리어(34)는 상기 제 2피니언기어(32)를 지지하며 상기 제 1링기어(23) 및 출력축(18)과 한 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순환경로(40)는 구동축에 고정된 제 1기어(41)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축(14)에 설치된 제 3기어(43)와, 상기 제 1,3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인 제 2기어(42)로 구성된다. 상기 제 3유성기어장치(60)의 제 3선기어(61)는 종동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 3피니언기어(62)는 상기 제 3선기어(63)와 맞물리고, 제 3링기어(63)는 상기 제 3피니언기어(62)와 맞물리고, 제 3캐리어(64)는 상기 제 3피니언기어(62)를 지지하며 상기 순환경로(40)의 제 3기어(43)와 한 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클러치(51)는 상기 종동풀리(15)가 종동축(14) 또는 제 3선기어(61)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클러치(52)는 상기 제 1캐리어(24)가 상기 제 3기어(43)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제 3클러치(53)는 상기 제 2링기어(33)가 상기 제 2캐리어(34)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순환경로(40)의 제 3기어(43) 대비 제 1기어(41)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10)의 최소 속도비와 동일하며, 상기 제 2선기어(31)에 대한 제 2링기어(33)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10)가 최대 속도비를 가질 때 (제 1링기어(23)에 대한 제 1선기어(21)의 속도비 -1) 의 값과 같은 관계를 가져야 한다.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인 수치를 적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단변속부(10)의 변속범위는 1/1.416(=0.706)~1.416이고, 기어의 잇수는 제 1기어(41) 29, 제 3기어(43) 41, 제 1선기어(21) 18, 제 1링기어(23) 48, 제 2선기어(31) 32, 제 2링기어(33) 64, 제 3선기어(61) 20, 제 3링기어(63) 20 으로 가정한다. 순환경로의 속도비(=29/41)는 0.707로 무단변속부의 최소 속도비(=0.706)와 거의 일치하고, 제 3유성기어의 잇수비(=1)는 1.416*1.416-1=1.005 와 거의 일치한다.
먼저, 제 3클러치(53)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 3링기어(33)를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제 2클러치(52)는 중립위치에 있고, 제 1클러치(51)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 1선기어(61)를 종동축에 연결시키고,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는 최대(=1.416)로 된 상태에서 종동축(14)의 속도는 -0.001(=29/41*2-1.416)이다. 계산상으로는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이보다 조금 더 작은 조건에서 변속비가 0이 된다. 상기 종동축(14)의 회전은 상기 제 2유성기어장치(30)에 의해 3(=64/32+1)의 비율로 감속되므로, 전체 속도비는 거의 0이다. 상기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점차 감소하여 0.706이 되면 상기 출력축(18)의 속도도 점차 증가하여 0.236(=(29/41*2-0.706)/3)이 되고, 제 1링기어(23)의 속도는 최소가 된다. 이때 제 3유성기어장치(60)와 종동축(14)과 종동풀리(15)의 속도는 거의 일치하므로 상기 제 1클러치(51)는 동기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클러치(51)의 위치가 이동하면 종동축(14)과 종동풀리(15)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제 3유성기어(61)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상기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점차 증가하여 1.416이 되면 상기 출력축(18)의 속도도 점차 증가하여 0.472(=1.416/3)가 되고, 제 1캐리어(24)의 속도는 0.708(=0.472*3/4+1.416/4)이 되어 종동축(14) 및 제 4기어(43)와 속도가 거의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클러치(51)를 동기 상태에서 제 1캐리어(24)와 맞물리고, 상기 제 3클러치(5)를 중립으로 해제한다.
다시 상기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점차 감소하여 0.706이 되면, 상기 출력축(18)의 속도는 더욱 증가하여 0.708(=29/41*4/3-0.706/3)이 되고, 상기 제 1유성기어장치(20)의 모든 요소가 거의 동일한 속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유성기어장치(30)의 모든 요소도 거의 동일한 속도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3클러치(53)를 동기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 2링기어(33)가 제 2캐리어(34)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 2클러치(52)를 중립으로 해제한다.
상기 출력축(18)이 종동축과 같이 회전하므로 다시 상기 무단변속부(10)의 속도비가 점차 증가하여 1.416이 되면 전체 속도비도 1.416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정방향 속도비 범위는 0~1.416이다.
초기 상태에서 제 2클러치(52)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 1캐리어(24)가 고정되고, 제 3클러치(53)는 중립위치에서 해제되어 있다면, 종동축(14)의 속도는 제 2유성기어장치(20)에 의해 -1/3로 감속되어 출력축(18)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역회전의 속도비 범위는 0~-0.472이다.
최대 토크는 속도비가 0.236 일 때 4.24이며, 토크 범위는 6(=4.24/0.706)이다. 속도비가 0인 상태에서는 종동풀리(15)의 유효반경이 최소이므로 전달 가능한 토크는 1이고 제 2유성기어장치(30)에 의해 3으로 증대 되어 최대 토크의 0.706 배가 된다.
상기 예에서 수치가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기어의 잇수가 정수로 한정이 되기 때문이다. 클러치를 조작할 때 무단 변속부의 속도비를 약간 조정하면 일치 시킬 수는 있으나 조정하지 않아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작은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 3유성기어는 통상적으로 차동기어라 하는 것이지만 그 하는 기능에 있어서 유성기어와 동일하고 선기어와 링기어의 잇수가 같은 경우의 유성기어라 할 수 있으므로 유성기어라 칭하였다. 또한 선기어의 이수가 링기어의 이수보다 많은 경우(x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선기어와 링기어의 명칭이 바뀌어야 한다. 변속범위의 선택에 따라서 제 3캐리어(64)의 속도를 제 3기어(43)와 일치 시킬 수 없을 때도 있으며, 이때는 도 3과 같이 제 2기어(42)와 제 3기어(43)와 다른 속도비를 가지는 제 5기어(45)와 제 6기어(46)을 추가하여야 한다.
또한 3개의 클러치들이 동시에 중립 위치에 있으면 동력전달이 없는 중립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확장 무단변속장치는, 무단변속부의 변속범위와 토크 범위를 다수의 기어와 클러치들을 추가하여 연속적으로 확대하되 감속비가 0인 경우를 포함하고, 클러치의 조작이 동기가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마찰 클러치가 불필요하여 크기가 작고 조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토크 컨버터 또는 마찰 판의 미끄럼에 의한 동력손실이 없어서 효율이 높고, 브레이크의 수명이 연장되며,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Claims (2)

  1. 구동풀리가 고정된 구동축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를 가진 종동축과, 두 풀리에 걸쳐진 벨트로 구성되고, 구동축에 대한 종동축의 속도비가 0.5보다 크고 2보다 작은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무단변속부와;
    종동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주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는 링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캐리어로 구성되고, 선기어에 대한 링기어의 잇수비가 상기 무단변속부의 (변속범위 -1)과 거의 일치하는 유성기어장치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캐리어로 상기 무단변속부의 최소 속도비와 동일한 속도비로 전달하는 감속장치와;
    상기 종동풀리를 상기 선기어 또는 종동축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클러치와;
    상기 종동축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는 방향전환 장치로 구성되고 종동축의 최소 속도비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2. 구동풀리가 고정된 입력축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풀리를 가진 종동축과, 두 풀리에 걸쳐지는 벨트로 구성된 무단변속부와;
    상기 종동축에 고정된 제 1선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제 1캐리어로 구성된 제 1유성기어장치와;
    상기 제 1선기어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2선기어와, 상기 제 2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2링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제 1링기어 및 출력축과 한 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캐리어로 구성된 제 2유성기어장치와;
    종동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요소와, 상기 제 1요소와 맞물리는 제 3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3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2요소와, 상기 제 3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제 3캐리어로 구성된 제 3유성기어장치와;
    상기 구동축과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3캐리어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제 3기어와, 상기 제 1,3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로 구성된 순환경로와;
    상기 종동풀리를 상기 종동축 또는 상기 제 1요소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1클러치와;
    상기 제 1캐리어를 상기 제 3기어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2클러치와;
    상기 제 2링기어가 상기 제 2캐리어 또는 고정된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 3클러치와;
    출력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선기어에 대한 제 2링기어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의 변속비가 최대이고 상기 제 1캐리어가 상기 제 3기어와 같은 속도일 때 (제 1선기어의 속 도/ 제 1링기어의 속도)-1 이 되고,
    상기 제 1기어에 대한 제 3기어의 잇수비는 상기 무단변속부의 최대 감속비와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무단변속장치.
KR1020040056693A 2004-07-21 2004-07-21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KR10062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93A KR100626981B1 (ko) 2004-07-21 2004-07-21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93A KR100626981B1 (ko) 2004-07-21 2004-07-21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190A true KR20060009190A (ko) 2006-01-31
KR100626981B1 KR100626981B1 (ko) 2006-09-21

Family

ID=3711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693A KR100626981B1 (ko) 2004-07-21 2004-07-21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98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96B1 (ko) * 2011-08-20 2013-08-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연속 가변식 자동변속기
WO2016112801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多元件工作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4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轴流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3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导叶可调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6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溢流阀外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9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泵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8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向心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0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综合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7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向心涡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11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导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5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涡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2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可调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10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叶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26B1 (ko) 2011-12-29 2013-10-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후진 기어 구조
KR101349498B1 (ko) 2011-12-29 2014-01-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차량용 3단 무단 변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593B1 (ko) 1996-12-17 2000-08-01 정몽규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262592B1 (en) * 1996-12-17 2000-08-01 Hyundai Motor Co Ltd Cvt for vehicle
JP4552376B2 (ja) * 2002-11-29 2010-09-29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無限変速機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96B1 (ko) * 2011-08-20 2013-08-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연속 가변식 자동변속기
WO2016112801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多元件工作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4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轴流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3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导叶可调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6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溢流阀外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9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泵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8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向心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0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综合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7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向心涡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11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导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5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涡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02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可调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WO2016112810A1 (zh) * 2015-01-16 2016-07-21 吴志强 一种复合型叶轮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CN107208769A (zh) * 2015-01-16 2017-09-26 吴志强 一种复合型向心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CN107250615A (zh) * 2015-01-16 2017-10-13 吴志强 一种复合型综合式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CN107250616A (zh) * 2015-01-16 2017-10-13 吴志强 一种复合型可调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CN107429810A (zh) * 2015-01-16 2017-12-01 吴志强 一种复合型双泵轮液力变矩器以及无级变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981B1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4820A (en) Geared-neutr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070927A (en) Planetary gearing arrangement for a transmission
EP0172701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synchronous shift
KR100626981B1 (ko) 범위가 확장된 무단변속장치
US6045477A (en) Continuously variable multi-range powertrain with a geared neutral
US7238135B2 (en) Three-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a direct low mode and two split path high modes
US4836049A (en) Continual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fixed ratio and variable ratio mechanisms
JP5340336B2 (ja) 自動変速機
US5944628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s
GB2144814A (en) Driving device includ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552376B2 (ja) 無限変速機
EP0943839B1 (en) Dual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all wheel drive vehicle
EP0943840B1 (en) All wheel driv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dual mode operation
EP0173482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synchronous shift and extended range
EP0497038A1 (en) Control strategies for a dual range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US5895335A (en) Continuously variable powertrain
US3763718A (en)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KR100427361B1 (ko) 패널 이송용 어탯치먼트
WO2004008001A1 (en) Wide rang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6080108A (ja) 変速機
KR100256587B1 (ko) 차량용 무단 변속기
JPH0835545A (ja) 無段変速装置
KR100260168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SU1010356A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с плавны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KR960037356A (ko) 벨트풀리식 무단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