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334A -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 - Google Patents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334A
KR20060008334A KR1020057023481A KR20057023481A KR20060008334A KR 20060008334 A KR20060008334 A KR 20060008334A KR 1020057023481 A KR1020057023481 A KR 1020057023481A KR 20057023481 A KR20057023481 A KR 20057023481A KR 20060008334 A KR20060008334 A KR 2006000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signal
specific
attack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586B1 (ko
Inventor
가즈유끼 사에끼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송신기(1)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2)는 제1 파라미터(D) 및 제2 파라미터(L)를 보유 지지하고, 제1 파라미터(D)를 기초로 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한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제2 파라미터(L)를 변화시킨다. 송신기(1) 및 구동 기기(2)는 다른 한 쌍의 구동 기기(2) 및 송신기(1)를 대전 상대로 하고, 구동 기기(2)는 다른 구동 기기(2)로부터 송신되는 공격 신호를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파라미터(L)를 변화시키는 대전 유희를 실현할 수 있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1)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고, 구동 기기(2)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제1 파라미터(D)를 변화시킨다.
송신기, 구동 기기, 전차 모델, 조작 부재, 스틱

Description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REMOTE-CONTROLLED TOY SYSTEM AND DRIVE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구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송신기로부터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에 의해 대전 유희를 실현 가능한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대전 유희에 있어서는, 자기가 조작하는 구동 기기와 상대의 구동 기기 사이에서 공격 정보를 포함한 공격 신호를 서로 송수신함으로써, 그 공격 정보에 의해 상대의 구동 기기로 데미지를 부여하여 누적된 데미지의 대소에 의해 승패가 결정된다(일본 특허 공개 2003-16467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대전 유희를 실현 가능한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는, 공격 신호에 의해 상대에게 부여할 수 있는 데미지의 크기는 구동 기기마다 설정되어 대전 유희 중인 임의의 장면에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데미지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대전 중에는 1회의 공격에 대해 항상 같은 데미지밖에 상대에게 부여할 수 없으므로 대전 중의 공격이 매너리즘화되어, 특히 대전 유희의 조작에 익숙해진 사용자에는 싫증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전 중의 공격이 매너리즘화되지 않고, 대전 유희의 조작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게도 싫증나게 하지 않아 유희의 흥취를 높인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기에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송신기 및 상기 구동 기기가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한 다른 한 쌍의 구동 기기 및 송신기로 조합되어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전 유희는 대전 유희에 참가하는 복수의 구동 기기의 각각이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갖고, 각 구동 기기는 공격으로서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대전 상대의 다른 구동 기기로 송신한다. 이 공격 정보는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것이면 좋고, 제1 파라미터 그 자체라도 좋고, 제1 파라미터를 가공한 것이라도 좋다. 한편, 대전 상대인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된 공격 신호를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면, 그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자기의 제2 파라미터가 변화된다. 즉, 공격 신호에는 공격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공격 정보에 따라 자기의 제2 파라미터가 변화된다. 공격 정보는 공격 상대의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의 제2 파라미터는 공격 상대의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변화한다. 제2 파라미터를 구동 기기의 소위 내구력이라 하고, 제1 파라미터를 소위 공격력이라 하면 공격 상대의 공격력을 기초로 하여 자기의 내구력이 변화하는 대전 유희를 실현할 수 있다. 대전 유희를 행하는 다른 송신기 및 다른 구동 기기의 조는 다른 구동 기기가 기억 수단,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외관이나 대전 유희를 행하기 위한 구성 이외의 구성이 달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러한 대전 유희를 실현 가능한 원격 조작 완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한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송신되고, 구동 기기의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그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라 함은,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정보가 트리거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자기의 공격 정보의 내용이 변화되므로 자기의 공격에 의해 일어나는 공격 상대의 제2 파라미터로의 변화의 형태를 바꿀 수 있다. 「파라미터」는 정도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고, 수치라도 좋고 문자라도 좋다.
「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라 함은, 파라미터에 따라 나타내는 정도나 상태를 바꾸는 것을 말하고, 파라미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대전 유희에 있어서 유리해지는 경우도, 불리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대전 유희에 있어서 통상의 경우보다도 유리해지는 경우나 불리해지는 경우가 있어 대전 유희의 내용에 억양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유리해지도록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것 외에, 다른 처리와 조합하여 대전 유희에 있어서 매우 유리해지는 특전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제1 파라미터를 불리해지도록 변화시키는 등의 대전 유희를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의 형태에는 사용자의 송신기로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의 경우,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서는 경우 및 그 양방의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1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수치로 표현되고,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된 상기 공격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각 파라미터를 수치로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자기의 제1 파라미터의 변화나 그 변화를 기초로 하여 변화하는 다른 구동 기기의 제2 파라미터의 변화의 형태를 수치의 변화에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공격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으로부터 줄임으로써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증가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의 공격 신호에 의해 일어나는 자기의 제2 파라미터의 변화를 자기의 데미지로 하면, 구동 기기의 내구력으로서의 제2 파라미터의 값으로부터 다른 구동 기기의 공격력으로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줄이는 것만으로 그 값을 대전 상대의 공격력에 의한 자기의 데미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구동 기기의 공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화된 제1 파라미터를 소정의 조건에 의해 변화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의해 제1 파라미터를 한번 변화시켜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대전 중에 제1 파라미터가 변화된 상태를 특별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한 송신기로의 소정의 입력 조작이 있는 경우나 없는 경우, 또는 변화 후의 경과 시간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고,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어 다른 송신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하는 다른 구동 기기와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동 기기이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갖는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제1 원격 조작 시스템의 구동 기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기에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송신기 및 상기 구동 기기가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한 다른 한 쌍의 구동 기기 및 송신기와 조합되어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의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2 파라미터와 수신한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의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변화시키는 관계 변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은 상술한 제1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의 대전 유희와 같은 대전 유희를 실현 가능하고, 구동 기기가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자기의 제2 파라미터와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정보, 즉 공격 신호에 포함된 공격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변화시킨다. 특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구동 기기는, 소위 내구력으로서의 자기의 제2 파라미터의 상태를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의 공격 정보에 따라서 변화되는 정도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다른 구동 기기 제1 파라미터의 상태가 데미지로 되어 자기의 제2 파라미터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 악화되는 정도를 높게 하면 자기의 수비력은 약해지게 되고, 악화되는 정도를 적게, 혹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하면 자기의 수비력을 높일 수 있다. 자기의 수비력을 높이거나 약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대전 유희의 예는 제1 원격 조작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파라미터」「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및「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의 형태의 해석에 대해서도 제1 원격 조작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기기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내구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대전 상대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와의 대응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대전 유희 중인 공격이 매너리즘화되지 않고, 대전 유희의 조작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게도 싫증나게 하지 않아 유희의 흥취를 높인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전차 모델의 파라미터의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송신기의 기능 블럭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1에 있어서의 전차 모델의 기능 블럭도.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전차 모델로 행해지는 대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도1에 있어서의 전차 모델로 행해지는 차지 처리 1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8은 도1에 있어서의 전차 모델로 행해지는 차지 처리 2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인 송신기(1)와 구동 기기로서의 전차 모델(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신기(1)에는 복수의 조작 부재(3a 내지 3d)와, 착탈 가능한 차량별 ROM(4)을 설치하기 위한 ROM 설치부(5)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수신부(6)와, ID 설정 버튼(10)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별 ROM(4)에는 전차 모델(2)의 공격 능력 및 수비 능력에 관한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파라미터가 기록된 차량별 ROM(4)을 ROM 설치부(5)에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공격 능력 및 수비 능력을 갖는 전차 모델(2)을 송신기(1)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조작 부재(3a 내지 3d)에는 전후로 경도(傾倒)하는 스틱(3a)과, 좌우로 경도하는 스틱(3c)과, 이면 버튼(3b, 3d)이 있고, 사용자는 이들을 조작함으로써 전차 모델(2)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전차 모델(2)에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으로서의 사격 신호 발신부(7)와 수신부(8)와 주행용 차륜(9)이 설치되어 있다. 사격 신호 발신부(7)로부터 공격 신호로서의 사격 신호가 발신되어 수신부(8)에서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나 송신기(1)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하,「 사격 신호를 발신한다」라는 것을「사격한다」라 하고,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피탄(被彈)」한다고 할 때가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의 원격 조작 완구는 데이터의 반송파로서 적외선을 사용한다. 송신기(1)와 그 송신기(1)에 조합된 전차 모델(2)은 같은 ID 번호가 설정되고, 송신기(1)는 제어 신호에 자기의 ID 번호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전차 모델(2)에서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ID 번호가 자기의 ID 번호와 일치할 때에 그 제어 신호를 자기를 향해 송신된 것임을 인식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송신기(1)에 의해 각각 대응하는 전차 모델(2)이 조작되는 대전 게임에 있어서, 전차 모델(2)은 자기에게 이송되어 온 제어 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각 조의 ID 번호는 송신기(1)에 설치된 ID 설정 버튼(10)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D 번호는 1 내지 4까지 준비되어 있고, 최대 4조의 송신기(1)와 전차 모델(2)에 의해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1)로부터 전차 모델(2)로 송신되는 제어 신호는 항상 같은 데이터 길이이고, 조 사이에서의 혼신을 막기 위해 송신기(1)는 송신 타이밍이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하여 송신한다.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1에 도시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대전 게임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전차 모델(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합된 송신기(1)에 설치된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공격 능력에 관한 파라미터 및 수비 능력에 관한 파라미터를 갖는다.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각 파라미터를 도2에 나타낸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차 모델(2)의 대전 능력은 제1 파라미터로서의 주 포 위력, 제2 파라미터로서의 라이프, 탄수 및 장전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주포 위력은 1회의 사격으로 상대에게 부여하는 데미지(공격력)를, 라이프는 1회의 게임에서 공격을 받을 수 있는 허용치(내구력)를, 탄수는 1회의 게임에 있어서 사격할 수 있는 회수를, 장전 시간은 전차 모델(2)이 일단 사격한 후 다음 사격까지 필요한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도2에서는 전차(A 내지 D)의 4 차종의 각 파라미터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전차(A)의 파라미터가 기록된 차량별 ROM(4)이 설치된 송신기(1)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전차 모델(2)(이하, 단순히「전차(A)」라 칭함)의 경우에는 주포 위력 10, 라이프 40, 탄수 15, 장전 시간 5초로 하여 각 파라미터의 값이 설정된다. 전차(A)가 전차(B)의 파라미터를 갖는 전차 모델(2)(이하, 단순히「전차(B)」라 칭함)로부터 송신된 공격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즉 피탄하였을 때에는 전차(B)의 주포 위력의 값이 데미지가 되고, 전차(A)의 라이프가 40으로부터 8이 감소되어 전차(A)의 라이프의 값은 32가 된다. 이와 같이 라이프의 값은 피탄에 의해 변화되고,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경과 후의 각 전차 모델(2)의 라이프의 값의 대소에 따라서 승패를 결정하는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대전 유희 중에는 이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중 주포 위력 및 라이프는 전차 모델(2)이 보유 지지하고, 탄수 및 장전 시간은 송신기(1)가 보유 지지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전차 모델(2)이 보유 지지하는 주포 위력의 값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시를 이하「차지 지시」라 하고, 주포 위력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를「차지 처리 」라 한다. 「차지 처리」에는 주포 위력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차지 처리 1 및 차지 처리 2의 2종류이다. 각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주포 위력의 값을「기준치」라 하고, 주포 위력의 값을 증가시키는 것을「주포 위력의 레벨 업」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송신기(1)로부터 제어 신호가 송신되기까지의 처리를 도3 및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은 송신기(1)의 기능 블럭도이고, 도4는 송신기(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기(1)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수신부(6)와, ID 설정 버튼(10)과,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ROM 판독부(11)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 부재(3a 내지 3d)로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12)와, 송신기(1)에 설치된 각 부로부터의 신호를 접수하여 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13)를 갖고 있다. 제어부(13)는 CPU 및 그 동작에 필요한 RAM(13a)이나 ROM(13b) 등의 각종 주변 회로를 구비하고, 특히 제어 신호 작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ROM 판독부(11)에 의해 차량별 ROM(4)으로부터 판독되는 파라미터 중, 탄수(P) 및 장전 시간(T)의 각 파라미터의 값은 RAM(13a)에 판독되어 보유 지지된다. ID 설정 버튼(10)에 의해 설정된 ID 번호도 RAM(13a)에 보유 지지된다. 제어부(13)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ROM(13b)에 기록되어 있다. 조작 접수부(12)에 의해 접수되는 조작에는 주행 지시, 사격 지시, 그리고 특정한 조작으로서의 차지 지시가 있다.
사용자가 조작 부재(3a 내지 3d)에 대해 입력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에 따 른 조작 신호를 조작 접수부(12)가 작성하여 제어부(13)로 이송한다. 제어 신호 작성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3)가 조작 신호의 내용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D 번호(100), 좌측 모터 제어 지시(110)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120), 사격 지시(130) 및 기타(140)의 각 필드를 갖는다. ID 번호 필드(100)는 송신기(1)에 설정된 ID 번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RAM(13a)이 보유 지지하는 ID 번호가 기입된다.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 및 사격 지시 필드(130)에는 사용자의 조작 부재(3a 내지 3d)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한 경우에 그 입력 조작에 따른 정보가 기입된다. 기입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그 필드의 정보는 공백이다.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는 5 비트씩 마련되고, 각 필드(110, 120)에 각 스틱(3a, 3b)의 조작량에 대응한 정보가 기입된다. 본 형태에서는 좌측 스틱(3a)으로 직진 또는 후퇴, 우측 스틱(3c)으로 선회를 지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기는 좌우의 모터를 하나씩 갖고,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의 각 정보는 각 좌우 모터의 구동에 대응한다. 사격 지시 필드(130)는 이면 버튼(3b, 3d)의 조작에 대응하고, 1 비트의 플래그이다. 어느 하나의 이면 버튼(3b, 3d)이 눌리면 사격 지시 필드(130)의 플래그가 선다.
차지 지시를 나타내는 입력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우측 모터 제어 지시(120) 및 사격 지시(130)의 2 필드에 특정 정보로서의 차지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된다. 이에 의해, 차지 지시를 위한 필드를 특별히 제어 신호 에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차지 처리가 상술한 바와 같이 2종류 있고, 좌측 이면 버튼(3b)을 누르면서 우측 스틱(3c)을 좌측으로 경도시킨 경우에는 차지 처리 1을 나타내고, 좌측 이면 버튼(3b)을 누르면서 우측 스틱(3c)을 우측으로 경도시킨 경우에는 차지 처리 2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우측 스틱(3c)이 좌측으로 경사진 경우의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20)가「00001」이고, 좌측 이면 버튼(3b)이 눌린 경우의 사격 지시 필드(130)가「1」이면 차지 처리 1을 나타내는 차지 지시 1은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20) 및 사격 지시 필드(130)를 맞추어「000011]이 되고, 우측 스틱(3c)이 우측으로 경사진 경우의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20)가「11000」이면 차지 처리 2를 나타내는 차지 지시 2는「110001」이 된다. 사용자가 상술한 차지 지시를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은 좌측 스틱(3a)에 대한 입력 조작은 조작 접수부(12)에 있어서 무시되고, 좌측 스틱(3a)의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어부(23)로 이송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격 지시를 나타내는 입력 조작이 있던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작성하는 동시에 탄수(P)의 값을 1 감산한다. 또한, 최후에 사격 지시의 조작이 있었을 때부터 장전 시간(T)이 나타내는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 사격 지시의 조작이 다시 있던 경우에는 사격 지시를 위한 제어 신호는 작성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각 지시에 대응한 정보가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 및 사격 지시 필드(130)의 각 필드에 기입되어 있는 상태를 제어 신호에「지시가 포함되어 있다」또는「지시가 있다」라 한다.
다음에,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전차 모델(2)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도5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전차 모델(2)의 기능 블럭도이다. 전차 모델(2)에는 사격 신호 발신부(7)와, 수신부(8)와, 전차 모델(2)의 주행 동작용 모터 드라이버(20) 및 모터(21)와, 전차 모델(2)의 상태에 따라서 발광하는 LED 표시부(22)와, 전차 모델(2)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3)를 갖는다. 제어부(23)는 CPU 및 그 동작에 필요한 RAM(23a)이나 ROM(23b) 등의 각종 주변 회로를 구비하고, 특히 사격 신호 작성 수단 및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으로서의 레벨 업 수단,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으로서의 피탄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RAM(23a)에는 제1 파라미터로서의 주포 위력(D) 및 제2 파라미터로서의 라이프(L) 및 ID 번호가 보유 지지된다. RAM(23a)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주포 위력(D) 및 라이프(L)의 각 파라미터의 값은 조합된 송신기(1)에 설치된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주포 위력 및 라이프의 값이고, ID 번호는 조합된 송신기(1)에 설정된 ID 번호이다. 이들 주포 위력, 라이프 및 ID 번호는 이들의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게임 개시시에 송신기(1)로부터 전차 모델(2)로 송신함으로써 설정된다.
ROM(23b)에는 제어부(23)에 있어서 행해지는 각종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모터(21)는 좌우 한 쌍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각각이 독립되어 좌우의 차륜(9)을 구동한다. 사격 신호 작성 수단으로서 제어부(23)는 자기의 주포 위력(D)을 공격 정보로 하여 공격 신호로서의 사격 신호를 작성한다. 피탄 처리 수단으로서 제어부(23)는 특정 신호로서의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 발신 된 사격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그 사격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레벨 업 수단으로서 제어부(23)는 자기의 라이프(L)의 값을 변화시킨다. 각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차 모델(2)이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공격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23)가 대전 게임 중에 행하는 대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3)가 행하는 대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6에 도시한다. 수신부(8)에서 제어 신호 또는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하고(스텝 S30), 수신된 경우에는 피탄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1). 수신한 신호가 사격 신호이고, 그 사격 신호에 자기의 ID 번호가 아닌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탄으로서 판단하여 피탄 처리를 행한다(스텝 S32). 피탄 처리에서는 피탄 처리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가 자기의 라이프(L)의 값으로부터 수신한 사격 신호에 포함되는 대전 상대의 주포 위력의 값을 감산하여 자기의 라이프(L)의 값을 변화시킨다. 피탄 처리 후에는 수신 감시 상태로 복귀된다. 피탄 처리에서 LED 표시부(22)를 발광시키고, 그 발광의 형태를 변화 후의 라이프치(L)의 값의 크기에 따라 바꾸어도 좋다.
스텝 S31에서 피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자기를 향해 송신된 제어 신호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3). 수신한 제어 신호에 자기의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를 향해 송신된 제어 신호로서 판단하여 스텝 S34로 진행하고, 자기의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감시 상태로 복귀된다. 스텝 S34에서는 제어 신호에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34),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그 차지 지시의 내용이 차지 지시 1을 나타내는 것인지 혹은 차지 지시 2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5). 차지 지시 1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차지 처리 1이 행해지고(스텝 35-1), 차지 지시 2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차지 처리 2가 행해진다(스텝 35-2).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의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20) 및 사격 지시 필드(130)의 상태에 따라서 차지 지시 1 또는 차지 지시 2라고 판단한다. 각 차지 처리 후에는 수신 감시 상태로 복귀된다.
스텝 S34에서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36),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격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37). 제어 신호의 사격 지시 필드에 플래그가 서있는 경우에 사격 지시라고 판단한다. 사격 처리에서는 사격 신호 작성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가 자기의 주포 위력(D)의 값 및 자기의 ID 번호를 포함한 사격 신호를 작성하고, 사격 신호 발신부(7)로부터 사격 신호를 발신한다. 사격 처리 후에는 수신 감시 상태로 복귀된다.
스텝 S36에서 제어 신호에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38),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행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39).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에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또는 어느 한 쪽의 필드에만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고, 주행 처리에서는 좌측 및 우측 모터 제어 지시 필드(110, 120)에 기입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좌우 의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주행 처리 후에는 수신 감시 상태로 복귀된다.
차지 처리 1에 대해 제어부(23)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도7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타이머의 세트가 된다(스텝 S40). 이 타이머는 1초에 타임 업한다. 이 타이머가 타임 업하면 주포 위력(D)의 값을 올릴 수 있다. 단, 타이머 작동 중에는 차지 지시 1을 나타내는 차지 지시 신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수신을 계속하지 않으면 차지 처리 1은 종료된다. 또한, 타이머 작동 중에 피탄한 경우나 사격 지시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차지 처리 1은 종료된다.
따라서, 다음 스텝 S41 내지 S44에서는 수신부(8)의 수신 상태가 감시된다. 우선 수신부(8)에서 자기를 향한 제어 신호 또는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41),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지 처리 1의 취소로서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상기 각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피탄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42), 피탄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피탄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42-1). 피탄의 판단 및 피탄 처리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대전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피탄 처리 후에는 차지 처리 1의 취소가 되어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 피탄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3),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4),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격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44-1). 사격 처리 후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3 및 스텝 S44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차 지 지시도 사격 지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차지 지시 또는 사격 지시가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 및 사격 처리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대전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의 레벨이 3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5). 이 레벨이라 함은, 주포 위력(D)의 값의 레벨을 말하고, 차지 지시 조작에 의해 주포 위력(D)의 값이 커질수록 이 레벨의 값이 증가한다. 본 형태에서는 기준치의 상태를 레벨 0으로 하고, 1 내지 3까지 3 레벨이 있다. 레벨 3이 된 전차 모델(2)은 차지 지시가 있더라도 그 이상 레벨 업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벨 3인 경우에는 스텝 S41로 복귀되어 수신 감시 상태가 된다. 차지 처리 1에서는 레벨 업 3이라도 차지 지시 1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계속 수신하지 않으면 차지 처리 1은 종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때에 사격 지시의 입력 조작을 행할 때까지 차지 지시 1의 입력 조작을 송신기(1)에 대해 계속할 필요가 있다.
레벨 3이 아닌 경우에는 타이머가 타임 업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46), 타임 업한 경우에는 레벨 업 처리를 행한다(스텝 S47). 이 레벨 업 처리에서는 레벨 업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가 주포 위력(D)의 값을 1 증가하는 동시에 레벨을 1단계 높여 LED 표시부를 1초간 점멸시킨다. 이 LED의 휘도는 레벨이 커짐에 따라 높아진다. 타임 업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로 복귀되어 수신 감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스텝 S47의 레벨 업 처리의 결과, 현재의 레벨이 3인지 여부를 판단 하여(스텝 S48), 레벨 3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1로 복귀되어 레벨 3의 상태에서 수신 감시 상태가 된다. 레벨 3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주포 위력(D)의 값을 다음 레벨로 올리기 위해 스텝 S40으로 복귀되어 타이머 세트 후에 수신 감시 상태가 된다.
스텝 S40에서 수신부(8)에 아무것도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42-1의 피탄 처리가 행해진 후, 스텝 S43 및 스텝 S44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차지 지시도 사격 지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스텝 S44-1의 사격 처리가 행해진 후에는 스텝 S50으로 진행하여 주포 위력(D)의 값을 기준치로 복귀시켜 차지 처리 1을 종료한다.
다음에, 차지 처리 2에 대해 제어부(3)가 행하는 처리를 도8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타이머가 세트된다(스텝 S60). 이 타이머는 4.5초로 타임 업한다. 이 타이머가 타임 업하면 RAM(23a)이 보유 지지하는 주포 위력(D)의 값을 올릴 수 있다. 단, 타이머 작동 중에는 차지 지시 2를 나타내는 차지 지시 신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계속 수신하지 않으면 차지 처리 2는 종료된다. 또한, 타이머 작동 중에 피탄한 경우나 사격 지시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도 차지 처리 2는 종료된다.
따라서, 다음 스텝 S61 내지 S64에서는 수신부(8)의 수신 상태가 감시된다. 우선 수신부(8)에서 자기를 향한 제어 신호 또는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61),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차지 처리(2)를 종료하고,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피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62), 피탄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피탄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62-1). 피탄의 판단 및 피탄 처리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대전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피탄 처리 후에는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스텝 S42에서 피탄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3),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4),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격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64-1). 사격 처리 후에는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스텝 S63 및 스텝 S64에서 제어 신호에 차지 지시도 사격 지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차지 지시 또는 사격 지시가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 및 사격 처리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대전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차지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타이머가 타임 업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5). 타임 업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61로 복귀되어 수신 감시 상태가 된다. 타임 업인 경우에는 레벨 업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66). 이 레벨 업 처리에서는 레벨 업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가 주포 위력(D)의 값을 3 증가시켜 LED 표시부를 0.2초간 점멸시킨다. 차지 처리 2에서는 4.5초 동안에 주포 위력(D)의 값은 변화되지 않지만, 이 LED 표시부는 타이머 세트 후 1.5초마다 그 휘도를 조금씩 올리면서 점멸시켜도 좋다.
레벨 업 처리 후, 다시 타이머가 세트된다(스텝 S67). 이 타이머는 주포 위력(D)이 증가된 상태의 기간을 정하는 것으로, 본 형태에서는 10초이다. 단, 이 타이머 작동 중에 피탄하거나 공격 지시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주포 위력(D)의 값이 기준치가 되어 차지 처리 2가 종료된다. 타이머 세트 후, 우선 수신부(80)에서 자기로의 제어 신호 또는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8). 아무것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2로 진행하여 타임 업할 때까지 차지 처리 2의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기다린다. 차지 처리 2에 있어서는, 레벨 업 처리 후에는 차지 지시 2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계속 수신할 필요는 없다.
자기로의 제어 신호 또는 전차 모델(2)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8에서 피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69), 피탄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피탄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69-1). 피탄 처리 후, 주포 위력(D)의 값을 기준치로 복귀시켜(스텝 S73)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피탄인지 여부의 판단 및 피탄 처리는 대전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피탄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70),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격 처리를 행하고(스텝 S70-1), 사격 처리 후에는 주포 위력(D)을 기준치로 복귀시켜(스텝 S73)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스텝 S70에서 제어 신호에 사격 지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71),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행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71-1). 차지 처리 2에서는, 레벨 업 처리 후에는 차지 지시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송신기에 대해 차지 지시 2의 입력 조작을 계속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스틱(3a, 3c) 에 의한 주행 지시를 행할 수 있다. 주행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 및 주행 처리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대전 처리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69, S70 및 S71의 각 판단으로 수신한 신호가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72로 진행한다. 스텝 72에서는 타이머가 타임 업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72), 타임 업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주포 위력(D)의 값을 기준치로 복귀시켜(스텝 S72) 차지 처리 2를 종료한다. 타임 업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8로 복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에서는 차지 지시가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레벨 업 처리에서 주포 위력(D)를 일시적으로 레벨 업시키는 처리, 즉 공격력을 올렸지만 제2 형태에서는 레벨 업 처리에서 수비력을 일시적으로 올린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 및 처리이기 때문에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성에 있어서 다른 점은, 전차 모델(2)의 제어부(23)는 다른 전차 모델(2)로부터 송신된 사격 신호에 포함되는 주포 위력과 자기의 RAM(23a)이 보유 지지하는 라이프(L)의 값의 대응 관계를 변화시키는 관계 변화 수단으로서의 레벨 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RAM(23a)에는 레벨 업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부(23)에 의해 변화되는 대응 계수(도시하지 않음)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처리에 있어서 다른 점은 이하와 같다. 피탄 처리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는 피탄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자기의 라이프(L)의 값으로부터 대응 계수 × 사격 신호에 포함되는 주포 위력의 값을 줄여 새로운 라이프(L)의 값으로 한다. 통상은 대응 계수 = 1로 하고, 이를 기준치로 한다. 레벨 업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3)는 차지 처리 1에 있어서의 스텝 S47의 레벨 업 처리에 있어서, 이 대응 계수를 1로부터 1/8씩 현상하도록 설정한다. 즉, 레벨 0일 때에는 대응 계수 = 1, 레벨 1은 대응 계수 = 7/8, 레벨 2는 대응 계수 = 6/8, 레벨 3은 대응 계수 = 7/8이다.
또한, 차지 처리 2에 있어서의 스텝 S66의 레벨 업 처리에 있어서는 이 대응 계수를 7/8로 설정한다. 차지 처리 1에 있어서의 스텝 S46의 레벨 업 처리 후의 스텝 S42-1의 피탄 처리 및 차지 처리 2에 있어서의 스텝 S66의 레벨 업 처리 후의 스텝 S69-1의 피탄 처리에서는 줄어드는 사격 상대의 주포 위력이 통상의 경우보다도 작아지므로 수비력이 레벨 업된 것이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50 및 스텝 S73에 대응 계수가 기준치인 1로 복귀된다.
또한, 이 수비력을 업시키기 위한 송신기(1)로의 입력 조작을, 공격력을 업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과 다른 것으로 하면, 사용자는 송신기(1)로의 입력 조작에 따라 자기의 전차 모델(2)의 공격력을 일시적으로 업시킬 수도 있고, 수비력을 일시적으로 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에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동시에 대전 게임을 행하는 전차 모델(2)의 수의 최대치는 4가 아니라도, 4 이상이라도, 이하라도 좋다. 적외선 이외에 반송파로서 주파수가 다른 전파를 이용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이라도 좋다. 또한, 구동 기기로서는 전차 모델(2)로 한정되지 않고 공격 신호를 발신하여 서로 상술한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것 이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어 괴수 모델이나 잠수함 모델 등이라도 좋다. 또한, 차량별 ROM(4)에 기록되어 있는 각 파라미터를 송신기(1)의 RAM(13a) 및 전차 모델(2)의 RAM(23a)과는 별도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각각 보유 지지해도 좋다.
특정의 조작으로서의 차지 지시를 위한 입력 조작도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구동 기기측에서 차지 지시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어 신호에 기입할 수 있는 조작이면 좋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기존의 제어 신호의 복수의 필드를 사용하여 차지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로 하였지만, 차지 지시용 필드를, 예를 들어 2 비트를 마련하고, 차지 지시 조작이 있던 경우에는 그 필드 정보를 기입, 전차 모델(2)에서 차지 지시용 필드에 기입된 정보에 적응한 차지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레벨 업의 최대치나 레벨을 증가시키는 폭은 상술한 형태의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이라도, 그 이하라도 좋다. 각 타이머의 타임 업하기까지의 시간이나 상술한 시간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 이상이라도, 그 이하라도 좋다. 수비력을 업시키는 처리에 있어서, 수신한 사격 신호에 포함되는 다른 전차 모델(1)의 주포 위력의 값을 감소시켜도 좋다. 차지 처리 2에서 스텝 S60의 타이머 세트 후 LED 표시부를 1.5초마다 그 휘도를 조금씩 올리면서 수초씩 점멸시켜도 좋다.

Claims (6)

  1.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기에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송신기 및 상기 구동 기기가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한 다른 한 쌍의 구동 기기 및 송신기와 조합되어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의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 시키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수치로 표현되고,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된 상기 공격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공격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으로부터 줄임으로써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화된 제1 파라미터를 소정의 조건에 의해 변화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5.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고,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고,
    다른 송신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하는 다른 구동 기기와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동 기기이 며,
    상기 사용자의 특정한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1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1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기기.
  6.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원격 조작되는 구동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기에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보유 지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공격 정보를 포함하는 공격 신호를 송신하는 공격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송신기 및 상기 구동 기기가 상기 기억 수단, 상기 공격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변화 수단을 구비한 다른 한 쌍의 구동 기기 및 송신기와 조합되어 대전 유희가 실현 가능하고,
    상기 대전 유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공격 신호를 상기 특정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에 따른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상기 제2 파라미터와 수신한 상기 다른 구동 기기로부터의 상기 특정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변화시키는 관계 변화 수단을 갖는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KR1020057023481A 2003-07-29 2004-07-26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 KR100755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2127 2003-07-29
JPJP-P-2003-00282127 2003-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334A true KR20060008334A (ko) 2006-01-26
KR100755586B1 KR100755586B1 (ko) 2007-09-06

Family

ID=3410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481A KR100755586B1 (ko) 2003-07-29 2004-07-26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10404B2 (ko)
EP (1) EP1661609A1 (ko)
JP (1) JP4606330B2 (ko)
KR (1) KR100755586B1 (ko)
WO (1) WO2005009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6574A1 (en) * 2006-03-08 2008-12-03 Amgen Inc. Quinoline and isoquinoline derivatives as phosphodiesterase 10 inhibitors
CA2699922A1 (en) 2009-04-15 2010-10-15 Red Blue Limited Foldable vehicles
JP2011139823A (ja) * 2010-01-08 2011-07-21 Tomy Co Ltd 競走玩具
US20120258645A1 (en) * 2011-04-11 2012-10-11 Randy Cheng Shooting device for RC helicopter
US8574021B2 (en) 2011-09-23 2013-11-05 Mattel, Inc. Foldable toy vehicles
US10045367B2 (en) * 2014-10-03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fragmentation for multi-user networks
CN105251213A (zh) * 2015-09-29 2016-01-20 成都艾维拓思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技术的遥控玩具车
CN105999729A (zh) * 2016-05-06 2016-10-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控制系统、方法及装置
JP7208482B2 (ja) 2018-11-20 2023-01-19 株式会社Mixi ゲーム装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132B1 (ko) * 1998-05-13 2006-03-27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총형 콘트롤러 및 게임 장치
JP2001149650A (ja) 1999-11-29 2001-06-05 Takumi Corporation:Kk モニターゲーム及びモニターゲー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とり可能な記録媒体
US6609945B2 (en) * 2001-02-08 2003-08-26 Plexus, Inc. Radio-controlled toy blimp with infrared beam weapons for staging a gun battle
JP3791773B2 (ja) 2001-11-29 2006-06-28 コナミ株式会社 遠隔操作玩具システム、並びにその送信機及び駆動機器
JP2003257342A (ja) * 2002-03-04 2003-09-12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カラー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6330B2 (ja) 2011-01-05
KR100755586B1 (ko) 2007-09-06
EP1661609A1 (en) 2006-05-31
US7410404B2 (en) 2008-08-12
WO2005009574A1 (ja) 2005-02-03
US20060019575A1 (en) 2006-01-26
JPWO2005009574A1 (ja) 200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1773B2 (ja) 遠隔操作玩具システム、並びにその送信機及び駆動機器
US7846028B2 (en) Lazer tag advanced
CN202650010U (zh) 真人rpg游戏系统
KR100755586B1 (ko) 원격 조작 완구 시스템 및 그 구동 기기
EP2203228A1 (en) Interactive robot gaming system
Smith et al. RETALIATE: Learning winning policies in first-person shooter games
Schrum et al. Human-like combat behaviour via multiobjective neuroevolution
US11759710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game process method, and game system
EP2952235A1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game control program, matching server, matching control method, and matching control program
CN110352117A (zh) 智能比赛场地及系统、系统服务器、机器人、控制方法
US110074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olving content for computer games
US11691077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game process method, and game system
Micić et al. Developing game AI for the real‐time strategy game StarCraft
WO2004050204A1 (ja) ゲームシステム
US11731051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game process method, and game system
CN116234616A (zh) 程序、信息处理装置、方法以及系统
JP3844401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024682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5028535B1 (ja) ゲーム機、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機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10039349A (ko) 로봇축구 게임을 위한 로봇제어방법
CN117547822A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6271827A (zh) 游戏中目标对象的瞄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Mora et al. Modelling Human Expert Behaviour in an Unreal Tournamenta 2004 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