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301A -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301A
KR20060008301A KR1020057017784A KR20057017784A KR20060008301A KR 20060008301 A KR20060008301 A KR 20060008301A KR 1020057017784 A KR1020057017784 A KR 1020057017784A KR 20057017784 A KR20057017784 A KR 20057017784A KR 20060008301 A KR20060008301 A KR 2006000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mobile terminal
case
hinge means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에 와다
가즈히로 가또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6000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3), 하부 및 상부 케이스가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를 연결하는 힌지 수단(4)을 포함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1)에 관한 것이고, 상기 힌지 수단(4)은 열린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 상의 힌지 수단에 가깝게 위치한 입력키에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부 케이스(2)가 상부 케이스(3)상에 놓여지도록 위치하고 배열된다.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힌지 수단

Description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A BETTER ACCESS TO INPUT KEY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UMTS, GSM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원기리 통신 시스템용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고, 접힌 상태에서 부피가 작은 이동 단말기를 좋아하는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다.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는 입력 키가 배치된 키 패드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힌지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힌지 수단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케이스가 펴져서 열리거나 작동 상태가 되거나,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서로 접혀서 접힌 상태가 된다. 그러나, 공지된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에서는 펴지거나 작동 상태인 상부 및 하부 케이스는 동일 평면상에 뻗어있고, 힌지 수단에 가까운 하부 케이스 상의 입력 키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어렵게 한다. 대체로,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편평한 형태이고, 길이와 폭은 케이스의 깊이 또는 두께보다는 현저하게 크다. 길이 및 폭의 중간 평면,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 및 전방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을 다소 대칭적으로 각각 분리하는 평면은 서로 평행한 공지된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에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는 서로에 대하여 140도 및 180도로 뻗는다. 공지된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에서, 힌지 수단으로 정의된 접힘 축은 하부 케이스 뿐만 아니라 상부 케이스의 중간 평면으로 뻗어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180도로 펼쳐지면, 양쪽의 중간 평면은 동일 평면에 놓인다.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알려진 이러한 구조는 하부 케이스상의 입력키가, 예를 들어 캐릭터/숫자 입력키가 있는 일반적 키패드 및 힌지 수단 사이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접근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하부 케이스에서 최대로 사용가능한 키패드 또는 입력키 영역은 힌지 수단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된다. 게다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구성품의 크기 및 길이는,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그와 비슷한 것과 같이, 힌지 수단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키가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연결하는 힌지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입력 키에 사용되고 특히 입력 키를 힌지 수단에 매우 가깝게 놓는 하부 케이스의 최대영역을 허용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는 열린 또는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하고 배치된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하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위에 놓여 있어서 하부 케이스상의 힌지 수단에 가깝게 위치한 입력 키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는 상부에 놓이지 않거나 상부 케이스상에 접히지만,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그 사이각이 180도로 펼쳤을 때를 가정하여 상부 케이스의 평면 위에 평면을 배열하였다. 다시 말하면, 실제로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가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열려 있어도, 힌지 수단의 실제 구조에 근거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180도를 포함하는 위치로 열리는 것으로 가정하고, 그들이 동일 평면상에 놓여 있지 않고, 하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위의 평면에 놓여 있다. 여기에서 "상부"라는 표현은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 및 내부 디스플레이가 모두 위쪽을 향하는 통상 위치에서 상부 케이스의 안쪽 디스플레이 또는 위쪽으로부터의 평면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 상부에 위치한 하부 케이스를 허용하는 힌지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하부 케이스 상에 힌지 수단 근처에 입력 키를 매우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이러한 입력키들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 수단은 하부 케이스 내부의 부피를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해서 더 많은 기능적 부품들이 하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유리하게도, 하부 및 상부 케이스 사이의 접힘 이동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 수단의 회전축은 하부 케이스의 중간 평면에 놓여있다. 하부 케이스의 중간 평면은 여기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키패드 평면과 하부 케이스의 후평면 사이의 중간에 하부 케이스의 폭 및 길이의 평면이다. 힌지 수단은 하부 케이스의 중간 평면에 있는 하나의 단일 회전축만을 가져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는 접히거나 하부 케이스 주위로 회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힌지 수단은 상부 케이스의 디스플레이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수단과 하부 케이스를 고정 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수단은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에서 상부 케이스의 디스플레이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위쪽으로) 돌출한다. 더 유리하게도, 고정 수단 및 하부 케이스는 각각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회전 수단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뻗어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펼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접히거나 닫힌 상태에서 도1의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이동 단말기의 부품들의 분해도이다.
도4는 도3의 이동 단말기의 부품들이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용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UTMT, GSM 시스템 등과 같이 현재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클램쉘 타입은 이동 단말기(1)가 본질적으로 힌지 수단(4)으로 연결된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 한다. 하부 케이스(2)는 입력키(10, 11, 12)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입력키(12)는 대개 캐릭터/숫자 입력키이고, 입력키(10)는 선택키(11)을 포함하는 4방향 네비게이션키이다. 네비게이션키(10)는 상부 케이스(3)의 안쪽면에 있는 디스플레이(9) 상에 도시되는 메뉴 또는 아이콘을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스크롤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부 케이스(2)는 케이스 부품이고, 입력이나 작동 동안에 이동 단말기(1)가 사용자 손바닥에 있고, 상부 케이스(3)는 펼침 또는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으로부터 뻗어있다. 닫힌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스(3)는 하부 케이스(2)로 접혀있다. 하부 케이스는 입력키(10, 11, 12)에 대한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내부 쉘(2a)과 이동 단말기(1)의 접힌 상태에서 뒷면 또는 바깥면을 형성하는 바깥 쉘(2b)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스(3)는 디스플레이(9)용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내부 쉘(3a)와 이동 단말기(1)의 접힌 상태에서 뒷면 또는 바깥면을 형성하는 바깥 쉘(3a)을 포함한다. 게다가,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는 안테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같은 이동 단말기(1)의 구동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내장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는 힌지 수단(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고 접힐 수 있게 연결된다. 힌지 수단(4)은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가 열림 또는 펼침 상태가 되도록 허용하고, 열림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는 서로에 대해 대략 160도로 뻗어 있다. 접힌 상태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2)는 각각의 내부 쉘(2a, 3a)가 마주보게 접혀서, 디스플레이(9)는 키패드상에 놓여서, 여기에서 이들 요소들을 보호한 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가 열린 상태일 때 하부 케이스(3)는 상부 케이스(2) 상에 놓여서 하부케이스(3) 상에 힌지 수단(4)에 가깝게 위치한 입력키(10, 11)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힌지 수단(4)은 위치하고 배열된다. 다시 말하면, 힌지 수단(4)은 상부 케이스(3)에서 하부 케이스(2)로 부드러운 전이를 형성하지 않지만, 하부 케이스(2)의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3)의 하단부 정상 또는 상단에 놓여있는 단을 형성한다. 하부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3)가 열림 각 180도로 펼쳐지면,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2)는 상이한 평면에 놓인다. 만약, 예를 들어 내부 쉘(2a) 및 바깥 쉘(2b) 사이의 분리 평면과 내부 쉘(3a) 및 바깥 쉘(3b) 사이의 분리 평면이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의 중간 평면으로 간주되면, 각각 양 중간 평면은 펼친 상태에서 평행하지만 떨어져 있는 상이한 평면에 있다. 여기에서, 힌지 수단(4)의 회전축(R)은,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3) 사이에서 회전 또는 접힘 운동의 중심을 형성하는 축, 하부 케이스(2)의 중간 평면에 놓여 있지만, 상부 케이스(3)의 중간 평면에는 놓여 있지 않다. 실제로, 회전축(R)은 상부 케이스(3)의 중간평면으로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져 위치한다.
힌지 수단(4)의 특정 구조는 도3 및 도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3은 하부 케이스(2)의 내부 쉘(2a) 및 상부 케이스(3)의 바깥 쉘(3b)의 분해도이다. 도4는 부품들이 조립된 사시도이다.
힌지 수단(4)은 상부 케이스(3)의 바깥 쉘(3b)의 통합 부품이며 디스플레이 (9)로부터 위쪽으로 뻗거나 돌출된 고정 수단(5a, 5b)를 포함한다. 양 고정 수단(5a, 5b)은 고리와 같은 형상이고 각각 관통 구멍(8a, 8b)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2)의 내부 쉘(2a)은 그 상단부에서 각각 관통 구멍(7a, 7b)를 포함하는 고리 모양의 힌지 부재(6a, 6b)를 포함한다. 내부 쉘(2a) 및 바깥 쉘(3b)를 조립할 때, 고리 모양 부재(6a)는 고리 모양 고정 수단(5a)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고리 모양 부재(6b)는 고리 보양 고정 수단(5b) 다음에 위치한다. 원통 모양의 각 회전 수단(4a, 4b)은 관통 구멍(7a, 8a) 및 관통 구멍(7b,8b)에 삽입되고 스냅-인(snap-in) 연결로 고정된다. 각 회전 수단(4a, 4b)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두 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 수단(4a)을 관통 구멍(7a, 8a)으로 삽입할 때, 회전 수단(4a)의 일 부품은 힌지 요소(6a)에 고정(회전 불가) 연결되고, 회전 수단(4a)의 다른 부품은 고정 수단(8a)에 고정(회전 불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회전 수단(4a)의 일 부품은 힌지 부재(6b)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고, 회전 수단(4b)의 다른 부품은 고정 수단(5b)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다.
회전 수단(4, 4b)의 바깥 부품들은 대응하는 힌지 덮개(힌지 덮개(4c)는 도1 및 도2에 도시됨)에 의하여 덮어진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2)의 상단부 및 상부 케이스(3)의 하단부 사이의 공간은 더 나은 디자인을 위하여 힌지 덮개(4d, 4e, 4f)로 덮어진다.

Claims (4)

  1.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2)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3)와,
    상부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3)를 연결해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서로 접힐 수 있게 하는 힌지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수단(4)은 열림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가 상부 케이스(3) 상에 놓여서 하부 케이스 상의 힌지 수단에 가깝게 위치한 입력키로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위치하고 배치된 무선 통신 시스템용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1).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의 중간 평면에 놓여있는 하부 및 상부 케이스 사이에서 접힘 이동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 수단(4)의 회전축(R)에 특징이 있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4)은 상부 케이스(3)의 디스플레이 평면으로부터 돌출한 고정 수단(5a, 5b)과 하부 케이스를 상기 고정 수단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수단(4a, 4b)을 포함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각각 상기 회전 수단이 내부로 통하여 뻗어있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 단말기.
KR1020057017784A 2003-03-26 2004-02-26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단말기 KR20060008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06941A EP1463272A1 (en) 2003-03-26 2003-03-26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a better access to input keys
EP03006941.3 2003-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301A true KR20060008301A (ko) 2006-01-26

Family

ID=3279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784A KR20060008301A (ko) 2003-03-26 2004-02-26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87010A1 (ko)
EP (1) EP1463272A1 (ko)
KR (1) KR20060008301A (ko)
CN (1) CN1765109A (ko)
WO (1) WO2004086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9533B2 (ja) * 2004-10-28 2008-10-0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製造方法
JP2008040019A (ja) * 2006-08-03 2008-02-21 Toshiba Corp 携帯端末
JP4973221B2 (ja) * 2007-02-14 2012-07-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5395A (en) * 1986-05-29 1989-04-2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with torsionally stressed conductors routed through a hollow articulated hinge
JPH10161773A (ja) 1996-12-02 1998-06-19 Fujitsu Ltd 携帯情報処理装置
FR2758671A1 (fr) 1997-01-17 1998-07-24 Motorola Inc Telephone cellulaire repliable en trois parties
US5996178A (en) * 1997-10-15 1999-12-07 Motorola, Inc. Hinge suitable for use in a foldable device
GB2355043A (en) * 1999-10-08 2001-04-11 Nokia Mobile Phones Ltd Hinge for a mobile phone
KR100419927B1 (ko) * 2000-03-03 2004-02-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형 휴대전화기
CN100473076C (zh) * 2000-08-04 2009-03-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折叠式便携蜂窝电话
JP2002369252A (ja) 2001-06-07 2002-12-20 Sony Corp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6934568B2 (en) * 2002-03-08 2005-08-23 Motorola, Inc.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7010333B2 (en) * 2003-02-19 2006-03-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7010A1 (en) 2006-12-21
CN1765109A (zh) 2006-04-26
EP1463272A1 (en) 2004-09-29
WO2004086733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0331B1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US6768899B2 (en)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16622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EP1710987B1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JP4634443B2 (ja) 変形可能な通信装置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JP5238654B2 (ja) 携帯端末
EP1693539B1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CN101124807B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带有两个输入装置的可旋转模块
JP4629577B2 (ja) 二方向ヒンジを有する無線端末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EP1528758B1 (en) Synchronized sliding module for a splitted keyboard of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using it.
JPH06164440A (ja) 携帯用情報通信装置
KR10070335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4020957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oveable camera lens unit
KR200500404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
KR20060008301A (ko) 입력 키에 향상된 접근을 제공하는 클램쉘 타입 이동단말기
EP1429524B1 (en)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JP4525516B2 (ja) 折畳み型携帯端末
EP1484900B1 (en) Hous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692584B2 (ja) 携帯通信装置
KR20050095481A (ko) 슬라이드 및 폴더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90770B1 (ko) 게임용 휴대 단말기
JP3938929B2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