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702A -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702A
KR20060007702A KR1020040056926A KR20040056926A KR20060007702A KR 20060007702 A KR20060007702 A KR 20060007702A KR 1020040056926 A KR1020040056926 A KR 1020040056926A KR 20040056926 A KR20040056926 A KR 20040056926A KR 20060007702 A KR20060007702 A KR 2006000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ody
plug connector
receptacle
press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432B1 (ko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432B1/ko
Priority to CNB2005100051470A priority patent/CN100397722C/zh
Priority to JP2005203710A priority patent/JP2006032338A/ja
Priority to EP05015653A priority patent/EP1619761A1/en
Priority to US11/187,298 priority patent/US20060019526A1/en
Publication of KR2006000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리셉터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플러그바디와; 일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삽입부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폭방향을 따라 탄성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노출 단부영역에 상기 리셉터클과 맞물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구비한 로킹레버와; 상기 플러그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가능하게 결합되고 누름 조작 시 상기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레버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누름 조작 및 분리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작용돌기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의 누름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 단말기 13 : 리셉터클
15 : 걸림턱 43 : 플러그바디
45 : 삽입부 47 : 도피공간부
49 : 돌기가이드 51 : 로킹레버
53 : 후크 55 : 작용돌기
61 : 푸시버튼 63 : 가압돌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누름 조작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및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컴퓨터, 충전장치 및/또는 기타 부속장치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소위 리셉터클이라고 하는 소켓 커넥터가 구비되며, 이 리셉터클에는 일정 영역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하단에는 충전기 및/또는 부속장치의 플러그 커넥터(21)와 연결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13)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3)의 내부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용 핀(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플러그 커넥터(21)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21)의 삽입방향에 가로로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21)는, 일측에 리셉터클(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25)가 형성된 플러그바디(23)와, 일측은 플러그바디(23)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삽입부(25)의 양 측에 삽입부(25)의 폭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킹레버(31)와, 플러그바디(23)의 양 측에 각각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푸시버튼(35)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25)의 내부에는 리셉터클(13)의 연결용 핀(14)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삽입부(25)의 양 측 연부에는 로킹레버(31)의 일측이 각각 폭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도피공간부(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바디(23)의 일측에는 각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코드(28)가 구비되어 있다.
로킹레버(31)는 탄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일측은 플러그바디(23)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 로킹레버(31)의 타측은 플러그바디(23)의 외부로 연장되어 도피공간부(27)의 내부 배치되어 있다. 각 로킹레버(31)의 노출 단부영역에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셉터클(13)의 내부에 삽입 시 걸림턱(15)과 맞물림될 수 있도록 후크(3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로킹레버(31)의 각 중앙영역에는 후크(33)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누름 조작 가능하게 푸시버튼(35)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21)를 리셉터클(13)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러그바디(23)를 잡고 삽입부(25)를 리셉터클(13)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 때, 각 후크(33)는 리셉터클(13)의 내측 연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면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리셉터클(13)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5)과 맞물림되어 리셉터클(13) 및 삽입부(25)가 불시에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리셉터클(13)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1)를 분리하고 자 할 때는, 플러그바디(23)의 양 측에 형성된 푸시버튼(35)을 동시에 눌러 각 후크(33)가 걸림턱 (15)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 후, 삽입부(25)가 인출되도록 플러그바디(23)를 당기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는, 푸시버튼(35)을 플러그바디(23)의 양 측에 각각 배치하도록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제작 및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셉터클(13)로부터의 분리 시 플러그바디(2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 푸시버튼(35)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플러그바디(23)를 당기도록 되어 있어, 어느 일측 푸시버튼(35)이 덜 눌려진 상태에서 당기게 될 경우 분리가 원활하게 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후크(33) 및/또는 걸림턱(15)의 손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누름 조작 및 분리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리셉터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플러그바디와; 일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삽입부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폭방향을 따라 탄성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노출 단부영역에 상기 리셉터클과 맞물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구비한 로킹레버와; 상기 플러그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가능하게 결합되고 누름 조작 시 상기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레버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레버에는 상기 플러그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작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버튼에는 누름 조작 시 상기 작용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작용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작용돌기는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바디에는 상기 푸시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가압돌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작용돌기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돌기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로킹레버는 탄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용돌기는 소성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작용돌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의 누름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41)는, 휴대 단말기(10)에 형성된 리셉터클(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삽입부(45)가 형성된 플러그바디(43)와, 일측은 플러그바디(43)의 내부에 수용되고 타측은 외부로 연장되어 삽입부(45)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리셉터클(13)과의 결합시 리셉터클(13)의 걸림턱(15)과 맞물림되는 후크(53)를 구비한 로킹레버(51)와, 플러그바디(43)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버튼(6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바디(43)의 일측에는 리셉터클(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축소된 폭을 가지고 돌출된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45)의 타측에는 삽입부(45)의 내부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연결된 코드(48)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부(45)의 양 측영역에는 폭 및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축소되고 삽입부(45)의 돌출방향을 따라 연장된 도피공간부(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킹레버(51)는, 스테인레스 등의 탄성이 있는 금속부재로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플러그바디(43)의 내부 양 측 영역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로킹레버(51)의 각 타측은 플러그바디(43)의 외부에 노출되게 연장되어 각 도피공간부(47)의 내부에 삽입부(45)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탄성변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로킹레버(51)의 플러그바디(43)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에는 각 후크(53)와 나란하게 돌출된 작용돌기(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작용돌기(55)는, 각 로킹레버(51)의 두께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함몰되고 타측으로 돌출되게 프레싱 또는 펀칭 등 소성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바디(43)의 일측에는 플러그바디(43)의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푸시버튼(61)이 결합되어 있으며, 플러그바디(43)의 판면에는 푸시버튼(61)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버튼공(4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푸시버튼(61)의 일측에는 각 작용돌기(55)와 접촉되어 누름 조작시 각 작용돌기(55)가 플러그바디(43)의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각 후크(53)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바디(43)에는 가압돌기(63)의 가압시 가압돌기(63)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작용돌기(55)의 일측에 돌기가이드(4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입부(45)를 리셉터클(13)의 내부에 삽입하면 각 후크(53)는 리셉터클(13)의 양 측 내벽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면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15)과 각각 맞물리게 됨으로써 삽입부(45)가 리셉터클(13)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41)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푸시버튼(61)을 누르면 각 가압돌기(63)는 플러그바디(43)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작용돌기(55)와 접촉되어 해당 작용돌기(55)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돌기(63)의 일측은 돌기가이드(49)에 접촉되어 이동됨으로써 작용돌기(55)는 돌기가이드(4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각 후크(53)는 해당 걸림턱(15)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때, 플러그바디(43)를 인출방향으로 가압하면 삽입부(45)는 리셉터클(13)로부터 간단히 분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삽입부가 형성된 플러그바디와, 일측은 플러그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타측은 외부로 연장되어 삽입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노출 단부영역에 리셉터클과 결합시 리셉터클과 맞물림되는 후크를 구비한 로킹레버와, 플러그바디의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후크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누름 조작 및 분리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7)

  1.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리셉터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플러그바디와; 일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삽입부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폭방향을 따라 탄성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노출 단부영역에 상기 리셉터클과 맞물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구비한 로킹레버와; 상기 플러그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가능하게 결합되고 누름 조작 시 상기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로킹레버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에는 상기 플러그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작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에는 누름 조작 시 상기 작용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작용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돌기는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바디에는 상기 푸시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가압돌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작용돌기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돌기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탄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돌기는 소성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20040056926A 2004-07-21 2004-07-21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054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26A KR100548432B1 (ko) 2004-07-21 2004-07-21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CNB2005100051470A CN100397722C (zh) 2004-07-21 2005-01-28 便携式终端插头连接器
JP2005203710A JP2006032338A (ja) 2004-07-21 2005-07-12 移動通信端末機用プラグコネクタ
EP05015653A EP1619761A1 (en) 2004-07-21 2005-07-19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1/187,298 US20060019526A1 (en) 2004-07-21 2005-07-21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26A KR100548432B1 (ko) 2004-07-21 2004-07-21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702A true KR20060007702A (ko) 2006-01-26
KR100548432B1 KR100548432B1 (ko) 2006-02-02

Family

ID=3506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926A KR100548432B1 (ko) 2004-07-21 2004-07-21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19526A1 (ko)
EP (1) EP1619761A1 (ko)
JP (1) JP2006032338A (ko)
KR (1) KR100548432B1 (ko)
CN (1) CN100397722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31B1 (ko) * 2006-09-05 201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US10325733B2 (en) 2013-07-26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butt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46578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0476B2 (en) * 2008-10-29 2010-12-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solar laminate connector assembly
TWM359851U (en) * 2008-12-12 2009-06-21 Lan Accessories Co Ltd Anti-loose and fixing device for connector
US8782869B2 (en) 2011-05-17 2014-07-22 Apple Inc. Unlocking tool for male connector
US8408932B2 (en) * 2011-05-17 2013-04-02 Apple Inc.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s
WO2014091563A1 (ja) * 2012-12-11 2014-06-19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におけるコネクター類の結合・解除装置
TWI544694B (zh) * 2014-05-15 2016-08-01 Advanced Connectek Inc Plug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TWM514669U (zh) * 2015-04-30 2015-12-21 Kinnexa Inc 電連接器之結構改良(一)
CN106450936A (zh) * 2015-08-10 2017-02-22 张新强 插头易拔而不脱落装置
CN106450926A (zh) * 2015-08-10 2017-02-22 张新强 插头易拔而不脱落装置
CN108242756B (zh) * 2016-12-27 2024-02-23 天津市华之阳特种线缆有限公司 一种连接器线束加工定位指示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7307B2 (ja) * 1987-07-17 1998-08-13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
US5580182A (en) * 1995-06-07 1996-12-03 Inventec Corporation Computer peripheral engagement/disengagement mechanism
JPH09293571A (ja) * 1996-04-26 1997-11-11 Kiyousera Elco Kk Fpc/ffc用コネクタ
US6364687B1 (en) * 2000-07-18 2002-04-02 L&K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US6431901B1 (en) * 2001-09-10 2002-08-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O connector having an internal horizontal PCB
US6457987B1 (en) * 2001-09-14 2002-10-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lug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JP3635408B2 (ja) * 2002-02-28 2005-04-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31B1 (ko) * 2006-09-05 201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US10325733B2 (en) 2013-07-26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butt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46578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7722C (zh) 2008-06-25
US20060019526A1 (en) 2006-01-26
CN1725570A (zh) 2006-01-25
EP1619761A1 (en) 2006-01-25
KR100548432B1 (ko) 2006-02-02
JP2006032338A (ja)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432B1 (ko)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0795104B1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EP1188193A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JP2012505511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2017019474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062250B2 (ja) コネクタ
US7393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connector housings
JP2006260920A (ja) 電気的接続装置
JP2006134681A (ja)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JP568805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10066082A (ko) 플러그 전기 커넥터
JP2001257022A (ja) コネクタ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18641B2 (ja) コネクタおよびリテーナ
US6547577B2 (en) Card edge connector
JP3948525B2 (ja) 端子係合解除治具
KR101300008B1 (ko) 커넥터
JP2004178823A (ja)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JP7453756B2 (ja) コネクタ
JP3270638B2 (ja) 電気配線用コネクタ
KR101820141B1 (ko) 커넥터
EP1365483B1 (en) A connector
JP6839609B2 (ja) コネクタ
JP2022187615A (ja) コネクタ
JP363997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