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672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672A
KR20060007672A KR1020040056534A KR20040056534A KR20060007672A KR 20060007672 A KR20060007672 A KR 20060007672A KR 1020040056534 A KR1020040056534 A KR 1020040056534A KR 20040056534 A KR20040056534 A KR 20040056534A KR 20060007672 A KR20060007672 A KR 2006000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rint medium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262B1 (ko
Inventor
윤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62B1/ko
Priority to US11/158,098 priority patent/US7533981B2/en
Priority to CNB2005100848384A priority patent/CN100515787C/zh
Publication of KR2006000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41J11/485Means for selecting a type of copy material amongst different types of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1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recording material, e.g. plastic material, OHP, ceramics, tiles, texti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5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type, e.g. O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1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2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가 각각 빛을 조사하도록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 및 전압인가부가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에 교대로 입력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수광소자로부터 수광된 빛의 반사량에 의해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여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저가의 인쇄매체 인식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인쇄매체, 발광소자, 수광소자, 픽업속도, 구동조건, 전반사, 난반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ceiving print medi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3a 내지 도3b는 수광소자의 출력값에 따라 인쇄매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도 4에서 수광소자의 출력값과 패턴간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매체감지 센서부 110 : 제1 발광소자
120 : 제2 발광소자 130 : 수광소자
200 : 전압인가부 300: 제어부
400 : 인쇄부 500 : 인쇄매체
600 : 센서구동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수광소자와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인쇄조건을 달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 예컨데, 프린터 및 복합기 등에서는 일반적인 인쇄용지를 사용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Transparancy)하거나 반사(Glossy) 특성을 갖는 등의 다양한 인쇄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쇄매체에는 OHP 필름, 코트지(Coated paper) 등이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 등의 보급이 확대되어,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인쇄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표면이 끈끈한 특성을 갖는 인화지(Photographic paper)를 인쇄매체로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 및 화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쇄매체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인쇄조건을 설정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다양한 인쇄매체의 특성을 판단하기 위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입사각도와 동일한 각 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의 전반사 정도를 측정하는 제1 수광소자, 및 인쇄매체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의 난반사 정도를 측정하는 제2 수광소자를 포함하며, 제1 수광소자에 의한 전반사 정도와, 제2 수광소자에 의한 난반사 정도에 의해 인쇄매체의 종류를 판단한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통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이 가능하나, LED로부터 조사되어 인쇄매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광소자는 발광소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발광소자와 하나의 수광소자를 설치하여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에 의해 인쇄매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1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2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가 교대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수광소자로부터 수광된 빛의 반사량에 의해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여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가 각각 빛을 조사하도록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1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빛의 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을 제1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2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빛의 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을 제2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낮추고, 해상도를 높이도록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높이고, 해상도를 낮추도록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인쇄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조사되도록 하는 센서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2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이동시키도록 센서구동부를 제어하고, 제2 발광소자에만 입력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에 의해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발광소자는 인쇄매체의 표면과 직교하는 법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은, 제1 발광소자가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인쇄매체에 빛을 조사하면, 수광소자가 인쇄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량을 검출하는 단계, 제2 발광소자가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인쇄매체에 빛을 조사하면, 수광소자가 인쇄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량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반사량들에 의해 인쇄매체의 재질 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라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1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빛의 반사량이 상기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2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빛의 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낮추고, 해상도를 높이도록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 는,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높이고, 해상도를 낮추도록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500)의 종류를 판단하여 인쇄매체(50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인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매체감지 센서부(100), 전압인가부(200), 제어부(300), 및 인쇄부(400)를 포함한다.
매체감지 센서부(100)는 소정의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130)를 포함한다.
제1 발광소자(110)는 인쇄매체(500)와 소정의 제1 입사각도(θ1)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압인가부(200)로부터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인쇄매체(500)에 빛을 조사한다.
제2 발광소자(120)는 인쇄매체(500)와 소정의 제2 입사각도(θ2)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압인가부(200)로부터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인쇄매체(500)에 빛을 조사한다.
수광소자(130)는 제1 발광소자(110)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되며,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인쇄매체(500)에 조사되어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 는 빛을 수광하여 빛의 반사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소자(130)가 제1 발광소자(110)로부터 조사되어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됨으로써, 이하에서는 이때의 빛의 반사량을 전반사량이라 칭한다.
또한, 제2 발광소자(120)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난반사(diffused reflection)광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때의 빛의 반사량을 난반사량이라 칭한다.
전압인가부(20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가 빛을 조사하도록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한다.
제어부(300)는 전압인가부(2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에 교대로 입력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가 차례로 빛을 발광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결정하여 결정된 입력전압이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에 인가되도록 전압인가부(200)를 제어한다.
이때, 제1 발광소자(11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제1 발광소자(11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기준용지에 조사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전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1 발광소자(110)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전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으로 결정된다.
또한, 제2 발광소자(12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기준용지에 조사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난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2 발광소자(120)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난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으로 결정된다.
제어부(3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에 인가될 입력전압이 결정되면, 제1 발광소자(110) 및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측정하고자 하는 인쇄매체(500)에 조사함으로써, 수광소자(130)에 의해 전반사량 및 난반사량을 검출한다.
제어부(300)는 수광소자(130)에 의해 검출된 전반사량이 난반사량보다 큰 경우에는, 인쇄매체(500)의 표면 마찰력이 크고, 표면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이므로, 인쇄동작시 인쇄매체(500)의 픽업(pick-up)속도를 증가시키고, 잉크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인쇄조건을 조절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300)는 수광소자(130)에 의해 검출된 난반사량이 전반사량보다 큰 경우에는, 인쇄매체(500)의 표면 마찰력이 작고, 표면의 밝기가 밝은 경우이므로, 인쇄동작시 인쇄매체(500)의 픽업속도를 감소시키고, 잉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인쇄조건을 조절한다.
제어부(300)는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을 비교하여 인쇄매체(500) 표면의 특징을 판단할 수 있으며,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합산량 및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비율 등을 산출하여 인쇄매체(500)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인쇄부(4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인쇄조건이 설정되면, 인쇄조건에 의해 인쇄대상 데이터를 인쇄매체(500)에 인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제1 발광소자(110), 제2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30)를 포함하는 매체감지 센서부(100), 전압인가부(200), 제어부(300), 및 인쇄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광소자(110), 제2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30)가 인쇄매체(500)의 표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변경하여 설치된 일 예를 보인다.
제1 발광소자(110)는 소정의 제1 입사각도(θ3)로 설치되고, 제2 발광소자(120)는 인쇄매체(500)의 표면과 직교하는 법선상에 설치되며(θ4=90°), 수광소자(130)는 제1 발광소자(110)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된다(θ3).
도 2를 참조하여, 제1 발광소자(110)와 수광소자(130)가 인쇄매체(500)의 표면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므로, 제1 발광소자(110)로부터 인쇄매체(500)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빛은 전반사광이고, 제2 발광소자(120)와 수광소자(130)는 인쇄매체(500)의 표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각도로 설치되므로,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인쇄매체(500)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빛은 난반사광이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도 도 1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수광소자(130)의 출력값에 따라 인쇄매체(500)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양한 인쇄매체(A 내지 I)(500)를 적용하여 수광소자(130)의 출력값 즉, 각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량 및 난반사량, 그리고 제어부(300)에 의해 산출되는 이들의 합산량과 비율 산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쇄매체종류 수광소자의 출력값 수광소자의 출력값의 비율(%) 판단결과
전반사량 난반사량 합산량 난반사량 /전반사량 전반사량 /합산량 난반사량 /합산량
A 458 128 563 27.9 81.3 22.7 Glossy
B 416 129 520 31.0 80.0 24.8 Glossy
C 446 125 539 28.0 82.7 23.2 Glossy
D 150 123 250 82.0 60.0 49.2 Inkjet
E 157 142 270 90.4 58.1 52.6 Inkjet
F 200 124 296 62.0 67.6 41.9 Normal
G 199 124 295 62.3 67.5 42.0 Normal
H 761 63 787 8.3 96.7 8.0 Trans
I 828 70 876 8.5 94.5 8.0 Trans
표 1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3a 내지 도3b와 같다.
도 3a는 표 1의 전반사량(R1), 난반사량(R2), 및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합산량(R3)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비율(R4), 전반사량과 합산량의 비율(R5), 난반사량과 합산량의 비율(R6)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합산량이 500 내지 600 범위에 속하는 A, B, 및 C 용지는 반사특성을 갖는 용지로 판단되고, 합산량이 250 내지 270 범위에 속하는 D 및 E 용지는 잉크젯 용지로 판단되며, 합산량이 290 내지 300 범위에 속하는 F 및 G 용지는 일반용지로 판단되며, 합산량이 700 내지 900 범위에 속하는 H 및 I 용지는 투명한 용지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3a에서는 잉크젯 용지와 일반용지의 구분이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으나,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비율을 그래프화한 도 3b를 참고하면, 각 용지의 구분이 좀더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비율(R4)을 이용할 경우, A 내지 I 용지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수광소자(130)의 출력값과 패턴간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난반사량을 이용하여 인쇄매체(500)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유사한 구성을 갖으며, 여기에서는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센서구동부(600)는 매체감지 센서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광소자(110), 제2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30)가 하나로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이들을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감지 센서부(100) 내에서 제1 발광소자(110), 제2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30)의 배치 및 각도가 도 1과 동일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매체감지 센서부(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제어부(300)는 제2 발광소자(120)에만 입력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압인가부(200)를 제어하고, 매체감지 센서부(100)를 이동시키도록 센서구동부(600)를 제어한다.
매체감지 센서부(100)가 이동하면서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인쇄매체(500)의 복수의 지점에 조사된다. 이때의 인쇄매체(500)는 다수의 지점에 패턴(510)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이다.
이와 같이, 매체감지 센서부(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인쇄매체(50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소자(130)에 의해 수광한다. 이때, 수광소자(130)로부터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은 난반사량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매체(500)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발광소자(110)를 그대로 도시하였으나, 패턴 인식 기능만을 제공할 경우에는 제1 발광소자(110)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소자(130)의 출력값을 도 5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난반사량이 최저가 되었을 때의 중앙부위가 패턴의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수광소자(130)의 출력값을 통해 인쇄매체(500)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의 중심을 인식할 수 있으며, 패턴간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시험인쇄 또는 테스트 페이지 인쇄 기능에 적용하여, 칼라 및 단일색상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색상이 정확한 위치에 인쇄되는지의 여부를 결정 및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매체 인식 방법을 설명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인쇄매체(500)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전압인가부(2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110)에 입력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전압인가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결정된 입력전압을 제1 발광소자(110)에 인가한다(S700).
전압인가부(200)로부터 입력전압을 인가받은 제1 발광소자(110)는 빛을 발광하여 인쇄매체(500)에 조사한다(S710).
제1 발광소자(110)로부터 조사된 빛은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소자(130)에 의해 수광되며, 수광소자(130)에 의해 전반사량이 검출된다(S720).
이후, 제어부(300)는 제1 발광소자(11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정지시키고 제2 발광소자(120)에 입력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압인가부(200)를 제어하며, 전압인가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결정된 입력전압을 제2 발광소자(120)에 인가한다(S730).
전압인가부(200)로부터 입력전압을 인가받은 제2 발광소자(120)는 빛을 발광하여 인쇄매체(500)에 조사한다(S740).
제2 발광소자(120)로부터 조사된 빛은 인쇄매체(50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소자(130)에 의해 수광되며, 수광소자(130)에 의해 난반사량이 검출된다(S750).
제어부(300)는 수광소자(130)에 의해 검출된 전반사량과 난반사량의 크기를 비교한다(S760).
S76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전반사량이 난반사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500)의 표면 마찰력이 크고, 표면의 밝기가 어두운 재질인 것으로 판단한다(S770).
제어부(300)는 인쇄동작시 인쇄매체(500)의 픽업속도를 증가시키고, 인쇄시 사용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도록 인쇄조건을 설정한다(S780).
S76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난반사량이 전반사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매체(500)의 표면 마찰력이 작고, 표면의 밝기가 밝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한다(S790).
제어부(300)는 인쇄동작시 인쇄매체(500)의 픽업속도를 감소시키고, 인쇄시 사용되는 잉크량을 감소시키도록 인쇄조건을 설정한다.(S800).
제어부(300)에 의해 인쇄조건이 설정된 후,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인쇄대상 데이터를 설정된 인쇄조건에 의해 인쇄부(400)에 의해 인쇄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8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은 난반사량과 전반사량에 의해 인쇄매체의 재질 및 종류를 판단하고, 인쇄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인쇄조건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여 고화질의 인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의 표면 특성에 따라 픽업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지걸림 현 상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발광소자와 하나의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고가의 수광소자의 사용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인쇄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1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상기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2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가 교대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수광된 빛의 반사량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여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가 각각 빛을 조사하도록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빛의 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을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제2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빛의 반사량이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을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 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낮추고, 해상도를 높이도록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높이고, 해상도를 낮추도록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를 동시에 이동시켜 상기 제2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인쇄매체의 복수의 지점에 조사되도록 하는 센서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센서구동부를 제어하고, 제2 발광소자에만 상기 입력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소자는 상기 인쇄매체의 표면과 직교하는 법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1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상기 인쇄매체에 소정의 제2 입사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반사광의 광축상에 설치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가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인쇄매체에 빛을 조사하면,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인쇄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발광소자가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인쇄매체에 빛을 조사하면,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인쇄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반사량들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라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빛의 반사량이 상기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제2 발광소자에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빛의 반사량이 상기 기준레벨이 되었을 때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율이 작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낮추고, 해상도를 높이도록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이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조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는 빛의 반사량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쇄매체 표면의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재질이 마찰력이 작고, 잉크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속도를 높이고, 해상도를 낮추도록 상기 인쇄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방법.
KR1020040056534A 2004-07-20 2004-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KR10060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34A KR100602262B1 (ko) 2004-07-20 2004-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US11/158,098 US7533981B2 (en) 2004-07-20 2005-06-22 Image-forming apparatus and print media recognition method therefor
CNB2005100848384A CN100515787C (zh) 2004-07-20 2005-07-18 成像设备及其打印介质识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34A KR100602262B1 (ko) 2004-07-20 2004-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672A true KR20060007672A (ko) 2006-01-26
KR100602262B1 KR100602262B1 (ko) 2006-07-19

Family

ID=3565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534A KR100602262B1 (ko) 2004-07-20 2004-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3981B2 (ko)
KR (1) KR100602262B1 (ko)
CN (1) CN1005157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9305B2 (ja) * 2012-02-20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44157A (ja) * 2012-08-28 2014-03-13 Ricoh Co Ltd 光学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517936A (ja) * 2017-04-21 2020-06-18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媒体ビン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6692A (ja) 1990-08-28 1992-04-08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識別処理方法
DE59208542D1 (de) 1991-10-14 1997-07-03 Mars Inc Einrichtung zum optischen Erkennen von Dokumenten
JPH0684041A (ja) 1992-08-31 1994-03-25 Toyo Commun Equip Co Ltd 紙幣等の識別判定装置
US5764251A (en) * 1994-06-03 1998-06-0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discriminating devic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and information system
US5710589A (en) * 1996-01-11 1998-01-20 Xerox Corporation Laser diode beam intensity regul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10160687A (ja) 1996-11-29 1998-06-19 Canon Inc シート材材質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98174A (ja) 1997-01-08 1998-07-31 Hitachi Ltd 用紙種類検出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685313B2 (en) * 1997-06-30 2004-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arly transparency detection routine for inkjet printing
WO2000064677A1 (fr) 1999-04-22 2000-11-02 Copyer Co., Ltd.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
JP3839207B2 (ja) * 2000-01-14 2006-11-0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
US6378977B1 (en) * 2000-06-30 2002-04-30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printer status information
US6400912B1 (en) * 2000-09-21 2002-06-0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ection of media and setting a threshold for the detector
JP2002137440A (ja) * 2000-10-31 2002-05-1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記録装置
JP4058246B2 (ja) 2001-04-03 2008-03-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に貼着されたテープ体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4672918B2 (ja) * 2001-07-12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及び画像読取装置
JP3734247B2 (ja) * 2002-01-22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の種類の判別装置、判別方法、および記録装置
EP1347630A3 (en) * 2002-03-20 2004-11-03 Ricoh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042371A (ja) * 2002-07-10 2004-02-12 Canon Inc 記録媒体判別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記録装置
JP2004050767A (ja) 2002-07-23 2004-02-19 Canon Inc 被記録媒体識別装置、記録装置および被記録媒体識別テーブルの作成方法
JP4093850B2 (ja) * 2002-12-03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および物体種類分類装置
KR100474468B1 (ko) 2002-12-04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종류 판단장치 및 방법
JP4408025B2 (ja) * 2003-04-24 2010-02-03 株式会社リコー 位置ずれパターン検出装置、光書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複写機
WO2005016648A1 (ja) * 2003-08-15 2005-02-24 Seiko Epson Corporation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7061514B2 (en) * 2004-01-30 2006-06-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ing system
US7145588B2 (en) * 2004-02-27 2006-12-05 Eastman Kodak Company Scanning optical printhead having exposure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7796A1 (en) 2006-01-26
KR100602262B1 (ko) 2006-07-19
CN100515787C (zh) 2009-07-22
US7533981B2 (en) 2009-05-19
CN1724266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621C1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объектов
CN100355584C (zh) 边缘位置检测设备和方法
US7049620B2 (en) Media type sensing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US7800089B2 (en) Optical sensor for a printer
JP4002874B2 (ja)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0301805A (ja) 記録媒体の識別装置及び識別方法
US20070076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 medium determination
JP2000131243A (ja) 反射型光センサ
US10518563B2 (en) Conveyor belt sensors
JP3822824B2 (ja) 媒体検知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印字装置
US6713775B2 (en) Method to correct for sensitivity variation of media sensors
US6386676B1 (en) Reflective type media sensing methodology
US6497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transparent media
JPH0848438A (ja) 被記録媒体判別装置および方法、該判別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0946675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apparatus
JPH0667640B2 (ja) 熱記録装置
KR10060226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인식 방법
JP2006292746A (ja) 単一の光検出器を用いた媒体認識
CN111344151B (zh) 用于检测介质的边缘的装置、其配置方法及存储介质
US9186922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4252458A (ja) 記録材料の縁部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3254721A (ja) 印刷シートの判別装置、印刷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印刷シートの判別方法
JP748697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3826040B2 (ja) 被記録媒体の識別装置、識別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5164723B2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