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72A -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72A
KR20060005772A KR1020040054725A KR20040054725A KR20060005772A KR 20060005772 A KR20060005772 A KR 20060005772A KR 1020040054725 A KR1020040054725 A KR 1020040054725A KR 20040054725 A KR20040054725 A KR 20040054725A KR 20060005772 A KR20060005772 A KR 2006000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image
character
characters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535B1 (ko
Inventor
안재원
Original Assignee
안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원 filed Critical 안재원
Priority to KR102004005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5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04N2201/32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further additional information (metadata) being compris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의 LCD창에 나타나는 촬영된 이미지에 디지털카메라의 조정판을 이용하여 문자 및 현재 쓰이지 않는 특수한 문자를 삽입하는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문자를 입력하는 이동창을 불러와 상기 이동창에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와 문자를 합성하고 상기 문자를 훈민정음의 홑자음군과, 겹자음군과, ㅣ, ㆍ, ㅡ의 모음과 모두 이어쓰기함으로써 특수문자인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1
과 같은 글을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디자인 견본을 미리 제작해보는 효과가 있고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별도의 메모지에 쓰지 않고 직접 디지털카메라의 키조작부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문자를 작성함으로써 불편함을 해소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문자, 훈민정음, 자음, 모음, 이미지, 디지털카메라, 이어쓰기

Description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for digital camera}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문자전송 방법을 도시한 휴대폰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폰 이미지전송 방법을 도시한 휴대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디지털카메라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LCD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기능창의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기능창 메뉴중 이동창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이동창에 문자 입력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이동창의 종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문자 예시도,
도 9는 상기 도 4의 기능창 메뉴 중 이어쓰기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와 이어쓰기를 결합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 12 : 자음선택부 20, 21, 22 : 모음선택부
30, 31, 32 : 메뉴선택부 33 : 이어쓰기
40 : 이동창 50 : 설정메뉴창
60, 61, 62, 63, 64, 65, :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2
100 : 키조작부 200 : LCD 디스플레이부
300 : 전송버튼 400 : 디지털카메라 LCD 디스플레이부
500 :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 600 : 기능창
700 : 특수문자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카메라의 LCD창에 나타나는 촬영된 이미지에 디지털카메라의 조정판을 이용하여 문자 및 현재 쓰이지 않는 특수한 문자를 삽입하는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문자입력 방법 및 전송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조작부(100)를 컨트롤하여 LCD 화면(200)에 글을 입력하는 것으로 문자 입력방법은 ㅎ + l + ㆍ + ㄱ 으로 학자를 만들고 ㄱ + ㆍ+ ㆍ + ㅡ 로 교자를 만 들고 ㄱ + l + ㆍ + ㄴ 으로 간자를 만들고 ㄷ + l + ㆍ 로 다를 만들어 학교간다라는 문장을 만든 후 전송할 이동통신기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입력한 문장을 전송하는 SMS 문자 전송 방식이 있었다.
또한, 이미지 전송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에 부착되어 있는 이미지 촬영기기로 피사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타 이동통신기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문자, 이미지를 각각 전송하는 방법만 있을 뿐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를 삽입하여 간단한 메모를 기록하는 것이 없으므로 유사한 장면을 촬영할 경우 이미지 편집시 편집자가 이미지를 혼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카메라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를 삽입한 이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위에 디지털카메라의 메뉴선택부 중에서 이동을 불러와 이동창을 형성한 후 상기 이동창에 문자를 입력하여 이미지와 문자를 합성하고 또한 상기 문자는 훈민정음의 홑자음군과, 겹자음군과, ㅣ, ㆍ, ㅡ의 모음과 모두 이어쓰기되도록 하는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을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디지털카메라 사시도로 디지털카메라는 디지털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를 보는 LCD 디스플레이부(400)와 상기 LCD 디스플레이부(400)에 표현되는 이미지에 문자 삽입 및 각종 기능을 컨트롤하는 키조작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LCD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기능창 예시도로 기능창(600)은 세로방향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메뉴선택부(30, 31, 32), 모음선택부(20, 21, 22), 자음선택부(10, 11, 12)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와 함께 동작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방향키와, 선택한 것을 최소하는 취소키, 선택한 것을 입력하는 확인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뉴선택부(30, 31, 32)는 지우기, A/a, 특수문자, 이동, 속성, 글상자 모양, 이어쓰기, 등의 기능이 있으며 그 동작은 우선적으로 메뉴를 선택하면 도면번호 31에 지우기 기능, 도면번호 30에 A/a 기능, 도면번호 32에 특수문자 기능이 나타나고 디지털카메라의 키조작부(500)를 상으로 움직이면 도면번호 31은 A/a 기능, 도면번호 30은 특수문자 기능, 도면번호 32는 이동으로 변한다. 즉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메뉴의 종류(A/a, 특수문자, 이동, 속성, 글상자 모양, 이어쓰기, 등)가 원형의 띠모양처럼 돌아가면서 LCD 디스플레이부(400)에 표현되고 도면번호 30에 원하는 기능이 오면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사용하여 선택한 후 그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모음선택부(20, 21, 22)는 ㅣ, ㆍ, ㅡ 으로 구성되고 모음선택부(20, 21, 22)를 선택하면 도면번호 21에 ㅣ, 도면번호 20에 ㆍ, 도면번호 22에 ㅡ가 나타나고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화면에 ㅣ, ㆍ, ㅡ가 상기 메뉴선택부(30, 31, 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의 띠모양처럼 돌아가면서 LCD 디스플레이부(400)에 표현되고 도면번호 20에 원하는 모음이 오면 디키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사용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자음선택부(10, 11, 12)는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ㅁ/ㅂ(ㅃ), ㅅ/ㅇ(ㅆ), ㅈ/ㅊ(ㅉ), ㅍ/ㅎ 으로 구성되고 자음선택부(10, 11, 12)를 선택하면 도면번호 11에 ㄱ, 도면번호 10에 ㄴ, 도면번호 12에 ㄷ가 나타나고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화면에 자음이 상기 메뉴선택부(30, 31, 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의 띠모양처럼 돌아가면서 LCD 디스플레이부(400)에 표현되고 도면번호 10에 원하는 자음이 오면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는 것이다. 특히 ㄱ과 같은 경우는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 중에서 확인키를 한번 눌려 입력하고 ㅋ과 같은 경우는 상기 ㄱ을 선택한 후 확인키를 두 번 눌려 입력하고 ㄲ와 같은 경우는 상기 ㄱ을 선택한 후 확인키를 세 번 눌려 입력하는 것이며 ㄴ 내지 ㅍ까지 모두 상기 ㄱ과 같은 방법으로 자음을 선택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기능창 메뉴중 이동창을 도시한 예시도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가 LCD 디스플레이부(400)에 표현되면 메뉴선택부(30, 31, 32)에서 이동창(40)을 선택하면 이동창(50)이 나타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카메라 키조작부(500)과, 모음선택부(20, 21, 22) 및 자음선택부(10, 11, 12)를 이용하여 문자를 하나씩 선택하면 문자입력란(41)에 모음선택부(20, 21, 22)와 자음선택부(10, 11, 12)에서 선택한 문자가 하나씩 나타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교간다라는 문장을 모두 입력하면 키조작부(500)의 OK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창(40)에 글이 입력되는 것이다. 한편 글자가 입력된 이동창(40)은 다시 메뉴선택부(30, 31, 32)에서 이동기능을 찾아 선택함으로써 이동창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이동창의 종류 예시도로 설정매뉴는 문자를 입력하는 이동창(40)의 모양이 사각, 원형, 마름모, 리본, 하트 등의 다양한 이동창(40)을 설정하면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이동창(40)이 나타나고 상기 이동창(40) 위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문자 예시도로 종래의 글자 입력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글자만 쓰여지지만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3
과 같은 특수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4
(7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선택부의 기능중 이어쓰기(33)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작성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특수문자를 작성하기 이전에 이어쓰기 기능을 선택한 후에 ㅂ(60) + ㅜ(61) + ㅓ(62) + ㅣ(63) + ㄹ(64) + ㄱ(65)를 입력하고 다시 이어쓰기(33)를 선택하면 이어쓰기 기능이 없어지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다.
상기 이어쓰기(33)는 연속 자음쓰기와 연속 모음쓰기가 되도록 프로그램 된 것으로 초성 및 종성에 현재 쓰지 않는 자음을 연속해서 쓸 수 있고 중성은 상기 초성 다음에 이어서 쓰는 것이다. 상기 중성은 우선 ㅣ, ㆍ, ㅡ를 이용하여 모음을 만들고 만들어진 모음중에서 첫 번째 입력 모음이 ㅏ, ㅑ, ㅓ, ㅕ, ㅣ는 자음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프로그램되고 ㅗ, ㅛ, ㅜ, ㅠ, ㅡ는 자음의 아래부분에 위치하도록 프로그램되는 두 번째 입력되는 모음도 상기 방식과 동일하다. 즉, ㄴ과 ㄱ을 입력한 후 모음 ㅠ를 입력하면 ㅅ규로 입력되는 현재의 방식이 아닌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5
로 표기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와 이어쓰기를 결합한 예시도로 티셔츠와 같은 이미지를 촬영 후 상기 도 9의 이어쓰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삽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별도의 메모지에 쓰지 않고 직접 디지털카메라의 키조작부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문자를 작성함으로써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특수문자인
Figure 112004031091529-PAT00006
과 같은 글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디자인 견본을 미리 제작해보는 기능이 있으므로 디지털카메라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산업상 매우 뛰어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문자를 입력하는 이동창을 불러와 상기 이동창에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와 문자를 합성하는 디지털카메라용 문자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훈민정음의 홑자음군과, 겹자음군과, ㅣ, ㆍ, ㅡ의 모음과 모두 이어쓰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용 문자입력 방법.
KR1020040054725A 2004-07-14 2004-07-14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KR10063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25A KR100633535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25A KR100633535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72A true KR20060005772A (ko) 2006-01-18
KR100633535B1 KR100633535B1 (ko) 2006-10-16

Family

ID=3711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25A KR100633535B1 (ko) 2004-07-14 2004-07-14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59A (ja) * 2001-10-23 2003-05-09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535B1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2371A1 (en) Smartphone accessory for visually impaired or elderly users
JP4395808B2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KR100858092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JP4280314B2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
DE102018005131A1 (de) Mobiles Gerät mit Frontkamera und maximierter Bildschirmoberfläche
US1065679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JP2007312360A (ja) ディスプレイ機能を持つボタンを備えた端末機及びそ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JP2003316502A (ja) 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
EP083615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57917A1 (en) Portable digital apparatus for convenient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RU2032212C1 (ru) Способ ввода симво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эвм
KR100633535B1 (ko) 디지털카메라용 문자 입력방법
KR200205575Y1 (ko)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CN112083847A (zh) 一种文档显示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835222B1 (ko) 외국어 번역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E102012100564B4 (de) Anzeigeeinheit für eine Türstation
JP6691818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文字入力ガイド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202009006321U1 (de) Endloser Navigator
JP2000330690A (ja) 携帯情報器機の入力システム
KR101191189B1 (ko)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KR100638045B1 (ko) 한글 입력방법
KR20070073320A (ko) 이미지를 이용한 문자 프라이버시 기능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DE4225612A1 (de) Elektronische Kamera mit einer Anzeige
KR101396119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글상자를 이용하여 노트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방법
KR10060675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