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41A -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41A
KR20060005741A KR1020040054675A KR20040054675A KR20060005741A KR 20060005741 A KR20060005741 A KR 20060005741A KR 1020040054675 A KR1020040054675 A KR 1020040054675A KR 20040054675 A KR20040054675 A KR 20040054675A KR 20060005741 A KR20060005741 A KR 20060005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upler
exposure
laser beam
exposure apparatus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741A/ko
Publication of KR2006000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03F7/70083Non-homogeneous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mask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91Connection with other apparatus, e.g. multiple exposure stations, particular arrangement of exposure apparatus and pre-exposure and/or post-exposure apparatus; Shared apparatus, e.g. having shared radiation source, shared mask or workpiece stage, shared base-plate; Utilities, e.g. cable, pipe or wireless arrangements for data, power, fluids or vacu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노광장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광장비는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투과시키는 직사각형 형상의 출력 커플러와, 상기 출력 커플러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를 사용하면 출력 커플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사진공정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반도체 소자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노광장비, 출력 커플러, 동력원, 레이저 빔

Description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Output coupler of semiconductor fabricating apparatus for the exposure}
도 1은 통상적인 사진 공정에서 수행되는 공정단계들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노광장비의 개략도
도 3는 도 2의 노광장비에 사용되는 출력 커플러에 레이저 빔이 조사된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광장비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출력 커플러 및 상기 출력 커플러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노광장비 41 : 레이저 발생기
43 : 출력 커플러 45 : 모터
47 : 동력 변환기 48 : 동력원
49 : 레티클 51 : 렌즈 모듈
53 : 스테이지 55 : 웨이퍼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에 관한 것으로, 노광공정에서 사용되는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여러단계의 단위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이러한 단위공정들은 사진공정, 식각공정, 증착공정, 이온주입공정 및 확산공정 등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사진공정은 반도체 웨이퍼 상에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원하는 형태의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노광공정은 자외선과 같은 빛을 원하는 차광막 패턴이 그려진 레티클에 조사시키고 상기 레티클을 통과한 빛을 반도체 웨이퍼 상의 감광막에 조사시키는 공정이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 경향에 따라 노광공정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노광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통상 노광 장비의 정렬 정밀도 및 해상도가 문제가 된다. 또한 노광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의 특성 및 처리 시간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건을 맞추지 못하여 공정불량이 발생되는 경우도 많다.
도 1은 통상적인 사진공정에서 수행되는 공정단계들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 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피너와 스텝퍼에서 행해지는 공정단계들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순서대로 보여진다.
먼저, 스피너(spiner) 장비 부분에서, 표면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웨이퍼는 포토레지스트의 도포이전에 HMDS(Hexamethyl disilane)로 처리된다. 그리고 스피너 장비의 코터(coater)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액이 웨이퍼 표면에 도포된다. 포토레지스트가 상기 웨이퍼의 표면상부에 도포된 후에는, 상기 HMDS의 점착액과 포토레지스트액 내의 솔벤트를 제거하고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를 노광에 적합한 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웨이퍼를 핫 플레이트 등과 같은 가열 판에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소프트 베이크 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소프트 베이크 공정은 몇 개의 세부 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소프트 베이크 이후에는 상기 웨이퍼는 스텝퍼(stepper)로 이동된다. 상기 스텝퍼 장비 부분에서,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와 정해진 마스크를 서로 정렬시키고, 노광 마스크를 통해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를 광원에 노출시키는 노광을 실시한다. 그리고, 웨이퍼를 스피너 장비 부분으로 되돌려 보낸 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의 활성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노광후 가열(post exposure bake)을 실시한다. 그리고, 현상을 하여 포토레지스트에서 폴리머를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용해시켜 제거하여 노광패턴을 남긴다. 현상 이후 세정을 실시하고, 현상을 통해 얻어진 패턴을 안정화 시키는 고온의 하드 베이크를 실시한다.
이때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을 상기 자외선과 같은 빛 대신에 더욱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레이저와 같은 빔을 사용하는 노광 공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레이저 빔은 출력 커플러를 투과하고, 상기 출력 커플러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레티클을 거쳐서 반도체 웨이퍼 상에 조사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노광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발생기(1)는 원하는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 예컨대 KrF 레이저 빔 등을 발생시킨다. 상기 레이저 발생기로 발생된 레이저빔은 출력 커플러(3)를 통하여 투과되거나 반사된다. 상기 출력 커플러(3)는 통상 50㎜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레이저 빔은 2㎜의 폭 및 15㎜의 길이를 갖는 중심부에만 조사된다. 상기 출력 커플러(3)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원하는 레티클(9)을 통과한다. 상기 레티클(9)을 통과한 레이저 빔은 적절한 축소비율을 갖는 렌즈 모듈(11)을 통하여 스테이지(13) 상에 로딩된 반도체 웨이퍼(15)에 조사된다.
도 3는 도 2의 노광장비에 사용되는 출력 커플러에 레이저 빔이 조사된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은 출력 커플러(3)의 소정영역(D)에만 집중적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커플러(3)의 중심 부분(D)은 일반적으로 3 내지 5개월 동안 사용한 후에 심한 손상이 가해져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노광공정을 실시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출력 커플러의 소정영역, 즉 중심부분에 손상이 가해져 일정횟수의 노광공정을 실시한 후에는 출력 커플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커플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노광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노광장비는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투과시키는 직사각형 형상의 출력 커플러와, 상기 출력 커플러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원은 회전운동을 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변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의 설명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예를 들어 도시되고 한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광장비(40)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출력 커플러 및 상기 출력 커플러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 발생기(41)는 원하는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킨다. 상기 레이저 발생기로 발생된 레이저빔은 출력 커플러(43)를 통하여 투과되거나 반사된다. 상기 출력 커플러(43)의 중심부분 이외의 영역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 커플러(43)를 수평 이동시키는 동력원(48)이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출력 커플러(43)는, 출력 커플러(43)에 연결된 동력원(48)이 출력 커플러(43)를 이동시키는 수평방향으로의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가로의 길이가 70에서 80㎜ 정도이며 세로의 길이는 40에서 50mm 정도가 적당하다. 이는 출력 커플러(43)를 수평 이동시키는 동력원(48)에 의하여 출력 커플러(43)가 수평 이동되더라도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영역의 넓이가 줄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원 형상의 출력 커플러를 직사각형의 출력 커플러로 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원(48)은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45)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변환기(47)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45)는 제1 구동축(S1)을 회전시키고, 상기 동력 변환기(47)는 상기 제 1 구동축(S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어 제 2 구동축(S2)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구동축(S2)은 상기 출력 커플러(43)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 커플러(43)를 수평방향, 즉 " A" 방향 또는 "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커플러(43)의 중심부분 역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초기의 출력 커플러(43c)가 장시간 사용되면, 그 중심부(D0)에 손상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초기의 출력 커플러(43c)를 도 4 및 도 5의 좌측방향, 즉 " A" 방향 또는 " 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초기의 출력 커플러(43c)는 " 43a" 또는 " 43b" 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그 손상부위는 " D1" 또는 " D2" 로 표시한 부분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은 좌측으로 이동된 출력 커플러(43a)의 우측부 또는 우측 으로 이동된 출력 커플러(43b)의 좌측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은 상기 출력 커플러의 손상되지 않은 부분을 투과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 커플러(4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적어도 3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 커플러(43)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원하는 레티클(49)을 통과한다. 상기 레티클(49)을 통과한 레이저 빔은 적절한 축소비율을 갖는 렌즈 모듈(51)을 통하여 스테이지(53) 상에 로딩된 반도체 웨이퍼(55)에 조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출력 커플러(43)의 수평이동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 출력 커플러(43)의 사용횟수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적어도 5배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노광 장비의 출력 커플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노광 장비의 출력 커플러를 사용하면 출력 커플러의 수명을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적어도 3배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진공정의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반도체 소자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제조를 위한 노광장비에 있어서;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투과시키는 직사각형 형상의 출력 커플러와;
    상기 출력 커플러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회전운동을 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플러를 투과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지 위에는 반도체 웨이퍼가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동력원이 출력 커플러를 이동시키는 수평방향으로의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직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비.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플러는 가로의 길이가 70mm와 80㎜사이이고 세로의 길이가 40mm와 50mm사이인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비.
KR1020040054675A 2004-07-14 2004-07-14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KR20060005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75A KR20060005741A (ko) 2004-07-14 2004-07-14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75A KR20060005741A (ko) 2004-07-14 2004-07-14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41A true KR20060005741A (ko) 2006-01-18

Family

ID=371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75A KR20060005741A (ko) 2004-07-14 2004-07-14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7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287B1 (ko) 패터닝된 필름의 임계 치수를 시프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330798B1 (en) Maskless photolithographic system in cooperative working mode for cross-scale structure
JPS6265326A (ja) 露光装置
KR20190007032A (ko) 광 작용제의 사용에 의한 임계 치수 제어
US20090092934A1 (en) Gray-tone lithography using optical diffusers
TW200424798A (en) Embedded etch stop for phase shift masks and planar phase shift masks to reduce topography induced and wave guide effects
TW2005252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ation beam characteristics for microlithographic processing
JP4674105B2 (ja) 回路パターン転写装置及び方法
JP3599648B2 (ja) 照明装置、投影露光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製造方法
US20060134559A1 (en) Method for forming patterns o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515369B1 (ko) 전기장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을 형성하는노광장치 및 그 방법
TWI359335B (en) Lithographic processing cell and device manufactur
US11994804B2 (en) Lithography apparatus, patterning system, and method of patterning a layered structure
JP2004235574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デバイスの作製方法
JP2007095859A (ja) リソグラフィ方法
KR20060005741A (ko)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비의 출력 커플러
KR19980057579A (ko) 반도체 노광 장치
JP3676947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装備、これを利用した半導体素子の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半導体素子製造用フォトレジスト
JPH109272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走査型投影露光装置
KR100515368B1 (ko) 쉬프트 패터닝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을형성하는 노광장치 및 그 방법
KR100677985B1 (ko)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치
JP5226284B2 (ja) リソグラフィ装置および方法
KR100649005B1 (ko)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치
KR20030006232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노광장비
JP2008160083A (ja) リソグラフィ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