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816A -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816A
KR20060004816A KR1020040053019A KR20040053019A KR20060004816A KR 20060004816 A KR20060004816 A KR 20060004816A KR 1020040053019 A KR1020040053019 A KR 1020040053019A KR 20040053019 A KR20040053019 A KR 20040053019A KR 20060004816 A KR20060004816 A KR 20060004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user terminal
lock
driv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816A/ko
Publication of KR2006000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가 화면보호기 모드 또는 절전모드일 때 인쇄작업을 멈추거나 배지트레이를 잠그도록 하고, 일반인쇄시 또는 기밀문서의 인쇄시 자동으로 배지트레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며, 프린터가 휴지모드일 때 배지트레이를 잠그도록 한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배지트레이를 잠그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퇴근한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기밀문서의 인쇄시 배지트레이의 잠금장치를 잠그지 아니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배지트레이가 잠기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밀문서가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인쇄시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잠금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프린터, 사용자 단말기, 기밀문서, 배지트레이, 잠금장치

Description

프린팅 시스템{PRINT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과정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상세한 구성블럭도,
도 4는 도 2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블럭도,
도 5는 도 4의 프린터 드라이버의 상세한 구성블럭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성블럭도,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과정을 보인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성블럭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프린터 180 : 배지트레이
200 : 사용자 단말기 250 : 프린터 드라이버
251 : 단말기 모니터링부 253, 353, 453 : 드라이버 메모리
255, 355, 455 : 드라이버 제어부 257, 357, 457 : 인쇄데이터 변환부
351 : 기밀문서 판단부 451 : 프린터 모니터링부
본 발명은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밀문서의 인쇄시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배지트레이가 잠기도록 함으로써, 기밀문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회사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회사내의 각 사용자 단말기는 LAN이나 WAN 등을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사내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는 기작성된 문서나 도면 등의 기밀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도난, 유출, 분실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밀 데이터의 네트워크를 통한 도난, 유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이렇게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업무가 진행되고, 작성된 문서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프린터로 출력하는 업무환경에서는, 완벽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 자체의 보안,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네트워크의 보안, 문서 출력상의 보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 자체의 보안방법으로는,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서 ID확인,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 라이터(Writer)에서의 복사 권한통제, FX 케이블을 통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제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보안방법으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서에 따라 쓰기, 읽기 등의 권한을 지정하여 권한이 없는 사람이 문서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KMS, EDMS 등이 있다.
네트워크 상의 보안방법으로는, 네트워크 상으로 접근하는 해커와 크랙커의 접근을 통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파이어월 등을 설치하는 것이고, 출력문서의 보안방법으로는, 출력된 데이터에 대한 책임 소재를 출력된 문서에 명기함으로써 내부 데이터를 보호하고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서를 인쇄하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22)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면, 문서의 중요도에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기내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프린트 명령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문서는 프린터 드라이버(23)를 거쳐 프린터 제어용 언어로 변환된 다음 스풀러(24)(SPOOLER)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다시 포트 모니터(25)(PORT MONITOR)를 거쳐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프린터(20)로 전송된다. 그러면, 프린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가 인쇄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문서의 출력시 정당한 출력자가 출력을 하는지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정당한 출력자가 출력한 경우라도 출력된 인쇄물을 누가 출력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인쇄물을 수령하더라도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쇄물에 대한 보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이렇게 출력된 인쇄물에 대해 보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우려하여 출력과정에서 기밀문서의 보안을 위한 몇 가지 솔루션이 개발되었다. 그 중 하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해 각종 기밀문서를 특정 사용자에 게 유효 기간 등을 정해 암호화된 파일로 배포함으로써, 암호를 모르거나 유효 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기밀문서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정보의 변조나 불법열람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워드 프로세서나 파워포인트 등의 다양한 문서를 PDF 파일로 자동 변환하여 문서의 변조를 방지하고, 불법 열람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과, 문서를 암호화해서 사용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만 문서의 내용을 열람하게 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밀문서의 출력과정에서의 보안 솔루션들은 주로 문서를 암호화하고 사용자 권한에 따라 암호화된 기밀문서의 취급에 대해 제한을 두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밀문서의 출력과정에서의 보안 솔루션을 이용하는 경우, 문서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솔루션의 구입 및 유지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암호화 솔루션을 유지 관리가 어려움으로 인해 별도의 관리 인력을 필요로 하는 등 비용과 인력상의 소모가 많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출력문서를 위한 보안 솔루션은 출력된 문서의 유출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보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사용권한이 있는 자가 인쇄를 하더라도 인쇄된 상태에서 프린터의 배지트레이에 방치해 놓을 경우, 권한이 없는 자가 기밀문서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가 인쇄할 인쇄물이 기밀문서인 경우, 별도의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인쇄명령을 전달하더라도 프린터에서는 바로 인쇄작업을 시행하지 아니하고 일단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렇게 메모리에 인쇄데이터가 저장된 상 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프린터가 있는 장소까지 이동하여 별도의 암호를 입력하는 등, 출력을 위한 소정의 행위를 했을 경우에만 메모리에 저장된 문서를 인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인쇄시마다 일일이 프린터까지 이동하여 인쇄의 시작을 위한 조작을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인쇄물이 인쇄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특히 다량의 인쇄물을 인쇄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프린터 앞에서 기다려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기출원된 국내 특허출원 제2002-0062376호는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 및 프린터의 인쇄물 보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린터에 기밀문서가 인쇄되었을 경우 배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를 마련하고, 사용자가 미리 드라이버의 옵션을 통해 기밀문서임을 설정해 놓은 경우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로 기밀문서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는 미리 설정된 잠금해제방법을 이용하여 기밀문서를 인쇄한 사람만이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술한 선행출원은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로 기밀문서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인쇄시 드라이버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깜박 잊고 드라이버 옵션을 설정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기밀문서를 인쇄할 경우, 잠금장치가 없는 배지트레이로 기밀문서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바로 인쇄물을 수령하지 아니할 경우 타인이 인쇄물을 가져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사용자가 드라이버 옵션에서 항상 인쇄시에는 기밀문서로 취급하여 인쇄하도록 설정해 놓은 경우, 기밀문서가 아닌 문서까지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잠금해제 작업 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밀문서의 출력시나 소정의 조건을 갖춘 경우에만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에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서의 인쇄시 드라이버에 설정된 대로 일률적으로 잠금장치가 없는 배지트레이나 잠금장치가 있는 배지트레이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밀문서의 출력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잠금장치를 갖는 배지트레이에 인쇄물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기밀문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프린터 드라이버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서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인쇄물을 수용하며, 소정의 조건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배지트레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 중 적어도 일측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지트레이를 자동으로 잠그는 잠금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말기 모니터링부와; 상기 프린터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와 절전모드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프린터의 인쇄를 종료시키는 멈춤모드와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잠금모드 중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하나를 실행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버는, 인쇄할 문서내에 미리 약속한 특정 위치에 기밀문서임을 나타내는 특정 단어나 표시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기밀문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 제어부는 상기 기밀문서 판단부에 의해 기밀문서임이 판명되면,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버, 상기 프린터의 펌웨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프린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프린터 모니터링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여 휴지모드에 돌입한 경우,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상세한 구성블럭도이고, 도 4는 도 2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블럭도이다.
본 프린팅 시스템은, 기밀문서를 인쇄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 용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지트레이의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하는 프린터(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거의 모든 형태의 통신망을 말하며, 예를 들면,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LAN), 원거리 통신망(WAN), 같거나 유사한 종류의 LAN이 브리지(bridge)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 통신망, 다른 종류의 LAN들이 게이트웨이(gateway)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 통신망,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망 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100)는 입력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인쇄부(140), 급지트레이(170), 배지트레이(18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프린터(100)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를 통해 기능 설정 이외에도 보안장치가 구비된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어부(160)간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저장부(130)는 프린터(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ROM(132)과 RAM(134)으로 구성된다. ROM(132)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프린터(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 및 프린터(100)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된다. RAM(134)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 및 프린터(100)의 동작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인쇄부(140)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프린터(100)에는 인쇄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트레이(170) 또는 급지가이드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100)의 일측에는 인쇄부(140)에 의해 인쇄된 인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의 전방에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인쇄물을 적재하기 위한 배지트레이(18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지트레이(180)에는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잠금장치가 잠금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이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여 배지트레이(180)에 적재된 인쇄물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금 및 해지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으며, 크게 전자식 방법과 기계식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기계식 방법의 경우,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자물쇠와 열쇠를 사용하는 방법, 고유의 번호를 갖는 잠금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자식 방법의 경우,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고유의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지문인식, 홍체인식, 음성인식, 정맥인식 등의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 인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각 부를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도록 각 부품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인쇄데이터를 출력한 인쇄물을 배지트레이(180)에 배출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구비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프린터의 펌웨어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배지트레이(180)를 잠금 및 잠금해제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문서의 작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210), 응용 프로그램(210)에서 작성된 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0), 응용 프로그램(210)에서 작성된 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250) 및 스풀러(260), 프린터(100)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프린터(100)의 작동상태를 감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하는 프린터모니터(2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210), 프린터 드라이버(250), 스풀러(260), 프린터모니터(2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2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문서 작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210)으로는, 아래한글, 마이크로프로세서 워드, 훈민정음과 같은 워드 프로세서, 회계 등의 계산을 위한 엑셀, 그림 제작을 위한 포토샵, HTML문서를 작성하거나 소스를 보기위한 노트패드 등이 있다.
한편, 프린터 드라이버(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100)에서 해석가능한 프린터 언어(Printer Language ; 이하 '프린터 제어용 언어'라 함)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린터 제어용 언어는 출력될 문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가 프린터(100)로 보내는 명령어들로서, 이러한 명령어들은 글꼴의 크기, 그래픽, 프린터(100)로 보내지는 데이터의 압축, 색상 등을 관리한다. 프린터 제어용 언어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포스트스크립트와 PCL이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250)에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는, 스풀러(260)에 일시적으로 보관되며, 스풀러(260)에 저장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린터(100)로 제공하여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린터 드라이버(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모니터링부(251), 드라이버 메모리(253), 인쇄 데이터 변환부(257), 드라이버 제어부(255)를 갖는다.
단말기 모니터링부(251)는, 사용자 단말기의 작업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특히,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일반 작업 중인지 화면보호기 모드인지 절전모드인지를 파악하여 드라이버 제어부(255)로 모니터링 결과를 전달한다.
드라이버 메모리(253)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설정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문서를 인쇄할 경우 단말기 모니터링부(251)에서 파악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에 따라 인쇄작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인쇄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 모니터링부(251)에서 파악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이거나 절전모드인 경우, 인쇄를 정지하도록 하는 멈춤모드와, 배지트레이(180)를 잠그는 잠금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 메모리(253)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모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인쇄데이터 변환부(257)는,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제어용 언어로 변환시킨다.
드라이버 제어부(255)는, 프린터 드라이버(2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단말기 모니터링부(251)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에 따라 드라이버 메모리(253)에 저장된 인쇄모드로 인쇄작업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인쇄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S610), 단말기 모니터링부(25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드라이버 제어부(255)로 제공한다(S620). 드라이버 제어부(255)에서는 단말기 모니터링부(251)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나 절전모드에 돌입하면, 이전에 인쇄작업이 한번이라도 실행된 적이 있거나 현재 인쇄작업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한다(S630, S640). 이러한 판단 결과 인쇄작업이 한번이라도 실행된 적이 있거나 현재 인쇄작업이 실행중인 경우, 드라이버 메모리(253)에 저장된 인쇄모드에 대한 정보를 인출한다. 이 때, 드라이버 메모리(253)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이거나 절전모드일 때, 인쇄모드가 멈춤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드라이버 제어부(255)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인쇄작업을 종료하도록 한다(S650, S660). 반면, 드라이버 메모리(253)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이거나 절전모드일 때, 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드라이버 제어부(255)는 배지트레이(180)를 잠그게 된다(S655, S665).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에 따른 인쇄모드의 변경시, 드라이버 제어부(25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쇄작업이 실행 중이거나, 사용자 단말기(200) 에 전원을 인가한 후 인쇄작업이 한번이라도 실행되었던 경우에만 단말기 모니터링부(251)에서 모니터링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쇄모드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인쇄된 인쇄물이 배지트레이(180)에 있는 경우나, 대용량의 인쇄작업 중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게 될 경우 타인이 인쇄물을 수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인쇄작업이 한번도 실행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인쇄를 멈추거나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는 일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리를 비워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나 절전모드로 돌입하게 되면, 진행중인 인쇄작업을 중단시키거나 배지트레이(180)를 잠금으로써,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동안에도 사용자가 인쇄한 기밀문서가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성블럭도이다.
제2실시예의 프린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며, 제2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프린터 드라이버(35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메모리(353), 인쇄 데이터 변환부(357), 기밀문서 판단부(351), 드라이버 제어부(355)를 갖는다.
기밀문서 판단부(351)는 인쇄 데이터 변환부(357)에 의해 문서를 프린터 제 어용 언어로 변환시키면, 인쇄데이터의 소정 위치에 기밀문서임을 나타내는 특정 단어 또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 위치라 함은 인쇄할 페이지의 상하좌우 또는 네 모서리 영역 등의 영역과, 워터마크 등을 이용하여 문서의 본문 부분에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배경 영역 등을 말한다. 이러한 소정 위치에 기밀문서를 나타내는 특정 단어, 예를 들면, '기밀문서', '기밀', '대외비', '부장급(직위) 이상' 등 미리 약속한 단어가 포함되거나, 미리 약속한 특정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인쇄 데이터 변환부(357)는 드라이버 제어부(355)로 기밀문서임을 나타내는 단어나 표시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린다.
드라이버 메모리(353)에는, 기밀문서 인쇄시에 적용되는 기밀인쇄모드에 대한 정보와, 기밀문서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모든 인쇄물의 인쇄시 적용되는 일반인쇄모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기밀인쇄모드로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하는 잠금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설정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반인쇄모드로서 잠금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기밀문서가 아닌 경우에도 인쇄중이나 인쇄후에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드라이버 제어부(355)는, 문서의 인쇄시 기밀문서 판단부(351)로부터 기밀문서임이 판단되면, 드라이버 메모리(353)로부터 기밀문서 인쇄시의 인쇄모드에 대한 정보를 인출하여 설정된 인쇄모드에 따라 인쇄작업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인쇄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인쇄명령이 발생되면, 프린터 드라이버의 인쇄데이터 변환부(357)에서는 인쇄데이터를 프린터 제어용 언어로 변환한다(S810). 그러면, 드라이버 제어부(355)에서는 먼저 드라이버 메모리(353)에 저장된 일반인쇄모드를 체크하여 일반인쇄모드가 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820). 일반인쇄모드가 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드라이버 제어부(355)는 인쇄가 완료된 이후, 또는 인쇄중에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게 된다(S850).
만약, 일반인쇄모드가 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드라이버 제어부(355)는 기밀문서 판단부(351)로부터 인쇄데이터가 기밀문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기밀문서 판단부(351)에서는 변환된 인쇄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기밀문서임을 나타내는 특정 단어나 특정 기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인쇄데이터가 기밀문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30).
드라이버 제어부(355)에서는 인쇄할 인쇄데이터가 기밀문서임로 판단되면, 드라이버 메모리(353)로부터 기밀문서를 인쇄할 때의 인쇄모드에 대한 정보를 인출한다. 이 때, 사용자가 기밀문서의 인쇄시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는 잠금모드로 설정한 경우, 드라이버 제어부(355)는 인쇄 중 또는 인쇄완료후에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게 된다(S850).
이와 같이, 인쇄시 기밀문서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또는 기밀문서인 경우에는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의 인쇄시 일일이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밀문서가 타인에 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성블럭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450)는, 프린터 모니터링부(451), 드라이버 메모리(453), 인쇄데이터 변환부(457), 드라이버 제어부(455)를 갖는다.
프린터 모니터링부(451)는, 프린터의 상태를 감시하며, 특히 프린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아니하여 휴지모드에 돌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휴지모드는 일정 시간 이상 프린터가 사용되지 아니하였을 때 돌입하도록 설정되며, 이 경우 사용자가 퇴근이나 장시간 자리비움으로 인해 인쇄물을 미처 수거하지 못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타인이 인쇄물을 취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지모드인 경우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하는 잠금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는 드라이버 메모리(453)에 저장된다.
드라이버 제어부(455)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 프린터 모니터링부(451)로부터 지속적으로 프린터의 상태를 제공받으며, 제공된 프린터의 상태가 휴지모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잠금모드에 따라 배지트레이(180)를 잠그게 된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제어부(455)는 인쇄작업이 한번이라도 실행되었던 경우에만 배지트레이(180)를 잠그 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제3실시예에서는 프린터 모니터링부(451)를 프린터 드라이버(450)에 설치하였으나, 프린터의 펌웨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린터모니터나 RCP에 프린터 모니터링부(451)를 마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트레이(180)를 잠글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프린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아니한 휴지모드시, 프린터의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금으로써, 사용자가 기밀문서를 인쇄하고 퇴근하거나 장시간 자리를 비웠을 때, 타인이 기밀문서를 수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화면보호기 모드 또는 절전모드일 때 인쇄작업을 멈추거나 배지트레이(180)를 잠그도록 하고 있고, 제2실시예에서는 일반인쇄시 또는 기밀문서의 인쇄시 자동으로 배지트레이(180)를 잠글 수 있도록 하며, 제3실시예에서는 프린터가 휴지모드일 때 배지트레이(180)를 잠그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가 잠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의 종류에 따라, ID 및 패스워드 입력, 지문, 홍체, 음성, 정맥 입력을 통해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배지트레이(180)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쇄시마다 일일이 배지트레이(180)를 잠그도록 명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퇴근한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기밀문서의 인쇄시 배지트레이(180)의 잠금장치를 잠그지 아니한 경우에도 기밀문서가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라이버에 한 번 인쇄모드를 설정하는 작업만으로 잠금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인쇄시마다 일일이 잠금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에게 기밀문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배지트레이가 잠기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 수준에서 변경가능한 모든 형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프린터 드라이버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서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인쇄물을 수용하며,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배지트레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 중 적어도 일측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지트레이를 자동으로 잠그는 잠금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말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프린터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가 화면보호기 모드와 절전모드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프린터의 인쇄를 종료시키는 멈춤모드와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잠금모드 중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하나를 실행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인쇄할 문서내에 미리 약속한 특정 위치에 기밀문서임을 나타내는 특정 단어나 표시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기밀문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 제어부는 상기 기밀문서 판단부에 의해 기밀문서임이 판명되면,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상기 프린터의 펌웨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프린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프린터 모니터링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여 휴지모드에 돌입한 경우, 상기 배지트레이를 잠그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KR1020040053019A 2004-07-08 2004-07-08 프린팅 시스템 KR20060004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19A KR20060004816A (ko) 2004-07-08 2004-07-08 프린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19A KR20060004816A (ko) 2004-07-08 2004-07-08 프린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16A true KR20060004816A (ko) 2006-01-16

Family

ID=3711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19A KR20060004816A (ko) 2004-07-08 2004-07-08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33B1 (ko) * 2006-06-23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사용 잠금을 이용한 인쇄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WO2018131761A1 (ko) * 2017-01-13 2018-07-1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33B1 (ko) * 2006-06-23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사용 잠금을 이용한 인쇄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WO2018131761A1 (ko) * 2017-01-13 2018-07-1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10089098A (zh) * 2017-01-13 2019-08-02 惠普打印机韩国有限公司 执行屏幕保护的图像形成设备和控制执行屏幕保护的图像形成设备的方法
US10659644B2 (en) 2017-01-13 2020-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a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a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550B2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853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ed print processing
KR20050078462A (ko) 보안 인쇄 시스템 및 보안 인쇄 방법
US7839515B2 (en) Secured printing system
KR100859790B1 (ko) 인쇄 시스템,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20040125402A1 (en) Document printing program, document protecting program, document protecting system, document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out a document based on security policy
JP4811591B2 (ja) 認証印刷方法、認証印刷システム
JP50314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115494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7055022A (ja) 印刷装置
JP4242847B2 (ja) スクリーンセーバ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282301B2 (ja) アクセス制御サーバ、電子データ発行ワークフロー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20100027798A (ko)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시스템의 보안인쇄방법
JP200720857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30086596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JP4719420B2 (ja) アクセス許可付与方法、アクセス許可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633487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セキュリティ印刷システム
KR20060004816A (ko) 프린팅 시스템
JP2008040912A (ja) 認証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送受信システム、装置、送受信方法、送受信用プログラム
JP2006236028A (ja) 画像出力装置、ホスト装置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4344784B2 (ja) セキュア・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及びセキュア・ネットワーク印刷プログラム
KR20080030815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보안인쇄방법
JP2008262563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31918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7304722A (ja) Spキー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プリ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