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111A -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111A
KR20060004111A KR1020040053103A KR20040053103A KR20060004111A KR 20060004111 A KR20060004111 A KR 20060004111A KR 1020040053103 A KR1020040053103 A KR 1020040053103A KR 20040053103 A KR20040053103 A KR 20040053103A KR 20060004111 A KR20060004111 A KR 2006000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unit
license plat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592B1 (ko
Inventor
안종균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코디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디콤(주) filed Critical 코디콤(주)
Priority to KR102004005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5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차량의 과속 및 주정차 여부를 검지하도록 도로면에 레이저광을 주사하며 차량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레이저부, 레이저부의 인식이나 무단 주정차시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서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토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레이저부, 촬영부 및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가지는 지역제어부가 있는 현장시스템; 및 현장시스템을 통한 수득데이타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집 처리하여 촬영영상과 함께 벌과금을 통보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장시스템은 불법주정차 지역을 동영상 촬영하는 제 1 과정, 제 1 과정에서 움직이는 물체 및 차종을 기 설정모델과 비교하여 식별하는 제 2 과정, 차량진입시 분 간격으로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제 3 과정, 및
설정시간(5분)이 경과하면 주정차 위반으로 판단하고 초기 진입 영상부터 각 분당 영상을 모아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과정을 수행하고; 메인서버는 5분 경과 영상으로 번호판을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판으로 차적을 조회하며, 조회차량의 데이타를 기초로 불법주정차 위반고지서를 작성하는 단속방법을 제공한다.
주정차단속,인터넷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Unmaned regulating system for illegal parking by internet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 은 일반적인 영상전송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영상전송시스템의 다른 구성도,
도 3 은 영상전송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영상전송시스템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영상시스템의 요부 구성도,
도 6 은 현장시스템의 차량 확인을 수행하는 플로우차트,
도 7 은 현장시스템의 차량 형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 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차량의 모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레이저부의 차량에 대한 작용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전체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현장시스템 110;레이저부 111;발광부 111-1;드라이버 112;수광부 112-1;수신기 113;거리추출부 114;레이저제어부 120;촬영부 121;촬영렌즈 122;시시디카메라 130;회전부 140;음성부 141;음성출력부 142;마이크 150;지역제어부 151;영상처 리부 151-1;프레임구분기 151-2;프레임처리부 151-3;후레시부 152;프로세서 200;메인서-버 210;데이타서버 220;차적조회망 230;경찰청 데이타서버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속을 위한 각 지역마다 레이저부 및 촬영부를 세트로 하고 촬영영상을 통하여 차종과 주정차 위반인지를 현지에서 판단하는 현장시스템을 설치하고 각 현장시스템을 통한 판단영상을 기초로 메인서버에서는 번호 등의 차적을 조회하여 통지를 함으로써 불법 주정차를 무인 상태로 24시간 단속 가능토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영상은 전송부 일체형 카메라에 내장한 랜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 망과 접속시키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전송토록 이루어진다. 이는 도 1 과 같이 예시할 수 있는바, 카메라(1)를 일체로 가지는 전송부(2)에 인터넷망(4)과 접속을 가능토록 하는 랜카드(3)를 설치한다. 인터넷망(4)은 사용자가 인터넷 환경을 구비한 컴퓨터(5)를 통하여 수신하여 영상을 저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유선 방식이어서 설치비가 많이 들고, 영상의 전송이 일 방향이어서 영상을 편집하거나 검색할 때 사용자의 불편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디브이알(DVR; Digital Video Recorder)을 이용한 영상 저장 과 양방향 제어를 가능토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도 2 와 같이 수 개의 카메라(1)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내장한 저장 순서대로 저장하는 디브이알(6)과, 디브이알(6)에 내장된 랜카드(3)와, 랜카드(3)를 통한 인터넷망(4)과의 접속으로 디브이알(6)과 양 방향으로 전송하는 컴퓨터(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옥외의 비밀스런 공간에 설치하고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감시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은 있으나, 역시 유선으로 설치하는 방식이어서 장애물이 있을 경우 선로를 돌아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가 많이 들고, 선로의 복잡성과 선로 보안의 취약점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3에서, 국지 지역의 각 카메라(1)의 영상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디브이알(6)과, 디브이알(6)에 내장된 네트웍 통신용 무선 랜카드(7)와, 랜카드(7)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전송장치(8)와, 무선전송장치(8)와 사용자의 컴퓨터(5)와 인터넷 접속을 가능토록 하는 인터넷망(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설치 지역의 영상을 서버 기능의 컴퓨터(5)를 통하여 확인하고 별도의 라인을 통하여 지시를 하거나 벌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취하지만, 불법 주정차 등을 차량마다 일일이 확인하여 고지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설사 일부 지역에 촬영카메라와 스피커가 있다하여도 메인서버에서 이를 감시자가 확인하다가 경고를 하거나 수동으로 촬영하여 단속을 하는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어 단속을 위하여는 항상 감시자가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불법 주정차시 주정차의 진행시간을 일정 간격마다 확인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차종과 번호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위반 고지서를 발급 가능토록 하는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촬영을 하되 일정시간 마다 촬영하여 불법 주정차 여부를 확인하고, 앞차에 가리워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어려우면, 이전 영상 중에서 번호판을 인식토록 하여 위반차량의 조회확율을 높여, 완벽한 주정차 위반차량의 단속을 가능토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일정 지역마다 현장시스템을 구비하고, 각 현장시스템의 영상은 메인서버로 보내 메인서버에서 번호와 차적을 인식하여 주정차 위반을 단속토록 하며,
현장시스템은 과속 및 주정차 인식을 위한 레이저부와, 현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현지의 소리를 듣거나 출력하는 음성부와, 이들을 제어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메인서버와 연결하도록 하는 지역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원발명은 차량의 과속 및 주정차 여부를 검지하도록 도로면에 레이저광을 주사하며 차량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레이저부,
레이저부의 인식이나 무단 주정차시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서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토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레이저부, 촬영부 및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가지 는 지역제어부; 및
지역제어부를 통한 수득데이타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집 처리하여 촬영영상과 함께 벌과금을 통보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한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장시스템을 통한 영상취득과, 이를 받아 확인하고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이용한 단속방법으로,
현장시스템은 불법주정차 지역을 동영상 촬영하는 제 1 과정,
제 1 과정에서 움직이는 물체 및 차종을 기 설정모델과 비교하여 식별하는 제 2 과정,
차량진입시 분 간격으로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제 3 과정, 및
설정시간(5분)이 경과하면 주정차 위반으로 판단하고 초기 진입 영상부터 각 분당 영상을 모아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과정을 수행하고;
메인서버는 5분 경과 영상으로 번호판을 인식하는 과정,
인식된 번호판으로 차적을 조회하는 과정; 및
조회차량의 데이타를 기초로 불법주정차 위반고지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불법주정차 단속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원발명의 블럭 구성예시도로, 차량의 고속 및 주정차 단속을 위한 해당지역에 설치하여 주정차 위반차량의 영상을 인터넷 등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메인서버(200)로 보내는 현장시스템(100)과, 각 현장시스템(100)을 통한 영상데이타 를 수집처리하여 촬영영상과 함께 벌과금을 통보 처리하도록 차종과 차적을 인식한 후 고지서를 보내는 메인서버(200)로 이루어지며;
현장시스템(100)은 차량의 과속 및 주정차 여부를 검지하도록 도로면에 레이저광을 발광부(111)를 통하여 주사하며 차량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부(112)에서 인식하는 레이저부(110),
레이저부(110)의 인식이나 무단 주정차시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120),
촬영부(120)의 촬영 영상에서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토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51), 및
상기 레이저부(110), 촬영부(120) 및 영상처리부(151)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152)를 가지는 지역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메인서버(200)는 건교부 차적조회망(220)과 경찰정데이타서버(230) 및 자체 데이타서버(210)를 가진다.
상기 촬영부(120)는 촬영렌즈를 일정각도로 기울이거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토록 하는 회전부(130)위에 안치된다. 물론 회전부(130)는 영상처리부(151)와 프로세서(152)의 지령에 따라 이동및 회전을 지령 받는다.
상기 지역제어부(150)는 프로세서(152)에 의하여 작동하는 영상처리부(151)와 앰프(153)를 구동시키고, 앰프(153)는 음성부(140)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음성부(140)는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141)와, 현지의 소리를 듣고 앰프(153)로 증폭신호를 보내는 마이크(142)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발명을 이루는 현장시스템(100)의 요부 구성도로, 레이저부(110)와, 촬영부(120)와, 영상처리부(151)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레이저부(110)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11)와, 발광부(11)가 발광하도록 레이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111-1)와, 물체로부터 수신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12)와, 수광부(112)를 통한 빛을 받아 증폭하는 수신기(112-1)와, 발광부(111)의 드라이버(111-1)를 구동하고 수신기(112-1)를 통한 수신 신호를 받아 거리등을 추출하는 거리추출부(113)와, 거리추출부(113)를 통한 추출 자료(거리 데이타)를 받아 영상처리부(51)로 보내는 레이저제어부(114)로 이루어진다.
촬영부(120)는 촬영렌즈(121)와, 촬영렌즈를 통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시시디카메라(122)로 이루어진다. 시시디카메라(122)를 통한 영상은 프레임구분기(151-1)에서 프레임으로 구분하여 프레임처리부(151-2)로 영상을 보낸다. 필요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후레시부(151-3)를 가진다. 프레임구분기(151-1) 및 후레시부(151-3)의 작동은 프레임처리부(151-1)에서 트리거 펄스(T1, T2)를 인가하여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 프레임처리부(151-2)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부(151)는 속도, 영상 및 일시 등의 데이타를 일련의 포맷 데이타표준(예를 들어 H.323이나, MPEG2, MPEG4)화 하여 프로세서(152)로 보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현장시스템(100)에서 수행하는 플로우차트로, 촬영부(120)를 통한 촬영영상이 영상처리부(151)로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Q1).
입력영상이 있으면, 에지를 추출하여 그림자 및 조명에 비친 부분 등을 제거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Q2).
노이즈를 제거한 영상을 기초로 수평 및 수직 에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형태를 파악한다(Q3).
파악한 차량의 형태를 기초로 기 저장된 차종과 비교하여 차종을 파악하여 메인서버로 보낸다(Q4).
도 7 은 도 6 의 과정(Q3)에서 차량의 일단(T1)을 통해 수평에지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과정(Q31),
차량의 다른 수평에지인 다른단(T2)을 검출하는지 확인하는 과정(Q32),
차량의 양단으로 간주하고 검출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형태를 확인하는 과정(Q33),
상기 양단(T1,T2)을 통과하는 시간을 기초로 속도를 파악하는 과정(Q34)을 수행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과정(Q4)에서 확인한 차종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레이저부(110)를 통한 빛의 발광을 차에 적용하여 주정차 유무를 파악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현장시스템을 통한 영상취득과, 이를 받아 확인하고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이용한 단속방법을 나타낸 본 발명의 주정차 단속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
현장시스템은 불법주정차 지역을 동영상 촬영하는 제 1 과정(S1),
제 1 과정에서 움직이는 물체 및 차종을 기 설정모델과 비교하여 식별하는 제 2 과정(S2),
차량진입시 분 간격으로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제 3 과정(S3), 및
설정시간(5분)이 경과하면 주정차 위반으로 판단하고 초기 진입 영상부터 각 분당 영상을 모아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과정(S4)을 수행하고;
메인서버는 5분 경과 영상으로 번호판을 인식하는 과정(S11),
인식된 번호판으로 차적을 조회하는 과정(S12); 및
조회차량의 데이타를 기초로 불법주정차 위반고지서를 작성하는 과정(S13)을 수행한다. 상기 번호판을 인식하는 과정(S11)은 최종 영상에서 차종과 번호판을 확인하는 과정(S11-1); 번호판 앞을 다른 차가 가려 인식이 어려울 때 분간 촬영영상을 불러오는 과정(S11-2); 샘플링영상에서 번호판을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는 과정(S11-3)을 수행을 순차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 발명은 각 감시 지역마다 지지봉(예를 들어 전신주나 높은 건물)에 설치하고, 이를 편리상 도 4 에서는 현장시스템으로 나타낸다.
현장시스템(100)에서는 레이저부(110)의 발광부(111)를 통하여 레이저를 발산시키고, 발산된 레이저는 차량을 통하여 반사되어 수광부(112)로 수신된다. 수광부(112)로 수신된 빛은 수신기(112-1)를 지나 거리추출부(113)로 보내어진다. 거리 추출의 원리는 차량의 일단(T1)에서 다른 단(T2)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파악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차량의 과속단속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다만 본원발명은 촬영부(120)와 연계하여 프레임구분기(151-1)를 통하여 구분한 프레임 영상을 프레임 처리부(151-2)로 보내어 처리한다. 이 경우 촬영영상을 위하여 프레임 처리부(151-2)는 또한 후레시를 작동토록 후레시부(151-3)를 연계하여 야간 에도 정확한 영상을 촬영토록 기능 한다. 상기에서 레이저부(111)는 또한 속도 검출 외에 차량의 에지를 검출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바, 이는 정확한 영상의 획득에 촬영부 영상과 상호 보완으로 완벽한 영상을 얻도록 하는 본 발명의 특징 부분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은 영상처리부(151)에서, 촬영부(120)를 통한 영상과, 레이저부(110)를 통한 빛의 신호를 더하여 차량의 에지 부분을 추출한다(Q1,Q2). 이어 차량의 수평 및 수직 에지를 추출한다(Q3). 추출한 에지를 기초로 차량의 모델을 산출하여 메인서버(200)로 보낸다(Q4).물론 메인서버(200)로 보내는 과정은 지역제어부(150)의 프로세서(152)의 제어에 따라 랜카드(7)를 통하여 무선전송장치(8)를 거처 인터넷망(4)을 통하여 보내어지는 일반적인 인터넷 과정을 통하여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인터넷을 수행가능한 다른 유무선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인식한 차량은 도 8 과 같이 기 정정된 차량의 데이타를 기초로 확인토록 하면 좋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주정차 단속에 유리하게 사용 가능한바. 레이저부(111)를 활용한 차량의 에지를 집중 파악하여 기존의 촬영영상과 함께 분석하여 차량의 그림자나 라이트 등의 노이즈를 제거한 상태로 정확한 차종을 파악하여 단속의 에러를 획기적으로 줄이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는 가능하면 삼차원 거리 데이타를 초당 3미터(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의 속도로 전송하여 차량의 진입이나 주차가 금지된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 등을 파악하도록 한다. 여기서 파악한다는 의미는 레이저부(110)와 촬영부(120)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한다는 의미이다.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 본 발명은 도 4 와 같은 해당 지역에 설치한 현장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레이저부(111)와 촬영부(120)를 통한 차종확인과 주정차 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시작한다. 이는 1-2분 이내에 가는 경우인지 적어도 5분 이상을 주정차하는 것인지를 초기부터 파악하여야 단속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시스템(100)을 이루는 프로세서(152)는 영상처리부(151)를 통하여 레이저부(111) 및 촬영부(120)의 작동을 지령한다. 그러면 촬영을 시작한다(S1).
촬영한 영상 중에서 움직이는 물체와 차량이 있는지를 파악한다(S2). 이 경우 움직이는 물체를 파악하는 것은 차량이 움직이는 것인지, 사람이 움직이는 것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도둑 등과 같이 담을 넘는 경우나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거나, 무단 방뇨 등도 설정에 따라서는 파악 가능하다.
파악한 영상이 차량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52)는 기존대로 주정차 구역의 촬영을 계속 수행하면서 대상 차량의 정차시간을 계수하기 시작한다(S31). 계수 하면서 각 분(설정시간)마다 당시의 영상을 구분하여 저장한다(S32). 이를 반복하면서 설정한 시간(예를 들어 5분)이 지나는지를 확인하여(S33) 주정차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3)을 수행한다.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프로세서(152)자체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인식한다), 경과에 따른 영상을 촬영하고, 기 분당의 촬영영상과 초기 진입시의 영상을 세트로 하여 프로세서(152)는 랜카드(7)를 통하여 넷스팟 등의 무선전송장치(8)로 보내고, 무선전송장치(8)는 인터넷망(4)을 통하여 메인서버(200)로 보낸다(S4)(물론 전용선이나 다른 인터넷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서버(200)는 설정시간(5분) 경과영상을 기초로 번호판을 구분하여 인식토록 한다(번호판을 인식하는 원리는 레이저부(111)를 통한 에지 파악과 촬영부(120)를 통한 촬영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전후면에 붙은 번호판 부분을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문자를 파악하여 정확한 차량의 번호를 파악한다(S11).
파악한 차량의 번호를 통하여 메인서버(2000는 차적조회망(2200을 연계하여 차량의 소유자 및 주소 등을 파악한다(S12). 파악한 차적을 근거로 불법 주정차 위반 고지서를 작성한다(S13). 이 경우 무적차량이거나 도난 차량이면, 경찰청 데이타 서버(230)에 자료를 통보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레이저부와 촬영부를 통하여 차량을 파악하므로, 과속 단속은 물론 주정차 위반 차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현장시스템에서 불법 주정차 차량이 진입하는지 부터 파악하는데, 이는 차량의 앞에 장애물이 있거나 할 경우에도 차량의 번호를 확인 가능토록 하여 단속의 효율을 증진시킨다.
또한 본원 발명은 주정차 위반 여부를 분당으로 확인토록 하여 설정시간(예를 들어 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번호를 확인하여 단속하므로, 본 발명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공정하고 정확한 단속을 지속적으로 년중 가능토록하여, 도로의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데 기여하고, 불법 주정차 에 따른 세수의 확보에도 기여한다.
물론 일반 주차단속원의 자료를 받아 메인서버에서 처리할 수도 있으므로 현장시스템이 완비될 때 까지는 기존의 단속 요원의 단속 데이타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4)

  1. 차량의 과속 및 주정차 단속을 위해 해당지역에 설치하여 주정차 위반차량의 영상을 인터넷 등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메인서버(200)로 보내는 현장시스템(100)과, 각 현장시스템(100)을 통한 영상데이타를 수집 처리하여 촬영영상과 함께 벌과금을 통보 처리하도록 차종과 차적을 인식한 후 고지서를 보내는 메인서버(200)로 이루어지며;
    현장시스템(100)은 차량의 과속 및 주정차 여부를 검지하도록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도로 면에 레이저광을 주사하며 차량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레이저부(110),
    레이저부(110)의 인식이나 무단 주정차시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120),
    촬영부(120)의 촬영 영상에서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토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51),및
    상기 레이저부(110), 촬영부(120) 및 영상처리부(151)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152)를 가지는 지역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서버(200)는 건교부 차적조회망(220)과 경찰정데이타서버(230)를 통하여 차적을 확인하여 통보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3. 현장시스템을 통한 영상취득과, 이를 받아 확인하고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이용한 단속방법으로,
    현장시스템은 불법주정차 지역을 동영상 촬영하는 제 1 과정(S1),
    제 1 과정에서 움직이는 물체 및 차종을 기 설정모델과 비교하여 식별하는 제 2 과정(S2),
    차량진입시 분 간격으로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제 3 과정(S3), 및
    설정시간(5분)이 경과하면 주정차 위반으로 판단하고 초기 진입 영상부터 각 분당 영상을 모아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과정(S4)을 수행하고;
    메인서버는 5분 경과 영상으로 번호판을 인식하는 과정(S11),
    인식된 번호판으로 차적을 조회하는 과정(S12); 및
    조회차량의 데이타를 기초로 불법주정차 위반고지서를 작성하는 과정(S13)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불법주정차 단속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을 인식하는 과정(S11)은 최종 영상에서 차종과 번호판을 확인하는 과정;
    번호판 앞을 다른 차가 가려 인식이 어려울 때 분간 촬영영상을 불러오는 과정;
    샘플링영상에서 번호판을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불법주정차 단속방법.
KR1020040053103A 2004-07-08 2004-07-08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KR10062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103A KR100626592B1 (ko) 2004-07-08 2004-07-08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103A KR100626592B1 (ko) 2004-07-08 2004-07-08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111A true KR20060004111A (ko) 2006-01-12
KR100626592B1 KR100626592B1 (ko) 2006-09-25

Family

ID=3711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103A KR100626592B1 (ko) 2004-07-08 2004-07-08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5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57B1 (ko) * 2007-01-17 2007-12-18 주식회사 진성아이엔티 고정된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방법
WO2007148870A1 (en) * 2006-06-21 2007-12-27 Lux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tect overspeed vehicle
KR100825679B1 (ko) * 2007-08-28 2008-04-29 (주)아이엔아이 불법 주정차 자동 단속 장치
KR100954457B1 (ko) * 2009-01-06 2010-04-27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단속 오류 발생 가능성을 감소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0776B1 (ko) * 2013-03-22 2013-11-26 렉스젠(주)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870A1 (en) * 2006-06-21 2007-12-27 Lux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tect overspeed vehicle
KR100812765B1 (ko) * 2006-06-21 2008-03-12 럭스테크 주식회사 과속 차량 단속 장치
KR100785757B1 (ko) * 2007-01-17 2007-12-18 주식회사 진성아이엔티 고정된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방법
KR100825679B1 (ko) * 2007-08-28 2008-04-29 (주)아이엔아이 불법 주정차 자동 단속 장치
KR100954457B1 (ko) * 2009-01-06 2010-04-27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단속 오류 발생 가능성을 감소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0776B1 (ko) * 2013-03-22 2013-11-26 렉스젠(주)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592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5976B (zh) 路侧平行停车信息管理系统及方法
CN101533557B (zh) 交通信息检测方法和交通信息检测装置
KR100973930B1 (ko) 감시카메라, 전광판 및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무인단속 시스템
CN109300471A (zh) 融合声音采集识别的场区智能视频监控方法、装置及系统
EP1993279A2 (en) Modulated light trigger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cameras
US202003866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impact on vehicle based on acoustic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CN108765975B (zh) 路侧垂直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KR100677910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03730009A (zh) 一种无车牌车辆检测方法及系统
KR100822426B1 (ko) 방범용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7666A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0974116B1 (ko) 번호인식이 되지 않는 불법주정차 차량의 단속, 방범, 과속단속 시스템 및 단속서버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16994B1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62659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KR20060116757A (ko)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CN112950988B (zh) 具有存证功能的停车管理系统
CN212724329U (zh) 覆盖双向车道的违法鸣笛和违法改装车抓拍系统
CN111508082A (zh) 一种停车信息采集方法、装置、中心平台及存储介质
KR20160038943A (ko)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레이저 센서들을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70485B1 (ko) 카메라 사각지역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227288B1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KR200470949Y1 (ko)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KR20060025407A (ko)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0969303B1 (ko) 메디안 필터 기반 다기능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