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670A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670A
KR20060002670A KR1020040051807A KR20040051807A KR20060002670A KR 20060002670 A KR20060002670 A KR 20060002670A KR 1020040051807 A KR1020040051807 A KR 1020040051807A KR 20040051807 A KR20040051807 A KR 20040051807A KR 20060002670 A KR20060002670 A KR 2006000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main chamber
roller
developing roll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용
백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2670A/ko
Publication of KR2006000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토너를 저장하는 메인챔버와,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와 나란하게 메인챔버의 전방에 설치되며 메인챔버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현상롤러로부터 이탈된 토너가 저장되는 회수챔버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회수챔버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토너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달리 회수챔버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의 후방에 있는 토너와 섞이게 함으로써 토너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게 된다. 또한 회수챔버 내벽에 적재된 토너를 우회해서 메인챔버에 공급함으로써 메인챔버쪽 프레임 및 토너방지막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이송부중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이송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2...메인챔버
114...교반기 116...토너층 규제부재
120...현상롤러 125...감광체
130...공급롤러 133...실 브라케트(seal bracket)
134...실 필름(seal film) 140...가이드부재
142...토너방지막 C.....토너이동경로
150...제1이송부 151...회수챔버
155...베벨기어 160...제2이송부
165...베벨기어 170...이송공
180...토너이송부 190...결합부
D,E,F...토너이송방향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류 토너 회수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는 소정 패턴의 노광에 의해 목적하는 형상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갖는다.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분말상의 토너에 의해 토너화상으로 현상되고, 이 토너화상은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기록매체에 전사(transfer)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챔버(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토너가 수 용되어 있다. 교반기(14)는 메인챔버(12)의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롤러(30) 및/또는 현상롤러(20) 쪽으로 이송시킨다. 공급롤러(30)는 현상롤러(20)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토너를 현상롤러(20)에 부착시킨다. 공급롤러(30)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롤러(20)와 접촉시에는 현상롤러(20) 표면의 잔류토너를 클리닝하며, 접촉 직전에는 클리닝된 현상롤러(20)의 표면에 토너를 압착시켜서 현상롤러(20)의 표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가이드부재(40)는 공급롤러(30)의 하부에 배치되어, 교반기(14)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공급롤러(30)로 안내한다.
현상롤러(20)는 하우징(10)의 전단에 설치되며, 공급롤러(3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25)로 공급한다. 현상롤러(2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25)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20)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25)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감광체(25)는 현상롤러(20)와 접촉 또는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롤러(미도시)는 감광체(25)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감광체(25)에 대전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노광부(미도시)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감광체(25)로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층 규제부재(16)는 일단이 현상롤러(20)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현상롤러(20)에 과도하게 부착된 토너를 털어낸다.
회수챔버(51)는 가이드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너층 규제부재(16)에 의해 현상롤러(20)로부터 이탈된 토너와, 공급롤러(30)로부터 현상롤러(20)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토너이동경로(A)로 이송된 토너가 축적된다. 회수롤러(50)는 회수챔버(5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수챔버(51)에 축적된 잔류 토너를 교반기(14)가 마련된 메인챔버(12) 쪽으로 돌려보낸다. 즉, 회수챔버(51)에 적재된 토너는 회수롤러(50)에 의해서 회수토너이동경로(B)를 통해서 메인챔버(12)로 회수된다.
토너방지막(42)은 가이드부재(40) 하부의 회수챔버(51)와 메인챔버(12) 사이에 설치된다. 토너방지막(42)은 그 일단이 가이드부재(4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챔버(12)의 내벽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 토너방지막(42)은 교반기(14)에 의해 메인챔버(12)로부터 가이드부재(40) 상부로 공급되는 토너가 회수챔버(51)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너방지막(42)은 소정 두께의 탄성 필름, 예컨대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브라케트(seal bracket)(33)는 하우징(10)의 전단 상부에 설치되어 현상롤러(20) 및 공급롤러(30)를 커버하며 토너의 외부유출을 방지한다. 실 필름(seal film)(34)은 실 브라케트(33)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상롤러(20) 및 공급롤러(30) 사이의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 미도시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된다. 전사롤러는 감광체(25)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감광체(25)와 전사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매체로 옮겨진다. 정착부는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기록매체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는 가열롤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기록매체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디컬부는 정착부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컬(curl)이 발생된 기록매체의 컬(curl)을 제거한다. 배출롤러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를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배출롤러에서 배지된 기록매체는 적재부에 적재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감광체(25)는 대전롤러(미도시)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부(미도시)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25)에 조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메인챔버(12) 내에 있는 토너는 교반기(agitator, 14)에 의해 가이드부재(40)로 이송된다.
가이드부재(40)로 이송된 토너는 공급롤러(30)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 현상롤러(2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2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16)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20)와 토너층 규제부재(16)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2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체(25)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며, 감광체(25)에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공급롤러(30)로부터 현상롤러(20)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잔류토너와 토너층 규제부재(16)에 의해 현상롤러(2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토너가 토너이동경로(A)를 통해 회수챔버(51)에 쌓인다. 회수챔버(51)에 쌓여있는 토너는 회수부재(50)의 회동에 의해 회수토너이동경로(B)를 따라 메인챔버(12) 쪽으로 돌려보내진다. 회수부재(50)가 회수챔버(51)의 하측 내벽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회수챔버(51)의 내벽에 쌓인 토너를 메인챔버(12)로 회수하게 된다.
한편, 기록매체는 픽업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인출된다. 기록매체는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인입되어, 감광체(25)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미도시)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전사롤러(미도시)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체(25)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25)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된다. 디컬부(미도시)는 정착부(미도시)를 통과시 컬(curl)이 발생된 기록매체에서 컬(curl)을 제거한다. 디컬부를 통과한 기록매체는 배출롤러(미도시)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롤러에서 배지된 기록매체는 적재부(미도시)에 적재된다.
일반적으로 잔류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로 회수롤러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홈이 있는 회수롤러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회수장치로 회수롤러를 사용할 경우 기구적인 특성으로 인해 회수챔버 내벽에 있는 잔류토너를 제대로 회수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 환경 조건에 따라 회수챔버 내벽에 적재된 토너가 고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회수롤러는 회수챔버에 적재된 토너를 메인챔버로 넘겨주는 기능 밖에 하지 못하므로, 토너 스트레스에 의한 급격한 화상 농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몰드(mold)물인 회수롤러에 버(burr)가 있을 경우에는 토너방지막과의 간섭으로 토너방지막이 떨어질 위험이 존재하며, 메인챔버쪽 프레임과의 간섭으로 소음을 발생시킨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원활한 토너의 회수가 곤란해지고, 토너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외첨제 이탈로 화상 농도 불균일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후의 잔류 토너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메인챔버의 뒤쪽으로 이송할 수 있는 회수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너를 저장하는 메인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나란하게 상기 메인챔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이탈된 상기 토너가 저장되는 회수챔버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토너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토너이송부는, 상기 회수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와 소정의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토너를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너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토너가 상기 메인챔버로 이송되도록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에 마련되는 이송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부는 오거(Aug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부는 오거(Aug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토너이송부를 보이고, 도 4는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보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메인챔버(112)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토너를 저장하고 있다. 교반기(114)는 메인챔버(112)의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롤러(130) 및/또는 현상롤러(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공급롤러(130)는 현상롤러(120)와 나란하게 메인챔버(112)의 전방에 설치되어 메인챔버(112)내의 토너를 현상롤러(120)로 공급한다. 공급롤러(130)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롤 러(120)와 접촉시에는 현상롤러(120) 표면의 잔류토너를 클리닝하며, 접촉 직전에는 클리닝된 현상롤러(120)의 표면에 토너를 압착시켜서 현상롤러(120)의 표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가이드부재(140)는 공급롤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교반기(114)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공급롤러(130)로 안내한다.
현상롤러(12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롤러(13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25)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롤러(12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25)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0)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25)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현상롤러(120)는 알루미늄(Al) 코어를 샌드 블러스트(sand blust) 처리를 하여 니켈(Ni) 코팅(coating)한 현상롤러를 사용하였다. 스테인레스강 축(SUS shaft)에 고무를 입혀서 약 1.0 mm 두께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광체(125)는 현상롤러(120)와 접촉 또는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롤러(미도시)는 감광체(125)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감광체(125)에 대전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노광부(미도시)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감광체(125)로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부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을 채용한다. 토너층 규제부재(116)는 일단이 현상롤러(120)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하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현상롤러(120)에 과도하게 부착된 토너를 털어낸다. 회수챔버(151)는 가이드부재(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너 층 규제부재(116)에 의해 현상롤러(120)로부터 이탈된 토너와, 공급롤러(130)로부터 현상롤러(120)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토너이동경로(C)로 이송된 토너가 저장된다.
토너이송부(180)는 회수챔버(151)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112)의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즉, 토너이송부(180)는 메인챔버(112)의 전방에 설치된 공급롤러(130)에 대향되는 측으로 토너를 이송시킨다. 토너이송부(180)는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부(150)는 회수챔버(151) 내에 설치되어 회수챔버(151) 내의 토너를 공급롤러(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2이송부(160)는 제1이송부(150)와 소정의 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이송부(150)에 의해 이송된 토너를 메인챔버(112)의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제2이송부(160)는 제1이송부(150)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부(150)는 오거(Auger)를 이용하여 오거가 내벽에 접촉하여 회전되면서 토너를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부(160)는 오거(Auger)를 이용하여 오거가 회전되면서 토너를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부(150)는 제2이송부(160)와 결합되는 일단에 토너의 이송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해 베벨기어(15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부(160)는 제1이송부(150)와 결합되는 일단에 제1이송부(150)로부터 이송된 토너를 메인챔버(112)의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베벨기어(1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160)는 각각 베벨기어(155,165)를 구비하며, 베벨기어(155,165)가 치합하여 연동되는 결합부(1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에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치합, 연동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헬리컬기어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챔버(112)의 후방에는 제2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 토너가 메인챔버(112)로 이송되도록 이송공(17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이송부(180)에 의해 이송된 토너는 이송공(170)을 통해 메인챔버(112)로 공급된다.
토너방지막(142)은 가이드부재(140) 하부의 회수챔버(151)와 메인챔버(112) 사이에 설치된다. 토너방지막(142)은 그 일단이 가이드부재(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챔버(112)의 내벽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 토너방지막(142)은 교반기(114)에 의해 메인챔버(112)로부터 가이드부재(140) 상부로 공급되는 토너가 회수챔버(151)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너방지막(142)은 소정 두께의 탄성 필름, 예컨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브라케트(seal bracket, 133)는 하우징(100)의 전단 상부에 설치되어 현상롤러(120) 및 공급롤러(130)를 커버하며 토너의 외부유출을 방지한다. 실 필름(seal film, 134)은 실 브라케트(133)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상롤러(120) 및 공급롤러(130) 사이의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 미도시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된다. 전사롤러는 감광체(125)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감광체(125)와 전사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매체로 옮겨진다. 정착부는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기록매체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는 가열롤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기록매체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디컬부는 정착부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컬(curl)이 발생된 기록매체의 컬(curl)을 제거한다. 배출롤러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를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배출롤러에서 배지된 기록매체는 적재부에 적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감광체(125)는 대전롤러(미도시)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부(미도시)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25)에 조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메인챔버(112) 내에 있는 토너는 교반기(agitator, 114)에 의해 가이드부재(140)로 이송된다. 이때 토너방지막(142)은 토너가 회수챔버(151)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재(140)로 이송된 토너는 공급롤러(130)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 현상롤러(12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2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116)에 의하여 균일한 두 께로 박층화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120)와 토너층 규제부재(116)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12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체(125)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며, 감광체(125)에는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공급롤러(130)로부터 현상롤러(120)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잔류토너와 토너층 규제부재(116)에 의해 현상롤러(12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토너가 토너이동경로(C)를 통해 회수챔버(151)에 쌓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이송부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수챔버(151)에 쌓여있는 토너는 오거를 갖춘 제1이송부(150)가 회전되면서 공급롤러(130)와 나란한 방향(D방향)으로 이송된다. 토너는 결합부(190)를 거쳐 제2이송부(160)로 이송되며, 역시 오거를 갖춘 제2이송부(160)가 회전되면서 E방향으로 토너를 이송시킨다. E방향을 따라 메인챔버(112)의 후방으로 이송된 토너는 이송공(170)을 통해 F방향으로 메인챔버(112)에 공급된다.
한편, 기록매체는 픽업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인출된다. 기록매체는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인입되어, 감광체(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미도시)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전사롤러(미도시)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체(125)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125)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 닝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된다. 디컬부(미도시)는 정착부(미도시)를 통과시 컬(curl)이 발생된 기록매체에서 컬(curl)을 제거한다. 디컬부를 통과한 기록매체는 배출롤러(미도시)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롤러에서 배지된 기록매체는 적재부(미도시)에 적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회수챔버(151)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112)의 후방으로 이송시키고, 이렇게 이송된 토너는 메인챔버(112)에 저장된 토너와 섞이게 됨으로서 토너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회수챔버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를 우회하여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달리 회수챔버 내의 토너를 메인챔버의 후방에 있는 토너와 섞이게 함으로써 토너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게 된다. 회수챔버 내벽에 적재된 토너를 우회해서 메인챔버에 공급함으로써 메인챔버쪽 프레임 및 토너방지막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챔버 내벽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오거(Auger)를 이용하여 회수챔버 내벽에 적재된 토너가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너를 저장하는 메인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나란하게 상기 메인챔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이탈된 상기 토너가 저장되는 회수챔버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토너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이송부는,
    상기 회수챔버 내의 상기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와 소정의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토너를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토너가 상기 메인챔버로 이송되도록 상기 메인챔버의 후방에 마련되는 이송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오거(Auger)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오거(Auger)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51807A 2004-07-03 2004-07-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002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807A KR20060002670A (ko) 2004-07-03 2004-07-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807A KR20060002670A (ko) 2004-07-03 2004-07-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670A true KR20060002670A (ko) 2006-01-09

Family

ID=3710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807A KR20060002670A (ko) 2004-07-03 2004-07-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26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097A (ja) * 2014-11-28 2016-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097A (ja) * 2014-11-28 2016-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7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nsing an amount of material in a toner cartridge
JP4601641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53410A (ja) 画像形成装置
US7221880B2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the same
KR20080073477A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US7099617B2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dopting the same
US7068968B2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dopting the same
US7729654B2 (en) 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61429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3736116B2 (ja) 画像記録装置
KR20060002670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846831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6119549A (ja) トナー搬送スクリューと該このトナー搬送スクリュー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0656556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conveying member for stably conveying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85165B2 (en) Toner scattering suppr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44803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128525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736731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WO2022080182A1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クリーニング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H0922278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1498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2080181A1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クリーニング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928845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H04343376A (ja) 現像装置
JP2004101671A (ja) 現像装置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ブッシュ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