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788A -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788A
KR20060001788A KR1020040082938A KR20040082938A KR20060001788A KR 20060001788 A KR20060001788 A KR 20060001788A KR 1020040082938 A KR1020040082938 A KR 1020040082938A KR 20040082938 A KR20040082938 A KR 20040082938A KR 20060001788 A KR20060001788 A KR 2006000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top
stop game
termin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디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디소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0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 고스톱(GO-STOP) 게임을 진행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 상기 고스톱 게임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대응하는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가 상기 고스톱 게임을 시작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에게 화투패를 분배하는 단계; (c)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는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스톱 게임, TV, 리모컨, 셋톱박스, 디지털 TV,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O-STOP Game Service by Using Televis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화투패가 놓여지는 배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에서 상대편이 소지한 화투패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세 가지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V 단말기 102 : A/V 케이블(102)
104 : 셋톱박스 106 : 방송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
108 : 모뎀 서버 110 :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
112 : 고스톱 게임 서버 114 : DB 서버
116 : TV 리모컨 200 : 입력 처리부
202 : 미들웨어 204 :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206 : 그래픽 처리부 208 : TCP/IP 처리부
210 : 네트워크 처리부 300 : 리모컨 키 이벤트 처리부
302 : 게임 제어 및 로직부 304 : 게임 화면 처리부
306 : 통신 처리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TV 단말기, TV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 및 고스톱 게임 서버를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되, 게임 참여자에게 화투패를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TV 단말기 화면 상에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화투패를 표시하고, 게임 참여자가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 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며, 턴을 가진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여 낮은 해상도를 가진 TV 화면에서 효율적으로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Contents) 서비스, 예컨대, 채팅, 동호회, 게임, 쇼핑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들 중에서도 특히, 게임 서비스 분야는 수요층의 확산으로 인해 서비스의 개발 속도 및 보급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던 게임 서비스들도 유료 서비스로 전환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게임 서비스의 유료화가 진전됨에 따라 각 포털 사이트(Portal Site)와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 특히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게임 참여자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소위 “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유무선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웹기반(Web-based)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고스톱(GO-STOP)'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카드(화투) 게임은 다른 어떠한 온라인 게임보다도 많은 이용자를 많이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고스톱”을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구현한 것으로, 게임방식, 룰 및 화투패의 형상은 오프라인에서 통용 되고 있는 고스톱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거나, 게임의 재미를 위하여 몇 가지 게임의 규칙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은 게임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게임 참여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게임 참여자는 게임 참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레벨) 채널에 접속하고, 해당 채널 내에 개설되어 있는 게임방에 접속하거나 자신의 게임방을 만들어 다른 게임 참여자가 접속하기를 기다린 후, 게임에 필요한 수의 게임 참여자가 접속되면 게임 서버는 2인 또는 3인의 게임 참여자에게 정해진 수의 화투패를 분배하고, 매 턴(Turn; 고스톱에서 모든 사용자가 한번의 패를 내는 단위를 의미)마다 게임 참여자가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하고 정해진 룰에 따른 점수를 계산한다.
화투패의 처리라 함은 한 기회마다 사용자가 내는 화투패를 깔린 화투패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종류인 해당 두 개의 화투패를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소유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넘긴 화투패와 동일한 종류의 깔린 화투패가 있는 경우 두 개의 화투패를 해당 게임 참여자의 소유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해진 룰이라 함은 “피”라 불리우는 종류의 패를 10장 이상 모은 게임 참여자는 그 때부터 “피” 한 장당 1점씩 부여하고, “띠” 또는 “십짜리” 화투패를 각각 5장 이상 모은 게임 참여자는 그 때부터 “띠” 또는 “십짜리” 화투패 한 장당 1점씩을 부여하며, 3개 이상의 “광”이란 패에 대해서 점수를 부여하는 등의 기본적인 규칙을 포함한다. 물론, “청단, 초단, 홍단(3점)”, “고도리(5점)” 등과 같이 정해진 복수의 화투패를 모은 게임 참여자에게 정해진 점수를 부여하 는 규칙과, “뻑”, “판쓸이” 등의 부가 규칙 등이 있다.
이러한 룰에 따라 특정한 게임 참여자가 정해진 기준 점수(2명 게임인 경우 7점, 3명 게임인 경우 3점)를 넘는 경우, 게임 서버는 해당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을 더 진행할지(고; Go), 종료할지(스톱; Stop)를 결정하게 하며, 게임이 종료된 경우에 게임에 진 게임 참여자로부터 “점수×점당 금액”에 해당되는 금액을 이긴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고스톱 한 판이 종료되면 해당 게임 참여자들에게 다시 게임을 할지 여부를 묻고, 동의한 경우 다시 게임을 수행한다. 물론, 게임 참여자는 해당 게임방에서 나와 다른 게임방에 접속함으로써 다른 게임 참여자들과 새로운 판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PC와 핸드폰의 경우에는 고스톱 게임이 대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TV의 경우는 아직 고스톱 게임이 상용화 되어있지 않다. 디지털 TV에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 셋톱박스를 통해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등으로부터 게임을 다운받아서 실행하게 된다. 현재 여러 업체들로부터 셋톱박스가 양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기존의 PC에 비해 화면 해상도, 화면 표시 능력 및 처리 성능 등이 많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의 주사 방식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화면에 가독성 있는 글씨나 그림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이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화면 떨림이 심해서 게임 화면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PC보다 화면이 큰 TV 화면에서는 오히려 가독성을 갖춘 화면 인터페이 스의 구성에 화면의 공간적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 PC에서 사용하던 키보드나 마우스가 아닌 리모컨을 이용한 입력 방식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PC에서 사용하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게임을 하는 데 불편을 많이 느낄 것이다. 따라서, 편리하게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텔레비전에 최적화되어 리모컨으로 조작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 및 게임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TV 단말기, TV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 및 고스톱 게임 서버를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되, 게임 참여자에게 화투패를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TV 단말기 화면 상에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화투패를 표시하고, 게임 참여자가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며, 턴을 가진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여 낮은 해상도를 가진 TV 화면에서 효율적으로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 고스톱(GO-STOP) 게임을 진행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 상기 고스톱 게임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 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대응하는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가 상기 고스톱 게임을 시작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에게 화투패를 분배하는 단계; (c)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는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게임 참여자에게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게임 참여자가 상기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는 다수의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TV 리모컨과 통신하며, 상기 게임 참여자로부터 상기 고스톱 게임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화투패를 분배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하며,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게임 참여자에게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게임 참여자가 상기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로부터 상기 고스톱 게임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화투패를 분배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 시하도록 제어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TV 리모컨과 통신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메시지의 통신을 중개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하며,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TV 단말기(100), A/V 케이블(102), 셋톱박스(STB)(104), 방송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106), 모뎀 서버(108),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 : Network Address Translator)(110), 고스톱 게임 서버(112), DB 서버(114) 및 TV 리모컨(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100)는 상기 다수의 게임 참여자가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A/V 케이블(102)을 통해 셋톱박스(STB)(104)와 통신할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는 방송국에서 보내는 디지털 신호 및 디지털 정보를 받아 음성 및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100)와 A/V 케이블(102)을 통해 통신하며, 게임 참여자로부터 고스톱 게임의 요청이 있으면 화투패를 분배하여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되, 화투패의 분배시 게임 참여자의 TV 단말기(100) 화면 상에 TV 리모컨(116)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화투패를 표시하고, 게임 참여자가 TV 리모컨(116)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TV 단말기(100)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는 위성 방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와 연결이 되고, 케이블 방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방송국으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에 LAN(Local Access Network) 어댑터(Adapter)가 내장된 경우에 셋톱박스(STB)(104)는 인터넷을 통해 고스톱 게임 서버(112)에 접속하고, 셋톱박스(STB)(104)에 케이블 모뎀(Cable Modem)이 내장된 경우에 셋톱박스(STB)(104)는 방송사 내의 모뎀 서버(108)를 통해 고스톱 게임 서버(112)에 접속한다.
또한, 셋톱박스(STB)(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을 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사의 헤드엔드 시스템(106)으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고스톱 게임 서버(112)로부터 TCP/IP 기반의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한다.
이러한 셋톱박스(STB)(104)의 세부적인 기능 및 세부 구성 요소는 도 2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106)은 TV 방송 신호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100)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뎀 서버(10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가 후술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 서버(112)에 접속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AT(110)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설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 서버(112)에는 다수의 TV 단말기(100) 및 셋톱박스(STB)(104)가 접속되며, 다수의 TV 단말기(100)의 정보를 관리하거나 다수의 TV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고스톱 게임을 진행한다. 또한, 고스톱 게임 서버(112)는 TV 단말기(100) 및 셋톱박스(STB)(104)와 통신하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의 고스톱 게임 서버(112)는 웹서버(Web Server) 또는 왑서버(WAP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웹서버 또는 왑서버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TV 단말기(100) 또는 셋톱박스(STB)(104))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을 위한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및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고스톱 게임 서버(112)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B 서버(114)는 다수의 게임 참여자의 신상 정보 및 고스톱 게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리모컨(116)은 TV 단말기(100)의 입력 장치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이 셋톱박스(STB)(104) 상에서 돌아갈 경우 TV 리모컨(116)의 입력은 우선적으로 셋톱박스(STB)(104)가 받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STB)(104)는 입력 처리부(200), 미들웨어(202),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 그래픽 처리부(206), TCP/IP 처리부(208) 및 네트워크 처리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부(200)는 TV 리모컨(116)으로부터 하드웨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드웨어 신호를 키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202)는 입력 처리부(200), 후술한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 그래픽 처리부(206) 및 네트워크 처리부(210)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중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는 미들 웨어(202)에서 키 입력 신호가 변환된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에 의해 고스톱 게임을 제어하고,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고스톱 게임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 출력 신호를 미들웨어(202)를 통해 그래픽 처리부(206)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에서는 다수의 TV 단말기(100) 사이에서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의 고스톱 게임 진행과 유사하게 구현된다. 즉, 두 게임 참여자가 정해지면 각 게임 참여자에게 10장의 화투패를 분배하고 8장의 화투패(깔린 패)를 바닥에 개방하며, 나머지 화투패를 뒤집어 쌓아 둠으로써 게임을 시작한다. 선(先)을 가진 게임 참여자 단말기(100)로부터 “내는 화투패”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내는 화투패를 바닥에 개방하고 뒤집어 쌓아 둔 패에서 한 장의 화투패를 개방하여 바닥에 내려놓는다. 물론, 각 화투패 처리에서 같은 종류(월약)의 패가 있는 경우 해당되는 두 화투패를 해당 게임 참여자 소유로 한다. 두 게임 참여자가 전술한 일련의 화투패 처리(화투패 내기+화투패 뒤집기)를 수행하는 것을 “턴(Turn)"이라 표현한다.
매 턴마다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임 참여자의 획득 점수를 산출하고, 필요한 경우 기준 점수인 7점 이상이 된 게임 참여자에게 해당 판을 계속 진행할 지(고; Go) 또는 진행을 중단할지(스톱; Stop)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고스톱 게임의 각종 규칙, 예를 들면 “뻑”, "판쓸이“, ”따닥“, ”광박“, ”피박“ 등의 룰이 그대로 적용되는데, 이러 한 여러 가지 고스톱 게임룰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두 명의 게임 참여자 간의 고스톱(일명 '맞고') 규칙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에서는 세 명 또는 그 이상의 게임 참여자 간의 고스톱 규칙에 따른 고스톱 게임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두 명의 게임 참여자 간의 고스톱(일명 '맞고')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라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는 한 그 이상의 게임 참여자 간의 고스톱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부(206)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로부터 전송된 화면 출력 신호를 TV 단말기(100)가 수신할 수 있는 TV 신호로 변환하여, TV 단말기(100)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비디오 출력 단자로 TV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부(206)와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STB)(104)의 비디오 출력은 TV 단말기(100)의 비디오 입력 단자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처리부(210)는 고스톱 게임 서버(1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 케이션 제어부(204)는 리모컨 키 이벤트 처리부(300), 게임 제어 및 로직부(302), 게임 화면 처리부(304) 및 통신 처리부(3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키 이벤트 처리부(300)는 미들웨어(202)로부터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및 로직부(302)는 리모컨 키 이벤트 처리부(300)로부터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에 의해 고스톱 게임을 제어하고, 고스톱 게임 로직을 실행하여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게임 화면의 출력을 지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화면 처리부(304)는 게임 제어 및 로직부(302)의 지시에 따라 TV 단말기(100)에 고스톱 게임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부(306)는 고스톱 게임 서버(112)에 게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미들웨어(202)로 게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획득한 화투패를 광, 10끗, 5끗, 피의 화투 종류별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부분(400), TV 리모컨(116)의 숫자 배열과 동일한 배치로 사용자가 소지한 화투패를 배열하여 표시하고 여기에 TV 리모컨(116)의 번호와 화투패의 번호를 매치시키도록 사용자의 소지패를 표 시하는 부분(402), 현재의 턴을 갖고 있는 사용자의 아바타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아바타 및 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404), 상대편이 소지한 화투를 모두 이미지로 표시하지 않고 한 장의 화투패 뒷면 이미지와 숫자로 표시하는 부분(406), 상대편이 획득한 화투패를 표시하는 부분(408), 바닥에 놓인 화투패와 모음패를 표시하는 부분(410), 판돈과 방 제목, 게임 타이틀, 추방, 나가기 버튼 등을 표시하는 부분(412)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화투패가 놓여지는 배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500은 화투패가 9장 이하일 때의 배치이며, 510, 520 및 530은 화투패가 10장인 경우의 배치 방법으로 나머지 한 패를 9패의 주위에 아래쪽, 왼쪽 또는 오른쪽에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리모컨(116)을 이용한 작동 방법은 1부터 9까지의 숫자 배치가 TV 리모컨(116)의 숫자 배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서 5의 위치에 놓여있는 화투패를 내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TV 리모컨(116)의 5를 누르면 된다. 게임 사용자가 소지한 화투패를 TV 리모컨(116)과 동일하게 배열함으로써 화투패를 내는 조작 기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PC에서는 마우스나 키보드의 숫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숫자가 1열로 배치된 키보드와는 달리, TV 리모컨(116)의 경우는 숫자 버튼의 배열이 한 열에 3개의 숫자씩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기존의 소지패를 나열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작동이 직관적이지 못하며 불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지패 배열을 통해 직관적으로 숫자 버튼을 눌러 게임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에서 상대편이 소지한 화투패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세 가지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PC 화면에서는 상대편의 소지패를 모두 화면에 화투 이미지로 그려 줄 수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대편이 화투 8장을 소지하고 있으면 사각형 모양의 화투 뒷면 이미지 8장을 모두 화면에 그려주었다. 하지만 텔레비전 화면에서는 텔레비전 주사 방식의 특성에 따른 화면의 떨림으로 적정 크기 이하의 이미지는 가독성이 떨어지며 PC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이미지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상대편이 가진 소지패까지 모두 화투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하게 되면 화면 공간의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고스톱처럼 화면이 복잡한 게임의 경우는 불필요한 공간의 사용을 최대한 아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고스톱 게임의 특성상 상대편이 들고 있는 화투패에 대해 필요한 정보는 상대편이 가진 화투의 개수이기 때문에, 이를 도 6에 예시된 방법과 같이 화투의 뒷면 이미지를 하나만 표시하고 상대편이 가진 화투의 개수를 숫자로 화투 뒷면 이미지 위(600), 아래(610) 또는 옆(620)에 써서 화면 공간의 이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상대편이 가진 화투패의 개수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인터넷 상에서 아바타는 가장 중요한 수익 모델 중의 하나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텔레비전에서도 마찬가지로 아바타는 중요한 수익 모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텔레비전 화면에서 인식하기 쉬운 아바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현해야 한다. 고스톱 게임에서는 화투 이미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기 때문에 게임에 참여 중인 모든 사람의 아바타와 정보를 게임 화면에 한꺼번에 표현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게임 서비스에서는 현재의 턴을 갖고 있는 사용자의 아바타만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턴을 가진 사용자가 누구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서로의 아바타와 게임 머니 등의 사용자 정보를 모두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이 셋톱박스(STB)(104)가 아닌 TV 단말기(100)에 다운로드되거나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204)가 셋톱박스(STB)(104)가 아닌 TV 단말기(100)에 포함된다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고스톱 게임의 진행 및 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은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 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전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서도 편리하게 고스톱 게임을 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와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며 게임 중에 아바타의 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스톱 게임의 재미를 한층 높였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 입장에서는 기존 PC에서 한 단계 진보하여 텔레비전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아바타 서비스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한 서비스 매출 증대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 창출 및 수익 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 고스톱(GO-STOP) 게임을 진행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 상기 고스톱 게임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게임 참여자가 대응하는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가 상기 고스톱 게임을 시작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에게 화투패를 분배하는 단계;
    (c)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는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에 LAN(Local Access Network) 어댑터(Adapter)가 내장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에 케이블 모뎀(Cable Modem)이 내장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는 방송사 내의 모뎀 서버(Modem Server)를 통해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고스톱 게임을 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사의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으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로부터 TCP/IP 기반의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게임 참여자에게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게임 참여자가 상기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는 다수의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TV 리모컨과 통신하며, 상기 게임 참여자로부터 상기 고스톱 게임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화투패를 분배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하며,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TV 리모컨으로부터 하드웨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드웨어 신호를 키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입력 처리부;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변환된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에 의해 상기 고스톱 게임을 제어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상기 고스톱 게임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상기 화면 출력 신호를 상기 TV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TV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TV 단말기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비디오 출력 단자로 상기 TV 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 처리부;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및
    상기 입력 처리부, 상기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상기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중개하는 미들웨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7.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게임 참여자에게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GO-STOP)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 서,
    상기 다수의 게임 참여자가 상기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로부터 상기 고스톱 게임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화투패를 분배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화투패의 분배시 상기 게임 참여자의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TV 리모컨의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로 상기 화투패를 표시하고, 상기 게임 참여자가 상기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할 때마다 각각의 상기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화투패의 수를 한 장의 상기 화투패 뒷면에 숫자로 표시하고, 턴을 가진 상기 게임 참여자의 아바타와 정보를 상기 TV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TV 단말기;
    상기 TV 단말기 및 상기 TV 리모컨과 통신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메시지의 통신을 중개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하며, 상기 고스톱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고스톱 게임의 결과 화면을 상기 각각의 게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스톱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미들웨어로부터 상기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리모컨 키 이벤트 처리부;
    상기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리모컨 키 이벤트 메시지에 의해 상기 고스톱 게임을 제어하고, 고스톱 게임 로직을 실행하여 상기 고스톱 게임 진행에 따른 게임 화면의 출력을 지시하는 게임 제어 및 로직부;
    상기 게임 제어 및 로직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TV 단말기에 상기 고스톱 게임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게임 화면 처리부; 및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게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미들웨어로 상기 게임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에 LAN(Local Access Network) 어댑터(Adapter)가 내장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10.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에 케이블 모뎀(Cable Modem)이 내장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 는 방송사 내의 모뎀 서버(Modem Server)를 통해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11.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또는 상기 TV 단말기는 상기 고스톱 게임을 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방송사의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으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고스톱 게임 서버로부터 TCT/IP 기반의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단말기 및 TV 리모컨을 이용하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고스톱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82938A 2004-06-29 2004-10-16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1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84A KR20040070457A (ko) 2004-06-29 2004-06-29 텔레비전용 고스톱 게임과 리모컨을 이용한 작동 방법
KR1020040049284 2004-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788A true KR20060001788A (ko) 2006-01-06

Family

ID=371048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84A KR20040070457A (ko) 2004-06-29 2004-06-29 텔레비전용 고스톱 게임과 리모컨을 이용한 작동 방법
KR1020040082938A KR20060001788A (ko) 2004-06-29 2004-10-16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84A KR20040070457A (ko) 2004-06-29 2004-06-29 텔레비전용 고스톱 게임과 리모컨을 이용한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704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14B1 (ko) * 2007-08-06 2009-08-3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화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409933B1 (ko) * 2007-07-06 2014-06-20 주식회사 케이티 Iptv 게임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가입자 단말과 그를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33B1 (ko) * 2007-07-06 2014-06-20 주식회사 케이티 Iptv 게임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가입자 단말과 그를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KR100914914B1 (ko) * 2007-08-06 2009-08-3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화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57A (ko) 200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145B2 (en) Video game recording and playback with visual display of game controller manipulation
US10933314B2 (en) System for remote game access
EP12363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gaming experience through a catv broadband network
CN101180109B (zh) 多玩家视频游戏系统
US8267790B2 (en) Interactive games on a television via internet protocol
US9044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based services
CN113058270A (zh) 直播互动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080261697A1 (en) Networked Electronic Entertainment System
CN110225412B (zh) 视频互动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1342491A2 (en) Dynamic games system for digital interactive television
US20040018875A1 (en) Premium acquisition game system utiliz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premium acquisition game host computer and player terminal both used in that system
JP5090557B2 (ja) 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方法
JP4763665B2 (ja) 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方法
KR20060001788A (ko) 텔레비전 단말기 및 리모컨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3030362A (ja) ユーザ名称切替方法及びシステム、端末、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81252B1 (ko)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606834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JP7387217B1 (ja) 配信サーバ、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04049607A1 (en) Distributing data using a broadcast and wireless network
KR20040089164A (ko) 디지털 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원격 통신 야구 게임 방법및 시스템
CN110381348A (zh) 广电网络市(县、区)级互动分平台
KR20040098816A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운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90053293A (ko) 온라인게임에서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