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383A -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 Google Patents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383A
KR20060000383A KR1020040049222A KR20040049222A KR20060000383A KR 20060000383 A KR20060000383 A KR 20060000383A KR 1020040049222 A KR1020040049222 A KR 1020040049222A KR 20040049222 A KR20040049222 A KR 20040049222A KR 20060000383 A KR20060000383 A KR 20060000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ircuit
power supply
amplifier
battery power
schottky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언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4004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383A/ko
Publication of KR2006000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앰프 회로의 밧데리 전원 입력단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연결하므로서, 시동시 입력전원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류 블럭킹 기능으로 인해 앰프 내부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게되어 전압의 변화가 느리게 일어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팝(POP)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팝 노이드, 앰프회로, 쇼트키 다이오드,

Description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Amp circuit}
도 1 은 본 발명의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2 는 시동시 각부의 출력파형을 보인 파형도.
도 3 은 종래의 앰프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4 는 정상적인 앰프회로의 출력파형을 보인 파형도.
도 5 는 팝노이즈 발생시의 출력파형을 보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앰프, C1: 콘덴서,
D1: 쇼트키다이오드,
본 발명은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앰프 회로의 밧데리 전원 입력단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연결하므로서, 시동시 입력전원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류 블럭킹 기능으로 인해 앰프 내부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게되어 전압의 변화가 느리게 일어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팝(POP)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3 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종래의 앰프회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앰프(1)의 전원측에 밧데리전원(Batt)과 악세서리 전원(Acc)이 각각 인가되고, 밧데리전원(Batt) 측에 충방전용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보통 차량의 경우 시동시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악세서리 전원(Acc)이 밧데리 전원(Batt)보다 약 100ms 정도 먼저 로우 상태로 떨어지게되므로 앰프(1)가 내부적으로 먼저 뮤트(Mute) 상태가 된 조건 하에서 밧데리 전원(Batt)이 변화됨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팝(POP)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하지만, 시동시 앰프(1)로 악세서리 전원(Acc)과 밧데리전원(Batt)이 동시에 연동되면서 시동이 걸리는 특수한 차량의 경우 도 5 와같이 앰프(1)가 뮤트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입력전원의 갑작스런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POP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시동시 앰프(1)로 악세서리 전원(Acc)과 밧데리 전원(Batt)이 동시에 인가될 경우 갑작스런 전원의 다운으로 인해 스피커를 통해 팝노이즈가 출력되어 차량의 상품성이 떨어짐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해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앰프 회로의 밧데리 전원 입력단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연결하므로서, 원격시동시 입력전원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류 블럭킹 기능으로 인해 앰프 내부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게되어 전압의 변화가 느리게 일어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팝(POP)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앰프(1)의 전원측에 밧데리전원(Batt)과 악세서리 전원(Acc)이 각각 인가되고, 밧데리전원(Batt) 측에 충방전용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는 앰프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전원(Batt)의 입력측에 전류 블럭킹 기능을 갖는 쇼트키다이오드(D1)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앰프(1)의 밧데리전원(Batt) 입력측에 전류 블럭킹 기능을 갖는 쇼트키 다이오드(D1)를 연결한 것이다.
상기와같이 밧데리전원(Batt) 입력측에 쇼트키 다이오드(D1)를 연결하게되면 시동시 악세서리 전원(Acc)과 밧데리전원(Batt)이 동시에 로우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D1)의 전류 블럭킹 기능에 의해 밧데리전원(Batt)이 급격히 로우로 떨어지는 것이 차단되면서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방전이 되지 않으므로 도 2 와같이 앰프(1)로 공급되는 밧데리 전원(Batt)이 서서히 감소하게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이에의해 앰프(1) 내부적으로는 악세서리 전원(Acc)이 먼저 로우상태로 떨어지면서 뮤트(Mute) 조건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후 밧데리 전원(Batt)이 하강하게 되므로 스피커를 통한 팝노이즈의 출력이 일어나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시 악세서리 전원(Acc)이 밧데리 전원(BatT) 보다 일정시간 먼저 로우상태로 떨어지는 보통의 차량과 시동시 악세서리 전원(Acc)과 밧데리 전원(Batt)이 동시에 로우상태로 떨어지는 특수 차량 모두에 앰프회로를 공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시동시 악세서리 전원(Acc)과 밧데리 전원(Batt)이 동시에 로우상태로 떨어지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D1)의 전류 블럭킹 기능에 의해 스피커를 통한 팝(POP) 노이즈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앰프 회로의 밧데리 전원 입력단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연결하므로서, 시동시 입력전원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류 블럭킹 기능으로 인해 앰프 내부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 이 방전되지 않게되어 전압의 변화가 느리게 일어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팝(POP)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앰프(1)의 전원측에 밧데리전원(Batt)과 악세서리 전원(Acc)이 각각 인가되고, 밧데리전원(Batt) 측에 충방전용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는 앰프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전원(Batt)의 입력측에 전류 블럭킹 기능을 갖는 쇼트키다이오드(D1)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팝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 회로.
KR1020040049222A 2004-06-29 2004-06-29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KR20060000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22A KR20060000383A (ko) 2004-06-29 2004-06-29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22A KR20060000383A (ko) 2004-06-29 2004-06-29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83A true KR20060000383A (ko) 2006-01-06

Family

ID=3710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22A KR20060000383A (ko) 2004-06-29 2004-06-29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3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53B1 (ko) * 2006-08-2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팝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53B1 (ko) * 2006-08-2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팝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9930B2 (en) Pop noise suppression apparatus and audio output system utilizing the same
EP1892828B1 (en) Device for preventing a pop noise in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080136487A1 (en) Boost circuit and level shifter
US5488258A (en) Circuit for muting noises in a power amplifier
US7940940B2 (en) Mu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4076373B2 (ja) 音声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装置
KR20060000383A (ko) 시동시 팝 노이즈가 개선되는 앰프회로
US20070236252A1 (en) Impedance conver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7113031B2 (en) Audio amplifier circuit with suppression of unwanted noise when powered on from standby
CN110290446B (zh) 一种快速开关机防止爆音的静音电路
JP5081376B2 (ja) 増幅回路
US20070093222A1 (en) Audio muting circuit and audio muting method
US20080144857A1 (en) Audio signal output circuit capable of decreasing pop noise
JP4043835B2 (ja) ポップ音防止回路
JP4307875B2 (ja) 音声出力回路
JP4970002B2 (ja) サラウンド制御回路
CN105703717B (zh) 爆破声抑制电路及方法
JP2020178148A (ja) オーディオ装置
JP2002124837A (ja) 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US7482866B2 (en) Audio system with power-on/off noise suppression and audio amplifier thereof
JP4535901B2 (ja) オーディオ増幅器
JP2006025246A (ja) アナログ基準電圧発生回路
JP2006020241A (ja) ポップ音防止回路
KR920004062Y1 (ko) 뮤트회로
JPH06245396A (ja) 車両バッテリー電源の電圧降下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