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868A -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868A
KR20050122868A KR1020040048526A KR20040048526A KR20050122868A KR 20050122868 A KR20050122868 A KR 20050122868A KR 1020040048526 A KR1020040048526 A KR 1020040048526A KR 20040048526 A KR20040048526 A KR 20040048526A KR 20050122868 A KR20050122868 A KR 2005012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cover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868A/ko
Publication of KR2005012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 결합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회전부재가 다수의 기어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A SWIVEL STRUCTURE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단에 결합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회전부재가 다수의 기어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회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모니터, 텔레비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각도 조절을 위해 다양한 각도조절장치가 제안되었는바, 이들 중에서 한국공개번호 제1999-1797호는 LCD 모니터 스탠드의 결합영역에 힌지부를 마련하여 모니터의 상하 및 좌우 방향 스위블(swivel) 동작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힌지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는 힌지부 자체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기능성만을 고려한 제품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품위가 저하되어 효과적인 수요증대를 창출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
또한, 힌지부 자체에서 상하 및 좌우 회전을 동시에 구현하기 때문에 힌지부 자체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한국특허공보 제2003-30721호는 디스크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각도조절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닥을 형성하는 스탠드베이스(1)의 하측에 원통상의 회전부재(1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1)는 내측으로 안내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4)의 상측면부로부터 단면 반경 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플랜지부(13)가 형성되며, 12는 회전부재(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방부이다.
한편, 상기 개방부(12)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플랜지부(13)의 저면에 접하도록 회전부재(11)에 삽입되어고, 복수의 체결수단(8)을 통해 스탠드베이스(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디스크(5)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베이스(1)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회전디스크(5)는 회전부재(1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활히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갈수록 커지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하중이 증가되는바, 하중이 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가 원활히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회전각도 조절장치에 기어 조합을 채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각도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고 기어 조합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을 위한 회전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구동 시스템인 회전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활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장치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정부가 커버부재를 고정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가 커버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하는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와 결합하고 기어 조합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부재(40) 및 상기 회전부재(4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20)와 회전부재(4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부재(20)는 상측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결합하되 하부 중앙에는 치열을 갖는 결합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40)는 결합홈(21)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스플라인(4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41)과 기어조합을 통해 원활히 회전하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플라인(41)의 외주면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판(4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판(42)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기어(43)가 축 결합하는 바, 상기 회전기어(43)는 도 3과 같이 3개가 삼각형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회전판(42)은 상기 각 회전기어(43)와 회전축(45)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0)는 회전기어(43)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내측에 치열이 형성되는 원형가이드(44)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회전부재(40)는 커버부재(30) 내부에 설치되되, 스필라인(41)은 커버부재(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2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22)의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30)에는 받침부재(20)의 회전각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1)은 받침부재(20)의 회전가능 각도만큼 굴곡진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받침부재(20)가 자유롭게 회전 중에 일정위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되는 구조가 필요한바, 상기 받침부재(20)의 일측에는 저면이 개방된 장착홀(25)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25)에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커버부재(30)를 압박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51)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부재(20)에 형성된 장착홀(25)과 연계되어 받침부재(20)의 측면을 수직으로 일부 개방하는 수직홀(26)이 형성되고, 장착홀(25)의 상측에 탄성체(5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52)의 하부에는 고정바(53)가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바(53)의 측면상에서 연장되어 수직홀(26)을 관통하여 받침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5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0)의 상측에는 받침부재(20)의 회전에 따른 고정바(53)의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고정공(32)이 촘촘히 형성되어 고정바(53)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회전부재(40)가 커버부재(30)에 내장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스플라인(41)이 받침부재(20)의 결합홈(21)에 삽입됨으로서, 서로 간의 치열이 맞물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회전하게 되면, 받침부재(20)에 결합된 스플라인(41)에 이러한 회전력이 전달되는바, 다수의 회전기어(43)가 회전축(45)을 통해 자체 회전하면서, 원형가이드(44) 내에서 다수의 회전기어(43)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받침부재(20)의 저면에는 돌기(22)가 커버부재(30)의 가이드홈(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바, 상기 가이드홈(31)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고정부(51)를 작동시키는바, 사용자가 손잡이(5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53)가 탄성체(52)를 압축하면서 커버부재(30)의 가압을 해제하거나 고정공(32)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활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회전시킬 수 있는바, 사용하자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손잡이(54)를 놓으면 탄성체(52)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바(53)는 커버부재(30)의 상측을 다시 가압하거나 고정공(32)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는 별도의 기어결합에 의한 회전장치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원활한 회전을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구조는 그 설계가 용이하고, 기어의 사용에 따른 기계적 성능이 우수하여 제품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감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장치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에 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정부가 커버부재를 고정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고정부가 커버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받침부재 22 : 돌기
30 : 커버부재 31 : 가이드홈
40 : 회전부재 43 : 회전기어
44 : 회전판 51 : 고정부

Claims (7)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고 기어 조합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측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하되 하부 중앙에는 치열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기 위해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스플라인과;
    상기 스플라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축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내측에 치열이 형성되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에는 받침부재의 회전각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는 저면이 개방된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커버부재를 압박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에는 장착홀과 연계되어 받침부재 측면을 수직으로 일부 개방하는 수직홀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장착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여 커버부재를 가압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측면상에서 연장되어 수직홀을 관통하여 받침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고정바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KR1020040048526A 2004-06-25 2004-06-25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KR2005012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26A KR20050122868A (ko) 2004-06-25 2004-06-25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26A KR20050122868A (ko) 2004-06-25 2004-06-25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868A true KR20050122868A (ko) 2005-12-29

Family

ID=3729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526A KR20050122868A (ko) 2004-06-25 2004-06-25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2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85B1 (ko) * 2021-04-15 2021-11-09 김동후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85B1 (ko) * 2021-04-15 2021-11-09 김동후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598B2 (ja) 内視鏡の湾曲保持機構
JP4928969B2 (ja) 内視鏡の湾曲保持機構
KR200187046Y1 (ko) 틸트힌지
KR100950733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JP3230908U (ja) Lcdモニター用回転型スタンド
KR20050122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구조
KR2005012286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US6262352B1 (en) Controlling device of music bell in the pearl box
WO2006033494A1 (en) A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CN206976222U (zh) 装配牢固的旋转开关
KR20070096437A (ko)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940006560Y1 (ko) 영상표시기기의 회동조절장치
JP4152465B2 (ja) 蝶番
CN215907642U (zh) 一种机械式解锁机构
JP2000229061A (ja)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装置
KR200255468Y1 (ko) 일체로구성된스탠드부를갖는모니터
KR100487123B1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0909230B1 (ko) 캠디스크를 이용하는 푸리스톱 모니터 스탠드장치
CN219692801U (zh) 旋转式显示屏
KR100585335B1 (ko)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CN216496447U (zh) 按摩组件及筋膜枪
CN212084882U (zh) 控制面板及料理机
JP2008173192A (ja) 清掃用具保持装置
KR200270429Y1 (ko)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