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658A -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658A
KR20050122658A KR1020040048265A KR20040048265A KR20050122658A KR 20050122658 A KR20050122658 A KR 20050122658A KR 1020040048265 A KR1020040048265 A KR 1020040048265A KR 20040048265 A KR20040048265 A KR 20040048265A KR 20050122658 A KR20050122658 A KR 2005012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rm
main frame
shaft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식
양성덕
권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658A/ko
Priority to JP2004266785A priority patent/JP2006012372A/ja
Priority to CNA200410082414XA priority patent/CN1713290A/zh
Priority to US10/968,530 priority patent/US20050289569A1/en
Publication of KR2005012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Abstract

본원 발명인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는 롤러 아암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이나 상부 프레임에서 롤러 아암이 설치되는 부분에 변형이 있더라도 롤러는 인입되는 디스크에 평행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로딩/이젝트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본체의 입구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축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롤러 아암과, 상기 롤러아암과 롤러축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롤러축을 상, 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된 구동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LOADING DEVICE OF COMPACT DISK PLAY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아암 및 상, 하부 프레임의 변형이 있더라도 인입 및 이젝트되는 디스크에 롤러가 평행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면, 디스크가 안착되는 턴테이블과, 플레이어의 입구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플레이어 내부로 인입시켜 턴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와,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턴테이블이 회전될 때 광 디스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랭핑장치와, 광 디스크의 직경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광 디스크에 수록된 정보를 재생하거나 정보를 기록하는 광 픽업장치와, 광 픽업장치를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D)를 본체(10) 내로 인입시키는 롤러(40)와 이 롤러를 상하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 아암(50)으로 구성되어 본체(10)의 입구에 설치된다.
본체(10)는 상부 프레임 어세이(30)와 하부 프레임 어세이(20)로 구분되고, 이들이 조립되면 정면에는 디스크(D)가 삽입되는 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12)의 일측에는 구동모터(22)가 설치되고, 구동모터(22)의 모터축(22a)은 본체(10)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모터축(22a)의 단부에는 구동기어(24)가 결합된다.
본체(10)의 양측에는 입구(12)와 근접한 전방 부분에 롤러 아암(5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홈(26)이 형성되고, 결합홈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는 롤러(4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홈(28)이 형성된다. 이때, 장홈(28)은 결합홈(26)을 중심으로 원호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롤러(40)는 본체(10)의 입구(12)를 통해 인입되는 디스크(D)가 롤러의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외측단부에서부터 중간부분으로 올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으며, 롤러(40)의 중심에는 롤러축(42)이 압입되어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롤러축(42)의 양단은 본체(10)의 장홈(28)에 결합되어 롤러(40)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롤러축(42)의 양단에는 부시(44)가 결합되며, 부시가 결합된 상태로 본체(10)의 장홈(28)에 결합되어 롤러축(42)의 회전시 마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롤러축(42)의 일단에는 종동기어(46)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롤러 아암(50)은 판의 형상을 하고 있고, 양측면에는 본체(10)의 결합홈(2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핀(56)이 돌출 형성되며, 양측의 결합핀 중 하나의 결합핀(56)은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중계기어(60)가 결합된다. 이때, 중계기어(60)는 2단으로 형성되어 제 1기어부(62)는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24)와 치합되고, 제 2기어부(64)는 롤러축(42)의 종동기어(46)와 치합된다. 그리고, 중계기어(60)의 외측면에는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클램핑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풀리(66)가 일체로 형성된다.
롤러 아암(50)의 선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간부분에 2장 이상의 디스크(D)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디스크삽입 방지돌기(54)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디스크삽입 방지돌기(54)에는 고무 재질의 프로텍터(55)가 결합된다. 또한, 롤러 아암(50)의 선단 양측에는 스프링 걸림홈(56)이 형성되고, 스프링 걸림홈(56)과 대응되는 본체(10)의 전방 양측에는 스프링 결합공(29)이 형성되며, 걸림홈(56)과 결합공(29)의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설치된다.
또한, 롤러 아암(50)의 후단에는 양측부분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립편(58)이 형성되고, 이 조립편(58)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조립홈(58a)이 형성되며, 이 조립홈(58a)에 롤러축(42)에 결합된 부시(44)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롤러(40)와 롤러 아암(50)은 함께 작동하게 된다.
즉, 디스크(D)가 인입되면 디스크의 두께만큼 롤러(40)는 본체(10)의 장홈(28)을 따라 하강하며, 롤러(40)와 조립편(58)에 의해 연결된 롤러 아암(50)은 롤러(40)가 하강하는 거리만큼 결합핀(56)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가 턴테이블(1)에 안착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면, 롤러 아암(50)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롤러(40)는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로딩장치는 구동모터(22)의 모터축(22a)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구동기어(24)를 통해 중계기어(60)를 전달되고, 중계기어(60)의 회전력은 종동기어(46)로 전달되어 종동기어(4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롤러(40)가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모터(22)가 정회전을 하면 롤러(40)는 디스크를 본체(10) 내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모터(22)가 역회전을 하면 롤러(40)는 디스크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롤러 아암(50)이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 아암(50)의 일단이 휘어지도록 변형되거나 상부 프레임 어세이(30)와 하부 프레임 어세이(20)에서 롤러 아암(50)이 설치되는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면 롤러(40)가 상부 프레임 어세이(3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로딩시 롤러(40)가 디스크와 평행하게 닿지 않으므로 디스크의 삽입 및 이젝트(Eject)시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롤러(40)가 상부 프레임 어세이(30)에 대해 평행하지 않으면 디스크가 삽입될 때 디스크(D)의 일부분은 롤러(40)가 닿게 되지만 대칭부분은 롤러(40)가 닿지 않게 되므로 디스크가 본체(10)내로 원활하게 인입이 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이젝트 에러가 발생된다.
또한, 디스크가 롤러(40)에 평행하게 닿지 않으면 이젝트 힘이 규격에서 미달하게 되므로 공정 불량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고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상기 롤러아암을 2분할하여 롤러 아암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 디스크가 삽입될 때 발생되는 에러를 최소화 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가 한국특허번호 제10-4273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플레이어 본체(10)의 입구로 삽입되는 디스크(D)를 로딩시켜 본체(10) 내에 마련된 턴테이블(1)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를 본체(10) 내로 인입시키는 롤러(100)와, 이 롤러를 상하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 아암(200) 및 롤러 아암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40)으로 구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아암(200)은 좌측 롤러 아암(210)과 우측 롤러 아암(220)으로 2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조립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롤러아암(200)을 좌측 롤러아암(210)과 우측롤러아암(220)으로 2분할되어 연결축에 의해 평행하게 연결되고, 연결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발명은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롤러 아암이 2분할되어 연결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롤러가 항상 디스크와 평행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삽입될 때 항상 일정한 이젝트 힘을 갖게 되고, 이젝트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성능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분할된 롤러아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구조에 비해서, 상기 롤러 아암을 2부분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부품구성수의 증가로 인해 작업공정 수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부품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부품에 비해 부품수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로딩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은 로딩장치는 스프링(240)이 롤러 아암(2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조를 구비한 로딩장치는 상기 롤러가 디스크를 이젝트 시 뿐 만아니라 디스크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롤러 아암을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계속부여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장홈을 통하여 롤러 및 롤러아암을 디스크의 이젝트 시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항상 작용하게 됨에 따라, 상기 롤러 및 롤러 아암을 구동시키는 데 많은 구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롤러 및 롤러아암을 구동시키도록 하는데 적은 량의 구동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롤러 아암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이나 상부 프레임에서 롤러 아암이 설치되는 부분에 변형이 있더라도 롤러는 인입되는 디스크에 평행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로딩/이젝트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구조에 비해 구성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서 원가 및 작업공정을 감소시키고, 또한, 롤러축에 인가되는 스프링의 탄성을 탄력적으로 분배하여 로딩/이젝트 동작부하를 분산시켜 성능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본체의 입구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축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롤러 아암과, 상기 롤러아암과 롤러축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롤러축을 상, 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의 결합공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장공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러한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인입시 관련되는 상기 롤러아암 및 상,하부 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정량의 산포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축에서 회전하면서 슬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롤러아암과 상기 롤러축은 롤러부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아암이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5b 및 도5c는 도5a에서 결합된 경우의 양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롤러와 롤러아암의 분리사시도이며, 도7a 및 도7b는 롤러부쉬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8a 내지 도8c는 롤러부쉬에 의해 롤러와 롤러아암을 결합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9a 내지 도9b는 롤러축이 캠공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 서술되는 본원발명의 구성은 그 특징부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하기로 하며, 종래발명과 동일한 부분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고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디스크 로딩장치는 플레이어 본체의 입구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로딩시켜 본체(400) 내에 마련된 턴테이블(404)에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로딩장치의 본체(400)는 하부프레임(401), 메인프레임(402) 및 상부프레임(40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401)의 댐퍼(409)에 상기 메인프레임(402)이 안착되고, 그 상부에 상부프레임(403)이 다시 안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로딩장치는, 디스크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디스크의 하면에는 롤러(405), 그 상면에는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408)에 의해 상호 밀착되고, 상기 롤러(40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턴테이블(404) 상에 상기 디스크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디스크 로딩장치는 하부프레임(401), 메임프레임(402)과 상부프레임(40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본원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장치는 롤러 및 롤러아암이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롤러 및 롤러아암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롤러 및 롤러아암을 일체로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하 상기 본원발명의 특징부를 중심으로 하여 본원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출원인은 본원발명의 디스크 로딩장치를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를 본체(400) 내로 인입시키기 위한 롤러(405)와, 상기 롤러(405)와 대응되는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408)와, 상기 롤러(405)와 일체로 형성되는 롤러축(406)과, 상기 롤러(405)를 상하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아암(407)과, 상기 롤러(405) 및 롤러아암(407)을 디스크의 로딩 및 이젝트시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원발명의 롤러, 롤러축 및 롤러아암을 일체로 형성한 부분을 롤러어세이(425)로 명칭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5a는 본원발명의 롤러어세이(425)와 메인프레임(402)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5b 및 도5c는 롤러어세이(425)와 메인프레임(402)이 결합된 경우, 결합된 부분의 양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상기 롤러어세이(425)에서 롤러아암(40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롤러어세이(425)와 상기 메인프레임(402)과의 결합시 결합공의 변형을 통하여 종래 롤러아암을 2분할시킨 경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 및 효과는 상기 결합되는 부분을 다음과 같이 형성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롤러어세이(425)는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데, 양단에 형성된 양 고정축(426) 중 일측은 그에 대응하는 메인프레임(402)의 결합홈(427)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다른 고정축(426)은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장공(428)에 상, 하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형성되어진다.
상기 결합홈(427)은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일측의 홈과 맞물려서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한 고정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고정축(426)의 타측은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한 측면에 형성된 장공(428)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장공(428)은 상, 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한쪽 축만이 상기 장공(428)에 형성된 소정의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롤러어세이(425)를 구성하는 상기 롤러(405) 및 롤러아암(407)에서 부품의 변형이나 조립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 하부 프레임에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장공(428) 측의 롤러어세이(425)의 고정축만이 가변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상기 조립산포에 의한 변형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디스크의 삽입 및 배출 시 상기 롤러(405)와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408) 사이의 양측에서 동일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장공(428)의 형성에 의해 종래 롤러아암을 2분할 시킨경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6은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롤러어세이(425)는 롤러아암(407)과, 롤러(405) 및 롤러축(40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롤러(405)는 두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각각은 중심으로 갈수로 그 중심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인입되는 디스크를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405)는 상기 롤러축(406)에서 회전하면서 슬립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일체로 마련된 롤러(405) 및 롤러축(406)은 상기 롤러아암(407)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결합을 위해, 부쉬를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와셔 등의 추가부품을 사용하여 결합을 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 많은 부품이 사용됨에 따라 재료비의 증가와 함께, 조립공정의 증가에 따라 공정효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술한 결합을 단지 롤러부쉬(430)만을 사용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롤러부쉬(430)는 상기 롤러축(406)과 롤러아암(407)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서, 그 구체적인 형상은 도7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7a는 상기 롤러부쉬(430)의 정면도이고, 도7b는 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7a 및 도7b를 참고하여 상기 롤러부쉬(43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롤러부쉬(430)는 양 측벽(431)을 사이에 두고 가운데에 요홈(4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431) 중 어느 한 측벽(431)에 소정 형상의 연결부(432)가 마련되고, 그 연결부의 한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고정돌기(433)가 마련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433)는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라면 그 모양에 어떤 제한을 가지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반원형의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그 고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롤러부쉬(430)를 사용하여, 롤러축(406)과 롤러아암(407)을 결합시키는 동작이 도8a 내지 도8c에 개시되어 있는 바, 도면을 참고하여 그 조립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a에서 롤러축(406)이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쉬(430)가 롤러아암(407)의 롤러부쉬조립부(434)로 화살표 방향으로 결합되게 되고, 도8b는 상기 롤러부쉬(430)가 상기 롤러아암(407)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그렇게 결합되어진 롤러부쉬(430)는 그 연결부(432)를 단순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아암(407)에 마련되어 있는 홈(435)에 상기 롤러부쉬(430)의 고정돌기(433)를 단순히 결합시키도록 하여 상기 롤러축(406)과 상기 롤러아암(407)을 서로 결합하도록 하는 형상이 도8c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에 의해, 상기 롤러아암(407)과 롤러축(406)을 하나의 롤러부쉬(430)만을 사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그와 같은 결합을 위해 요구되었던 와셔 등 추가부품의 사용의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그와 같은 부품수의 감소에 의해 조립을 더욱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제조작업에 있어서 조립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져오게 되었다.
도9는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양단에 형성된 구동부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동부의 구성은 도4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4를 참고로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양단에 형성된 구동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부는 레버부(420)와 탄성수단(42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롤러축(406)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에 사용되는 탄성수단은 선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선스프링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하여 제품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선스프링(421)은 레버부(420)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개수의 고정돌출부(43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부(4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레버부(420)는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양 측면에 형성된 소정개수의 연결돌기(439)는 상기 레버부(420)의 측면에 마련된 소정개수의 슬라이딩공(437)과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의 이젝트 및 로딩 시 상기 롤러축(406)을 상하 이동하기 위해 레버부(420)의 선단측에 S자 형상의 캠공(440)이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롤러축(406)이 상기 S자 형상의 캠공(440)의 상단에 있는 경우, 상기 롤러축(406)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마련되는 탄성수단(421)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개수의 고정돌출부(438)가 마련되도록 상기 레버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우측 레버부는 구동모터(413)에 의해 구동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일측에 형성된 랙기어(414)와 결합하기 위한 랙기어결합공(441)이 형성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버부(420)를 포함하는 구동부는 상기 레버부(420)의 전, 후진 동작에 따라서 상기 롤러축(406)을 디스크의 로딩/이젝트시 상기 캠공(440)을 따라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레버부(440)를 이동시키는 경우, 그와 같은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해 요구되는동작부하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롤러축이 상단 및 하단에 있는 경우, 어느 때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롤러축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구동부하를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롤러축이 상기 캠공(440)의 상단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선스프링(421)에 의한 탄성력을 받고, 디스크의 로딩시, 즉, 롤러축(406)이 상기 캠공(440)의 하단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스프링(421)에 의한 탄성력을 받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레버부(420)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하가 감소되는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9a 및 도9b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상기 레버부(420)가 동작을 행하는 경우, 작동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9a는 상기 디스크가 인입 및 이젝트되는 경우, 상기 롤러축(406)이 상기 캠공(440)의 상단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캠공(44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롤러축(406)에는 상기 탄성수단인 스프링(421)에 의해 상방향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상기 삽입 및 배출되는 디스크가 상기 롤러(405) 및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408) 사이에 삽입되어 상호 평행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디스크의 삽입 및 배출을 더욱 손쉽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9b는 상기 디스크가 로딩 상태에 있는 경우, 레버부(420) 및 탄성수단(421)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 도면에 의하면, 상기 롤러축(406)은 상기 캠공(44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진다. 이 경우, 상기 롤러축(406)에는 스프링의 상방향의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레버부(420)의 전, 후진 동작시 상기 레버부(420)를 구동시키는 데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형성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의 동작을 도4 및 도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를 참조하면, 디스크를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4)와 롤러(405) 사이로 인입시키면, 인입되는 상기 디스크의 외경이 아암디스크 가이드(416)의 가이드(417)를 밀게 된다. 이렇게 밀려지는 가이드(417)는 스위치어세이(418)의 스위치레버(418)를 밀게 되어, 상기 스위치레버(418)가 접점 되고, 그러한 접점에 의해상기 구동모터(413)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41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13)에 연결된 수개의 기어부(412)가 구동되고, 상기 구동되는 기어부(412)는 그에 연결되어 있는 롤러기어(41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기어(411)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405)가 회전하게 되어, 인입되는 디스크를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턴테이블(404)의 상부에 까지 이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디스크를 정위치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405)는 상기 캠공(44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방향의 선스프링(421)에 의한 탄성력을 받게 되어, 인입되는 디스크가 평행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어세이(425)의 고정축의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장공(428)에 연결되어 있어, 어느 정도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어세이(425) 및 상, 하부 프레임의 변형에 의한 조립공차에 의한 산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는 상기 메인프레임(402)에 마련된 상기 턴테이블(404)에 안착되고, 안착되는 상기 디스크는 그 외경부가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후단 상부에서 결합되는 아암클램프(419)의 레버트리거(424)를 밀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트리거(424)는 아암클램프(419)의 내부에 마련된 레버디스크 셀렉트(422)에 회전축(423)이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트리거(424)의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413)가 구동되어지고, 구동모터(413)의 동작에 의해, 그에 연결된 랙기어(414)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414)는 상기 우측 레버부(420)에 형성되어 있는 랙기어 결합부(441)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우측 레버부(42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우측 레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40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대칭아암(410)에 의해 좌측 레버부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우측 레버부가 구동을 하게 되면 그 동작은 상기 대칭아암(410)에 의해 상기 좌측 레버부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부(420)는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축(406)이 상기 캠공(440)의 하단에 있도록 구동하게 된다.
상술한 레버부(420)의 구동작용이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9a는 디스크의 이젝트 및 인입시에 상기 롤러축(406)이 상기 레버부(420)의 캠공(44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선스프링(421)은 상기 롤러축(406)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안정한 이젝트 및 인입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9b는 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의하면, 상기 롤러축(406)은 상기 캠공(440)의 하단부에서 형성되어 있게 되고, 이때는 상기 선스프링(421)이 상기 롤러축(406)에 탄성력을 부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축(406)을 상기 캠공(440)을 따라서 상, 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탄성력이 상기 롤러축(406)이 상기 캠공(440)의 상단에 있는 경우에만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레버부의 동작을 가져오는 데 적은 부하만이 요구되도록 한다.
상술한 동작은 디스크가 인입되는 경우의 상기 디스크 로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디스크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크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롤러아암을 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롤러아암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시, 소정형상의 장공을 통하여 상기 상,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롤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정량의 산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롤러가 항상 디스크와 평행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삽입될 때 항상 일정한 이젝트 힘을 갖게 되고, 이젝트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성능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롤러와 플레이트 디스크가이드의 사이에서 인입되는 디스크가 항상 평행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이젝트 힘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로딩/이젝트 동작시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공정불량률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성능 및 신뢰도가 향상되어진다.
또한, 롤러조립시 결합부재로 사용되는 롤러부쉬는 상기 롤러아암에 삽입 후, 소정량 회전시켜 상기 롤러부쉬의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돌기를 상기 롤러아암에 형성된 홈에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일종의 고정물(와셔 등) 및 그에 따른 부가적인 작업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부품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양측의 레버에 가설된 스프링은 레버의 전진, 후진 동작에 따라서 롤러축에 탄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디스크의 로딩/이젝트 시 동작부하를 줄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디스크가 삽입 또는 배출될 때에만 스프링의 탄성이 롤러축에 전달되고 레버가 동작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이 롤러축에 작용하지 않아 로딩/이젝트 시 동작력이 분산되어 동작부하를 줄일 수 있어 성능 및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로딩장치가 조립되어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하부프레임 어세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및 롤러아암이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5b 및 도5c는 상기 도5a에서 결합된 경우의 양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어세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쉬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8a 내지 도8c는 상기 롤러부쉬에 의해 상기 롤러아암과 상기 롤러축이 결합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9a 내지 도9b는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레버부의 동작에 의해 롤러축이 구동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05: 롤러 406: 롤러축
407: 롤러아암 414: 랙기어
420: 레버부 421: 탄성수단
425: 롤러어세이 426: 고정축
427: 결합홈 428: 장공
430: 롤러부쉬 431: 측벽
432: 연결부 433: 요홈
434: 롤러부쉬조립부 437: 슬라이딩공
438: 고정돌출부 439: 연결돌기
440: 캠공 441: 랙기어 결합부

Claims (10)

  1. 본체의 입구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축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롤러 아암과,
    상기 롤러아암과 롤러축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롤러축을 상, 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의 결합공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장공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아암의 고정축의 움직임에 의해, 디스크의 인입시 관련되는 상기 롤러아암 및 상, 하부 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정량의 산포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축에서 회전하면서 슬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아암과 상기 롤러축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롤러부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쉬는 양 측벽을 사이에 두고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 중 어느 한 측벽에 소정형상의 연결부가 마련되고, 그 연결부의 한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고정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의 로딩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쉬는 롤러축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쉬의 양 측벽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는 롤러아암이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쉬의 연결부에 마련된 고정돌기는 상기 롤러아암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축과 롤러아암을 일체로 형성, 구동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되어있는 상기 구동부는 레버부와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선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의 로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레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소정개수의 연결돌기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소정개수의 슬라이딩공과,
    디스크의 이젝트 및 로딩 시 상기 롤러축을 상하 이동하기 위해 마련된 S자 형상의 캠공과,
    상기 롤러축이 상기 S자 형상의 캠공의 상단에 있는 경우, 상기 롤러축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마련되는 탄성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개수의 고정돌출부가 마련되되,
    상기 우측 레버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랙기어와 결합하기 위한 랙기어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레버부는 롤러아암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대칭아암에 의해 상호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1020040048265A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20050122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65A KR200501226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JP2004266785A JP2006012372A (ja) 2004-06-25 2004-09-14 車両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ローディング装置
CNA200410082414XA CN1713290A (zh) 2004-06-25 2004-09-17 用于车辆的光盘播放器的加载设备
US10/968,530 US20050289569A1 (en) 2004-06-25 2004-10-19 Loading device of compact disk play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65A KR200501226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658A true KR20050122658A (ko) 2005-12-29

Family

ID=355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65A KR200501226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89569A1 (ko)
JP (1) JP2006012372A (ko)
KR (1) KR20050122658A (ko)
CN (1) CN17132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1448B (zh) * 2007-03-30 2011-03-30 日本先锋公司 信息处理装置
CN101611447B (zh) * 2007-05-31 2011-03-09 日本先锋公司 信息处理装置
US10534138B2 (en) 2015-12-22 2020-0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Module board coupling
US9836096B1 (en) * 2016-09-30 2017-12-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lignment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966A (ja) * 1984-04-30 1985-11-18 Sony Corp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GB2218254B (en) * 1988-04-30 1992-11-11 Alpine Electronics Inc Disc player
US5226028A (en) * 1989-02-16 1993-07-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k player
US5166917A (en) * 1989-12-20 1992-11-24 U.S. Philips Corporation Centering device for disks of different sizes for use in a disc-record player
EP0457388A1 (en) * 1990-05-14 1991-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c player, and actuating unit for use in the disc player
JP2784971B2 (ja) * 1992-02-25 1998-08-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DE4326386A1 (de) * 1992-08-10 1994-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abspielgerät-Mechanik
JP3402408B2 (ja) * 1994-11-02 2003-05-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3619133B2 (ja) * 2000-08-31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427359B1 (ko) * 2002-02-25 2004-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3290A (zh) 2005-12-28
JP2006012372A (ja) 2006-01-12
US20050289569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7795C (zh) 光盘驱动装置
US5467334A (en) Disk player mechanism
US20080148301A1 (en) Disk Apparatus
KR20050122658A (ko)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100427359B1 (ko)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10043711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H1122725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CN1203485C (zh) 汽车光盘播放器的盘导向装置
US6646973B2 (en) Disk device having disk transferring mechanism capable of shortening disk replacement time
KR100357738B1 (ko) 디스크재생장치의디스크센터링기구
US6665256B2 (en) Floating chassis fixing device for a disc player
KR100584983B1 (ko) 슬롯인 타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
JP496032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1286640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4736865B2 (ja) ディスク装置のスロ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US8352973B2 (en) Disk and discharge slider apparatus
JP200731092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CN116774791A (zh) 硬盘托架及服务器
JP521653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524781B1 (ko) 디스크 체인저
KR0139967Y1 (ko) 디스크 재생장치
KR10077346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소형디스크 차단장치
JP4156586B2 (ja) ディスク処理装置
KR0149236B1 (ko) 카-씨디의 데크 어셈블리를 홀딩 및 플로우팅하기 위한 장치
KR920005759B1 (ko) 디스크 로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