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493A -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493A
KR20050121493A KR1020040046646A KR20040046646A KR20050121493A KR 20050121493 A KR20050121493 A KR 20050121493A KR 1020040046646 A KR1020040046646 A KR 1020040046646A KR 20040046646 A KR20040046646 A KR 20040046646A KR 20050121493 A KR20050121493 A KR 2005012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
group
extract
diabet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876B1 (ko
Inventor
한창규
박철수
강병욱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87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다래 추출물이 함유된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가 있어 당뇨병 증상 개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HEALTHY FOOD CONTAINING KIWIFRUIT EXTRACT FOR DIEBETES PATIENT'S DIET}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부터 갑자기 증가하여 현재 20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한다. 당뇨병은 40∼50세에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문화병으로 취급되고 있으나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소아 당뇨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요한 병징으로는 당, 지방 및 단백질 대사에 이상을 초래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고혈당이 나타나게 된다.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를 '혈당의 정상 유지'에 두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치료방법으로 경구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인슐린요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약물치료방법만으로는 어느 정도의 인체 혈당조절 기능마저도 약물에 의존하게 되어 그 기능이 퇴화해 버린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뇨병 환자에게는 상기 치료방법들과 식이요법을 병행하여 혈당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미국의 UGDP(University Group Diabetes Program)에서도 여러 병원의 공동연구를 발표하면서 식이요법만으로도 당뇨병환자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결론을 지었고, 이 외에도 수많은 연구와 논문이 발표되면서 식이요법은 이론적 근거가 충분한 관리법의 하나로 정립되어, 당뇨병 환자의 80%까지도 식이요법만으로 만족한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당뇨병 환자가 당뇨병의 식이요법에 얼마나 순응할 수 있는지는 당뇨병 환자의 식사처방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요인에 따라 다르다. 사회 심리적 요인으로 당뇨병 악화에 대한 위협성, 의료진과의 관계, 주관적 규범, 사회적 지지 등이 있으나 특히 당뇨병 환자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 실천의지 등이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 프로그램이 환자마다 개별적으로 처방되어야 하고 환자가 충분히 식이요법 프로그램을 이해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므로, 식사 처방의 지나친 복잡성, 환자의 이해 및 의지력 부족으로 인하여 절반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이 식이요법에 실패하는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다.
그러므로 사회 심리적 요인에 의해 식이요법에 실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으로서 섭취가 용이하고 혈당강하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참다래(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는 본초강목에는 심한 갈증과 번열을 멎게 하고 석림을 치료하며 비위(脾胃)를 차게하고 열시에 막힌 증과 반위(反胃)를 치료하는 것으로 한방적 효능이 알려져 있다.
다래 추출물에 관한 의약적 효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8118호에는 항 알러지 및 항 염증성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37061호에는 간기능 보호작용 및 암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목화의 개화기 이전의 미성숙 다래로부터의 추출물의 생리학적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1716호에는 진통 및 소염 활성을 갖는 개다래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다래 추출물의 혈당강하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4024호에는 참다래에 홍삼, 감초, 과당을 첨가하거나 또는 이것에 이산화탄소를 충진하여 만든 건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종래에 알려진 참다래 및 홍삼의 효능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이고, 또한 맛의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서 감초와 과당을 첨가한 것으로서, 고혈당 증상이 나타나는 당뇨병 환자에게 당분이 주성분으로 함유된 상기 등록특허의 건강음료를 식이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적당하지 못하다.
본 발명자는 당뇨병 환자에게 약물투여와 병행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에 참다래 추출물이 혈당강하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으로서 혈당강하 효과가 있고, 섭취가 용이하여 당뇨병 증상 개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 및 섭취가 용이하여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이 가능하며 당뇨병 증상 개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 및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당뇨 환자의 식이요법에 사용되기 위해 참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참다래 추출물은 열수와 주정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참다래 분말은 에탄올(Ethanol)을 용매로 하는 주정 추출물을, 음료는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 할 수 있다. 식품 제조 시에 첨가되는 성분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 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을 다양화함으로서 식이요법을 중단하지 않도록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국수, 빵 등의 고상식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음료 및 다류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투여형태가 정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으로 섭취가 용이하고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혈당을 낮춰 당뇨병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다래 추출물의 분말 형태의 첨가식이 제조
참다래를 잘게 썬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 하였으며, 상기 분말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침적시켜 추출하였고, 이 조작을 3회 실시하여 감압 건조한 후 정제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 첨가 식이는 기본식이에 중량비(ω)로 첨가하였고, 제조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당뇨쥐의 성장률과 식이효율 변화 실험
가. 실험식이
실험식이는 AIN-diet를 기본식이로 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참다래의 열수와 주정추출물의 분말군(2.5%, 5.0%)은 기본식이에 중량비(w/w)로 첨가하였고, 참다래의 열수와 주정추출물의 음료군(2.0%, 1.0%)은 적량을 생수에 희석하였다. 대조군은 일반 대조군(음성)과 당뇨 대조군(양성)으로 하였다.
나. 실험동물과 당뇨유발
실험동물은 평균체중이 300g 되는 S.D.계통 숫컷흰쥐(Sprague DawLey rat)를 사용하였다. 실험처리 전 STZ(Streptozotocin, A0130, Sigma)를 흰쥐 체중 1kg 당 45~50mg이 되도록 0.1M의 구연산염 완충용액(Citrate Buffer: pH=4)에 녹여서 0.2㎖ 정도 복강 주사(IntraperitoneaL injection)하였다. STZ투여 후 7일에 Precision PlusTM Electrodes(Medisense Contract Manufacturing Ltd, United Kingdom)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여 250mg/㎗ 이상 되는 쥐를 선별하여 난괴법으로 처리군 당 7마리씩 배치하였다(표 2).
다. 분석방법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법(α= 0.05)을 이용하여 P<0.05를 기준으로 처리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라. 실험결과
참다래 추출물이 실험기간 중 당뇨쥐의 체중, 증체량, 식이섭취량 및 음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표 3~7과 같다.
실험기간 중 체중은 참다래식이군(A, B)이 지속적인 증가경향인 반면 참다래음료군(C, D)은 3주 이후 감소경향이었으며 두 대조군(E, F)은 실험 4주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실험기간 중 증체량은 참다래식이군 중 A군은 3주에 1.98g/day으로 감소하였고, 5주에는 -0.47g/day로 군의 성장이 부(負)의 성장을 나타내었다. B군은 4주, 5주에 각각 0.25g/day, 1.40g/day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참다래음료군(C, D)은 4주와 5주에 각각 부의 성장을 하였고 두 대조군(E, F) 역시 실험 4주에 감소하였으며 5주에는 각각 -0.63g/day, -0.54g/day으로 부의 성장을 나타내었다. 증체량은 참다래식이 중 B군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실험기간 중 식이섭취량은 참다래식이군(A, B)에서는 계속 증가하다가 실험 5주에 감소하였고, 참다래음료군(C, D)은 실험 4주부터 감소하였다. 두 대조군(E, F)은 각각 실험 2주와 3주를 정점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기간 중 일일 평균 식이섭취량은 A군 25.05±2.43g, B군 24.55±1.95g, C군 25.10±2.88g, D군 25.12±2.72g, E군 24.24±4.62g, F군 23.10±3.06g으로 처리군간 차이가 없었다(표 5). 한편, 당뇨주사 후 실험 배치 전, 2주동안의 일일 식이섭취량은 A군 35.2±4.80g, B군 36.4±8.19g, C군 32.0±4.19g, D군 28.9±5.24g, E군 31.3±1.36g, F군 28.4±3.37g으로 본 실험기간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중 일일 평균 음수량은 하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뇨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더 많았다. 당뇨군의 5주 평균 음수량은 A군 53.0㎖, B군 51.4㎖, C군 103.6㎖, E군 55.0㎖ 으로 F군의 25.8㎖에 비해 현저히 많았으며, 당뇨군 중에는 D군의 음수량이 다른 처리군 보다 현저히 많았다(표 6).
참다래 추출물이 당뇨쥐의 성장률과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하기 표 7과 같다. 당뇨유발군의 개시체중은 294.7~342.3g으로 평균은 318.8±17.2g이었고, 일반대조군은 274.3g으로 가장 낮았다. 5주간의 실험종료 후 체중은 당뇨유발군중 참다래식이군(A, B)에서 각각 449.3g, 446.1g으로 참다래음료군(C, D)의 400.3g, 347.4g과 당뇨대조군(E)의 406.9g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발대조군(F)은 398.7g이었다. 실험기간 중 증체량은 참다래식이군(A, B)이 각각 3.75g/day, 3.71g/day으로 일반대조군의 3.55g/day에 비해 다소 높았다. 식이섭취량은 23.10~25.12g/day으로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간 많았다. 음수량은 당뇨군의 경우 참다래음료군(D)이 103.6㎖/day로 다른 처리군의 51.4~68.6㎖/day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식이효율(Feed efficiency ratio)은 당뇨군 중 참다래식이군(A, B)이 각각 0.150, 0.151로 대조군(F)의 0.154와 비슷하였다(표 7).
<실시예 3> 당뇨쥐의 혈당변화 실험
가. 실험식이, 실험동물과 당뇨유발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나. 분석 방법
임상실험용 효소법을 이용하여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법(α=0.05)을 이용하여 P<0.05를 기준으로 처리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다. 실험결과
참다래가 당뇨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하기 표 8과 같다. 본 실험에서 STZ를 복강주사 후 7일이 지나고 측정한 혈당은 A군 220.0±137.3mg/L, B군 277.0±132.0mg/L, C군 277.0±132.0㎖/L, D군 246.0±101.3㎖/L, E군 294.0±116.4㎖/L, F군 124.0±10.6mg/L이었다. 시험배치 기준혈당은 당뇨대조군(E)을 포함한 당뇨군이 229.0~277.3mg/㎗으로 평균농도는 262.5±21.0mg/㎗이었고, 일반대조군(F)은 129.3mg/㎗이었다. 참다래의 추출물시료(Diet, Drink)를 급여하면서 혈당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E, F)에 비해 당뇨군(A, B, C, D)의 혈당농도 감소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특히 당뇨군의 경우 참다래식이군(A, B)이 참다래음료군(C, D)에 비해 기준혈당에 비해 혈당치 감소가 현저히 높았다(표 8).
<제조실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참다래 추출물 70.0 중량%, 유당 17.5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5.0 중량%, 비타민 C 2.5 중량%, 만니톨 5.0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참다래 추출물 85.0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스 10.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5.0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으로 캅셀에 충전하여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3>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국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참다래 추출물 분말 54 중량%, 소맥분 26 중량%, 전분 16 중량%, 검정 콩가루 4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으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국수를 제조 하였다.
<제조실시예 4>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참다래 추출물 40.0 중량%, 농축사과과즙 13.0 중량%, 비타민 C 2.0 중량%, 구연산 15.0 중량%, 구연산삼나트륨 2.5 중량%, 드링크후레바, 안식향산나트륨 2.5 중량% 및 잔부는 정제수를 배합하여 90℃이상에서 20초간 살균하여 충전한 후 85℃에서 30분간 살균하여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가 있고, 섭취가 용이하여 당뇨병 증상 개선의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식이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 함유 건강기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고상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 함유 건강기능식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또는 다류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 함유 건강기능식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투여형태가 정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증상의 개선을 위한 참다래 추출물 함유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46646A 2004-06-22 2004-06-22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KR10058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46A KR100583876B1 (ko) 2004-06-22 2004-06-22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46A KR100583876B1 (ko) 2004-06-22 2004-06-22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93A true KR20050121493A (ko) 2005-12-27
KR100583876B1 KR100583876B1 (ko) 2006-05-26

Family

ID=3729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46A KR100583876B1 (ko) 2004-06-22 2004-06-22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7B1 (ko) 2012-04-25 2013-12-1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다래나무 줄기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1942959B1 (ko) * 2016-08-26 2019-01-2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다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3625D0 (en) * 1994-11-23 1995-01-11 Scotia Holdings Plc Fortified fruit juice
JP2002338485A (ja) 2001-05-22 2002-11-27 Hideko Iizuka 病気の治療の為のジュースの作り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876B1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990B2 (en) Carbohydrate absorption inhib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11500B1 (en) Fat accumulation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US1048583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ed for increasing endurance performance, and use of the same
CN107080250A (zh) 一种辅助降血糖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JP4974116B2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4949B1 (ko)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9445624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of plant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use and products thereof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I725317B (zh) 新穿心蓮內酯之組成物用於血糖調降之應用
KR101266889B1 (ko) 혈액의 조성 및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KR100583876B1 (ko)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10074477A (ko) 혈당 강하제
KR20140017933A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4040B1 (ko) 누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조절용 약학 조성물, 천연물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KR20140147482A (ko) 용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전증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5830B1 (ko) 알릴이소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00050103A (ko) 데커신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856549A (zh) 一种无糖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CN110856550A (zh) 无糖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535322B1 (ko) 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