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477A - 혈당 강하제 - Google Patents

혈당 강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477A
KR20010074477A KR1020007011210A KR20007011210A KR20010074477A KR 20010074477 A KR20010074477 A KR 20010074477A KR 1020007011210 A KR1020007011210 A KR 1020007011210A KR 20007011210 A KR20007011210 A KR 20007011210A KR 20010074477 A KR20010074477 A KR 2001007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extract
hypoglycemic
whiskers
ch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191B1 (ko
Inventor
지자이-시
이토히로유키
타오지안쉥
왕시아오린
Original Assignee
카즈오 스린
상하이 메이지 헬쓰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오 스린, 상하이 메이지 헬쓰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즈오 스린
Publication of KR2001007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 강하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다.

Description

혈당 강하제 {HYPOGLYCEMIC AGENTS}
근년, 당뇨병의 발생빈도는 고혈압, 암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다. 그 배경으로는 식생활의 풍족함에 따른 칼로리의 과잉섭취, 노동·운동부족,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 이외에, 연령증가에 따른 내당(耐糖)능력 저하에 의한 노년당뇨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은 만성 전신성 대사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만성 고혈당 상태를 나타낸다. 그 발증에는 많은 환경인자와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또는 당수송담체(糖輸送擔體) 유전자의 이상 등, 많은 인자가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혈당의 주요 조절인자는 췌장β세포에서 합성·분비되는 인슐린으로, 고혈당은 인슐린의 결핍 또는 그 작용에 길항하는 인자의 과잉으로 발생한다. 인슐린의 결핍으로 당,단백질, 지방대사의 이상이 일어나고, 그 결과, 액시도시스(acidosis), 위 및 망막의 모세혈관 이상, 말초신경장애, 동맥경화 진전의 촉진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된다.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전신의 모든 조직의 인슐린작용 부족을 해소하고 대사의 정상화를 도모하여 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들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예방·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당뇨병이나 내당능력장애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식이요법(칼로리 제한)이나 운동요법이 행해지고 있고, 이들 치료법으로 혈당을 잘 조절할 수 없는 경우에 약물요법이 행해진다.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은 환자에게 큰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 또한, 약물요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경구 혈당 강하제 등의 약제는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이 통상 먹고 있는 식품 중에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성분을 탐색한 결과,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다고 생각되어지는 여러 가지 식품성분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옥수수 밀기울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오즈 부분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당능력장애 개선제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7-324036). 그러나, 아직까지 유효성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것은 얻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신규한 생약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 강하제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의 겔여과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이다.
칼럼 : Superdex 30 prep grade
칼럼규격 : 16 mm ID * 60cm L
유속 : 1.0 ㎖/min
주입량 : 50 ㎕
용출액 : 10 mM HEPES-NaOH(pH 7.4)/1M NaCl
도 2는 STZ 유발 당뇨병 모델 랫트에서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의 혈당치 강하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옥수수 수염이란 화본과(禾本科, Gramineae)의 옥수수 Zea mays L.의 신선화의 화주와 주두(Corn silk; "옥수수 수염"라고도 한다)이다. 산지는 중국, 일본,한국 등이다. 약리작용으로는 이뇨, 혈압 강하, 담즙분비 촉진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難破恒雄: 和漢藥百科圖鑑 [II]: 131, 1994년, (株)保育社].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옥수수 수염은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는 모든 품종의 옥수수 추출물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한 것은 중국 산동성 품종 액단 12호(掖單 12號) 또는 액단 14호 옥수수 유래의 옥수수 수염의 건조품이다.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은 식물생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옥수수 수염을 채취하여 건조한다. 이어서 용매로 추출한다. 추출은 세절 또는 분쇄한 시료에 대해 약 10∼30배의 물, 수성에탄올, 또는 약산성 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출온도는 상온∼추출용매의 비점온도, 바람직하기로는 열수에 의한 추출이다. 추출시간은 열수의 경우, 30∼수시간 교반하에 행한다. 얻어진 추출액은 그대로 본 발명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추출액의 유효성분을 다시 농축하기 위해서 추출액은 여과, 원심분리에 의해 고체, 액체로 분리하고, 액상부분을 감압하(95℃ 이하)로 농축해도 좋다. 농축액은 다시 분무건조법, 감압건조법 혹은 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하여 수염의 추출물 분말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다시 정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은 단독으로 혈당 강하 작용을 가지나, 다른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식품 추출성분과 함께 사용함으로서 상승적 또는 상가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Berkeley) Saccard]의 배양 균사체의 열수 추출물은 강심작용, 강압작용, 진해작용, 항피로작용 및 혈당 강하작용 등 여러 가지 약리효과를 갖기 때문에(W096/00580), 이 추출물과 함께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함으로서, 상승적 또는 상가적 혈당강하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약효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난바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혈당상승억제, 혹은 혈당강하촉진을 위한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부형제(유당, 전분, 결정 셀룰로오즈 등)를 첨가, 혼합하여 여러 가지 제형(정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등)으로 하여 경구투여할 수 있다. 또한,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음식품에 소량 첨가함으로서 음식품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일상의 식생활중에서 당뇨병의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혈당상승 억제제, 혹은 혈당강하제로서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추출물을 성인에 대해서 1일당 건조고형분으로 0.1∼20g/kg의 범위에서 경구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이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 강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작용 또는 혈당상승 억제작용을 갖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 강하작용 또는 혈당상승 억제작용을 갖는 음식품의 제조를 위한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옥수수 수영의 추출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처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옥수수 수염(중국 산동성 액단 12호) 건조품을 약 15배량의 물에 30분간 침지시킨 후, 1시간 비등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잔사는 약 8배량의 물을가하고, 1시간 동안 비등시켰다. 추출액을 합하고, 100메쉬 체로 여과하였다. 여액은 비중 1.08이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원심분리(2000 r.p.m으로 20분)하고, 그의 상청액은 가열 멸균하여 옥수수 수염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도 1에 이 추출물(건조고형분 3.33g/100㎖)의 겔여과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예
실시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 65.6kg, 동충하초 열수추출물(W096/00580 참조) 3.33kg(고형분 농도 50mg/㎖), 감미료 5.0kg, 시트르산 0.5kg, 말산 0.5kg, 및 향료 0.1kg에 물을 가해 전량을 100kg으로 하고, 교반 용해하였다. 보존료 0.07kg은 알코올 0.5ℓ에 용해하여 첨가하였다. 예비살균 후, 병에 충진, 90℃의 열수에 2시간 침지하였다. 그 후 하룻밤 자연 방냉하여 제품화하였다.
실시예 3 혈당 강하 시험
7주령의 SD (Sprague-Dawley)계 수컷 랫트를 1주간 예비 사육한 후, 스트렙트조토신(streptozotocin: STZ) 50mg/2㎖/kg을 각 랫트의 꼬리 정맥에 투여하였다. STZ투여 후, 3일째 날에 각 랫트의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STZ유발 당뇨병 랫트에 대해서 혈당치의 평균치가 거의 같아지도록 추출물 투여군(6마리)과 대조군(6마리)으로 구분하였다. 정상군(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음)으로 랫트 3마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로 얻은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추출물 투여군에 STZ투여 후 3일째날부터 연속 7일간 경구투여(건조 고형분으로 4.07g/kg)하였다.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다. 각 군의 혈당치의 일간변동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아래와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정상군의 혈당치는 시험기간 중, 약 110mg/㎗로 거의 일정하게 추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STZ유발 당뇨병군은 투여 첫날에는 557mg/㎗로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혈당치를 나타내고, 그 후에는 530mg/㎗전후로 지속적인 고혈당치를 나타내며 증상이 안정되었다.
(2) 이 STZ유발 당뇨병 모델 렛트를 사용한 혈당 강하 시험에서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이 추출물 투여 3일째 날에 혈당치는 370mg/㎗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 후에도 혈당치는 거의 400mg/㎗로 일정하게 낮은 수치로 추이되었다.
(3) 위와 같은 사실로부터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은 혈당강하작용을 가지며,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 유효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하여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의 혈당치 강하작용이 밝혀졌다. 이 추출물은 당뇨병의 예방·치료제로서 또는 내당능(耐糖能) 장해에 기인하는 동맥경화성 혈관장애에 대한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추출물을 음식품에 함유시켜 이를 섭취함으로써 일상 식생활 중에서 지속적으로 당뇨병의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 강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옥수수 수염이 중국 산동성산의 품종 액단 12호 또는 액단 13호 옥수수 유래인 혈당 강하제.
  3.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작용 또는 혈당상승억제 작용을 갖는 음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옥수수 수염이 중국 산동성산의 품종 액단 12호 또는 액단 13호 옥수수 유래인 음식품.
  5. 혈당 강하제 또는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의 사용.
  6. 제 5항에 있어서, 옥수수 수염이 중국 산동성산의 품종 액단 12호 또는 액단 13호 옥수수 유래인 사용.
  7. 옥수수 수염의 추출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처치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옥수수 수염이 중국 산동성산의 품종 액단 12호 또는 액단 13호 옥수수 유래인 처치방법.
KR1020007011210A 1998-04-17 1999-04-16 혈당 강하제 KR10060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07509 1998-04-17
JP10750998 1998-04-17
JP11067998 1998-04-21
JP10-110679 1998-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477A true KR20010074477A (ko) 2001-08-04
KR100601191B1 KR100601191B1 (ko) 2006-07-13

Family

ID=264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210A KR100601191B1 (ko) 1998-04-17 1999-04-16 혈당 강하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601191B1 (ko)
CN (1) CN1297353A (ko)
AU (1) AU3344499A (ko)
WO (1) WO19990539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16A (ko) * 2002-04-22 2003-10-30 변현규 이트 이스
KR20200004737A (ko) * 2018-07-04 2020-01-14 한국식품연구원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섭취로 인한 유해독소 저감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947B2 (ja) * 2000-10-05 2011-08-10 株式会社明治 脂質代謝改善組成物
CN100400081C (zh) * 2004-11-02 2008-07-09 华启洪 治疗糖尿病的药物及生产方法
KR100487695B1 (ko) * 2005-03-30 2005-05-03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수염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CN101254011B (zh) * 2008-04-08 2012-01-11 吉林大学 玉米花丝饮品及其制备方法
JP2011140512A (ja) * 2011-03-30 2011-07-21 Meiji Co Ltd 脂質代謝改善組成物
KR20150061115A (ko) * 2013-11-25 2015-06-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16A (ko) * 2002-04-22 2003-10-30 변현규 이트 이스
KR20200004737A (ko) * 2018-07-04 2020-01-14 한국식품연구원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섭취로 인한 유해독소 저감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191B1 (ko) 2006-07-13
CN1297353A (zh) 2001-05-30
AU3344499A (en) 1999-11-08
WO1999053936A1 (en) 199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0708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body lipid
CN110367422A (zh) 一种黄精桑叶复合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526479A (zh) 一种增强免疫力、降血糖功能的保健药物配方
CN108524673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US5482712A (en) Galenic composition
KR100601191B1 (ko) 혈당 강하제
CN101336965B (zh) 一种用于改善糖耐量、降低血糖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CN110693029A (zh) 一种降血糖桑叶苦瓜功能食品
JP2000198739A (ja) チキン抽出物を含有する脂質代謝改善用ないしは肥満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医薬組成物
JP2000342228A (ja) ヤーコン・桑葉配合茶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33781A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0940133B1 (ko) 지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6949261B2 (en) Compositions for diabetes treatment and prophylaxis
KR100535322B1 (ko) 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3476835B2 (ja) ヤーコン・ウーロン配合食品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28504B (zh) 具有降糖、降脂、降血压功能的复方全谷物咀嚼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40041964A1 (en) Method for preparing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and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prepared thereby
KR100656086B1 (ko) 인진쑥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식후과혈당 억제용 조성물
KR101398715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S61143324A (ja) 血圧、血糖改善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