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216A -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216A
KR20050121216A KR1020057017976A KR20057017976A KR20050121216A KR 20050121216 A KR20050121216 A KR 20050121216A KR 1020057017976 A KR1020057017976 A KR 1020057017976A KR 20057017976 A KR20057017976 A KR 20057017976A KR 20050121216 A KR20050121216 A KR 2005012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bed
fixed catalyst
zone
temperature
prop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106B1 (ko
Inventor
요헨 펫졸트
마르틴 디에털레
하이코 아르놀트
빌헬름 루펠
클라우스 요아힘 뮐러-엥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3113210 external-priority patent/DE10313210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12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2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 C07C45/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45/3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Hx-moieties
    • C07C45/3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Hx-moieties in unsaturated compounds
    • C07C45/35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Hx-moieties in unsaturated compounds in propene or isobut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 C07C51/2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51/2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o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51/25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o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propene, butenes, acrolein or methacrole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5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halides
    • C07C51/6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07C57/04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이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과 일치하지 않고,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을 2개 이상의 고정 촉매층 대역을 포함하고 2개의 연속적인 온도 대역 A, B에 배열된 고정 촉매층 상에서 산화시키는,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METHOD FOR THE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OLEIN}
반응 관(V2A 강철; 외경 30 mm, 벽 두께 2 mm, 내경 26 mm, 길이: 350 cm, 및 전체 길이에 걸쳐 반응 관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열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반응 관의 가운데에 중심을 둔 열 관(외경 4 mm))을 다음과 같이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충전하였다:
구역 1: 길이 50 cm
예비 층으로서 기하형태 7 mm×7 mm×4 mm(외경×길이×내경)의 스테아타이트 고리.
구역 2: 길이 140 cm
기하형태 5 mm×3 mm×2 mm(외경×길이×내경)의 스테아타이트 고리 30 중량% 및 구역 3으로부터의 비지지 촉매 70 중량%의 균질한 혼합물의 촉매 충전물.
구역 3: 길이 160 cm
DE-A 10046957의 실시예 1에 따른 환상(5 mm×3 mm×2 mm = 외경×길이×내경) 비지지 촉매의 촉매 충전물(화학양론: [Bi2W2O9 x 2WO3]0.5[Mo12Co5 .5Fe2 .94Si1 .59K0 .08Ox]1).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처음 175 cm 부분을, 역류로 펌핑되는 염욕 A에 의하여 온도 조절하였다. 역류로 펌핑되는 염욕 B에 의하여 두번째 175 cm 부분을 온도 조절하였다.
상기 기재된 첫번째 반응 단계를 하기 조성의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1로 연속적으로 충전하고, 첫번째 반응 관의 부하량 및 온도 조절을 바꾸었다:
6 내지 6.5 부피%의 프로펜,
3 내지 3.5 부피%의 물,
0.3 내지 0.5 부피%의 CO,
0.8 내지 1.2 부피%의 CO2,
0.01 내지 0.04 부피%의 아크롤레인,
10.4 내지 10.7 부피%의 산소, 및
100%가 되게 하는 나머지의 분자상 질소.
반응 기체 혼합물은 촉매 관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부로 유동한다.
반응 관으로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선택된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의 함수로서 2.3 내지 3.1바아로 변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반응 관 출구에서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소량의 샘플을 취하였다. 온도 대역 A의 마지막에서, 분석 지점이 존재한다.
시간 공간 속도 및 염욕 온도의 함수로서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괄호 안의 문자 E는 실시예를 의미함).
TA, TB는 온도 대역 A 및 B에서의 펌핑에 의해 순환되는 염욕의 온도이다.
CP A는 온도 대역 A의 끝에서 프로펜 전환율(몰%)이다.
CP B는 온도 대역 B의 끝에서 프로펜 전환율(몰%)이다.
SAC는 전환된 프로펜을 기준으로 한 생성물 기체 혼합물에서 아크롤레인 형성의 선택성(몰%)이다.
SAA는 전환된 프로펜을 기준으로 한 생성물 기체 혼합물에서 아크릴산 부산물의 선택성(몰%)이다.
TmaxA, TmaxB는 반응 대역 A 및 B 내에서 반응 기체 혼합물의 최고 온도(℃)이다.
<비교예>
모든 것을 실시예와 같이 수행하였다. 그러나, 고정 촉매층의 충전 구역의 길이는 하기와 같이 변경하였다:
구역 2: 140 cm 대신에 125 cm
구역 3: 160 cm 대신에 175 cm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C)는 비교예를 의미한다.
표 1의 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CP B 값에서 낮은 SAC가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프로펜, 분자상 산소 및 1종 이상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고 분자상 산소 및 프로펜을 1 이상의 O2:C3H6 몰비로 함유하는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을, 반응 단계에서,
- 고정 촉매층은 2개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온도 대역 A, B에 배열되고,
- 온도 대역 A의 온도 및 온도 대역 B의 온도가 둘 다 290 내지 380 ℃의 범위이며,
- 고정 촉매층은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 내의 부피-특이적 활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이행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 온도 대역 A는 40 내지 80 몰%의 프로펜 전환율까지 연장되고,
- 전체 고정 촉매층을 통해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이 1회 통과시에 프로펜 전환율이 90 몰% 이상이며 전환된 프로펜을 기준으로 한 아크롤레인 형성의 선택성이 90 몰% 이상이고,
- 온도 대역 A, B를 통해 반응 기체 혼합물이 유동되는 시간 순서가 온도 대역의 알파벳 순서에 상응하고,
- 고정 촉매층 상의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에 함유된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는 ≥90 l(STP)의 프로펜/고정 촉매층의 l·h이고,
- 반응 기체 혼합물이 온도 대역 A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A와 반응 기체 혼합물이 반응 대역 B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B로부터 형성된 차이 TmaxA-TmaxB가 0 ℃ 이상이 되도록 활성 조성물이 원소 Mo, Fe 및 Bi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금속 산화물인 고정 촉매층 상으로 전달하는,
불균질 촉매작용하에 기체상에서 프로펜을 아크릴산으로 부분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한 불균질 촉매작용하에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부분 산화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WO 00/53556에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프로펜으로부터 출발하는 2-단계 촉매적 기체상 산화에 의한 아크릴산의 제조의 첫번째 산화 단계로서 특히 중요하다. 아크릴산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서 적절한 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 그 자체로서 또는 그의 아크릴 에스테르 형태로서 용도를 가진 중요한 단량체이다. 아크롤레인은 중요한 중간체이다.
분자상 산소 및 반응물 이외에도,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은 다른 이유 중에서도 반응 기체를 폭발 범위 밖으로 유지하기 위해 불활성 기체를 함유한다.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는 한가지 목적은, 다른 방법으로 미리정의된 경계 조건하에서, 반응 단계를 통해 반응 기체 혼합물이 1회 통과시에 매우 높은 아크롤레인의 선택성 SAC(전환된 프로펜의 몰 수를 기준으로 한 아크롤레인으로 전환된 프로펜의 몰 수)를 달성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다른 동일한 경계 조건하에서, 반응 단계를 통해 반응 기체 혼합물이 1회 통과시에 매우 높은 프로필렌의 전환율 CP(사용된 프로펜의 몰 수를 기준으로 한 전환된 프로펜의 몰 수)를 달성하는데 있다.
높은 CP에서 SAC가 높을 때, 이것은 높은 아크롤레인 수율 YAC(YAC는 CP·SAC의 곱임; 즉, 사용된 프로펜의 몰 수를 기준으로 한 아크롤레인으로 전환된 프로펜의 몰 수)에 상응한다.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는 다른 목적은, 매우 높은 아크롤레인의 공간-시간 수율(STYAC)(연속적인 절차에서, 이것은 사용된 고정 촉매층의 단위 부피(리터) 당 및 시간 당 수득된 아크롤레인의 총량임)을 달성하는데 있다.
일정한 주어진 수율 YAC에서, 반응 단계의 고정 촉매층 상에서의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이것은 STP에서 1리터의 고정 촉매층을 통해 시간당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의 성분으로서 전달되는 프로펜의 양(리터)(=l(STP); 표준 조건, 즉 25 ℃ 및 1바아 하에서 적절한 양의 프로펜에 의해 취해진 부피(리터)을 가리킨다)가 클수록, 공간-시간 수율이 더 높아진다.
DE-A 19948241, DE-A 19910506 및 WO 0053556은 상기 기재한 목적이 프로펜의 아크롤레인으로의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에 대해 서두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원칙적으로는 실제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교시한다.
이것은 고정 촉매층 또는 고정 촉매층 대역 내에서, 예를 들어 활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제 촉매 성형체를 활성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로 희석시킴으로써 비교적 낮은 부피-특이적 활성이 달성되어, 고정 촉매층의 총 비용을 적게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DE-A 19948241, DE-A 19910506 및 WO 0053556의 교시의 단점은 적절한 수행 실시예가 없고, 따라서 이러한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의 문제를 미해결된 상태로 남겨두었다는 점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EP-A 1106598은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교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에서 반응 단계의 고정 촉매층은, 부피-특이적 활성이 한 고정 촉매층 대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transition)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온도 대역에 배열될 수 있다.
EP-A 1106598의 교시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 대역 및 온도 대역이 공간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고정 촉매층 대역 및 온도 대역이 공간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상이한 목적들이 나타내는 최적 달성도에 있어 일반적으로 유익하지 않다는 것을 상세한 내부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여러 요인들 중에서도, 이것은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에 기인한 것일 수 있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은 실질적으로 공동 활성(coactive) 방법, 또는 실질적으로 반대 활성(counteractive) 방법으로 취해진다.
이들이 실질적으로 공동 활성 방법으로 취해질 때(예를 들어, 더 차가운 온도 대역 A로부터 더 뜨거운 온도 대역 B로의 이행 및 보다 낮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보다 높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 두 방법 모두 반응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임), 이행 구역에서 달성되는 전체 효과는 빈번하게 원하는 목적을 벗어나며, 이것은, 예를 들어 SAC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들이 실질적으로 반대 활성 방법으로 취해질 때(예를 들어, 더 뜨거운 온도 대역 A로부터 더 차가운 온도 대역 B로의 이행 및 보다 낮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보다 높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 첫번째 방법은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고, 두번째 방법은 반응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짐), 각각의 효과는 이행 구역에서 빈번하게 서로를 상쇄시켜 CP의 감소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단점을 갖지 않는, 다중대역 배열에서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이 프로펜, 분자상 산소 및 1종 이상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고 분자상 산소 및 프로펜을 1 이상의 O2:C3H6 몰비로 함유하는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을, 반응 단계에서,
- 고정 촉매층은 2개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온도 대역 A, B에 배열되고,
- 온도 대역 A의 온도 및 온도 대역 B의 온도가 둘 다 290 내지 380 ℃의 범위이며,
- 고정 촉매층은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 내의 부피-특이적 활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이행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 온도 대역 A는 40 내지 80 몰%의 프로펜 전환율까지 연장되고,
- 전체 고정 촉매층을 통해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이 1회 통과시에 프로펜 전환율이 90 몰% 이상이며 전환된 프로펜을 기준으로 한 아크롤레인 형성의 선택성이 90 몰% 이상이고,
- 온도 대역 A, B를 통해 반응 기체 혼합물이 유동되는 시간 순서가 온도 대역의 알파벳 순서에 상응하고,
- 고정 촉매층 상의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에 함유된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는 ≥90 l(STP)의 프로펜/고정 촉매층의 l·h이고,
- 반응 기체 혼합물이 온도 대역 A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A와 반응 기체 혼합물이 반응 대역 B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B로부터 형성된 차이 TmaxA-TmaxB가 0 ℃ 이상이 되도록 활성 조성물이 원소 Mo, Fe 및 Bi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금속 산화물인 고정 촉매층 상으로 전달하고,
고정 촉매층 중의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이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과 (공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불균질 촉매작용하에 기체상에서 프로펜을 아크릴산으로 부분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드디어 발견하였다.
본원에서, 온도 대역의 온도는, 화학 반응의 부재하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때 온도 대역에 배치된 고정 촉매층의 일부의 온도를 지칭한다. 이 온도가 온도 대역 내에서 일정하지 않을 때, 온도 대역의 온도라는 용어는 온도 대역을 따른 고정 촉매층의 온도의 (수치)평균을 가리킨다. 개개의 온도 대역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시키는 것은 명백히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고정 촉매층을 통한 반응성 통과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온도 대역의 온도와 상이하다. 보통 이것은 온도 대역의 온도 위이고 일반적으로 온도 대역 내에서 최대치(가열 점 최대치)를 통해 진행되거나 최대 값으로부터 시작하여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차이 TmaxA-TmaxB는 80 ℃보다 높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TmaxA-TmaxB는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70 ℃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TmaxA-TmaxB가 20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90 l(STP)/l·h 이상 160 l(STP)/l·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차이 TmaxA-TmaxB는, 한편으로는 온도 대역 A의 온도와 온도 대역 B의 온도가 둘 다 290 ℃ 내지 380 ℃의 범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온도 대역 B의 온도(TB)와 온도 대역 A의 온도(TA) 차이, 즉 TB-TA가 0 ℃ 이하 -20 ℃ 이상 또는 -10 ℃ 이상 또는 0 ℃ 이하 -5 ℃ 이상, 또는 종종 0 ℃ 이하 -3 ℃ 이상일 때 보통 달성된다.
증가된 프로펜 시간 공간 속도하에서(160 l(STP)/l·h 이상 300 l(STP)/l·h 이하, 또는 600 l(STP)/l·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차이 TmaxA-TmaxB는, 한편으로는 온도 대역 A의 온도와 온도 대역 B의 온도가 둘 다 290 ℃ 내지 380 ℃의 범위이고, TB-TA가 0 ℃ 초과 50 ℃ 이하, 또는 5 ℃ 이상 45 ℃ 이하, 또는 10 ℃ 이상 40 ℃ 이하, 또는 15 ℃ 이상 30 ℃ 또는 35 ℃ 이하(예를 들어 20 ℃ 또는 25 ℃)일 때 보통 달성된다.
온도 대역 A의 온도가 305 내지 365 ℃의 바람직한 범위이거나 또는 310 내지 340 ℃의 특히 바람직한 범위일 때, 온도 차이 TB-TA에 관한 상기 언급이 또한 보통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는, 예를 들어 90 l(STP)/l·h 이상 300 l(STP)/l·h 이하, 또는 110 l(STP)/l·h 이상 280 l(STP)/l·h 이하, 또는 130 l(STP)/l·h 이상 260 l(STP)/l·h 이하, 또는 150 l(STP)/l·h 이상 240 l(STP)/l·h 이하, 또는 170 l(STP)/l·h 이상 220 l(STP)/l·h 이하, 또는 190 l(STP)/l·h 이상 200 l(STP)/l·h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50 내지 70 몰% 또는 60 내지 70 몰%의 프로펜 전환율로 연장된 온도 대역 A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작업 압력은 대기압 미만(예를 들어 아래로 0.5바아까지)이거나 대기압 이상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작업 압력은 1 내지 5바아, 종종 1 내지 3바아의 값일 것이다. 보통, 반응 압력은 100바아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의 O2:프로펜 몰비는 1 이상이어야 한다. 종종 이것은 1 초과의 값이다. 전형적으로, 이 비율은 3 이하의 값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의 O2:프로펜 몰비는 종종 1 내지 2, 또는 1 내지 1.5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1회 통과를 기초로 한 프로펜 전환율은 92 몰% 이상, 또는 94 몰% 이상, 또는 96 몰% 이상일 것이다. 아크롤레인 형성의 선택성은 일반적으로 92 몰% 이상, 또는 94 몰% 이상, 종종 95 몰% 이상, 또는 96 몰% 이상 또는 97 몰% 이상일 것이다.
요구되는 분자상 산소의 유용한 원료는 공기 또는 분자상 질소가 결핍된 공기 둘 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고정 촉매층을 위한 유용한 촉매는, 활성 조성물이 Mo, Bi 및 Fe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금속 산화물인 모든 촉매를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DE-A 19955176의 화학식 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DE-A 19948523의 화학식 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DE-A 10101695의 화학식 I, II 및 II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DE-A 19948248의 화학식 I, II 및 II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및 DE-A 19955168의 화학식 I, II 및 II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및 EP-A 700714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이다.
또한, 고정 촉매층을 위해, DE-A 10046957, DE-A 10063162, DE-C 3338380, DE-A 19902562, EP-A 15565, DE-C 2380765, EP-A 807465, EP-A 279374, DE-A 3300044, EP-A 575897, US-A 4438217, DE-A 19855913, WO 98/24746, DE-A 19746210(화학식 II의 것), JP-A 91/294239, EP-A 293224 및 EP-A 700714에 개시된 Mo, Bi 및 Fe를 포함하는 다금속 산화물 촉매가 적절하다. 이것은 특히 이들 서류에 기재된 일례의 실시양태에 적용되고, 이들 중에서 EP-A 15565, EP-A 575897, DE-A 19746210 및 DE-A 19855913의 것이 특히 선호된다. 이 명세서에서는 EP-A 15565로부터의 실시예 1c에 따른 촉매 및 활성 조성물 Mo12Ni6.5Zn2Fe2Bi1P0.0065K0.06Ox·10SiO2를 갖는 것 이외에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촉매가 특히 강조된다. 또한, 5 mm×3 mm×2 mm 또는 5 mm×2 mm×2 mm(외경×높이×내경)의 기하형태를 가진 비지지 중공 원통형 촉매로서 DE-A 19855913으로부터의 일련번호 3을 갖는 예(화학양론: Mo12Co7Fe3Bi0 .6K0 .08Si1 .6Ox) 및 DE-A 19746210의 실시예 1에 따른 비지지 다금속 산화물 II 촉매가 강조된다. US-A 4438217의 다금속 산화물 촉매가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이 치수 5.5 mm×3 mm×3.5 mm, 또는 5 mm×2 mm×2 mm, 또는 5 mm×3 mm×2 mm, 또는 6 mm×3 mm×3 mm, 또는 7 mm×3 mm×4 mm(각각, 외경×높이×내경)의 중공 원통형 기하형태를 가질 때 특히 후자가 올바르다. 유사하게, DE-A 10101695 또는 WO 02/062737의 기하형태를 가진 다금속 산화물 촉매가 적절하다.
또한, 기하형태 5 mm×3 mm×1.5 mm 또는 7 mm×3 mm×1.5 mm(각각 외경×길이×내경)의 고리를 지지하기 위해 적용되고 적절한 코팅 두께의 환상 코팅된 촉매 이외에는, 기하형태 5 mm×3 mm×2 mm 또는 5 mm×2 mm×2 mm(각각 외경×길이×내경)의 비지지 중공 원통형(고리) 촉매로서 DE-A 10046957의 실시예 1(화학양론: [Bi2W2O9× 2WO3]0.5·[Mo12Co5 .6Fe2 .94Si1 .59K0 .08Ox]1), 및 DE-A 10063162의 코팅된 촉매 1, 2 및 3(화학양론: Mo12Bi1 .0Fe3Co7Si1 .6K0 .08)이 적절하다.
고정 촉매층의 촉매를 위해 적절한 다수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은 화학식 I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
Mo12BiaFebX1 cX2 dX3 eX4 fOn
상기 식에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1= 니켈 및(또는) 코발트,
X2= 탈륨,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X3= 아연, 인, 비소, 붕소, 안티몬, 주석, 세륨, 납 및(또는) 텅스텐,
X4= 규소,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지르코늄,
a= 0.5 내지 5,
b= 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c=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d= 0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
e= 0 내지 8,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f= 0 내지 10, 및
n= 화학식 I에서 산소 이외의 원소들의 원자가 및 빈도에 의해 결정되는 값.
이들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DE-A 4023239)으로 수득될 수 있고, 코팅된 촉매 형태로 사용되는 구, 고리 또는 원통형 등을 제공하기 위해 희석되지 않은 형태, 즉 활성 조성물로 코팅된 예비 불활성 지지체 성형체로 통상적으로 입수된다. 이들은 또한 분말 형태의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원칙적으로, 화학식 I의 활성 조성물은 원소 성분의 적절한 공급원으로부터 그들의 화학양론에 상응하는 매우 긴밀하고, 바람직하게는 미세하게 분리된 건조 혼합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350 ℃ 내지 650 ℃의 온도에서 이들을 하소시킴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소는 불활성 기체 하에서 또는 산소 대기, 예를 들어 공기(불활성 기체와 산소의 혼합물)하에서, 또한 환원 대기(예를 들어, 불활성 기체, NH3, CO 및(또는) H2의 혼합물)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소 시간은 수 분 내지 수 시간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온도에 따라 저하된다.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I의 원소 성분을 위해 유용한 공급원은, 이미 산화물인 화합물이고(이거나) 적어도 산소의 존재하에서 가열에 의해 산화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산화물에 추가로, 이러한 유용한 출발 화합물은 특히 할라이드, 니트레이트, 포르메이트, 옥살레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카르보네이트, 아민 착물, 암모늄 염 및(또는) 히드록시드(건조 혼합물 내에 추가로 혼입될 수 있는 기체상 형태로 화합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최후에 후 하소될 때 분해되고(되거나) 분해될 수 있는 NH4OH, (NH4)2CO3, NH4NO3, NH4CHO2, CH3COOH, NH4CH3CO2 및(또는) 암모늄 옥살레이트와 같은 화합물)를 포함한다.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 I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화합물을 건조 또는 습윤 형태로 긴밀하게 혼합할 수 있다. 이들이 건조 형태로 혼합될 때, 출발 화합물은 미세 분리된 분말로 유리하게 사용되고, 혼합 및 임의의 압축 후에 하소된다. 그러나, 습윤 형태로 긴밀하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출발 화합물을 수용액 및(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서로 혼합한다. 특히, 출발 물질이 독점적으로 용해된 형태로 원소 성분들의 공급원일 때, 상기 기재된 혼합 공정으로 긴밀한 건조 혼합물이 수득된다. 사용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이어서, 수득된 수성 조성물을 건조시키고, 건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의 출구 온도에서 수성 혼합물을 분무-건조함으로써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화학식 I의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은 분말 형태가 아닌 오히려 특정한 촉매 기하형태로 성형된 형태로 고정 촉매층에서 사용되고, 최종 하소 전 또는 후에 성형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지지 촉매는, 활성 조성물의 분말 형태로부터 또는 그의 비하소 및(또는) 부분 하소된 전구체 조성물로부터, 임의로 보조제, 예를 들어 윤활제로서의 흑연 또는 스테아르산 및(또는) 성형 보조제 및(또는) 유리, 석면, 탄화규소 또는 티탄산칼륨의 미세섬유와 같은 강화제를 첨가하면서, 원하는 촉매 기하형태로 압축함으로써(예를 들어 타정 또는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비지지 촉매 기하형태의 예는 2 내지 10 mm의 외경 및 길이를 가진 속이 찬 원통형 또는 중공 원통형을 포함한다. 중공 원통형의 경우에, 1 내지 3 mm의 벽 두께가 유리하다. 비지지 촉매는 구형 기하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구형 직경은 2 내지 10 mm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유리한 중공 원통형 기하형태는 특히 비지지 촉매의 경우에 5 mm×3 mm ×2 mm(외경×길이×내경)이다.
가루 활성 조성물 또는 하소 및(또는) 부분 하소되어질 그의 가루 전구체 조성물은, 미리 성형된 불활성 촉매 지지체에 적용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코팅된 촉매를 제조하기 위한 지지체 본체의 코팅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DE-A 2909671, EP-A 293859 또는 EP-A 714700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회전 용기에서 수행된다. 지지체 본체를 코팅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도포되어지는 분말 조성물을 습윤시키고 도포 후에 예를 들어 열풍에 의해 다시 건조시킨다. 지지체 본체에 적용되는 분말 조성물의 코팅 두께는 유리하게는 1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유용한 지지체 물질은 종래의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산화 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이산화토륨, 이산화지르코늄, 탄화규소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첫번째 반응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기초로 하는 표적 반응에 대해 불활성이다. 뚜렷한 표면 조도를 가진 규칙적인 형태, 예를 들어 구 또는 중공 원통형의 지지체 본체가 바람직하긴 하지만, 지지체 본체는 규칙 또는 불규칙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직경이 1 내지 8 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mm인 스테아타이트(예를 들어, 세람테크(CeramTec)로부터의 스테아타이트 C220)로 만들어진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표면-거친 구형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적절한 지지체 본체는 길이가 2 내지 10 mm이고 외경이 4 내지 10 mm인 원통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본체로서 적절한 고리의 경우에, 벽 두께는 전형적으로 1 내지 4 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환상 지지체 본체는 2 내지 6 mm의 길이, 4 내지 8 mm의 외경, 및 1 내지 2 mm의 벽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지지체 본체는 기하형태 7 mm×3 mm×4 mm(외경×길이×내경)의 고리이다. 지지체 본체의 표면에 적용되어지는 촉매적 활성 산화물 조성물의 미세도는 원하는 코팅 두께에 적합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EP-A 714 700 참조).
반응 단계의 촉매를 위해 적절한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은 화학식 II의 조성물이며,
[Y1 a'Y2 b'Ox']p[Y3 c'Y4 d'Y5 e'Y6 f'Y7 g'Y2 h'Oy']q
상기 식에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Y1 = 유일한 비스무트, 또는 비스무트 및 원소 텔루륨, 안티몬, 주석 및 구리의 적어도 하나,
Y2=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및 텅스텐,
Y3= 알칼리 금속, 탈륨 및(또는) 사마륨,
Y4= 알칼리 토금속, 니켈, 코발트, 구리, 망간, 아연, 주석, 카드뮴 및(또는) 수은,
Y5= 철 또는 철 및 원소 크롬 및 세륨의 적어도 하나,
Y6= 인, 비소, 붕소 및(또는) 안티몬,
Y7= 희토류 금속, 티타늄, 지르코늄, 니오븀, 탄탈룸, 레늄, 루테늄, 로듐, 은, 금, 알루미늄, 갈륨, 인듐, 규소, 게르마늄, 납, 토륨 및(또는) 우라늄,
a'= 0.01 내지 8,
b'= 0.1 내지 30,
c'= 0 내지 4,
d'= 0 내지 20,
e'= 0 내지 20,
f'= 0 내지 6,
g'= 0 내지 15,
h'= 8 내지 16,
x', y'= 화학식 II에서 산소 이외의 원소의 원자가 및 빈도에 의해 결정되는 값, 및
p, q= p/q 비율이 0.1 내지 10인 수.
이것은 그들의 국소 환경으로부터의 상이한 화학 조성의 결과로서 국소 환경으로부터 범위가 정해진 화학 조성 Y1 a'Y2 b'Ox'의 3-차원 영역을 포함하고, 그것의 최대 직경(영역의 표면(계면) 위의 2개의 점을 연결하고 영역의 중심을 통하는 가장 긴 선)은 1 nm 내지 100 ㎛, 종종 10 nm 내지 500 nm, 또는 1 ㎛ 내지 50 또는 25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유리한 다금속 산화물 조성물 II은 Y1가 유일하게 비스무트인 것이다.
이들 중에서, 하기 화학식 III의 것이 바람직하다.
[Bia "Z2 b "Ox"]p"[Z2 12Z3 c "Z4 d "Fee"Z5 f "Z6 g "Z7 h "Oy "]q"
상기 식에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Z2 =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및 텅스텐,
Z3= 니켈 및(또는) 코발트,
Z4= 탈륨,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Z5= 인, 비소, 붕소, 안티몬, 주석, 세륨 및(또는) 납,
Z6= 규소,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지르코늄,
Z7= 구리, 은 및(또는) 금,
a"= 0.1 내지 1,
b"= 0.2 내지 2,
c"= 3 내지 10,
d" = 0.02 내지 2,
e" = 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f" = 0 내지 5,
g" = 0 내지 10,
h" = 0 내지 1,
x", y" = 화학식 III에서 산소 이외의 원소의 원자가 및 빈도에 의해 결정되는 값, 및
p", q" = p"/q" 비율이 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인 수.
특히 바람직한 것은 Z2 b " = (텅스텐)b" 및 Z2 12 = (몰리브덴)12인 조성물 III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다금속 산화물 조성물 II(다금속 산화물 조성물 III)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다금속 산화물 조성물 II(다금속 산화물 조성물 III)의 [Y1 a'Y2 b'Ox']p([Bia "Z2 b "Ox"]p")의 전체 비율의 25 몰% 이상(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몰% 이상)이 화학 조성 Y1 a'Y2 b'Ox'[Bia "Z2 b "Ox"의 3-차원 영역의 형태로 존재할 때가 유리하고, 여기에서 이 범위는 그들의 국소 환경으로부터의 상이한 화학 조성의 결과로서 국소 환경으로부터 범위가 정해지고, 최대 직경은 1 nm 내지 100 ㎛의 범위이다.
성형에 관하여, 다금속 산화물 I 촉매에 대한 언급이 다금속 산화물 II 촉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다금속 산화물 II 활성 조성물의 제조는 예를 들어 EP-A 575897 및 DE-A 1985591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 촉매층이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 내에서의 부피-특이적 활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정 층 촉매 대역의 부피-특이적(즉, 특정 층 부피의 단위로 표준화된) 활성은 균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촉매 성형체(이들 층은 달성가능한 최대의 부피-특이적 활성에 상응함)의 기본 량으로부터 출발하여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 산화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활성으로 거동하는 성형체(희석제 성형체)로 특정 고정 촉매층 대역에서 균질하게 희석시킴으로써, 고정 촉매층 대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선택된 희석제 성형체의 비율이 높을수록, 특정 부피의 층에 존재하는 활성 조성물 및 촉매의 활성이 낮아진다. 이러한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를 위해 유용한 물질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코팅된 촉매에 지지체 물질로서 적절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유용한 물질은 예를 들어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이산화토륨, 이산화지르코늄, 탄화규소,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 또는 상기 이미 언급된 스테아타이트(예를 들어, 세람테크로부터의 스테아타이트 C-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의 기하형태는 원칙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예를 들어 구, 다각형, 속이 찬 원통형 또는 기타 고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는 이들에 의해 희석되어지는 촉매 성형체의 기하형태에 상응하는 기하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된 활성 조성물의 화학 조성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변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해서, 단일 촉매 성형체를 위해 사용되는 활성 조성물은 원소 Mo, Fe 및 Bi를 포함하는 상이한 다금속 산화물의 혼합물일 수 있긴 하지만, 고정 촉매층의 모든 촉매 성형체를 위해서 동일한 혼합물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첫번째 고정 촉매층 대역에서 1종의 촉매 성형체를 기준으로 하여 고 비율의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를 가진 층으로 시작한 다음, 유동 방향에서 대역별로 희석제 성형체의 상기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고정 촉매층에 걸쳐 대역별로 부피-특이적 활성 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일정한 기하형태의 대역별 지지체 및 코팅된 촉매 성형체의 활성 조성물 유형 또는 동일한 기하형태를 갖지만 활성 조성물의 중량 비율이 상이한 코팅된 촉매의 혼합물에 적용되는 활성 조성물 층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높은 대역별 활성 조성물 중량 비율을 가진 촉매 성형체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부피-특이적 활성의 대역별 증가가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경질-소성(hard-fired) 실리카와 같은 불활성 희석 물질을 하소시키고자 하는 출발 화합물의 건조 혼합물 내에 혼입시킴으로써 활성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활성 조성물 자체가 희석될 수 있다. 상이한 양의 희석 물질을 첨가하면, 자동적으로 상이한 활성이 얻어진다. 더 많은 희석 물질이 첨가되면 얻어지는 활성이 더 낮아질 것이다. 예를 들어 비지지 촉매 및 코팅된 촉매의 혼합물(동일한 활성 조성물을 가짐)의 경우 혼합 비율을 적절한 방식으로 바꿈으로써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층 밀도를 갖는 촉매 기하형태(예를 들어 상이한 기하형태이지만 동일한 활성 조성물을 가진 비지지 촉매의 경우)를 사용함으로써 부피-특이적 활성의 변경도 달성될 수 있다. 설명된 변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화학적으로 상이한 활성 조성물을 갖고, 이러한 상이한 조성물의 결과로서 고정 촉매층에 대해 상이한 활성을 갖는 촉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혼합물은 차례로 대역별로 이들의 조성이 변경되고(거나) 상이한 양의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로 희석될 수 있다.
고정 촉매층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불활성 물질(예를 들어 단지 희석제 성형체) 단독으로 구성된 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본 문헌에서, 이들은 다금속 산화물 활성 조성물을 가진 성형체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 촉매층에서의 용어설명에 포함되지 않음). 불활성 층을 위해 사용되는 희석제 성형체는 고정 촉매층에서 사용되는 촉매 성형체와 동일한 기하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불활성 층을 위해 사용되는 희석제 성형체의 기하형태는 촉매 성형체의 상기 언급된 기하형태(예를 들어, 환상 대신 구형)와 상이할 수 있다.
종종, 불활성 층을 위해 사용된 성형체는 7 mm×7 mm×4 mm(외경×길이×내경)의 환상 기하형태 또는 d=4 내지 5 mm의 직경을 가진 구형 기하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온도 대역 A 및 B는 불활성 층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는 둘 다 3개 이하의 고정 촉매층 대역을 덮는 것이 유리하다(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촉매층 대역은 온도 대역 둘 다에 의해 반드시 덮여야 함).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고정 촉매층이 5개 이하, 유리하게는 4개 또는 3개 이하의 고정 촉매층 대역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시(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부피-특이적 활성 조성물(즉, 균일 층 부피 중에 존재하는 다금속 산화물 조성물의 중량)은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증가되는 것이 유리하다(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활성 조성물인 경우)(이것은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촉매 성형체인 경우 특히 적용됨).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증가는 50 중량% 이하, 통상적으로 40 중량% 이하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활성 조성물인 경우, 최소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 및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 간의 부피-특이적 활성 조성물의 차이도 또한 유리하게는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일반적으로 3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고정 촉매층은 흔히 단지 2개의 고정 촉매층 대역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최종 고정 촉매층 대역이 희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독점적으로 촉매 성형체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불활성 물질로 예를 들어 10% 희석시킴으로써 부피-특이적 활성이 감소된 촉매 성형체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이 단지 2개의 고정 촉매층 대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로 연장되지 않는 것(특히, 반응 기체 혼합물에 대해 각각 역류인 유동 열 담체(flowing heat carrier)에 의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에서 가열이 수행되는 경우)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당히 일반적임). 다시 말해서, 최소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B로 연장되고,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B에서 시작하고 끝날 수 있다(즉, 이것의 시작이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이 끝난 후임).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이 단지 3개의 고정 촉매층 대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A로 연장되지 않는 것(특히, 반응 기체 혼합물에 대해 각각 역류인 유동 열 담체에 의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에서 가열이 수행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다시 말해서, 두번째로 큰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보통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로 연장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이 4개의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는 경우, 세번째로 큰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로 연장되는 것(특히, 반응 기체 혼합물에 대해 각각 역류인 유동 열 담체에 의해 온도 대역 A 및 온도 대역 B가 가열되는 경우)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 및 B 중에서 반응 기체 혼합물 및 열 담체가 병류로 유동하는 경우,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A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프로펜-함유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이,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특정한 고정 촉매층 대역의 조성물에 각각 상응하는 고정 촉매층에 걸쳐 동일한 경계 조건(바람직하게는 계획된 방법의 조건)하에 수행되는 방식으로, 2개의 고정 촉매층 대역 사이에서 실험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부피-특이적 활성을 구별할 수 있다. 전환된 프로펜의 양이 더 많을수록 더 높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의 전체 길이를 L이라 할 때, X ± L·4/100, 또는 X ± L·3/100, 또는 X ± L·2/100(여기서 X는 고정 촉매층 내에서의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 지점(위치)임)의 범위 내에서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의 고정 촉매층이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다음과 같이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먼저, 각각 고정 촉매층 1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즉, 예를 들어 0.70 내지 1.50 m, 바람직하게는 0.90 내지 1.20 m의 길이)까지, 촉매 성형체 및 희석제 성형체(둘 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하형태를 가짐)의 균질 혼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희석제 성형체의 비율{촉매 성형체 및 희석제 성형체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단지 약간만 상이함)은 보통 5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단지 약간의 정도(첫번째 대역에서보다)로 희석된 촉매 성형체의 층에 의해,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첫번째 대역에서 사용되어진 것과 동일한 촉매 성형체의 동반되지 않은(희석되지 않은) 층에 의해, 고정 촉매층의 상기 첫번째 대역이 고정 촉매층 길이의 마지막 부분(즉, 예를 들어 2.00 내지 3.00 m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00 m의 길이)에 이어진다. 고정 촉매층에서 사용되는 촉매 성형체가, 비지지 촉매 고리 또는 코팅된 촉매 고리(특히, 바람직하게는 이 문헌에 기재된 것)일 때 특히 상기 언급된 내용이 적용된다. 상기 언급된 구조화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촉매 성형체 및 희석제 성형체는 둘 다 실질적으로 고리 기하형태 5 mm×3 mm×2 mm을 갖는다(외경×길이×내경).
불활성 희석제 성형체 대신에, 고정 촉매층의 마지막에서 코팅된 촉매 성형체의 활성 조성물 함량보다 2 내지 15 중량% 낮은 활성 조성물 함량을 가진 코팅된 촉매 성형체가 사용될 때, 상기 언급된 내용이 또한 적용된다.
고정 촉매층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유리하게는 길이가 5 내지 20%인 순수 불활성 물질 층은 일반적으로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고정 촉매층에 이른다. 이는 보통 반응 기체 혼합물을 위한 가열 대역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고정 촉매층에서 낮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B로 그의 길이의 5 내지 20%, 흔히 5 내지 15%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는 임의로 사용되는 불활성 물질의 예비 층으로 연장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적용 관점에서 볼 때 유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DE-A 19910508, 19948523, 19910506 및 19948241에 기재된 것과 같이 2-대역 관 다발 반응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발명에 따른 반응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2-대역 관 다발 반응기의 바람직한 변형은 DE-C 2830765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첫번째 반응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DE-C 2513405, US-A 3147084, DE-A 2201528, EP-A 383224 및 DE-A 2903218에 개시된 2-대역 관 다발 반응기도 또한 적절하다.
다시 말해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고정 촉매층(가능하다면 하류 및(또는) 상류 불활성 층)을 관 다발 반응기의 금속 관에 배치하고, 2개의 공간적으로 떨어진 가열 매질, 일반적으로 염 용융물을 금속 관 주위로 통하게 한다. 특정한 염욕이 뻗어있는 관 구역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대역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염욕 A는(1회 통과시에) 40 내지 80 몰%의 전환율이 달성될 때까지 프로펜이 산화적으로 전환되는 관 구역(온도 대역 A) 주위를 유동하고, 염욕 B는(1회 통과시에) 90 몰% 이상의 전환율 값이 달성될 때까지 프로펜이 이어서 산화적으로 전환되는 관 구역(반응 대역 B) 주위를 유동한다(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온도 대역 A, B 다음에 개별적인 온도로 유지되는 추가의 반응 대역이 뒤따를 수 있음).
적용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반응 단계가 추가의 온도 대역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해서, 염욕 B는 유리하게는 관 구역 주위를 유동하고, 여기에서 프로펜은(1회 통과시에) 90 몰% 이상, 또는 92 몰% 이상, 또는 94 몰% 이상 또는 그 이상의 전환율 값까지 연속적으로 산화적으로 전환된다.
전형적으로, 온도 대역 B의 시작은 온도 대역 A의 가열 점 최대 치 밖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욕 A, B 양쪽 모두는, 반응 관을 통해 유동하는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반응 관을 둘러싼 공간을 통해 병류 또는 역류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류 유동이 온도 대역 A에 적용되고 역류 유동이 온도 대역 B에 적용될 수 있는 것(또는 그 반대)으로 이해된다.
상기 언급된 모든 경우에서, 특정한 온도 대역 내의 위치를 가진 반응 관에 대하여 염 용융물의 평행한 유동 위에 횡방향 유동이 겹쳐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따라서 각각의 온도 대역은 EP-A 700714 또는 EP-A 700893에 기재된 것과 같이 관 다발 반응기에 상응하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촉매 관 다발을 통해 세로 구획에서 열 교환 매질의 구불구불한 유동 형태가 얻어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은 반응 온도로 미리 가열된 고정 촉매층으로 공급된다.
전형적으로, 2-대역 관 다발 반응기에서 촉매 관은 페라이트 강철로부터 제조되며, 전형적으로 1 내지 3 mm의 벽 두께를 갖는다. 이들의 내경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30 mm, 종종 21 내지 26 mm이다. 이들의 길이는 유리하게는 2 내지 4 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m이다. 각각의 온도 대역에서, 고정 촉매층은 대역 길이의 60% 이상, 또는 75% 이상, 또는 90% 이상을 차지한다. 임의의 나머지 길이는 임의로 불활성 층에 의해 차지된다. 적용 관점에서 볼 때, 관 다발 용기에 수용된 촉매 관의 수가 500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개 이상인 것이 유리하다. 종종, 반응 용기에 수용된 촉매 관의 수는 15000개 내지 30000개이다. 40000개 이상의 다수의 촉매 관을 가진 관 다발 반응기는 보통 예외적이다. 용기 내에서, 촉매 관은 보통 균일하게 분포되고(바람직하게는 촉매 관 당 6개의 등거리로 인접한 관), 분포는 바로 인접한 촉매 관의 중심 내부 축 간의 거리(촉매 관 피치)가 35 내지 45 mm가 되도록 유리하게 선택된다(예를 들어 EP-B 468290 참조).
2-대역 방법을 위해 유용한 열 교환 매질은 특히 유체 가열 매질이다. 질산칼륨, 아질산칼륨, 아질산나트륨 및(또는) 질산나트륨과 같은 염 용융물, 또는 나트륨, 수은 및 상이한 금속들의 합금과 같은 저-융점 금속의 용융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2-대역 관 다발 반응기에서 상기 언급된 모든 유동 배열에 있어서, 요구되는 2개의 열 교환 매질 회로 내의 유동 속도는, 열 교환 매질의 온도가 온도 대역으로의 입구로부터 온도 대역으로부터의 출구까지 0 내지 15 ℃씩 증가하도록(반응의 발열성의 결과로서)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언급된 ΔT는 본 발명에 따라서 1 내지 10 ℃, 또는 2 내지 8 ℃, 또는 3 내지 6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 내로 열 교환 매질의 입구 온도는 290 내지 380 ℃, 바람직하게는 305 내지 36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내지 340 ℃ 또는 33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 시간 공간 속도가 90 l(STP)/l·h 이상 160 l(STP)/l·h 미만인 경우, 유사하게, 온도 대역 B 내로 열 교환 매질의 입구 온도는 290 내지 380 ℃이지만,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로 들어가는 열 교환 매질의 입구 온도 미만으로 보통 0 ℃ 이상 내지 20 ℃ 이하, 또는 10 ℃ 이하, 또는 0 ℃ 이상 5 ℃ 이하, 또는 종종 0 ℃ 이상 3 ℃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 시간 공간 속도가 160 l(STP)/l·h 이상 (일반적으로)300 l(STP)/l·h(또는 600 l(STP)/l·h) 이하인 경우, 유사하게, 온도 대역 B 내로 열 교환 매질의 입구 온도는 290 내지 380 ℃이지만,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대역 A로 들어가는 열 교환 매질의 입구 온도 위로 보통 0 ℃ 초과 내지 50 ℃ 이하, 또는 5 ℃ 이상 45 ℃ 이하, 또는 10 ℃ 이상 40 ℃ 이하, 또는 15 ℃ 이상 30 ℃ 이하 또는 35 ℃ 이하(예를 들어 20 ℃ 또는 25 ℃)인 것이 유리하다.
이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반응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냉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또는 냉 순환 기체를 임의로 가열하기 위해 온도 대역 B의 더욱 고온의 열 교환 매질을 온도 대역 A로 제거하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특히 DE-B 2201528에 기재된 2-대역 관 다발 반응기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시 한번 지적된다. 각각의 온도 대역 내의 관 다발 특징은 EP-A 38209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도 있다.
아크롤레인은 반응 단계를 떠나는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고, 잔류 기체의 일부는 희석제 기체로서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펜 부분 산화 중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함유된 아크롤레인의 아크릴산으로의 하류 불균질 촉매화 부분 산화의 변경에 유리하게 사용될 것이다. 프로펜 산화 단계에서 형성된 아크롤레인 일부가 후속해서 완전히 연소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이것을 직접 및(또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하류 반응 단계로 들어가기 전에 냉각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후냉각기가 두 반응 단계 사이에 배치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 상기 후냉각기는 간접적 관 다발 열 교환기일 수 있다. 계속해서, 이러한 아크롤레인 산화에 유리한 초화학량론(superstoichiometric) 산소 함량을 제공하기 위해 산소는 일반적으로 공기의 형태로 공급된다. 이러한 아크롤레인 부분 산화는 본 발명의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의 프로펜 함량은 예를 들어 4 내지 15 부피%, 종종 5 내지 12 부피%, 또는 5 내지 8 부피%(각각의 경우에 전체 부피를 기초로 하여)의 값일 수도 있다.
종종,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1 중에 1:(1.0 내지 3.0):(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1.7 내지 2.3):(10 내지 15)의 프로펜:산소:불활성 기체(증기 포함) 부피비로 수행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활성 기체의 부피의 20% 이상은 분자상 질소로 구성될 것이다. 그러나, 불활성 기체의 30 부피% 이상, 또는 40 부피% 이상, 또는 50 부피% 이상, 또는 60 부피% 이상, 또는 70 부피% 이상, 또는 80 부피% 이상, 또는 90 부피% 이상, 또는 95 부피% 이상이 분자상 질소로 구성될 수 있다(이 문헌에서, 불활성 희석제 기체는 일반적으로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 반응 단계를 통해 1회 통과시에 전환되고; 분자상 질소에 추가로 이들은 예를 들어 프로판, 에탄, 메탄, 펜탄, 부탄, CO2, CO, 증기 및(또는) 영족 기체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의 불활성 희석제 기체의 50 몰% 이하, 또는 75 몰% 이하 또는 그 이상은 프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아크롤레인 및(또는) 아크릴산이 제거된 후에 남은 것과 같이(예를 들어 하류 두번째 산화 단계의 경우), 희석제 기체의 다른 구성성분은 순환 기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한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은, 예를 들어 DE-A 10302715에 의해 추천된 바와 같이,
6 내지 15(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부피%의 프로펜,
4 내지 20(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부피%의 물,
0 내지 10(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부피%의 프로펜, 물, 산소 및 질소 이외의 구성 성분,
존재하는 프로펜에 대한 존재하는 산소의 몰비가 1.5 내지 2.5(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인 충분한 몰량의 산소, 및 나머지가 총량 100 부피%가 되게 하는 분자상 질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DE-A 10261186의 다금속 산화물 조성물이 고정 촉매층을 위해 활성 조성물로서 유리한 것으로 강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 단계를 위한 2-대역 관 다발 반응기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하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구조의 상세한 형태는 실용실안 202 19 277.6, 2002 19 278.4 및 202 19 279.2 또는 PCT 출원 PCT/EP02/14187, PCT/EP02/14188 또는 PCT/EP02/14189에 기재된 것과 같을 수 있음):
촉매 관:
촉매 관의 재료: 페라이트 강철;
촉매 관의 치수: 길이, 예를 들어 3500 mm;
외경, 예를 들어 30 mm;
벽 두께, 예를 들어 2 mm;
관 다발에서 촉매 관의 수: 예를 들어 30000개, 또는 28000개, 또는 32000개, 또는 34000개; 추가로,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 및 벽 두께를 갖지만 예를 들어 33.4 mm의 외경 및 예를 들어 8 mm의 외경을 가진 중심 열우물(thermowell) 및 예를 들어 1 mm의 벽 두께를 갖는 촉매 관과 동일한 방식으로(가장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회전하는 방사상 방식으로) 충전된 10개 이하의 열 관(EP-A 873 783 및 EP-A 12 70 065에 기재됨);
반응기(촉매 관과 동일한 재료):
내경 6000 내지 8000 mm의 원통형 용기;
유형 1.4541의 스테인레스 강철로 도금된 반응기 후드; 도금 두께: 수 mm;
예를 들어 비어있는 가운데 공간을 가진 환상으로 배열된 관 다발:
비어있는 가운데 공간의 직경: 예를 들어 1000 내지 2500 mm(예를 들어 1200 mm, 또는 1400 mm, 또는 1600 mm, 또는 1800 mm, 또는 2000 mm, 또는 2200 mm, 또는 2400 mm);
관 다발에서 일반적으로 균일한 촉매 관 피치(촉매 관 당 6개의 등거리로 인접한 관), 등변삼각형으로의 배열, 촉매 관 피치(바로 인접한 촉매 관의 중심 내축의 거리): 35 내지 45 mm, 예를 들어 36 mm, 또는 38 mm, 또는 40 mm, 또는 42 mm, 또는 44 mm;
촉매 관은 촉매 관 판(예를 들어 각각 100 내지 200 mm의 두께를 가진 상부 판 및 하부 판)에서 그들의 말단에 의해 고정되고 밀봉되며, 그의 상부 말단에서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을 위한 입구를 가진 용기에 연결된 후드 내로 열려 있으며; 두께 20 내지 100 mm의 분리 판이 예를 들어 촉매 관 길이의 반에 배치되어 있고, 반응기 공간을 대칭적으로 2개의 온도 대역 A(상부 대역) 및 B(하부 대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온도 대역은 편향 판에 의해 2개의 등거리 세로 구획으로 나뉜다;
편향 판은 바람직하게는 환상 기하형태를 갖고; 촉매 관이 유리하게는 분리 판에서 고정되고 밀봉되며; 편향 판에서는 고정 및 밀봉되지 않고; 그 결과 하나의 대역 내에서 염 용융물의 횡 유동 속도가 매우 일정하다;
각각의 대역에 그 자체의 염 펌프에 의하여 열 담체로서의 염 용융물이 제공되고; 염 용융물의 공급은 예를 들어 편향 판의 아래에서 행해지고 제거는 예를 들어 편향 판의 위에서 행해진다;
보조흐름은 예를 들어 염 용융물 회로로부터 제거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컬럼 또는 2개의 별도의 간접 열 교환기에서 냉각된다(증기 발생);
첫번째 경우에, 냉각된 염 용융물 흐름이 나뉘고, 특정한 잔류 흐름과 조합되며, 용기의 둘레에서 염 용융물을 나누는 적절한 환상 수로 내로 특정한 펌프에 의해 반응기 중으로 가압된다;
염 용융물은 반응기 자켓에 배치된 창을 통해 관 다발에 이르르고; 유동은 예를 들어 관 다발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흐른다;
각각의 대역에서, 염 용융물은 편향 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기 순서로 촉매 관 주위를 흐른다.
- 외부에서부터 안쪽으로,
- 내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염 용융물은 용기의 둘레 주위에 장착된 창을 통해 유동하고, 보조흐름 냉각을 포함한 회로에서 펌핑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응기 자켓 주위에 배치된 환상 수로에서 각 대역의 말단에 수집된다;
염 용융물은 각 온도 대역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위로 전달된다.
반응 기체 혼합물은 염욕 입구 온도보다 약간 더 높은 온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응 단계의 반응기를 나온다. 하류 아크롤레인 산화 단계에서 추가의 가공을 위하여, 반응 기체 혼합물이 첫번째 단계의 반응기의 하류에 연결된 별도의 후냉각기에서 220 ℃ 내지 280 ℃, 바람직하게는 240 ℃ 내지 260 ℃로 유리하게 냉각된다.
후냉각기는 일반적으로 하부 관 판 아래에 테두리에 붙여지고 보통 페라이트 강철 관으로 구성된다. 열 전달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감길 수도 있는 스테인레스 강철 시트 금속 코일이 후냉각기의 관 내부 안으로 유리하게 도입된다.
염 용융물:
사용된 염 용융물은 53 중량% 질산칼륨, 40 중량% 아질산나트륨 및 7 중량% 질산나트륨의 혼합물일 수도 있고; 온도 대역 및 후냉각기 양쪽 모두가 유리하게는 동일한 조성의 염 용융물을 사용하며; 반응 대역에서 순환에 의해 펌핑된 염의 양은 대역 당 대략 10000 m3/h일 수도 있다.
유동 조절: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은 첫번째 단계 반응기를 통해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유리하게 유동하는 반면, 각각의 대역의 상이한 온도를 가진 염 용융물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리하게 전달된다;
촉매 관 및 열 관 충전물(상부로부터 하부로), 예를 들어:
구역 1: 길이 50 cm
예비 층으로서 기하형태 7 mm×7 mm×4 mm(외경×길이×내경)의 스테아타이트 고리.
구역 2: 길이 140 cm
기하형태 5 mm×3 mm×2 mm(외경×길이×내경)의 스테아타이트 고리 30 중량% 및 구역 3으로부터의 비지지 촉매 70 중량%의 균질 혼합물의 촉매 충전물.
구역 3: 길이 160 cm
DE-A 10046957의 실시예 1에 따른 환상 비지지 촉매(5 mm×3 mm×2 mm = 외경×길이×내경)의 촉매 충전물(화학양론: [Bi2W2O9×2WO3]0.5 [Mo12Co5 .5Fe2 .94Si1 .59K0 .08Ox]1).
언급된 충전에서, DE-A 10046957의 실시예 1로부터의 비지지 촉매는 다음으로 대체될 수 있다:
a) EP-A 15565의 실시예 1c에 따른 촉매 또는 활성 조성물 Mo12Ni6.5Zn2Fe2Bi1P0.0065K0.06Ox·10SiO2를 갖는 것 이외에는 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
b) 기하형태 5 mm×3 mm×2 mm 또는 5 mm×2 mm×2 mm의 비지지 중공 원통형 촉매로서 DE-A 19855913의 실시예 번호 3;
c) DE-A 19746210의 실시예 1에 따른 비지지 다금속 산화물 II 촉매;
d) 기하형태 5 mm×3 mm×1.5 mm 또는 7 mm×3 mm×1.5 mm의 지지체 고리에 동일한 코팅 두께로 적용된 것 이외에는, DE-A 10063162의 코팅된 촉매 1, 2 및 3의 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온도 대역에서의 반응 기체 혼합물의 최대 가열 점 및 온도 대역의 특정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80 ℃를 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예를 들어 불활성 물질로의 희석에 의해), 고정 촉매층이 유리하게 선택된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보통 70 ℃ 이하, 종종 20 내지 70 ℃이고, 이러한 온도 차이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성 이유에서, 고정 촉매층은 EP-A 1106598에 정의된 것과 같이 피크-대-염-온도 민감성이 9 ℃ 이하, 또는 7 ℃ 이하, 또는 5 ℃ 이하, 또는 3 ℃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당업자에게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불활성 물질로의 희석에 의해) 선택된다.

Claims (18)

  1. 프로펜, 분자상 산소 및 1종 이상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고 분자상 산소 및 프로펜을 1 이상의 O2:C3H6 몰비로 함유하는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을, 반응 단계에서,
    - 고정 촉매층은 2개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온도 대역 A, B에 배열되고,
    - 온도 대역 A의 온도 및 온도 대역 B의 온도가 둘 다 290 내지 380 ℃의 범위이며,
    - 고정 촉매층은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구성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 내의 부피-특이적 활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 이행시에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 온도 대역 A는 40 내지 80 몰%의 프로펜 전환율까지 연장되고,
    - 전체 고정 촉매층을 통해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이 1회 통과시에 프로펜 전환율이 90 몰% 이상이며 전환된 프로펜을 기준으로 한 아크롤레인 형성의 선택성이 90 몰% 이상이고,
    - 온도 대역 A, B를 통해 반응 기체 혼합물이 유동되는 시간 순서가 온도 대역의 알파벳 순서에 상응하고,
    - 고정 촉매층 상의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내에 함유된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는 ≥90 l(STP)의 프로펜/고정 촉매층의 l·h이고,
    - 반응 기체 혼합물이 온도 대역 A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A와 반응 기체 혼합물이 반응 대역 B 내에서 갖는 최고 온도 TmaxB로부터 형성된 차이 TmaxA-TmaxB가 0 ℃ 이상이 되도록 활성 조성물이 원소 Mo, Fe 및 Bi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금속 산화물인 고정 촉매층 상으로 전달하고,
    고정 촉매층 중의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이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과 일치하지 않는, 불균질 촉매작용하에 기체상에서 프로펜을 아크릴산으로 부분 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TmaxA-TmaxB가 3 ℃ 이상 70 ℃ 이하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TmaxA-TmaxB가 20 ℃ 이상 60 ℃ 이하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가 90 l(STP)/l·h 이상 160 l(STP)/l·h 미만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촉매층 상의 프로펜의 시간 공간 속도가 160 l(STP)/l·h 이상 300 l(STP)/l·h 이하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대역 A의 온도가 305 내지 365 ℃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대역 A의 온도가 310 내지 340 ℃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대역 A가 50 내지 70 몰%의 프로펜 전환율까지 연장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대역 A가 60 내지 70 몰%의 프로펜 전환율까지 연장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 반응 기체 혼합물 중의 O2:프로펜 비율이 1 내지 2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활성 조성물의 화학 조성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변하지 않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고정 촉매층이 4개 이하의 고정 촉매층 대역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조성물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경우, 부피-특이적 활성 조성물이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시에 5 중량% 이상 증가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조성물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경우, 부피-특이적 활성 조성물이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시에 10 중량% 이상 증가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조성물이 전체 고정 촉매층에 걸쳐 균일한 경우, 최소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의 고정 촉매층 대역과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 사이의 부피-특이적 활성 조성물의 차이가 40 중량% 이하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고정 촉매층 대역이 반응 기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서 희석되지 않고, 단지 촉매 성형체로만 구성된 것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부피-특이적 활성을 갖는 고정 촉매층 대역이 온도 대역 A까지 연장되지 않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촉매층 중 X ± L·4/100(여기서, L은 고정 촉매층의 길이이고, X는 고정 촉매층 내에서의 온도 대역 A로부터 온도 대역 B로의 이행 지점임)의 범위 내에서 한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부터 다른 고정 촉매층 대역으로의 이행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
KR1020057017976A 2003-03-25 2004-03-20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KR101065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13210 DE10313210A1 (de) 2003-03-25 2003-03-25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DE10313210.4 2003-03-25
US47579503P 2003-06-05 2003-06-05
US60/475,795 2003-06-05
PCT/EP2004/002932 WO2004085362A1 (de) 2003-03-25 2004-03-20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16A true KR20050121216A (ko) 2005-12-26
KR101065106B1 KR101065106B1 (ko) 2011-09-16

Family

ID=3309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976A KR101065106B1 (ko) 2003-03-25 2004-03-20 프로펜을 아크롤레인으로 불균질 촉매화 부분 기체상산화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11691B2 (ko)
EP (1) EP1611073B1 (ko)
JP (1) JP4504355B2 (ko)
KR (1) KR101065106B1 (ko)
CN (1) CN100519500C (ko)
BR (1) BRPI0408650B1 (ko)
MY (1) MY136659A (ko)
TW (1) TWI311131B (ko)
WO (1) WO2004085362A1 (ko)
ZA (1) ZA2005085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270B1 (ko) * 2010-10-15 2018-06-25 바스프 에스이 아크롤레인이 수득되는 프로펜의 불균질 촉매된 부분 기체 상 산화의 장기간 작업을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3212A1 (de) * 2003-03-25 2004-10-07 Basf Ag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DE502004006577D1 (de) * 2003-03-25 2008-04-30 Basf Se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TWI311131B (en) 2003-03-25 2009-06-21 Basf Ag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to acrolein
DE10313214A1 (de) * 2003-03-25 2004-10-07 Basf Ag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Acrolein zu Acrylsäure
JP4625447B2 (ja) * 2003-03-25 2011-02-0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アクロレインからアクリル酸への不均一系接触部分気相酸化法
BRPI0413297B1 (pt) 2003-08-06 2014-01-21 Processo para operar uma oxidação parcial contínua em fase gasosa catalisada de maneira heterogênea de pelo menos um composto orgânico
US7592483B2 (en) * 2004-07-01 2009-09-22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acrolein or acrylic acid or a mixture thereof by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ylene
EP1734030A1 (de) * 2006-01-18 2006-12-20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Langzeitbetrieb ein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einer organischen Ausgangsverbindung
EP2059334A1 (de) * 2006-11-15 2009-05-20 Basf S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xothermen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einer organischen ausgangsverbindung zu einer organischen zielverbindung
DE102011076931A1 (de) 2011-06-03 2012-12-06 Basf Se Wässrige Lösung, enthaltend Acrylsäure und deren konjugierte Base
EP3476471A1 (de) * 2017-10-25 2019-05-01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reaktor zur bildung und zur katalytischen umsetzung eines eduktgemischs
EP3770145A1 (en) 2019-07-24 2021-01-27 Basf Se A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either acrolein or acrylic acid as the target product from prope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8523A1 (de) 1999-10-08 2001-04-12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MY121141A (en) 1999-03-10 2005-12-30 Basf Ag Method for the catalytic gas-pha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olein
DE19948241A1 (de) 1999-10-07 2001-04-12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DE19927624A1 (de) 1999-06-17 2000-12-21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DE19948248A1 (de) 1999-10-07 2001-04-12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DE19910506A1 (de) 1999-03-10 2000-09-14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MY121878A (en) * 1999-03-10 2006-02-28 Basf Ag Method for the catalytic gas-pha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ylic acid
JP2001137688A (ja) * 1999-08-31 2001-05-22 Nippon Shokubai Co Ltd 多管式反応器
JP3732080B2 (ja) * 1999-08-31 2006-01-05 株式会社日本触媒 接触気相酸化反応器
DE19955168A1 (de) 1999-11-16 2001-05-17 Basf Ag Verfahren der katalytisch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US6620968B1 (en) 1999-11-23 2003-09-16 Rohm And Haas Company High hydrocarbon space velocity process for preparing unsaturated aldehydes and acids
JP4625447B2 (ja) * 2003-03-25 2011-02-0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アクロレインからアクリル酸への不均一系接触部分気相酸化法
DE10313212A1 (de) * 2003-03-25 2004-10-07 Basf Ag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olein
TWI311131B (en) 2003-03-25 2009-06-21 Basf Ag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to acrolein
DE502004006577D1 (de) * 2003-03-25 2008-04-30 Basf Se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DE10313208A1 (de) * 2003-03-25 2004-10-07 Basf Ag Verfahren der heterogen katalysierten partiellen Gasphasenoxidation von Propen zu Acrylsä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270B1 (ko) * 2010-10-15 2018-06-25 바스프 에스이 아크롤레인이 수득되는 프로펜의 불균질 촉매된 부분 기체 상 산화의 장기간 작업을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8650B1 (pt) 2013-07-09
TWI311131B (en) 2009-06-21
CN1764625A (zh) 2006-04-26
WO2004085362A1 (de) 2004-10-07
MY136659A (en) 2008-11-28
ZA200508598B (en) 2006-12-27
JP2006521315A (ja) 2006-09-21
JP4504355B2 (ja) 2010-07-14
EP1611073A1 (de) 2006-01-04
US7211691B2 (en) 2007-05-01
BRPI0408650A (pt) 2006-03-07
KR101065106B1 (ko) 2011-09-16
CN100519500C (zh) 2009-07-29
EP1611073B1 (de) 2012-08-08
TW200424163A (en) 2004-11-16
US20040192964A1 (en)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49B1 (ko) 아크릴산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펜의 불균질 촉매화 부분기체상 산화 방법
US6888024B2 (en)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to acrylic acid
US6395936B1 (en) Method for the catalytic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olein
KR101378251B1 (ko) 유기 출발 화합물의 불균일 촉매작용 부분적 기체 상 산화의 장시간 작업을 위한 방법
US6998504B1 (en) Method for the catalytic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ylic acid
US6740779B1 (en) Method for carrying out the catalytic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to form acrylic acid
JP3287066B2 (ja) アクリル酸の製造方法
JP2014185164A (ja) プロペンをアクリル酸に接触気相酸化する方法
JPH0784400B2 (ja) 不飽和アルデヒドおよび不飽和酸の製造方法
US6982347B2 (en)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acrolein to acrylic acid
ZA200508598B (en) Method for the heterogeneously catalized partial gas phse oxidation of propene into acrolein
US7015354B2 (en) Preparation of (meth)acrolein and/or (meth)acrylic acid
US7019176B2 (en)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propene to acrolein
JP4532470B2 (ja) プロペンからアクリル酸への不均一系接触部分気相酸化法
US7157597B2 (en) Heterogeneously catalyzed partial gas phase oxidation of acrolein to acrylic acid
KR101006585B1 (ko) 아크릴산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롤레인의 불균질 촉매화부분 기체상 산화 방법
KR101065089B1 (ko) 아크롤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펜의 불균질 촉매화 부분기체상 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