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082A - 페이퍼 홀더 - Google Patents
페이퍼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9082A KR20050119082A KR1020047003622A KR20047003622A KR20050119082A KR 20050119082 A KR20050119082 A KR 20050119082A KR 1020047003622 A KR1020047003622 A KR 1020047003622A KR 20047003622 A KR20047003622 A KR 20047003622A KR 20050119082 A KR20050119082 A KR 200501190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operation lever
- support member
- holder
- pape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47K10/3637—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using a crank or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47K2010/365—Triggering mechanism for the bla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이 페이퍼 홀더는, 연속하는 긴 종이 롤을 착탈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종이의 절단된 선단 부분은, 정면측의 전단부(前端部)가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종이 지지판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다. 이 페이퍼 홀더의 조작 레버의 손잡이를 잡아서 정면측(앞쪽)으로 내려당김 동작시킨다. 그 조작 레버의 정면측에의 내려당김 동작에 따라서, 상기 종이 지지판이 정면측으로 전진한다. 상기 종이 지지판이 커버 부재의 선단보다도 전진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종이 지지판은 그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져 있는 종이의 상기 절단 가장자리부를, 종이 정형(整形) 부재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종이 지지판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를 따라서, 그 안쪽으로 접어 넣고,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의 선단 부분을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노출시킨다. 조작 레버가 배면 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종이 지지판도 배면측으로 이동하고,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 선단부만이, 커버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남겨진다.
본 발명의 페이퍼 홀더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종이의 가장자리부를 삼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고, 종이의 삼각형상의 선단 부분을 페이퍼 홀더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이 롤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등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삼각형상으로 접는 기구를 구비한 페이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호텔 등의 접객업에 있어서는, 손님에의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화장지 홀더에 장착되어 있는 화장지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삼각형상으로 접도록 하고 있다. 현재는, 종업원의 손으로 실행하고 있지만, 이것을 기계적으로 실행하는 접는 기구를 구비한 화장지 홀더도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의해서 제안된 페이퍼 홀더는, 절단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칼날을 하강시켜서 종이를 절단한다. 이 때,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걸림체에 걸린다. 절단 조작 레버가 원 위치로 복귀할 때에, 걸림체가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건 채로 인출한다. 이 인출시에,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좌우 양측 부분이 안쪽으로 접어진다. 종이의 절단과 절단 가장자리부의 접기를 연속해서 기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해서 제안된 페이퍼 홀더는, 종이의 가장자리부를, 윗 뚜껑과 앞 가장자리부가 삼각형상으로 뾰족해진 플레이트(plate)와의 사이에 롤러(roller)를 사이에 두고 지지한다. 플레이트에 부착한 전동 벨트로써 종이의 단부(端部)를 정면측으로 송출한다. 이 때, 윗 뚜껑의 내측면에 고정된, 일본 문자 ハ자 형상의 돌기와, 플레이트의 삼각형상의 앞 가장자리부로써, 종이 가장자리부의 좌우 양측 부분을 뒤쪽으로 조금 접어 구부린다. 계속해서, 종이 가장자리부가 상면에 칼날을 구비한 지지 막대 위를 접촉하면서 통과한다. 이에 따라서, 종이 가장자리부가 삼각형상으로 접어져서 페이퍼 홀더의 정면측에 노출된다. 전동 모터로써 종이 가장자리부를 송출하는 것이 특징의 하나이다.
특허문헌 1에 의해서 제안된 페이퍼 홀더의 경우에는, 절단 조작 레버가 원 위치에 복귀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걸림체가 회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동작에 필요한 연동 기구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이 복잡한 구조가 고장의 원인이 되어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한, 걸림체에 의한 종이의 인출은, 종이의 상태에 의해서 종이가 걸림체에 걸리지 않는 것이 있으므로, 확실성이 부족하다.
특허문헌 2에 의해서 제안된 페이퍼 홀더의 경우에는, 절단한 후의 종이 가장자리부를 다음의 사용을 위하여 접기 위해서는, 그 종이 가장자리부를 일본 문자 ハ자 형상의 돌기의 안쪽(배면측)까지 복귀시키는 조작이 필요해서, 동작이 복잡하게 되므로, 확실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얇은 화장지를 이용자가 인출하는 것에 비하여, 기계적으로 송출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고, 이 것이 확실성을 더욱 나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9-25300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0-210226호 공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페이퍼 홀더(1)의 측면도.
10: 종이 롤 11: 종이
12: 절단 가장자리부 20: 홀더 본체
30: 조작 레버 34: 스프링
40: 종이 절단기 50: 마찰 부재
60: 종이 지지 부재 70: 종이 압압(押壓) 부재
도 2는, 페이퍼 홀더(1)의 정면도(부분 단면도).
도 3은, 페이퍼 홀더(1)의 평면도.
도 4는, 페이퍼 홀더(1)의 저면도(底面圖).
도 5는, 페이퍼 홀더(1)에 사용되고 있는 조작 레버의 4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저면도.
도 6은, 페이퍼 홀더(1)에 사용되고 있는 마찰 부재의 다른 쪽의 막대의 5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저면도.
도 7은, 페이퍼 홀더(1)에 사용되고 있는 마찰 부재의 한 쪽의 막대의 5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저면도.
도 8(a)∼(c)는, 페이퍼 홀더(1)의 종이 접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00)의 사시도.
110: 종이 롤 111: 종이
130: 조작 레버 121: 측판
140: 종이 절단기 150: 마찰 부재
153: Ⅴ자 형상 오목부 155: 탄성체
157: 탄성체 160: 종이 지지 부재
170: 종이 압압 부재 180: 종이 내려뜨림 부재
190: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 210: 커버(cover) 부재
211: 스프링부
도 10(a)∼(c)는, 페이퍼 홀더(100)의 종이 접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종이 접기 동작의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조작 레버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종이 내려뜨림 부재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종이 지지 부재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조작 레버측의 측판을 떼어내고, 조작 레버가 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조작 레버측의 측판을 떼어내고, 조작 레버가 가장 앞으로 내려당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c)는, 조작 레버의 내려당김 동작에 관련되는 캠(cam), 암(arm) 부재, 종이 내려뜨림 바(bar)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조작 레버(130)가 원 위치에 있는 상태, (b)는 조작 레버(130)가 조금만 앞으로 전진한 상태, (c)는 조작 레버(130)가 더욱 앞으로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페이퍼 홀더(100)에 사용되고 있는 마찰 부재(150)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본 발명은, 종이의 가장자리부를 삼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는 페이퍼 홀더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접을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페이퍼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페이퍼 홀더는, 연속하는 긴 종이 롤을 착탈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종이의 절단된 선단 부분은, 정면측의 전단부(前端部)가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다.
이 페이퍼 홀더의 조작 레버의 손잡이를 잡아서 정면측(앞쪽)으로 내려당김 동작시킨다. 그 조작 레버의 정면측에의 내려당김 동작에 따라서, 상기 종이 지지 부재가 정면측으로 전진한다.
상기 종이 지지 부재가 커버 부재의 선단보다도 전진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종이 지지 부재는 그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는 종이의 상기 절단 가장자리부를, 마찰 부재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를 따라서, 그 종이 지지 부재의 안쪽으로 접어 넣고,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의 선단 부분을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노출시킨다.
조작 레버가 배면 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종이 지지 부재도 배면측으로 이동하고,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 선단부만이, 커버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남겨진다.
종이 절단기에 의해서 절단된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종이 지지판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뜨려지는 위치에, 상기 종이 절단기를 설치한다. 또는, 상기 조작 레버가 정면측으로 조작될 때에 하강 운동과 상승 운동을 실행하고, 절단된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뜨려지게 하는 종이 내려뜨림 부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지인 종이 롤(10)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본체(20)와, 홀더 본체(20)에 장착된 종이 롤(10)로부터의 종이(11)의 송출과 동시에 그 종이(11)의 접기를 실행하도록 홀더 본체(20)에 부착된 조작 레버(30)와, 상기 종이(11)의 절단을 실행하도록 홀더 본체(20)에 부착된 종이 절단기(40)와, 조작 레버(30)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종이(11)의 접기를 실행하도록 홀더 본체(20)에 부착된 마찰 부재(50)와, 종이(11)를 상면으로써 지지하는 종이 지지 부재(60)와, 종이(11)를 종이 지지 부재(60)에 가볍게 누르는 종이 압압(押壓)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20)는, 양측의 측판(21, 21)과, 측판(21, 21)을 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22)와, 측판(21, 21)에 부착된 지지 부재(23, 23)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부재(22)는, 홀더 본체(20)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base) 부재를 겸하고 있다. 지지 부재(23, 23)는 기부(基部)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가동(可動) 구조이고, 측판(21, 21)의 각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종이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23, 23)를 상측 방향으로 기울게 하여, 측판(21, 21)의 각 내면에 설치된 오목부(24, 24)에 끼워 넣음으로써, 신품인 종이 롤(10)의 하측 방향으로부터의 장착과 사용 완료한 종이 롤의 보빈(bobbin)(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조작 레버(30)는, 도 5(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20)를 가로질러 걸쳐 있는 수평한 손잡이(31)와, 손잡이(31)의 양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암(arm)(32, 32)을 포함하고 있다. 암(32, 32)은, 상단부를 제외하고 홀더 본체(20)의 양측의 측판(21, 21)내에 수용되어 있고, 측판(21, 21)내에서 하단부가 축(33, 3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암(32, 32)을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잡아 당기는 스프링(34, 34)에 의해서, 조작 레버(30)는 정면측, 즉, 바로 앞쪽으로 내려당길 수 있는 상태에서 대략 수직인 원 위치에 탄성 지지된다.
또한, 조작 레버(30)에는, 양측의 암(32, 32) 사이에 가설된 종이 지지 부재(60)가 연결되어 있고, 종이 지지 부재(60)는 조작 레버(30)의 정면, 즉, 바로 앞쪽으로의 전진, 후퇴에 따라서, 왕복 운동을 한다. 종이 지지 부재(60)는, 종이 롤(10)의 상부로부터 바로 앞쪽에 인출된 종이(11)를 하측 방향에서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한 박판(薄板)이고, 그 전단부(61)는,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삼각형상으로 접기 위하여 정면측으로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단부(61)의 정각(頂角)은,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의 접는 각도에 대응하고, 여기서는 120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조작 레버(30)에 장착된 종이 압압 부재(70)는, 암(32, 3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가설된 지지축(71)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롤러(72, 72)를 포함하고 있다. 롤러(72, 72)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상면에 맞닿아 있고, 또한 이 상태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다. 이 승강을 위해서, 지지축(71)은, 암(32, 32)의 각 내면에 설치된 장공(長孔)(73, 73)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롤러(72, 72)는, 조작 레버(30)의 손잡이(31)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그 손에 의해서 하측 방향으로 압압되도록 되어 있고, 종이 지지 부재(60) 위의 종이(11)를 종이 지지 부재(60)에 꽉 눌러서, 종이(11)가 종이 지지 부재(60)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한다. 손이 조작 레버(30)를 놓으면, 조작 레버(30)는 원 위치에 복귀하고, 이 때 롤러(72, 72)의 지지축(71)은 장공(73, 73)을 따라서 후퇴한다. 따라서, 종이 지지 부재(60)가 원 위치에 복귀할 때에는, 종이 지지 부재(60) 만이 복귀하고, 종이(11)는 끌어 당겨지지 않는다.
종이 절단기(40)는, 칼날을 아래로 향하여 홀더 본체(20)의 측판(21, 21)의 쌍방의 상단부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이 종이 절단기(40)는, 조작 레버(30)에 부착된 종이 지지 부재(60)보다도 더욱 앞쪽에 소정의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30)를 앞쪽으로 내려당김 조작했을 때는, 종이 절단기(40)의 아래 쪽을 종이 지지 부재(60)와 그 위의 종이(11)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이 지지 부재(60)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종이 절단기(40)를 배치함으로써, 종이(11)를 종이 절단기(40)로써 절단했을 때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절단 가장자리부(12)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앞 가장자리부(61)(더욱 엄밀하게는 중앙의 선단부)로부터 확실하게 하측 방향으로 내려뜨려진다.
마찰 부재(50)는, 종이 절단기(40)를 따르도록 홀더 본체(20)의 측판(21, 21) 사이에 설치된 대략 수평한 수지(樹脂) 막대이고, 조작 레버(30)를 앞쪽으로 내려당김 조작 했을 때에 마찰 부재(50)의 상측을, 종이 지지 부재(60)가 접촉하면서 통과하도록, 종이 절단기(40)의 정면측, 즉, 바로 앞쪽에서 하측으로 변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찰 부재(50)는, 앞쪽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하는 제1바(bar) 부재(50A)와 우측에 위치하는 제2바 부재(50B)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의 측판(21)의 내면에 대략 수평으로 캔틸레버(cantilever)식으로 지지되는 제1바 부재(50A)는, 도 6(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基端部)가 부착부(51A), 선단부가 평면부를 갖는 작용부(52A)로 되어 있다. 우측의 측판(21)의 내면에 대략 수평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는 제2바 부재(50B)는, 도 7(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가 부착부(51B), 선단부가 평면부를 갖는 작용부(52B)로 되어 있다.
쌍방의 바 부재(50A와 50B)는, 측판(21, 21) 사이의 중앙부에서 선단의 작용부(52A, 52B)끼리 간극(50C)을 두고 맞닿도록 조합되어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맞댐부의 작용부(52A)의 경사(도 6(b))와 작용부(52B)의 경사(도 7(b))가 Ⅴ자 형상의 오목부(53)(도 2)를 형성하는 동시에, 쌍방의 바 부재(50A와 50B)의 맞댐부가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에 계속되는 간극(50C)을 형성하고, 또한 작용부(52A, 52B)의 각 평면부가 경사지게 상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조작 레버(30)를 정면측으로 내려당김 조작했을 때에,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61)가 그 전진에 따라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에 삽입되는 동시에, 작용부(52A, 52B)의 각 평면부에 맞닿으면서 앞쪽으로 전진한다. 더욱이, 이 마찰 부재(50)를 구성하는 쌍방의 바 부재(50A와 50B)는, 그 기단부의 부착부(51A, 51B)가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加勢力)에 저항해서 앞쪽으로 약간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제1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의 기능에 대하여, 도 8(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이 롤(10)을 홀더 본체(20)에 장착할 때, 종이(11)를 종이 롤(10)의 상부로부터 종이 지지 부재(60)의 상면을 따라서 앞쪽으로 인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11)는 종이 지지 부재(60)와 종이 압압 부재(70)와의 사이를 지나서, 종이 지지 부재(60)의 위쪽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종이 절단기(40)와 마찰 부재(50)와의 사이로부터 홀더 본체(20)의 정면측, 즉, 앞쪽으로 인출된다. 홀더 본체(20)의 앞쪽에 인출된 종이(11)를 종이 절단기(40)로써 절단한 상태가 도 8(a)이다. 종이 (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으로 된 전단부(61)의 중앙 선단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내려뜨려진다.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으로 된 전단부(61)가 마찰 부재(50) 위로 전진할 때, 그 전단부(61)가 마찰 부재(50)에 미끄럼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으로 된 전단부(61)가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에 배면측(앞쪽의 반대측)으로부터 진입하여, 바 부재(50A와 50B)의 작용부(52A와 52B)의 각 평면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여기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53)는, 바 부재(50B)의 작용부(52B)의 경사가, 바 부재(50A)의 작용부(52A)의 경사에 비해서 완만하고, 높이가 높게 되어 있다. 즉, 종이(11)의 진행 방향으로 작용부(52B) 쪽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단부(61)가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의 한 쪽의 변에 먼저 닿고, 이어서 다른 쪽의 변에 닿는다.
이에 따라서,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61)의 중앙 선단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내려뜨려진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가, 마찰 부재(50)에 의해서,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단부(61)를 따라서 뒤쪽으로 순서대로 접혀 들어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진에 따라서, 그 삼각형상의 전단부(61)로부터 내려져 있는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마찰 부재(50)의 Ⅴ자 형상의 오목부(53)를 형성하는 변을 따라서 끌어 올려지면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의 앞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그 일부분은 간극(50C)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좁혀지므로,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단부(61)에서 되접어진 종이(11)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61)의 형상과 동일한 삼각형상으로 접어진다. 그리고, 이 접기의 과정에서, 종이(11)와 종이 지지 부재(60)와의 마찰, 또한 종이(11)와 마찰 부재(50)와의 마찰이 있으므로,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진에 따라서, 종이(11)는 종이 롤(10)로부터도 인출된다. 따라서, 종이(11)의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선단 부분을 홀더 본체(20)의 앞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Ⅴ자 형상의 오목부(53)는, 바 부재(50B)의 작용부(52B)가 바 부재(50A)의 작용부(52A)에 비하여, 종이(11)의 진행 방향으로 작용부(52B) 쪽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약간의 타이밍으로, 먼저 작용부(52B)측으로부터 접어지고, 곧 이어서 작용부(52A)측이 접어진다. 이러한 약간의 타이밍의 차이가,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를 형태가 좋은 삼각형상으로 접어지게 한다. 이렇게 하여,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가 삼각형상으로 접어져서, 홀더 본체(20)의 앞쪽으로 돌출된다(도 2).
이 때, 마찰 부재(50)를 구성하는 바 부재(50A, 50B)는 홀더 본체(20)의 측판(21, 21)에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휜다. 더욱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정면측으로 약간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마찰 부재(50)는, 종이 지지 부재(60)의 전단부(61)에 탄성적으로 꽉 눌려져서,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 (12)의 접기를 원활하게 실행한다.
조작 레버(30)를 한계까지 내려당김 조작한 후는, 손을 떼어서 조작 레버(30)와 종이 압압 부재(70)에 부가되어 있는 외력(外力)을 제거한다.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조작 레버(30)는 종이 지지 부재(60)와 종이 압압 부재(70)와 함께 원 위치에 자동 복귀한다.
이 때, 종이 압압 부재(70)가, 회전하기 쉬운 롤러이므로,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복귀되지 않고, 절단된 위치에 남는다. 이 상태가 도 8(c)이다.
삼각형상으로 접어져서 홀더 본체(20)의 앞쪽에 돌출된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인출하기 쉽고, 보기에도 좋다. 이 절단 가장자리부(12)를 잡아 당겨서, 종이(11)를 필요한 길이 만큼 인출한 후, 종이 절단기(40)로써 종이(11)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서, 도 8(a)의 상태로 복귀하고,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는, 다시 종이 지지 부재(60)의 삼각형상으로 된 앞 가장자리부(61)의 중앙 선단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내려뜨려진다.
종이(11)를 사용할 때마다 조작 레버(30)를 앞쪽으로 내려당김 조작하면,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가 삼각형상으로 접어져서 홀더 본체(20)의 앞쪽에 돌출한다. 모터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30)를 앞쪽으로 당기는 것만의 동작(1 왕복 동작)으로써, 종이(11)의 절단 가장자리부(12)의 송출과 접기의 모두를 실행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새로운 종이 롤(10)을 페이퍼 홀더에 장착했을 때에는, 종이 단부를 종이 지지 부재(60)와 종이 압압 부재(70)와의 사이에 통과시키고, 종이 지지 부재(60)의 위쪽을 경유하여, 종이 절단기(40)와 마찰 부재(50)와의 사이로부터 홀더 본체(20)의 앞쪽으로 인출하는 조작이 필요하지만, 종이 압압 부재(70)가 상측 방향으로 후퇴하여, 종이 지지 부재(60)와 종이 압압 부재(70)와의 사이가 크게 벌어지므로, 이 조작이 간단하다. 사용 완료한 종이 롤(10)을 상측 방향으로 배출할 때는, 조작 레버(30)를 앞쪽으로 제껴 놓는다(도 8(b) 참조). 이에 따라서 위쪽이 크게 열려서, 배출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제2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페이퍼 홀더(100)의 사시도, 도 10(a)∼(c)는, 페이퍼 홀더(100)의 종이의 접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c)는, 그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와 도 13은, 조작 레버측의 측판을 떼어내고, 조작 레버가 원 위치, 즉 가장 앞쪽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c)는, 조작 레버의 동작에 관련되는 캠, 암 부재, 종이 내려뜨림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페이퍼 홀더(100)에 사용되고 있는 마찰 부재의 3면도이다.
제1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에 비하여, 제2실시예인 페이퍼 홀더(100)가 주로 상이한 점은, 조작 레버(130)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우선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를 하강 운동시킴으로써,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확실하게 종이(111)를 아래로 내려뜨리게 하고, 곧 바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를 원래의 위치에 상승시키고, 그 후에 종이 지지 부재(160)를 정면, 즉, 앞쪽으로 전진시키는 것에 있다(도 10 참조).
다른 하나의 상이한 점으로서, 종이의 접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150)의 상면에 있어서의 종이와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한 것이다. 이 마찰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성체(155, 157)를 마찰 부재(150)의 상면에 구비한 것이다(도 15 참조). 탄성체(155, 157)로서는,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고무 등을 사용한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포면에 탄력성을 부여하여 마찰 저항을 크게 하는 특수 도료를 마찰 부재(150)의 상면에 도포한다.
또한, 마찰 부재(150)는 단일 구조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설치한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에 이어지는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는, 페이퍼 홀더(1)의 간극(50C)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의 저부(앞쪽)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안정적으로 삼각형상으로 접어지도록,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에 이동시킴으로써, 그 영역에 죄어 넣는다.
또한, 화장지의 감소 상태에 따라서 종이 롤(110)로부터 공급되는 종이와 종이 지지 부재(160)와의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막대 형상의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를 종이 롤(110)과 종이 지지 부재(160)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종이를 종이 롤(110)로부터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를 통해서 종이 지지 부재(160)에 공급하는 점이다(도 9 참조).
그리고 또한, 종이 압압 부재(170)를 커버 부재(210)의 안쪽에 설치하고, 이 커버 부재를 정상적으로 닫은 상태에서는, 종이 압압 부재(170)는 가볍게 종이 지지 부재(160)를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종이 압압 부재(170)는 소정의 작은 가압력으로써, 종이(111)를 종이 지지판(160)에 확실하게 꽉 누르는(도 9, 도 10 참조) 점 등이 실시예 1과 상이하다. 기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는, 페이퍼 홀더(100)의 설명에서 명확하게 설명한다.
우선, 주요 상위점인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측판(121, 121)의 내벽측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된다. 우선, 도 10과 도 11에 따라서, 이러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와 종이 지지 부재(160)와의 동작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이것들의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단일 암(132)을 구비한 조작 레버(130)(도 9)가 조작전의 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종이(111)는 커버 부재(210)의 선단 부분의 하부에 부착된 종이 절단기(140)에 의해 절단되어서, 그 절단 가장자리부가 마찰 부재(150)의 위에 있다. 이 위치에서는, 막대 형상의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반드시 종이(111)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
도 11의 시각 tl에서, 조작 레버(130)를 정면, 즉, 앞쪽(도면에서는 좌방향)으로 내려당김 동작시키면, 그 내려당김 동작의 개시 직후의 시각 t2에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가 하강 운동하여,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 형상의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지게 한다. 조작 레버(130)의 연속적인 내려당김 동작에 따라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상승하여 곧 바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시각 t3).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의 동작은, 하강과 상승과의 1쌍으로서 하나의 동작을 구성한다. 그 후의 시각 t4에서, 종이 지지 부재(160)가 정면, 즉, 앞쪽으로 전진하기 시작한다.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는 그 전에 아래로 내려져 있는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 부분에 걸어 맞추어지므로,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진은, 종이(111)를 종이 롤로부터 인출하면서 실행되고, 종이(111)의 전단 부분을 종이 지지 부재(160)의 이면(裏面)과 마찰 부재(150)와의 사이에 끼워서 더욱 전진하여, 커버(210)의 선단보다도 소정 길이 만큼 돌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시각 t5).
이어서, 조작 레버(130)가 역방향으로 동작, 즉, 후퇴함으로써, 종이 지지 부재(160)만이 후퇴(도면 우방향)하고,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종이(111)의 선단 부분은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진 상태로 남는다.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단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삼각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고,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찰 부재(150)가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와 함께 동작하여, 종이(111)의 전단 부분을 삼각형상으로 접어서, 커버 부재 (210)의 선단으로부터 삼각형상의 종이를 돌출시킨다. 이 때의 조작 레버(130),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 종이 지지 부재(160) 각각의 동작 타이밍은,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1(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이 동작 타이밍은 중요하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동작을 실행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도 13은 조작 레버(130)측의 측판(121)을 떼어내고, 내측벽(122)에 부착된 각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조작 레버(130)를 놓아 둔 자유스러운 상태, 도 13은 조작 레버(130)를 정면, 즉, 앞쪽(도면 좌측)으로 최대로 내려당김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주요 부재는, 조작 레버(130)와, 조작 레버(130)에 걸어 맞추어져서 운동함으로써, 종이 지지판(160)을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레버(220)와, 조작 레버(130)에 걸어 맞추어져서 회전 운동하는 캠(230)과, 캠(230)에 걸어 맞추어져서 운동하는 암 부재(240)와, 그 선단 부분에 일단이 고정되어서, 지지되어 있는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이다.
요컨대,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캔틸레버식으로 암 부재(24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130)는 지면(紙面)의 가장 외측에 있고, 캠(230)은 가장 내측벽(122)측에 위치하고, 보조 레버(220)는 조작 레버(130)와 캠(230)과의 중간의 레벨에 위치한다.
내측벽(122)은, 횡방향(橫方向)의 장공(123), 종방향(縱方向)의 장공(124)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하게 되겠지만, 횡방향의 장공(123)은 보조 레버(220)가 종이 지지판(160)을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에 필요하고, 종방향의 장공(124)은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를 상하 운동시키는데에 필요하다.
조작 레버(130)와 보조 레버(220)는, 동일한 회전축부(133)에 의해서 어느 범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벽(122)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부(133)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30)와 보조 레버(220)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34)이 끼워져 있어서, 스프링(134)의 일단은 걸림 부재(135)에 걸려 있고, 그 타단은 조작 레버(130)에 걸려 있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조작 레버(130)는 암(132)의 도중에 일본 문자 く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 부분에 지면의 안쪽 방향(내측벽(122)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3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부(136)는, 조작 레버(130)를 내려당김 조작할 때, 도중에 보조 레버(220)의 걸어맞춤 개소 A에 걸어 맞추어져서 함께 보조 레버(220)를 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조작 레버(130)는, 지면의 안쪽 방향(내측벽(122) 방향)으로 돌출하는 캠 걸어맞춤부(1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캠 걸어맞춤부(137)는, 보조 레버(220)의 창부(窓部)(221)를 통해서 캠(230)의 제1의 걸어맞춤부(232)에 걸어 맞추어져서, 지점(支點)(231)을 중심으로 하여 캠(23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조작 레버(130)는 단일 암(132)으로 구성되고, 손잡이(131)는 구상(球狀)으로 되어 있는 것이 페이퍼 홀더(1)의 조작 레버(30)와 상이하다.
보조 레버(220)는 도중에 く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소정의 크기의 창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레버(220)의 걸림부(222)는, 스프링(223)에 의해서 내측벽(122)의 고정부(125)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보조 레버(220)는 그 상부 (244)에 종이 지지판(160)을 캔틸레버식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조작 레버(130)의 내려당김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의 도중에 조작 레버(130)의 돌기부(136)가 걸어맞춤 개소 A에 걸어 맞추어질 때, 동시에 캠 걸어맞춤부(137)가 창부(221)의 한 변의 걸어맞춤 개소 B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2 개소에 힘을 분산함으로써, 1 개소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 보조 레버(220)를 사용한 것은,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의 동작과 종이 지지 부재(160)의 동작과의 사이에, 상기의 동작 타이밍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조 레버(220)는, 시간차를 갖고, 우선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가 하강 동작과 상승 동작을 실행하고, 그 종료후에, 종이 지지 부재(160)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차 이동 기구를 부여한다.
캠(230)은, 도 1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231),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6)에 걸어 맞추어지는 제1의 걸어맞춤부(232), 암 부재(240)에 걸어 맞추어지는 제2의 걸어맞춤부(233), 걸림부(234)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234)에는 스프링(235)의 일단이 결합되고, 스프링(235)의 타단은 내측벽(122)의 고정부(125)에 결합되어 있다. 캠(230)은,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6)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지점(23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암 부재(240)는, く자 형상의 제1암부(241)와, 제1암부(2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암부(242)와, 지점(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암부(241)의 선단 부분에는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암 부재(240)에 의해서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어서, 다른 쪽의 측판 방향(지면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암 부재(240)의 선단 부분은 스프링 부재(245)의 일단에 결합되고, 스프링 부재(245)의 타단은 내측벽(122)의 고정부(126)에 고정되어 있다(도 12).
마찰 부재(15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111)를 받아 들이는 측의 대략 중앙에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와 이것에 연속하는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가 형성된 단체(單體)의 부재로 구성되고, 앞쪽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측판(121, 121)의 내측벽(122)에 고정되어 있다.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는,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페이퍼 홀더(1)의 Ⅴ자 형상의 오목부(53)와 마찬가지이고,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에 부합하는 삼각형상의 2변을 형성하는 변(153A, 153B)을 갖고 있다. 또한,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의 역할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와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를 나누었지만,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는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의 일부분으로 생각하면 된다.
페이퍼 홀더(1)의 간극(50C)에 대응하는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가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의 저부(앞쪽)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는, 종이의 접기 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펼쳐지지 않도록,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어느 좁은 영역에 죄어 넣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 설명하지만, 이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의 역할에 의해서, 종이(111)는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단부의 삼각형상과 동일한 삼각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접어진다.
또한, 마찰 부재(150)는,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의 양측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체(155, 15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탄성체(155, 157)는 복수의 박형(薄型) 스프링을 조합한 것, 또는 판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혹은 고무, 또는 탄력성이 풍부한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 부재(150)의 상면에 특수 도료를 도포하여 탄력성을 부여하거나, 표면이 까칠까칠한 테이프 등을 마찰 부재(150)의 상면에 붙여도 좋다.
탄성체(155, 157)는, 종이(111)를 받아들이는 측으로부터 송출하는 측으로 높아지도록 하는 경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155, 157)가 이러한 경사를 가짐으로써,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지지 부재(160)가 종이(111)를 사이에 두고 마찰 부재(150)에 접촉할 때, 종이 지지 부재(160)의 하면이 그 탄성체(155, 157)의 상면 전체를 종이(111)를 사이에 두고 어떤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종이(111)가 종이 지지 부재(160)의 하면과 탄성체(155, 157)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눌려서, 종이(111)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삼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종이 롤(110)로부터 종이(111)를 인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마찰 부재(50)도 상기와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거나, 특수 도료를 도포해도 물론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 막대 형상의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가 쌍방의 측판(121, 121)의 내측벽(122)에 걸쳐서 구비되어 있다. 종이 롤(110)로부터의 종이(111)는, 커버 부재(210)의 이면과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와의 사이로부터 인출되어서,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의 위로부터 종이 지지 부재(160)면상에 인출되므로, 종이의 사용 정도에 따른 종이 롤(110)의 직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종이가 종이 지지 부재(160)면상에 공급되는 각도는 균일하게 된다.
이 것은, 특히, 종이가 끝에 가깝고, 종이 롤(110)의 직경이 작을 때에는, 종이가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종이 압압 부재(170)가 종이(111)를 종이 지지 부재(160)면상에 누를 때에 효과적이다.
이어서 이들 도면에 따라서 조작 레버(130)의 내려당김 조작에 따르는 관련 각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l에 조작 레버(130)가 정면, 즉, 앞쪽(도면 좌측 방향)으로 내려당김 동작을 개시하면, 곧 바로 시각 t2에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6)가 캠(230)의 제1의 걸어맞춤부(232)에 걸어 맞추어져서, 캠(230)을 지점(23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대해서는, 도 14에 따라서 설명한다.
조작 레버(130)의 전진에 따라서, 그 캠 걸어맞춤부(137)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캠(230)의 제2의 걸어맞춤부(233)가 암 부재(240)의 제2암부(242)를 그 지점 (24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를 지지하고 있는 く자 형상의 암부(241)의 선단을, 스프링 부재(245)를 신장시키면서 종방향의 장공(124)을 통해서 강하시킨다(도 14(b), (c)). 이 동작에 의해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가 하강하여,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종이 지지 부재(160)의 선단으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지게 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6)가 더욱 전진하여, 캠(230)의 제1의 걸어맞춤부(232)로부터 벗어나면, 신장 상태에 있는 스프링(235)의 인장력에 의해서, 시각 t3에서 캠(230)은 도 14(a)에 나타내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서 스프링 부재(245)의 인장력에 의해서 く자 형상의 암부(241)의 선단이 상승하기 때문에,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도 상승하여 원래의 상측 위치에 복귀한다. 여기서,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7)가 캠(230)의 제1의 걸어맞춤부(232)로부터 벗어나기 직전에,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는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조작 레버(130)를 더욱 앞쪽으로 내려당기면, 시각 t4에서, 조작 레버(130)의 돌기부(136), 캠 걸어맞춤부(137)가 각각 보조 암(220)의 걸어맞춤 개소 A, B에 걸어 맞추어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보조 암(220)은 조작 레버(130)의 내려당김 동작과 함께 내려당김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서, 보조 암(220)의 상부에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된 종이 지지 부재(160)는 앞쪽(도면 좌측 방향)으로 전진한다.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가 마찰 부재(150)의 탄성체(155와 157)의 사이를 전진하는데에 따라서,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는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는, 마찰 부재(150)의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를 형성하는 변(153A, 153B)을 따라서 끌어 올려지면서 Ⅴ자 형상의 오목부(153)의 앞쪽(저부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부는 종이 죄어 넣기 오목부(154)내에 모아져서, 죄어 넣어지므로,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단부에서 되접어진 종이(111)는,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삼각형상으로 접어진다.
그리고, 종이 지지 부재(160)가 더욱 전진하여, 종이 지지 부재(160)의 하면이, 접어 넣어진 종이(111)를 사이에 두고 마찰 부재(150)의 탄성체(155와 157)에 접촉하면, 종이 지지 부재(160)의 하면에 접어 넣어진 종이(111)는, 종이 지지 부재(160)와 탄성체(155과 157)에 의해서 끼워져 있으므로, 거의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후는, 종이 지지 부재(160)의 전진에 따라서, 종이(111)가 종이 롤(110)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종이(111)의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선단 부분을 커버 부재(210)의 앞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시각 t5에, 조작 레버(130)와 종이 지지 부재(160)는 가장 앞쪽의 위치에 있고,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부분을 커버 부재(210)로부터 돌출시킨다.
이어서, 손을 손잡이(131)로부터 놓음으로써, 조작 레버(130)를 개방하면, 조작 레버(130)는 스프링(134)의 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시각 t7), 마찬가지로 보조 레버(220)도 스프링(223)의 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 이에 따라서, 종이 지지 부재(160)도 후퇴(도면 우측 방향)하여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t6). 즉, 시각 t7에는 모든 부재가 원 위치에 복귀한다.
여기서, 종이 지지 부재(160)는 종이(111)와의 마찰 저항이 작아지도록 미끄러지기 쉬운 재질과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이 지지 부재(160)가 후퇴할 때, 접어진 부분의 종이(111)가 종이 지지 부재(160)와 함께 후퇴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하여, 절단 가장자리부가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를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커버 부재(210)는, 쌍방의 측면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프링부(211)(도 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부(211)는, 커버 부재(210)를 닫았을 때, 쌍방의 측판(121)의 내측벽(122)을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어느 정도 돌출하는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종이 압압 부재(170)가 안정된 소정의 힘으로 종이(111)를 종이 지지 부재(160)에 꽉 누르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지를 커버 부재(210)의 선단부에 설치한 종이 절단기(140)로써 절단할 때에, 다른 쪽의 손으로 커버 부재(210)를 누르지 않아도, 커버 부재(210)가 열리지 않는 정도의 압압력(押壓力)을 발생하면,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동시에, 종이(111)의 절단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이 일정하게 되기 쉽고, 종이의 소정의 접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10)는 일반적인 페이퍼 홀더와 마찬가지로, 축받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그 축받이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그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측벽, 또는 아래 쪽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구조라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버 부재(210)를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닫을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를 단일의 막대 형상의 것으로 했지만, 쌍방의 측판(121, 121)의 각각의 내측벽(122)로부터 연장되는 1쌍의 막대 형상의 것이라도 좋고, 또는 화장지 롤을 페이퍼 홀더에 장착하여, 화장지를 커버(210)와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와의 사이로부터 인출할 때, 인출하기 쉽도록,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가 상측에, 또는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쌍방의 측판(121, 121)의 내측벽(122)에 형성된, 앞쪽으로 연장되는 장공(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의 양단을 지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화장지 롤의 교환시에,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를 장공에 의해서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커버 부재(210)와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와의 사이가 벌어지므로, 종이를 커버 부재(210)의 이면과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190)와의 사이로부터 인출하기 쉽게 된다.
또한, 종이 지지 부재(160)는 완만한 곡선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작 레버(130)의 내려당김 동작에 따라서, 종이 지지 부재(160)가 완만한 곡선으로 전진 동작, 후퇴 동작을 실행하여, 이 것이, 페이퍼 홀더(10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하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종이 지지 부재(60)도 완만한 곡선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물론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를 손으로써 앞쪽으로 내려당김으로써, 화장지의 선단 부분을 삼각형상으로 접었지만, 일반적으로 화장실 등에는 상용 전원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조작 레버(130)에 상당하는 레버(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어떤 각도로 회전 동작시켜도 좋다. 이 때에는, 조작 레버의 손잡이에 대신하여 측판(121)에 누름 버튼(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설치하여, 그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동 모터가 동작하고, 이 전동 모터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 레버(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보조 레버(220)를 상기와 같이 동작시켜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의 하강, 상승 동작을 시킨다.
또한, 이 경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2중의 캠 기구를 직결하고, 모터가 1 회전할 때마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제1캠에 의해서 암 부재(240)가 동작하여,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가 하강 운동, 상승 운동을 실행하고, 그 후에 도시하지 않은 제2캠으로써 종이 지지 부재(160)의 보조 레버를 직접 내려당김 동작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종이 내려뜨림 부재(180)의 하강 운동, 상승 운동은, 종이 지지 부재(160)가 전진 운동을 실행할 때까지의 단시간에 완료해야 하므로, 암 부재(240)의 스프링 부재(245), 캠(230)을 잡아 당기고 있는 스프링(235)의 인장력은 비교적 크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130)의 캠 걸어맞춤부(137)가 캠(230)의 제1의 걸어맞춤부(232)로부터 벗어날 때에, 캠(230)과 암 부재(240)가 고속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거나, 수명을 저하시키는 수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230)과 암 부재(240)와의 접촉하는 부분,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암 부재(240)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서, 내측벽(122)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stopper) 부분 등에, 고무 또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 완충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Ⅴ자 형상의 오목부는, 종이를 받아들이는 입구측(배면측)이 저부측(앞쪽)보다도 폭이 넓으면 좋고, Ⅴ자 형상을 형성하는 변은 아치 형상이라도 좋다. 그리고, Ⅴ자 형상의 오목부의 저부측(앞쪽)에 이어지는 간극(50C) 또는 종이 구속 오목부(154)가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 부분을, 동작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죄어 넣어서 구속하면, 종이 지지 부재(160)의 삼각형상의 전단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간극(50C) 또는 종이 구속 오목부(154)를 Ⅴ자 형상의 오목부의 일부분으로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레버(30, 130)와 보조 레버(220)의 형상은 여러가지의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실시예와 같은 형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조작 레버는 다이얼식 등의 것이라도 좋고, 그 다이얼이 되는 원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종이 지지 부재(160)가 전진, 후퇴하거나, 보조 레버를 포함하는 상기 시간차 이동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조라도 물론 좋다. 또한, 손잡이(131)는 측판의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보조 레버(220)는 S자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조작 레버(130)와 보조 레버(220)는 2 개소에 걸어 맞추어졌지만, 1 개소라도 3 개소 이상이라도 물론 좋다.
그리고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종이 지지 부재 위에 종이를 지지했지만, 종이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간격, 예로서 수mm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2매의 판상체(板狀體)를 조합한 것, 또는 종이 지지 부재의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종이의 진행 방향에 직각인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종이 지지 부재 자체가 종이의 가이드를 실행하고, 종이 압압 부재의 작용도 실행하므로, 종이 압압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2매의 판상체가 벌어지도록 되어 있으면, 종이 롤의 교환시에 종이를 종이 지지 부재를 통과시키는 데에 편리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종이 지지 부재(60, 160) 전단부 전체를 삼각형상으로 하기 위해서, 전단 가장자리를 모두 경사지게 했지만, 전단 가장자리의 양측 부분은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이유는, 삼각형상으로 접어진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에서 노출되는 것은, 기껏해야 2 cm 정도이므로, 종이 지지 부재(60, 160)의 전단부의 중앙 부분이 삼각형상이 되어 있으면, 페이퍼 홀더로부터 노출되는 종이 부분을 삼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종이 타올의 종이 롤, 조리용 종이의 종이 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확실하게 삼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는 페이퍼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 종이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페이퍼 홀더에 있어서,상기 종이 롤로부터 인출된 종이를 지지하고, 삼각형상의 전단부(前端部)를 갖는 종이 지지 부재와,상기 종이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와,상기 종이 롤로부터 인출되는 종이를 절단했을 때에,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상기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지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종이 절단기와,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에,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는 종이의 상기 절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종이 지지 부재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접는 마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상측 방향의 위치에 종이 압압 부재를 설치하고, 이 종이 압압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에 부착되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에 하측으로 압압 조작되어서, 상기 종이를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상면에 꽉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종이 압압 부재는, 승강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종이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페이퍼 홀더에 있어서,상기 종이 롤로부터 인출된 종이를 지지하고, 삼각형상의 전단부를 갖는 종이 지지 부재와,조작 레버와,그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절단된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지게 하는 종이 내려뜨림 부재와,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 레버에 걸어 맞추어져서, 상기 종이 내려뜨림 부재가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 후에, 상기 종이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시간차 이동 기구와,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전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져 있는 종이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종이 지지 부재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접는 마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삼각형상의 상기 전단부와 함께 동작하는 Ⅴ자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종이에 대한 상기 마찰 부재의 마찰 저항은, 상기 종이 지지 부재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마찰 부재는, 종이와 접하는 면에, 탄성 부재, 도료,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종이 지지 부재의 종이와 접하는 면은, 상기 마찰 부재의 종이와 접하는 면에 비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스위치 버튼과,이 스위치 버튼을 누름으로써, 온(ON), 오프(OFF)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이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레버에 걸어 맞추어져서 회전하는 캠과,이 캠에 걸어 맞추어져서 회전 운동하는 암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종이 지지 부재는 상기 보조 레버에 고정되고,상기 종이 내려뜨림 부재는 상기 암 부재에 지지되고,상기 조작 레버는, 우선 상기 캠에 걸어 맞추어지고, 그 후에 상기 보조 레버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암 부재의 스프링 부재, 상기 캠의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서, 상기 캠과 상기 암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이나 수명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시간차 이동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의 도중에, 그 조작 레버에 걸어 맞추어지는 보조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되면, 우선 종이 내려뜨림 부재가 하강 운동과 상승 운동을 실행하고, 그 후에 상기 종이 지지 부재가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종이 내려뜨림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는 바(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4항에 있어서,개폐 가능한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재의 내측에, 상기 종이 지지 부재 위에 종이를 꽉 누르는 종이 압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종이 지지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측판 사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를 구비하고, 이 종이 각도 균일화 부재의 상측을 통과하여, 종이가 상기 종이 지지 부재 위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93674 | 2003-03-31 | ||
JPJP-P-2003-00093674 | 2003-03-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082A true KR20050119082A (ko) | 2005-12-20 |
Family
ID=3312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3622A KR20050119082A (ko) | 2003-03-31 | 2003-09-17 | 페이퍼 홀더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385377B2 (ko) |
KR (1) | KR20050119082A (ko) |
AU (1) | AU2003268644A1 (ko) |
TW (1) | TW200418422A (ko) |
WO (1) | WO200408692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938B1 (ko) * | 2020-10-29 | 2021-03-31 | 김경환 | 재단기용 재단물 보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29760B2 (ja) * | 2012-09-28 | 2015-12-09 | 央夫 稲谷 | ペーパーホルダー |
JP5829759B2 (ja) * | 2012-09-28 | 2015-12-09 | 央夫 稲谷 | ペーパーホルダ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9399U (ja) * | 1983-04-12 | 1984-10-25 | 株式会社 新屋製作所 | ロ−ルペ−パ−用のホルダ− |
JPS6347796U (ko) * | 1986-09-13 | 1988-03-31 | ||
JPH0327509Y2 (ko) * | 1987-12-17 | 1991-06-13 | ||
JP3041352U (ja) * | 1996-02-13 | 1997-09-19 | 徳治 伊藤 |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自動三角折り器 |
JP3826367B2 (ja) * | 1996-03-25 | 2006-09-27 | 貞夫 籏谷 | トイレットペーパー切断装置 |
JP3587293B2 (ja) * | 1999-01-23 | 2004-11-10 | 株式会社パトラ | トイレットペ―パホルダ及びトイレットペーパ供給方法 |
JP3549509B2 (ja) * | 2001-09-17 | 2004-08-04 | 進一 上田 |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先端部をv形に折曲する装置 |
-
2003
- 2003-09-17 AU AU2003268644A patent/AU200326864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9-17 KR KR1020047003622A patent/KR200501190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9-17 JP JP2004570188A patent/JP438537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9-17 WO PCT/JP2003/011798 patent/WO200408692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10-30 TW TW092130328A patent/TW200418422A/zh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938B1 (ko) * | 2020-10-29 | 2021-03-31 | 김경환 | 재단기용 재단물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385377B2 (ja) | 2009-12-16 |
WO2004086926A1 (ja) | 2004-10-14 |
JPWO2004086926A1 (ja) | 2006-06-29 |
AU2003268644A1 (en) | 2004-10-25 |
TW200418422A (en) | 2004-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2791B1 (ko) | 두루마리 웨브 분배기 및 절단장치 | |
US4240564A (en) | Soap leaf dispenser | |
US6363824B1 (en) |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 |
US4826063A (en) | Roll holder | |
US5326421A (en) | Tape dispensers | |
US7540225B2 (en) |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 |
JPH0714778B2 (ja) | ロール状に巻き上げられたウェブ材料を同時に分配切断する装置 | |
US4083075A (en) | Lint pickup device | |
GB2250268A (en) | Tape dispenser with cutter | |
KR101809835B1 (ko) | 테이프 디스펜서 및 테이프 접이방법 | |
US6691597B2 (en) | Dispensing machine for wipe material | |
KR20050119082A (ko) | 페이퍼 홀더 | |
JPH0928615A (ja) | ロールシート保持切断装置 | |
CN113423315B (zh) | 用于分配片产品的分配器 | |
JP2997880B2 (ja) |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 |
JP4798525B2 (ja) |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 |
KR20110005578A (ko) | 레버부재가 장착된 안전한 서랍용 레일 | |
GB2190897A (en) | Dispenser for a roll of sheet material | |
US5873602A (en) | Writing pad with paper roll | |
JP3894212B2 (ja) |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 |
JP3135229U (ja) | ロールペーパー切断装置 | |
US5685211A (en) | Soap dispenser | |
JP2605436Y2 (ja) |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 |
US4286731A (en) | Soap leaf sheet dispenser | |
KR200487645Y1 (ko) | 테이프 커팅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