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356A -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356A
KR20050118356A KR1020040043456A KR20040043456A KR20050118356A KR 20050118356 A KR20050118356 A KR 20050118356A KR 1020040043456 A KR1020040043456 A KR 1020040043456A KR 20040043456 A KR20040043456 A KR 20040043456A KR 20050118356 A KR20050118356 A KR 2005011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lade
camera module
hole
camera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490B1 (ko
Inventor
김의석
장인배
정대현
류정호
김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9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2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hand-actuated member moved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providing the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e.g. depression of shutter release button causes a stepped feeler to co-operate with the pointer of the light-sensitive device to set the diaphragm and thereafter release the shu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폰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센서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조립체;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블레이드;및 상기 블레이드를 선회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커스,줌기능을 갖는 카메라폰에 셔터, 조리개기능을 추가하여 카메라폰의 부가기능을 보다 다양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소수증가에 맞추어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A camera module for camera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폰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포커스,줌기능을 갖는 카메라폰에 셔터, 조리개기능을 추가하여 카메라폰의 부가기능을 보다 다양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소수증가에 맞추어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되어 크기가 점차적으로 소형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따라 휴대폰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데, 최근 휴대폰의 통화기능이외에, 휴대폰으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이메일(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폰에 카메라렌즈를 설치하여 휴대폰으로 사물의 동화상, 정지화상을 찍어 보관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카메라기능이 병합된 카메라폰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폰에는 단순히 사물을 찍는 기능에 머물지 않고, 찍고자 하는 사물의 촛점을 조절하는 포커스기능과, 먼곳에 있는 사물을 가깝게 보이게 하거나 가까운 사물을 멀리 보이게 하는 줌기능과 같은 부가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카메라폰의 화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와 마찬가지로 포커스, 줌기능과 더불어 필수적인 부가기능인 조리개와 셔터를 내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디지털카메라와는 달리 카메라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심하기 때문에, 렌즈를 이동시켜 촛점을 맞추는 포커스기능과 사물을 확대 축소시키는 줌기능을 수행하는 렌즈이송기구와 더불어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셔터를 제한된 공간내에 모두 내장하는 것이 곤란하고, 카메라폰을 소형화설계하는데 문제점이 있엇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포커스,줌기능을 갖는 카메라폰에 셔터, 조리개기능을 추가하여 카메라폰의 부가기능을 보다 다양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소수증가에 맞추어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충격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어 자체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 할 수 있으며, 구성부품을 보다 단순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조립체;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선회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상부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관통공과 중첩되는 하부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힌지축을 돌출형성한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회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턱과 접하여 상방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관통공근방에 형성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와 접하여 하방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스토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관통공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환고리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호형 윤활면의 끝단부에는 하부스토퍼가 돌출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고리형 윤활면과 호형 윤활면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호형 윤활면과 대응하는 상부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평면상에는 스토퍼끼움공과 축공을 복수개 관통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조립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힌지축과 조립되는 회전공이 길이중간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선단부가 교차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관통공과 교차되는 선단부가 밀폐형성된 셔터블레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관통공과 교차되는 선단부에 일정크기의 입사공이 관통형성된 조리개블레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상기 힌지축근방의 하우징조립체에 관통형성된 호형 안내로를 통해 상단이 노출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부에 관통형성된 연결공에 간섭되는 편심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형 안내로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후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편심암과 연결되는 중심회전축을 갖는 원통형 회전자와, 상기 중심회전축의 상,하부단이 상,하내부면에 각각 축지되는 사각틀형상의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부면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삽입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조립체에 장착되는 케이스및 상기 코일측으로 전류를 펄스식으로 인가하는 전원인가부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의 상,하부내부면에는 상기 중심회전축이 상,하부단이 지지되는 축지홈을 각각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지홈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개구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자로의 형성이 용이한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편심암의 회전이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절개부를 절개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자로길이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편심암을 일측으로 편중위치시킬 수 있도록 후면절개부를 절개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단 좌우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조립공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턱을 각각 돌출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하부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조리개브레이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1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미지센서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렌즈를 내장하고, 상기 렌즈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렌즈이송기구를 구비한 카메라폰에 셔터,조리개기능을 부가적으로 추가하여 카메라폰의 성능을 높이고,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카메라모듈(100)은 하우징조립체(101), 블레이드(102)및 엑츄에이터(10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조립체(101)는 도 1과2에 도시한 바와같이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상상부면과 하부면에 일정크기의 상,하부관통공(111)(121)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사이에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블레이드(101)가 내장되는 직육면체상의 수용부재이다.
이러한 하우징조립체(101)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렌즈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축상에 일정크기의 상부관통공(111)을 관통형성한 사각판상의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관통공(111)과 서로 중심이 일치하면서 중첩되는 하부관통공(12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공(121)이 관통형성되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힌지축(122a)(122b)을 일정높이 돌출형성한 사각판상의 하부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은 상,하부관통공(111)(121)의 중심이 상기 렌즈의 중심과 서로 일치되도록 상하합형조립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각변의 길이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각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110)의 상부관통공(111)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관통공(121)은 서로 대략적으로 서로 동일한 직경크기를 갖는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의 상하합형시 상기 블레이드(102)가 배치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리브테두리(129)를 일정높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외측테두리와 대응되는 상부하우징(110)의 하부면 외측테두리에도 상기 리브테두리(129)와 마찬가지로 또다른 리드테두리를 돌출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의 상,하부관통공(111)(121)을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블레이드(102)는 도 1과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와 선단부가 교차되고, 길이중간에는 상기 하우징조립체(101)를 구성하는 하부하우징(120)의 임의위치에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형성되는 힌지축(122a)(122b)과 조립되는 회전공(131)(14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의 내부공간에 상기 힌지축(122a)(122b)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가능하게 구비된다. .
여기서,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에 선회가능하게 내장되는 블레이드(102)는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과 교차되는 선단부(131)가 밀폐형성된 셔터블레이드(130)로 개별구성되거나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과 교차되는 선단부(141)에 일정크기의 입사공(147)이 관통형성된 조리개블레이드(140)로 개별구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02)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좌우대칭구조로 서로 교차배치되는 셔터블레이드(130)와 조리개블레이드(140)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셔터블레이드(130)와 조리개블레이드(140)는 상기 작동부(103)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122a)(122b)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회작동되고, 교차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30 내지 50 ㎛내외의 얇은 두께를 갖는 폴리머박막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02)를 선회작동시키는 작동부(10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힌지축(122a)(122b)근방의 하우징조립체(101)에 관통형성된 호형 안내로(125a)(125b)를 통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단이 노출되는 편심암(159a)(159b)을 갖추고, 상기 편심암(159a)(159b)은 상기 블레이드(102)를 구성하는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후단부에 관통형성된 연결공(134)(144)에 상단이 연결되는 편심암(159a)(159b)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작동부재이다.
이러한 작동부(103)는 상기 셔터블레이드(130)와 조리개블레이드(140)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회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조립체(101)를 구성하는 하부하우징(120)의 하부면 일측에 편중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엑츄에이터(150a)(150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구성을 각각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셔터블레이드(130)는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과 교차되는 선단부(131)가 밀폐형성되고, 길이중간에는 상기 힌지축(122a)에 조립되는 회전공(132)을 관통형성하며, 후단부에는 편심암(159a)의 상단이 배치되어 간섭되는 연결공(134)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셔터블레이드(130)와 좌우대칭구조를 갖추어 교차배치되는 조리개블레이드(140)는 선회작동시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과 교차되는 선단부(141)에 일정크기의 입사공(147)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길이중간에는 상기 또다른 힌지축(122b)과 조립되는 회전공(142)을 관통형성하며, 후단부(143)에는 편심암(159b)의 상단이 배치되어 간섭되는 또다른 연결공(144)을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41)는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원반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작동시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을 순간적으로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개블레이드(140)의 입사공(147)은 상기 렌즈, 이미지센서의 중심을 관통하는 광축에 맞추어지도록 관통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개블레이드(140)와 상,하부관통공(111)(121)의 교차시 상기 입사공(147)을 통해 사물의 화상을 상기 렌즈를 통해 이미지센서측으로 보낼수 있는 것이다.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후단부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공(134)(144)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작동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연결공(134)(144)에 조립된 편심암(159a)(159b)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는 상기 힌지축(122a)(122b)과 조립되는 회전공(132)(142)과 각 후단부사이의 몸체길이보다 상기 회전공(132)(142)과 각 선단부(131)(141)사이의 몸체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41)의 선회범위를 후단부에 비하여 크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는 상기 회전공(132)(142)을 기준으로 하여 선회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는 공간이 제한된 하우징조립체(101)내에서 선회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조립체(101)를 구성하는 하부하우징(120)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21)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32)하부면과 대응하는 환고리형 윤활면(123)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 하부면과 대응하고, 상기 환고리형 윤활면(123)의 좌우양측으로는 호형 윤활면(124a)(124b)이 일정높이로 각각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환고리형 윤활면(123)과 호형 윤활면(124a)(124b)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호형 윤활면(124a)(124b)과 서로 대응하는 상부하우징(110)의 하부면에도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또다른 호형 윤활면(114a)(114a)을 일정높이 돌출형성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각각 형성되는 호형 윤활면(114a)(114b)(124a)(124b)은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41)가 선회되는 원호궤적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후단부가 위치되는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에 의해서 편심회전되는 편심암(159a)(159b)의 상단이 안내이동되도록 호형 안내로(125a)(125b)를 각각 관통형성하는바, 상기 호형 안내로(125a)(125b)의 외측테두리 상부면에도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후단부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126a)(126b)을 돌출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폭보다 작은 크기의 협소한 폭을 갖는 윤활면(114a)(114b)(124a)(124b)(126a)(126b)을 구비하게 되면,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개별적인 선회및 동시적인 선회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각 선,후단부를 받쳐주게 됨과 동시에 이들과 국부적으로 접하여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형 안내로(125a)(125b)의 형성각도(α)는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하방선회완료시 이를 따라 선회안내되는 편심암(159a)(159b)과 호형 안내로(125a)(125b)의 좌,우측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에 예하중을 가하여 지지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가 흔들리는 않도록 상기 편심암(159a)(159b)의 실질적인 선회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각도(θ)는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하방선회완료시 선단부(131)(141)와 상기 하부스토퍼(127b)(127c)가 서로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호형 안내로(125a)(125b)의 형성각도(α)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범위를 제한하면서 과도한 선회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127)를 구비하는바, 상기 스토퍼부(127)는 상방선회완료된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와 접하는 상부스토퍼(127a)와 하방선회완료된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와 각각 접하는 한쌍의 하부스토퍼(127a)(127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스토퍼(127a)는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41)에 형성된 돌출턱(131a)(141a)과 접하여 이들의 과도한 상방선회를 제한하면서 상기 각 선단부(131)(141)와 상,하부관통공(111)(121)이 서로 중첩되어 질때 상방선회가 중단되도록 상기 하부관통공(121)근방인 환고리형 윤활면(123)의 상단중앙부에 돌출형성되며, 이는 상기 렌즈의 중심을 관통하는 광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상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스토퍼(127b)(127c)는 상기 셔터,조리개터블레이드(130)(140)의 하방선회시 각 선단부와 접하여 이들의 과도한 하방선회를 제한하면서 상기 선단부(131)(141)와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 테두리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양측 테두리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하부스토퍼(127b)(127c)는 상기 환고리형 윤활면(123)으로부터 좌우양측으로 연장되는 호형 윤활면(124a)(124b)의 각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스토퍼(127a)(127b)(127c), 힌지축(122a)(122b)과 서로 대응하는 상부하우징(110)의 평면상에는 상기 상,하부스토퍼(127a)(127b)(127c)의 상부단이 조립되는 스토퍼끼움공(117a)(117b)(117c)과 상기 힌지축(122a)(122b)의 상부단이 조립되는 축공(112a)(112b)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편심암(159a)(159b)이 배치되는 호형안내로(125a)(125b)와 대응하는 상부하우징(110)의 평면상에는 상기 편심암(159a)(159b)의 상부단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축노출공(115a)(115b)을 호형으로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축노출공(115a)(115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편심암(159a)(159b)의 상부단을 선회작동시켜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의 도움없이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를 선회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부(103)의 각 엑츄에이터(150a)(150b)가 조립되는 조립공(128)을 복수개 관통형성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103)는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블레이드(101)를 선회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의 하부면 일측에 편중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엑츄에이터(150a)(150b)로 구성되는바, 이러한 엑츄에이터(150a)(150b)는 셔터블레이드(130)와 조리개블레이드(140)의 유무에 따라 설치갯수가 결정된다.
이러한 엑츄에이터(150a)(150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편심암(159a)(159b)과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중심회전축(155)을 갖는 원통형 회전자(151)와, 상기 회전자(151)의 중심회전축(155)의 상,하부단이 상,하내부면에 각각 축지되는 사각틀형상의 코어(152)와, 상기 코어(152)의 외부면에 권선되는 코일(153)과, 상기 코일(153)이 권선된 코어(152)가 삽입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에 장착되는 케이스(154)및 상기 코일(153)측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교대로 전환시키는 전원인가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51)는 N극과 S극이 원주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착자된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152)의 상,하부내부면에는 상기 회전자(151)의 몸체중심에 배치된 중심회전축(155)의 상,하부단이 각각 지지되는 상,하부축지홈(156a)(156b)을 각각 함몰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153)이 권선된 코어(152)와 더불어 회전자(151)가 삽입배치되는 케이스(154)의 전면에는 상기 편심암(159a)(159b)의 회전이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편심암(159a)(159b)이 배치되는 전면절개부(156)를 절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54)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절개부(156)와 서로 대응하고, 상기 전면절개부(156)의 절개면적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 후면절개부(157)를 절개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후면절개부(157)는 포함하고, 상기 전면절개부(156)는 포함하지 않도록 엑츄에이터(150a)(105b)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54)와 영구자석(151)사이에 형성되는 자로(rerluctance path)의 경로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후면절개부(157)를 포함하지 않는 케이스(154)의 전면의 폭(W1)은 상기 후면절개부(157)를 포함하여 양분된 후면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54)의 전면에 형성되는 자로는 상기 케이스(154)의 후면에 형성되는 자로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54)는 자로의 형성이 용이한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케이스(154)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자로의 길이차이에 따른 견인력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자(151)를 포함하는 중심회전축(155)에 편향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중심회전축(155)에 일단이 연결되는 편심암(159a)(159b)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중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심회전축(155)의 상,하부단이 축지되는 상,하부축지홈(156a)(156b)중 어느 하나의 축지홈(156b)은 외측으로 개구하여 함몰형성하여도 상기 회전자(151)의 외부이탈의 염려없이 상기 회전자(151)의 회전력과 부하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자(151)를 상기 요크(152)에 조립하는 작업시 사각틀형상의 요크(152)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기 중심회전축(155)의 상,하부단을 외측으로 개구되지 않은 상,하부축지홈(156a)(156b)에 각각 축지한 다음 상하분할된 요크(152)를 상하조립할 필요없이 상기 중심회전축(155)의 상부단을 상기 요크(152)의 상부축지홈(156a)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회전축(155)의 하부단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외측으로 개구된 하부축지홈(156b)에 간편하게 끼움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틀형상의 요크(152)는 상하분할되는 구조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상기 회전자(151)와 요크(152)를 서로 조립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154)의 전면절개부(156)와 대응하는 상기 요크(152)의 전면에는 상기 요크(152)가 케이스(154)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어하도록 상기 전면절개부(156)에 간섭되어 돌출턱(152a)을 돌출형성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154)의 상부단 좌우양측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조립공(128)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턱(154a)을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기 조립턱(154a)은 상기 조립공(128)으로부터의 이탈이 곤란하도록 절곡처리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하우징(110), 조리개블레이드(140), 셔터블레이드(130), 하부하우징(120)및 엑츄에이터(150a)(150b)의 순서로 조립된다.
상기 상,하부하우징(120)의 상하합형은 상기 하부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축(122a)(122b)과 상,하부스토퍼(127a)(127b)(127b)을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관통형성된 축공(112a)(112b)과 스토퍼공(117a)(117b)(117c)으로 끼워져 상부로 노출되며, 이들은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상부하우징에 융착하여 조립하고,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사이의 조립부위를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 조리개 블레이드(130)(140)의 각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공(134)(144)에 조립된 편심암(159a)(159b)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노출공(115a)(115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노출된 편심암(159a)(159b)의 상단부를 조작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할 필요없이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를 수동으로 선회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제품의 최종 조립검사시 원활한 작동여부를 간편하게 검사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에 관통형성된 조립공(128)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154)의 상부 좌우양단에 돌출형성된 조립턱(154a)을 각각 끼운 다음, 이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를 하우징조립체(101)의 하부일측에 편중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합형된 하우징조립체(101)의 내부공간에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가 상,하부관통공(111)(121)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렌즈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조립체(101)의 하부면 일측에 편중배치된 엑츄에이터(150a)(150b)를 작동시키면, 힌지축(122a)(122b)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각 선단부(131)(14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렌즈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가리거나 열어 광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작동은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일측에 형성되는 호형 안내로(125a)(125b)에 배치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에 연결된 편심암(159a)(159b)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상기 편심암(159a)(159b)은 상기 호형 안내로(125a)(125b)를 따라 선회되며,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에 연결되는 편심암(159a)(159b)의 회전반경(r)과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회전반경(R)은 기구학적인 제약조건에 의해 도출된다.
즉, 렌즈 개구부의 직경이 3.5mm인 메가픽셀 CCD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조리개블레이드(140)의 선단부(141)가 선회되는 이동거리(l)를 4mm로 설정하고, 상기 조리개블레이드(140)의 회전공(142)에서 렌즈 중심까지의 거리를 8mm 로 설정하면, 상기 조리개블레이드(140)의 회전각(θ)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서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142)에서 편심암(159b)간의 최소거리(l1)를 4mm로 설정하며, 상기 호형 안내로(125b)의 회전각(α)은 90°로 설계하지 않고, 양단에서의 예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2π/5 = 72°로 형성하여 이에 상기 호형 안내로(125)를 따라 선회안내되는 편심암(159b)도 상기 회전각(α)만큼만 회전시킨다고 가정하면, 상기 편심암(159b)의 회전반경(r)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서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편심암(159b)의 회전반경(r)은 1.59 내지 1.6mm 로 설정할 수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또다른 편심암(159a)의 회전반경(r)도 상기 수학식 1,2에 의해서 동일하게 얻어진다.
한편, 상기한 회전반경을 갖는 편심암(159a)(159b)에 연결된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가 상방으로 선회되면, 각 선단부(131)(141)는 호형 윤활면(124a)(124b)을 따라 선회되다가 대략 0.122mm의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고, 4mm의 직경을 갖는 환고리형 윤활면(123)에 의해서 둘러쌓여 있는 대략 3mm의 직경을 갖는 하부관통공(121)을 가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선단부(131)(141)는 이에 돌출형성된 돌출턱(131a)(141a)과 상부스토퍼(127a)가 서로 접하면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상방선회는 중단되고,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은 완전히 가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가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의 복귀작동에 의해서 하방선회되면, 하방선회되는 각 선단부(131)(141)는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양측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호형 윤활면(124a)(124b)의 각 끝단부에 돌출형성된 하부스토퍼(127b)(12c)와 접하면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하방선회는 중단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상,하방선회작동은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에 구비된 호형 윤활면(114a)(114b)(124a)(124b)을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회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각 선단부(131)(141)를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선회시 마찰력을 최소화시켜주는 윤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후단부가 위치되는 호형안내로(125a)(125b)의 외측테두리에도 호형 윤활면(126a)(126b)을 돌출형성하여 브레이드의 후단부를 지지하며서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에 연결된 편심암(159a)(159b)의 편심회전이 안내되는 통로인 호형 안내로(125a(125b)는 상기 조리개, 셔터블레이드(130)(140)의 상,하방선회완료시 상기 편심암(159a)(159b)과 호형 안내로(125a)(125b)의 좌,우측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에 예하중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α)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스토퍼(127a)(127b)(127c)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 부터의 충격이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에 전달되어도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는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자기위치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로(reluctance path) 교차방식을 사용하여 자기 유지 특성을 구현한 2극형 회전 솔레노이드방식의 엑츄에이터(150a)(150b)는 상기 상,하부관통공(111)(121)의 직하부에 포커스와 줌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렌즈구동장치(미도시)가 위치되기 때문에, 이와 간섭되지 않도록 그 반대편에 해당하는 하우징조립체(101)의 하부면 일측에 편중배치된다.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상,하방선회가 이루어지도록 이에 연결된 편심암(159a)(159b)을 편심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150a)(150b)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54)의 중앙부에 원통형 회전자(151)가 위치되면, 상기 케이스(154)의 후면에 절개형성된 후면절개부(157)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의 폭크기는 서로 다르게 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로의 길이차이 발생되어 상기 편심암(159a)(159b)은 도면상 좌측에 편중하여 위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자는 자유롭게 회전하지 목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는 래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일(153)에 전류를 정방향으로 공급하면, 상기 회전자(151)의 N극에는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S극에는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자(151)와 더불어 중심회전축(155)에 연결된 편심암(159a)(159b)은 시계방향(A)으로 회전되면서 힌지축(122a)(122b)에 조립된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단부(131)(141)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편심암(159a)(159b)의 회전이 완료된후 상기 코일(153)에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어 자기장이 소멸한다 하여도 자로의 길이차이 때문에 상기 회전자(151)는 회전완료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연속하여, 도 6(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일(153)측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상기와 반대의 역방향으로 공급하면, 상기 회전자(151)의 N극에는 당기는 힘인 견인력이 작용하고, S극에는 밀어내는 힘인 척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편심암(159a)(159b)은 반시계방향(B)으로 회전되면서 힌지축(122a)(122b)에 조립된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단부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선회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원리를 갖는 래치 방식의 솔레노이드형 엑츄에이터(150a)(150b)를 사용하면, 상기 엑츄에이터(150a)(150b)의 구동시 펄스방식의 전류흐름만으로 회전자(151)를 정,역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극소화 시킬수 있으며, 상기 셔터, 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빠른 선회작동이 보장되어 셔터스피드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조리개블레이드(130)(140)의 선회속도는 상기 편심암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153)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값을 높이거나 낮추어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셔터, 조리개블레이드를 선회작동가능하게 구비하고, 이에 편심암을 매개로 연결된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으로써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회작동시킴으로써 상,하부관통공을 통하여 렌즈측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셔터,조리개역활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포커스,줌기능과 더불어 카메라폰에 셔터, 조리개기능을 추가하고, 카메라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소수증가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심암이 안내이송되는 호형 안내로의 형상각도를 편심암의 선회각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셔터,조리개블레이드의 선회완료시 편심암이 접해지는 호형안내로의 양측단에 예압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시 블레이드의 위치를 위치를 유지하여 카메라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회전자가 구비되는 케이스의 후면에 후면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자로의 형성길이에 차이로 인한 견인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자를 포함하는 중심회전축에 편향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어의 내부면에 성형된 개구형 축지홈만으로도 회전자의 회전력를 지지하고, 부하를 견딜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하우징조립체의 형상을 단순화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하부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조리개브레이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의 자로발생 상태도이다.
도 6(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우징조립체 102 : 블레이드
103 : 작동부 110 : 상부하우징
120 : 하부하우징 111,121 : 상,하부관통공
122a,122b : 힌지축 123 : 환고리형 윤활면
124a,124b : 호형 윤활면 127 : 스토퍼부
130 : 셔터블레이드 140 : 조리개블레이드
132,142 : 회전공 134,144 : 연결공
150a,150b : 엑츄에이터 151 : 회전자
152 : 코어 153 : 코일
154 : 케이스 156 : 전면개구부
157 : 후면개구부 159a,159b : 편심암

Claims (20)

  1. 이미지센서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조립체;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블레이드;및
    상기 블레이드를 선회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상부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관통공과 중첩되는 하부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힌지축을 돌출형성한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회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턱과 접하여 상방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관통공근방에 형성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와 접하여 하방선회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스토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공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환고리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호형 윤활면의 끝단부에는 하부스토퍼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고리형 윤활면과 호형 윤활면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호형 윤활면과 대응하는 상부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선단부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평면상에는 스토퍼끼움공과 축공을 복수개 관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조립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힌지축과 조립되는 회전공이 길이중간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선단부가 교차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관통공과 교차되는 선단부가 밀폐형성된 셔터블레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관통공과 교차되는 선단부에 일정크기의 입사공이 관통형성된 조리개블레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힌지축근방의 하우징조립체에 관통형성된 호형 안내로를 통해 상단이 노출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부에 관통형성된 연결공에 간섭되는 편심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안내로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각 후단부 하부면과 대응하는 호형 윤활면이 일정높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편심암과 연결되는 중심회전축을 갖는 원통형 회전자와, 상기 중심회전축의 상,하부단이 상,하내부면에 각각 축지되는 사각틀형상의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부면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삽입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조립체에 장착되는 케이스및 상기 코일측으로 전류를 펄스식으로 인가하는 전원인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상,하부내부면에는 상기 중심회전축이 상,하부단이 지지되는 축지홈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홈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개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자로의 형성이 용이한 금속소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편심암의 회전이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절개부를 절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자로길이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편심암을 일측으로 편중위치시킬 수 있도록 후면절개부를 절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단 좌우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조립공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턱을 각각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1020040043456A 2004-06-14 2004-06-14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10064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56A KR100649490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56A KR100649490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56A true KR20050118356A (ko) 2005-12-19
KR100649490B1 KR100649490B1 (ko) 2006-11-24

Family

ID=3729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56A KR100649490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312B1 (en) 2016-05-04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62B1 (ko) 2016-01-20 2016-09-05 (주) 엠디펄스 볼 거리 유지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101652762B1 (ko) 2016-01-22 2016-09-01 (주) 엠디펄스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WO2022017595A1 (en) * 2020-07-22 2022-01-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ngle-piece actuator and adjustable aperture unit comprising a single-piec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292A (ko) * 1999-02-03 1999-07-05 오병호 사진촬영이가능한휴대폰
JP3295415B2 (ja) 2000-07-26 2002-06-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249986A (ja) 2002-02-22 2003-09-05 Canon Inc 撮像および通信装置
JP3813892B2 (ja) 2002-03-29 2006-08-2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2004023723A (ja) * 2002-06-20 2004-01-22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子機器
JP2004226872A (ja) * 2003-01-27 2004-08-12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312B1 (en) 2016-05-04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490B1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172B2 (en) Camera lens assembly
KR20220038632A (ko) 폴디드 모듈
US7410310B2 (en) Blade driving apparatus for cameras
KR101477247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TWI438555B (zh) Camera with leaf drive
US20030012573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shutter device for camera
KR20080068534A (ko) 광량 조정 장치 및 촬상 장치
JP2006284641A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US7857526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20050146637A1 (en) Imaging apparatus
KR100649490B1 (ko)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102376509B1 (ko) 폴디드 모듈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5183898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101664B2 (ja) 固体撮像装置
KR10098979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30039108A (ko) 3차원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KR100714795B1 (ko) 셔터기능을 갖는 조리개장치
JP2006215323A (ja) 光量調節装置及び光学機器
KR101186655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셔터장치
JP7038003B2 (ja) 羽根駆動装置
WO2023168637A1 (zh) 光圈机构
JP2006296142A (ja) 電磁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量調整装置
JP5134230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06154211A (ja) 電磁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量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