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762B1 -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762B1
KR101652762B1 KR1020160008251A KR20160008251A KR101652762B1 KR 101652762 B1 KR101652762 B1 KR 101652762B1 KR 1020160008251 A KR1020160008251 A KR 1020160008251A KR 20160008251 A KR20160008251 A KR 20160008251A KR 101652762 B1 KR101652762 B1 KR 10165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bstrate
moving part
magn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 엠디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디펄스 filed Critical (주) 엠디펄스
Priority to KR10201600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762B1/ko
Priority to US15/044,570 priority patent/US20170212409A1/en
Priority to CN201610090008.0A priority patent/CN10699713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사이드 액추에이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볼; 상기 볼의 직선 주행을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각각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액추에이터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한 쪽에만 몰려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이동부와 고정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이 마련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업계의 시장 동향은 화소수가 증가하면서 정밀한 화질의 구현을 위한 카메라 제어 기술의 경합으로 그 양상이 바뀌고 있다. 고해상도를 갖도록 차별화된 컴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정밀한 화질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을 필요로 한다.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 보편화된 것이지만,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수십mm 이내로 축소된 컴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모듈에서는 여전히 구현하기 어렵다.
컴팩트형으로 축소된 카메라 모듈에서 자동 초점 조절을 구현하려면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구동 메카니즘의 혁신적인 개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대한 다른 부재의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49490호에는 래치 방식의 솔레노이드형 엑츄에이터가 개시되고 있으나,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다른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49490호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된 다른 부재에 미치는 자기장의 영향이 제한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사이드(side) 액추에이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볼; 상기 볼의 직선 주행을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각각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액추에이터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한 쪽에만 몰려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부와 고정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고정부의 한 쪽에만 몰려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자기장에 영향을 받는 마이크 등의 다른 부재와 함께 단말기의 메인 기판에 설치될 때, 다른 부재에 자기장의 영향이 덜 미치도록 카메라 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에 실장되는 기판에 코일이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코일이 기판에 직접 설치될 때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 중 일단부는 코일의 내주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주 측으로 인출된 도선의 일단부가 코일을 도피해서 외주 측으로 빠져나가도록 통과부가 마련될 수 있다.
통과부에 의하면 코일은 기판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코일이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 및 코일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에 코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통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홀 센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카메라 모듈은 이동부(110), 고정부(130), 사이드(side) 액추에이터(170), 볼(210),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10)에는 렌즈(미도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렌즈가 경통(120) 내에 설치된 경우 이동부(110)에는 경통(12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축'이란 피사체에서 카메라 모듈로 입사되는 광 화상이 직진하는 가상의 축을 말하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z축이 광축이 된다.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부(130)는 커버(190)로 덮일 수 있다. 오토 포커싱시 코일(173) 및 마그네트(177)를 포함하는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에 의하여 이동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코일(173)과 마그네트(177) 중 하나는 이동부(110)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이동부(110)를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 이동부(1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틸팅 억제 및 저전력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이동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경사 틸트를 방지하기 위해 볼(210)을 이용할 수 있다.
볼(210)은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동부(110)가 광축에 기울어지는 경사 틸트를 방지하기 위해 볼(210)은 광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볼(2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110)가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수평 틸트를 방지하기 위해 볼(210)은 수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사이에는 볼(210)의 직선 주행을 안내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은 이동부(110)에 마련된 제1 레일(150)과 고정부(130)에 마련된 제2 레일(160)이 서로 대면되게 배치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15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부(110)에 대한 볼(210)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레일(150)은 고정부(130)에 대면되는 이동부(110)의 일면에 형성되고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상대 이동시 볼(210)은 제1 레일(150)에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부(110)에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제2 레일(160)은 광축 방향으로 고정부(130)에 대한 볼(210)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레일(160)은 제1 레일(150)에 대면되는 고정부(130)의 일면에 형성되고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상대 이동시 볼(210)은 제2 레일(160)에 구름 접촉되면서 고정부(130)에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일(150), 제2 레일(160) 및 볼(210)에 따르면, 이동부(110)와 고정부(130)는 둘 사이에 개재된 볼(210)의 구름 접촉에 가이드되면서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구름 접촉을 통해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부(110)와 고정부(130) 간의 상대 이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개선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단말기에 다른 부재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일(173)과 마그네트(177)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서는 다른 부재의 동작을 방해하는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단말기 내에서 다른 부재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모든 면에서 자기장이 발생된다면 단말기 내에 어떤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다른 부재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
다른 부재에 자기장의 영향이 덜 미치도록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사이드 액추에이터(170)는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 상으로 고정부(130) 및 이동부(110)의 한 쪽에만 몰려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몰려서 배치된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에 의해 이동부(110)와 고정부(130)가 원활하게 상대 이동되도록, 볼(210) 및 레일 역시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사이드 액추에이터(170)가 배치된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이동부가 고정부에 지지되는 비교 실시예를 가정한다. 비교 실시예의 경우 광축에 기울어지는 경사 틸트를 방지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이드 액추에이터(170)는 적어도 광축 O의 좌우에 모두 설비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일측에 몰려서 배치된 볼(210) 및 각 레일(150, 160)을 이용해서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상대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액추에이터(170)는 평면상으로 광축 O를 기준으로 볼(210)이 설치된 일측에만 설치되면 충분하다.
광축 O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이 정의될 때, 제1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볼(210)이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액추에이터(17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고정부(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부(13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173)은 사각 기둥을 형성하는 고정부(130)의 4개의 옆면 중 1개의 옆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77)는 코일(173)과 대면되는 이동부(110)의 한 쪽 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73)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자력 부재(30)가 고정부(130)와 함께 단말기의 메인 기판(10)에 설치될 때, 고정부(130)는 4개의 측면에 해당되는 제1 면(131), 제2 면(132), 제3 면(133), 제4 면(134)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면(131), 제2 면(132) 및 제3 면(133)은 자력 부재(30)와 대면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는 코일(173)이 제4 면(134) 쪽에 몰려서 배치되도록 메인 기판(10)에 설치될 수 있다.
자력 부재(30)는 마이크, 스피커, 진동 모터와 같이 자력에 의해 본래 기능이 변화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메인 기판(10)에 자력 부재(30)가 설치된 경우 고정부(130)는 최대한 자력 부재(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메인 기판(10)의 크기가 제한된 경우 자력 부재(30)는 고정부(130)의 부근에 설치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자력 부재(30)는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의 자장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축 O를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부(130)를 회전시키면 회전 각도에 따라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와 자력 부재(3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력 부재(30)에 자기장이 가장 덜 미치는 회전 각도로 고정부(1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메인 기판(10)에 고정부(1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130)가 배치되면, 사이드 액추에이터(170)가 자력 부재(30)에 대면되지 않는 고정부(130)의 제4 면(134) 측에 위치하게 되고, 자력 부재(30)는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이동부(110)를 고정부(130) 쪽으로 흡인하는 요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71)의 흡인력에 따르면, 이동부(110)와 고정부(130)는 서로 밀착되므로 볼(210)이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요크(171)는 사이드 액추에이터(170)에 포함된 마그네트(177)의 인력이 작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71)와 마그네트(177) 사이에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 요크(171)가 설치된 고정부(130)를 향해 마그네트(177)가 설치된 이동부(110)가 흡인될 수 있다.
요크(171)는 마그네트(177)와 대면되도록 코일(173)이 배치된 고정부(1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요크(171)의 재질에 마그네트(177)에 붙는 성질의 금속이 포함된 경우, 요크(171)는 고정부(130)의 일측 벽면에 해당되고 자력 부재(30)에 비대면되는 고정부(130)의 제4 면(134)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면(134)을 형성하기 위해 요크(17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71)에 의하여 고정부(130) 쪽으로 흡인된 이동부(110)는 코일(173) 및 마그네트(177)의 상호 작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볼(210), 레일, 요크(171) 및 마그네트(177)는 렌즈의 광축 O를 기준으로 한 쪽에 몰려서 배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동부(110)에 대면되는 요크(171)의 일면에는 기판(172)이 설치될 수 있다.
기판(172)에는 사이드 액추에이터(170)를 형성하는 코일(173)이 설치될 수 있다. 전기가 소통되는 도선(176)이 폐곡선 형상으로 감긴 코일(173)의 중앙에는 통공 h가 형성될 수 있다. 통공의 중심에는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175)가 설치될 수 있다.
홀 센서(175)에서 감지된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는 고정부(130)에 대한 이동부(110)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172) 및 코일(173)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코일(173)은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도선(176)이 통공 h가 형성된 폐곡선 기둥 형상으로 와인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코일(173)은 밑면 f가 기판(172)에 밀착된 상태로 기판(172)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172)에는 도선(176)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통과하는 통과부(174)가 마련될 수 있다.
통과부(174)는 기판(172)의 일부가 절개되거나 기판(172)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도선(176)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통과부(174)를 거쳐 코일(173)의 외주 c2 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코일의 내주 c1 및 통과부(174) 사이에는 제1 구멍 k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외주 c2 및 통과부(174) 사이에는 제2 구멍 k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선(176)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제1 구멍 k1을 통과하여 제2 구멍 k2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172)에 코일(173)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선(176)의 일단부는 통공 h가 위치한 코일(173)의 내주 c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반면, 도선(176)의 타단부는 코일(173)의 외주 c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선(176)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코일(173)의 밑면 f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좋다. 도선(176)의 단부는 기판(172)에 마련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단자는 코일(173)의 외주 c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도선(176)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마그네트(177)에 대면되는 코일(173)의 윗면으로부터 인출되면, 도선(176)의 일부는 공중을 가로질러 기판(172)의 단자에 연결될 수밖에 없다. 공중에 설치된 도선(176)은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고 취급이 어려우므로 배제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선(176)의 양 단부는 코일(173)의 밑면 f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좋다.
이때, 코일(173)의 통공 h 측으로부터 인출된 도선(176)의 단부가 문제될 수 있다. 도선(176)이 공중에 설치되는 상태가 배제되도록, 코일(173)의 내주 c1으로부터 인출된 도선(176)의 일단부는 코일(173)과 기판(172)의 사이를 통과해서 코일(173)의 외주 c2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기판(172)의 코일(173)의 사이로 도선(176)이 통과하는 경우, 도선(176)이 통과하는 코일(173)의 일측은 도선(176)에 의해 기판(172)으로부터 들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코일(173)의 밑면 전체가 기판(172)에 밀착되지 못하고, 코일(173)의 일부 모서리 부분 B만 기판(17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72)과 코일(173)의 접착 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기판(172)에 대해 코일(173)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기판(172)은 마그네트(177)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72)에 대해 코일(173)이 기울어지면 코일(173)과 마그네트(17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지 못할 수 있다. 서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코일(173)과 마그네트(177)는 이동부(110)와 고정부(130)를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고르게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코일(173)의 밑면 f가 기판(172)에 확실하게 설치되고 코일(173)의 윗면이 마그네트(177)에 평행하도록, 코일(173)의 밑면 f는 기판(172)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
코일(173)의 밑면 f가 기판(172)에 밀착되도록, 코일(173)의 내주 c1으로부터 인출되고 코일(173)의 외주 c2 측으로 빠져나가는 도선(176)의 일단부는 별도로 마련된 경로로 도피될 필요가 있다.
별도로 마련된 경로로서, 통과부(174)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과부(174)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는 도 3의 A-A'구간을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코일(173)의 밑면 f가 기판(172)에 설치될 때, 도선(176)의 일단부는 통공 h가 위치한 코일(173)의 내주 c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기판(172)에는 도선(176)이 통과하는 통과부(174)가 마련될 수 있다. 통과부(174)는 기판(172)의 일부가 절개된 것이거나, 기판(172)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과부(174)는 코일(173)의 내주 c1로부터 인출되는 도선(176)의 일단부가 위치한 통공 h로부터 코일(173)의 외주 c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도선(176)의 일단부는 통과부(174)를 통과해서 코일(173)의 외주 c2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통과부(174)에 따르면 코일(173)의 밑면 f 중에서, 통과부(174)에 대면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부위가 기판(17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73)은 기판(172)에 확실하게 설치될 수 있고, 기판(172) 및 마그네트(177)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72)의 두께가 도선(176)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크다면, 기판(172)은 별다른 무리없이 요크(171) 또는 고정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통과부(174)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코일(173)에 대면되는 기판(172)의 일면에는 코일(173)을 형성하는 도선(176)의 직경 이상의 두께로 커버레이(178)(coverlay)가 적층될 수 있다.
커버레이(178)는 전기 절연성, 난연성, 내열성, 기판(172)에 형성된 회로의 보호 등을 위해 기판(172) 상에 적층된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레이(178)에는 도선(176)이 통과하는 홈에 해당하는 통과부(174)가 마련될 수 있다.
통과부(174)는 커버레이(178)에서 코일(173)의 통공 h에 대면되는 부위로부터 적어도 코일(173)의 외주 c2에 대면되는 부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코일(173)의 내주 c1으로부터 인출된 도선(176)의 일단부는 통과부(174)를 통과해서 코일(173)의 외측 c 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외주 c2 측으로 빠져나온 도선(176)의 일단부는 기판(172) 상에 마련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레이(178)의 경우 기판(172)의 두께가 도선(17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기판(172)을 일부 절개하거나 기판에 구멍을 형성하기 곤란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홀 센서(175)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마그네트(177)는 이동부(110)에서 코일(173)에 대면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10)와 고정부(130)의 상대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175)가 마련될 수 있다.
홀 센서(175)는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는 감지되면서, 코일(173)의 자기장 변화는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홀 센서(175)는 전기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해 기판(172)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들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기판(172)은 코일(173)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와 홀 센서(175)의 감지 신호가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173)의 가운데에는 홀 센서(175)의 직경 L1보다 큰 직경 L2를 갖는 통공 h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175)는 전기 신호에 의해 코일(173)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상쇄되는 통공 h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통공 h의 중심은 마그네트(177)에 대면되는 위치이므로,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의 감지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코일(173)의 자기장이 상쇄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기판(172)이 노출된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통공 h의 중심에 배치된 홀 센서(175)는 마그네트(177)의 자기장 변화를 확실하게 감지하고, 기판(172)을 통해 감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단말기의 메인 기판 30...자력 부재
110...이동부 130...고정부
131...제1 면 132...제2 면
133...제3 면 134...제4 면
150...제1 레일 160...제2 레일
170...사이드 액추에이터 171...요크
172...기판 173...코일
174...통과부 175...홀 센서
176...도선 178...커버레이
190...커버 210...볼
220...리테이너

Claims (11)

  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사이드 액추에이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볼;
    상기 볼의 직선 주행을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각각 마련되는 레일;
    상기 코일이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도선이 통공을 갖는 폐곡선 기둥 형상으로 와인딩된 것이며,
    상기 코일의 밑면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도선의 일단부는 상기 통공이 위치한 상기 코일의 내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코일의 내주로부터 인출된 상기 도선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상기 코일에 대면되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과부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절개되거나 상기 기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진 것이며,
    평면상으로 상기 코일의 통공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를 통과하는 가상선을 가정하고, 상기 코일에서 내주로부터 외주까지 연장되는 구간 중 상기 가상선 상의 구간을 특정 구간으로 정의할 때,
    상기 통과부는 상기 가상선을 따라 상기 특정 구간보다 길게 연장되고,
    평면상으로 상기 코일의 내주 및 상기 통과부의 일단 사이에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의 외주 및 상기 통과부의 타단 사이에 제2 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코일의 특정 구간은 상기 가상선 상으로 상기 통과부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선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구멍, 상기 통과부를 순서대로 통과해서 상기 제2 구멍으로 빠져나가고,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는 상기 도선의 일단부에 의해 상기 코일의 밑면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평행하게 밀착되며,
    상기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코일은 상기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마그네트에 평행하게 대면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빠져나간 상기 도선의 일단부는 상기 코일의 외주로부터 인출된 상기 도선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코일에 대면되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마련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및 상기 레일은 상기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사각 기둥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의 4개의 옆면 중 1개의 옆면에만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대면되는 상기 이동부의 한 쪽 면에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자력 부재가 상기 고정부와 함께 단말기의 메인 기판에 설치될 때,
    상기 고정부는 4개의 측면에 해당되는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상기 자력 부재와 대면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일이 상기 제4 면 쪽에 몰려서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기판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상기 고정부 쪽으로 흡인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와 대면되도록 상기 코일이 배치된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요크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 쪽으로 흡인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볼, 상기 레일, 상기 요크 및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한 쪽에 몰려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08251A 2016-01-22 2016-01-22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10165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51A KR101652762B1 (ko) 2016-01-22 2016-01-22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US15/044,570 US20170212409A1 (en) 2016-01-22 2016-02-16 Camera module having a side actuator
CN201610090008.0A CN106997137A (zh) 2016-01-22 2016-02-17 配备侧面执行机构的照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51A KR101652762B1 (ko) 2016-01-22 2016-01-22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762B1 true KR101652762B1 (ko) 2016-09-01

Family

ID=569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51A KR101652762B1 (ko) 2016-01-22 2016-01-22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12409A1 (ko)
KR (1) KR101652762B1 (ko)
CN (1) CN1069971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41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CN110794547A (zh) * 2019-08-31 2020-02-14 东莞睿恩科技有限公司 滚珠式音圈马达的透镜驱动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7947B (zh) * 2018-06-26 2024-01-30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KR102632362B1 (ko) * 2019-02-21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129826A (ko) * 2019-05-10 2020-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JP2022100786A (ja) * 2020-12-24 2022-07-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90B1 (ko) 2004-06-14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20140076213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KR20150088044A (ko) * 2014-01-23 2015-07-31 케이씨엔디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150104009A (ko) * 2014-03-04 2015-09-14 (주)옵토라인 카메라 모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0232B2 (ja) * 2011-12-27 2016-02-03 株式会社タムロン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9784988B2 (en) * 2013-03-29 2017-10-10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WO2015060637A1 (ko) * 2013-10-25 2015-04-30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6038505A (ja) * 2014-08-08 2016-03-22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90B1 (ko) 2004-06-14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20140076213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KR20150088044A (ko) * 2014-01-23 2015-07-31 케이씨엔디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150104009A (ko) * 2014-03-04 2015-09-14 (주)옵토라인 카메라 모듈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41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US11402604B2 (en) 2017-12-22 2022-08-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device actuator
KR102483619B1 (ko) * 2017-12-22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CN110794547A (zh) * 2019-08-31 2020-02-14 东莞睿恩科技有限公司 滚珠式音圈马达的透镜驱动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CN110794547B (zh) * 2019-08-31 2022-06-24 东莞睿恩科技有限公司 滚珠式音圈马达的透镜驱动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7137A (zh) 2017-08-01
US20170212409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762B1 (ko) 사이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US20230350155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88578B1 (ko) 카메라 모듈
US11428909B2 (en) Camera system
CN110677563B (zh) 透镜移动单元及其摄像模组
US7379092B2 (en) Stage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on apparatus using the stage apparatus
US8432626B2 (en) Optical device including adjustable optical element
KR20150142197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20190369356A1 (en) Autofocus adjustment apparatus
US9904070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module and camera device using the same
JP6145377B2 (ja) 撮影用光学装置
US20230049848A1 (en) Camera module
US10162190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module and lens driving device using the same
JP587537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23004707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4031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30164440A1 (en) Camera assembly
US20170363837A1 (en) Lens driving device
JP5781883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511065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210007006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00142877A (ko) 카메라 장치
JP4584662B2 (ja) 像ぶれ補正機構
JP202106781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US11841514B2 (en) Drive device including magnets and coil,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