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272A -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 Google Patents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272A
KR20050114272A KR1020057019089A KR20057019089A KR20050114272A KR 20050114272 A KR20050114272 A KR 20050114272A KR 1020057019089 A KR1020057019089 A KR 1020057019089A KR 20057019089 A KR20057019089 A KR 20057019089A KR 20050114272 A KR20050114272 A KR 2005011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t
gas stream
gas
process accord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드 헤크만
카를 횔레만
얀-마르틴 뢰닝
토마스 하이츠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11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87Removing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의 디알킬 에스테르 A)를 정제하고 냉각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알킬 에스테르 A)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히드록시 화합물 B)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Cooling and Purification of Gas Streams}
DMT를 170 ℃에서 저장 탱크에 저장하였다. 기체 분위기는 DMT 11.5 중량% 및 질소 88.5 중량%를 포함하였다. 탱크를 충전하는 동안, 기체 스트림은 44 kg/h으로 탱크에서 배출되었다. 직경이 200 mm인 2-단계 스크러버로 기체 스트림을 공급하고, 분리-활성 내부시설을 통해 역류로 150 ℃에서 순수한 1,4-부탄디올 370 kg/h로 장치의 하부 지대에서 스크러빙하였다. 장치의 상부 지대에서, 분리-활성 내부시설 위로 60 ℃의 유입 온도에서 순수한 1,4-부탄디올 125 kg/h로 역류로 전달됨으로써 기체가 냉각되었다. 장치에서 나갈 때 60.2 ℃로 냉각된 순수한 기체 스트림은 부탄디올 0.1 중량% 미만 및 DMT 0.3 중량ppm 미만의 함량을 가졌다.
DMT 평가: 99.998% DMT 회수율
나타낸 실시예에서, 장치의 하부 지대 (스크러빙 매질로서 고온 BD)에서 상부 지대 (저온 BD)로 이동된 기체 및 액체는 하기 전형적인 조성을 갖는다.
기체 DMT 36 중량ppm 1,4-BD 7.3 중량% N2 92.7 중량%
액체 DMT 12 중량ppm 1,4-BD 99.99 중량%N2 48 중량%
나타낸 실시예에서, 장치에서 나가는 기체는 하기 전형적인 조성을 갖는다.
전형적인 값
기체 DMT 0.3 중량ppm 1,4-BD 0.1 중량% N2 99.9 중량%
비교 실시예
1,4-부탄디올에 의한 기체 스트림을 스크러빙하는 것에 대한 단일-단계 시험 (실시예 1과 같음)을 수행하였다.
a) T = 150 ℃에서
b) T = 50 ℃에서
스크러빙 시험은 a) (150 ℃에서 BD로 스크러빙함)의 경우에 기체상으로부터 DMT가 적절히 제거되지만, 기체 스트림은 유의하게 냉각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동시에, 스크러빙 매질로 사용되는 증가된 양의 1,4-부탄디올 (BD 16 중량%에 상응하는 7.3 kg/h)이 상기의 경우에 컬럼의 상단에서 배출되고, 따라서 공정에서 손실된다.
b)의 경우 (50 ℃에서 BD로 스크러빙함), 기체 스트림은 유의하게 냉각되나, 컬럼에서 DMT에 의해 매우 과포화되므로, 장치에서 승화물 에어로졸이 형성되기 때문에 컬럼을 규칙적으로 세척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디알킬 에스테르 A)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을 정제하고 냉각시키는데 있어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디알킬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모든 종류의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데 있어 산업적으로 중요한 출발 물질이다.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는 특히 산업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를 제조하는데 있어 중요한 중간체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DMT는 촉매의 존재하에 용융된 형태로 상응하는 알콜 에틸렌 글리콜 및 1,4-부탄디올과 반응하며, 상기 방식으로 수득된 단량체성 중간체는 후속적으로 중축합에 의해 폴리에스테르로 전환된다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6th edition, 2000 Electronic Release, Wiley-VCH, Weinheim 2000]).
이들 디알킬 에스테르는 물과 접촉시 매우 급속히 가수분해되어 폴리에스테르의 제품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응하는 산을 형성한다 (평형 반응). DMT는 일반적으로 불활성 분위기 (질소)하에 165 ℃ 내지 170 ℃에서 용융된 형태로 저장됨으로써 DMT의 산화 또는 가수분해가 방지되며, 에스테르 교환 공정으로의 계량투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추가의 질소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 DMT를 적재한 고온 기체 스트림이 저장 탱크로부터 전달된다.
추가의 중축합 공정에서, 상기 기체 스트림은 또한 중축합 반응기 및 에스테르화 단계 및 또한 전축합 단계로부터 폐가스(offgas) 스트림으로서 형성된다.
냉각시, DMT는 기체상으로부터 승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DMT-적재 기체 스트림의 정제 및 냉각을 상당히 더 어렵게 만드는 고체 DMT 입자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고체 DMT 입자를 분리 제거하지 않을 경우, DMT의 배출허용치를 초과할 수 있다.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DMT를 분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DD-A 160829에는 PBT 반응기로부터의 DMT-함유 기체 스트림을 1,4-부탄디올로 스크러빙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DMT는 저-비점 반응 부산물인 메탄올에 의해 스트리핑되며, 상기 메탄올은 증류에 의해 분리 제거된다. DMT는 100 내지 150 ℃의 유입 온도에서 비말동반제(entrainer)로서 1,4-부탄디올을 사용하여 흡수 컬럼 내의 메탄올 운송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분리 제거되고, 반응 지대로 재순환된다. 동시 기체 냉각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병류 장치 내의 물에 의해 용융 DMT 저장 탱크로부터 DMT 증기 및 DMT 입자를 제거하는 것은 US 5749944에 기재되어 있다. 어떠한 내부시설도 갖지 않은 장치에서, DMT는 10 내지 32 ℃의 물 중에 분무함으로써 분리 제거되고, 운송 기체 스트림이 동시에 냉각된다. 저-비점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순수 기체 스트림을 통한 스크러빙 액체의 추가 배출이 전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장치의 배출구에서 강한 냉각으로 인하여 고체 DMT 입자를 함유하는 안개와 같은 기체/액체 혼합물이 배출되므로 DMT 입자를 침전시키기 위한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DMT를 합성 공정으로 재순환시킬 기회는 전혀 없다. 폐수 스트림은 처리되어야 한다. 또한, 조 기체 라인을 통해 물이 DMT 저장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특수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DD-A 145540에서는 글리콜 시일(seal)을 갖는 DMT 승화물 분리기를 이용하여 PET 제조시 DMT의 분리 및 회수를 다룬다. DMT-적재 기체 스트림은 중간체 저장 또는 DMT의 용융으로부터 발생한다. 승화물 분리기에서, DMT-함유 기체는 새로운 글리콜과 함께 70 내지 120 ℃에서 병류로 3개의 챔버 중 중간 챔버로 도입되며, 불활성 기체의 과압에 의해 글리콜 시일을 통해 (20 내지 160 ℃) 기체 출구 챔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글리콜 중에 용해된 DMT는 PET 합성 공정에 복귀될 수 있다. 추가의 기체 냉각은 이 공정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하류 침전 용기를 필요로 하는 DMT/글리콜 용액의 비말동반은 단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역류 장치에서 메탄올에 의한 DMT 합성으로부터 DMT-적재 기체 스트림의 스크러빙은 CS 134835에 기재되어 있다. 고체/액체 분리 후에, DMT는 공정에 복귀될 수 있다. 메탄올의 휘발성때문에, 기체를 물로 스크러빙하여 메탄올이 순수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제2 분리 장치를 가져야 한다. 우세한 온도는 보다 자세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DMT를 메탄올로 스크러빙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EP-A 0741124에 개시된다.
DMT는 또한 크실렌을 사용하여 기체 스트림 (DE-A 2105017), 및 액체 DMT (US 3227743)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2-단계 역류 스크러빙에서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PET 합성으로부터 기체 스트림을 동시 정제 및 냉각하는 방법이 US 6312503에 기재되어 있다. PET 제조용 중합 반응기로부터의 고온 기체 스트림 (175 ℃)은 보다 자세히 명시되지 않은 부산물, 및 또한 미반응 출발 물질, 특히 에틸렌 글리콜, 아세트알데히드 및 물을 포함한다.
기체가 장치의 하부 지대에서 액체와 5.4 ℃/ft2 미만의 냉각률 (내부시설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함)로 직접 접촉함으로써 냉각되는 2-단계 스크러빙이 상기 목적을 위해 개시된다. 장치의 상부에서, 이물질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동일한 액체에 의해 불활성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스크러빙된다.
상기 공정의 단점은 단지 기체 스트림을 냉각시키며, 매우 높은 냉각률, 및 켄칭 (냉각)을 위해 하부 세그먼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장치에서 안개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알킬 에스테르 A)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히드록시 화합물 B)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알킬 에스테르 A)를 포함한 기체 스트림을 정제하고 냉각시키는데 있어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에서 개시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 환경적 고려와 자본 비용의 관점에서 더욱 우수한 균형
더욱이,
- 사용된 방향족 디알킬 에스테르 손실의 최소화,
- 매우 효율적인 기체 스트림 정제 (가능한 낮은 에스테르 함량)
- 공정으로의 출발 에스테르의 복귀, 즉 공시수율(space-time yield) 증가,
- 장치에서 승화 방지, 안개 형성없이 운송 기체 스트림의 동시 냉각,
- 추가로 에스테르에 대한 디올의 높은 용매 용량으로 고체 침전 비발생 및 용매 순환 가능
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디알킬 에스테르 A)는 지방족 에스테르 라디칼을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3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가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오산 및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이소프탈산 5 내지 100 몰%와 테레프탈산 0 내지 95%의 혼합물, 특히 이소프탈산 20%와 테레프탈산 약 80%의 혼합물 내지 상기 두가지 산의 대략 등가량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이다.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 특히 1 또는 2이다. 바람직한 디알킬 에스테르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되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에스테르이다.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서,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디올, 특히 1,2-에탄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6-헥산디올, 1,4-헥산디올,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틸란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로서 DMT-함유 기체 스트림의 정제 및 냉각을 이용하여 보다 자세히 기재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다른 디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을 정제 및 냉각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탱크에 저장하는 동안, DMT는 일반적으로 140 내지 286 ℃, 바람직하게는 165 내지 170 ℃에서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고, 무수 기체 스트림,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 스트림, 특히 질소 스트림으로 덮여있다(blanketed).
불활성 기체의 연속적인 치환 (탱크의 충전으로 인한)은 DMT-적재 기체 스트림을 초래한다. 이러한 기체 스트림은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전축합 또는 후축합 후에 폐가스 스트림으로서 형성되고, 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방식으로 정제되고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DMT-함유 기체 스트림은 제1 단계에서 디알킬 에스테르 A)의 융점 이상에서 상기 언급된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된다.
DMT의 경우, 융점은 140 ℃이고, 기체 스트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40 내지 286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 ℃이다.
적합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체 스트림을 병류 또는 역류로 디히록시 화합물 B)와 접촉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는 특히 살수막 장치, 랜덤 패킹 또는 규칙적 패킹을 함유하는 컬럼, 분산된 액체상 및 연속 기체상을 함유하는 장치/분무 장치, 기체 및 연속 액체상을 함유하는 장치, 예를 들어 버블 컬럼, 또는 트레이 컬럼이다.
상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합한 장치에 내부시설, 예컨대 트레이, 랜덤 패킹, 구조화 패킹 및 선행 기술에 상응하는 다른 분리-활성 컬럼 내부시설이 설비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내부시설이 없고 액체 분무기를 가질 수도 있다. 성분 B)는 통상적인 분산 장치 또는 노즐을 통해 기체 스트림 중에 도입된다.
탱크 내 저장된 기체의 유량은 통상적으로 5 내지 75 m3/h,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m3/h이다.
기체 스트림 중 DMT의 비율은 각 불활성 기체 스트림의 포화 증기압에 의해 제한된다. N2의 경우, 이는 최대 23 중량%이고, N2 스트림 중 DMT 0.0001 중량ppm 농도까지 효과적인 정제가 가능하다. N2 스트림 중 DMT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0.001 내지 16 중량ppm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성분 B)는 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분배 장치 (예, 노즐)를 통해, 또는 역류 작동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단계의 말미에 첨가된다.
성분 B)의 제1 단계 온도는 성분 A)의 융점에 의해 제한된다. DMT의 경우, 이는 14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60 ℃ 이상을 의미한다.
온도의 상한치는 특정 경우에 사용되는 디올의 비점에 의해 제한된다. 1,4-부탄디올의 경우, 정제 단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37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27 ℃ 이하이다. 에틸렌 글리콜이 스크러빙 매질로서 사용되는 경우, 온도는 198 ℃ 이하, 바람직하게는 190 ℃ 이하이며, 프로판디올의 경우, 213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의 온도가 적당하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순수한 1,4-부탄디올 또는 DMT를 적재한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4-부탄디올은 단일 통과 또는 재순환으로 상기 기체와 접촉할 수 있다. 기체상 및 액체상은 상기-기재된 원리에 상응하는 장치의 임의의 지점에서 도입시킬 수 있다. 공정 원리는 동시에 3-단계 및 다단계 공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의 압력은 일반적으로 1013 mbar (주변 압력, 대기압) 내지 1113 mbar, 바람직하게는 1013 내지 1083 mbar (탱크 저장의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T는 제1 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해 기체상에서 액체 스크러빙 매질 (디히드록시 화합물)로 이동한다.
제1 단계를 떠날 때, 기체 스트림은 DMT 0.01 내지 10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ppm을 함유한다.
제1 단계를 떠날 때,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액체 스트림은 DMT 0.01 중량ppm 내지 5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ppm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제2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은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에 의해 냉각되며, 여기서 상기 단계는 성분 B)의 융점 이상에서 수행된다는 것이 본질적이다. 1,4-부탄디올의 경우, 상기 온도는 19 ℃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및 특히 50 내지 70 ℃이고,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판디올의 경우, 융점은 각각 -10 ℃ 및 -32 ℃여서 상기 언급된 온도 범위에서의 공정이 마찬가지로 권고된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장치 및 그의 내부시설은 단계 1에 기재된 것들에 상응한다.
이것은 또한 압력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공정의 온도 파라미터는 실제적인 DMT 분압 (기체상에서의 함량)이 승화 증기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복수의 지대로 분할될 수도 있는 제2 지대를 떠날 때, 기체 스트림은 0.001 내지 16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ppm의 DMT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 (도면 참조)는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기재된다.
DMT는 저장 탱크 (1)에 용융된 형태로 저장되며, 산화 방지 및 물 접촉 방지를 위해서 무수 불활성 기체 (2) (예를 들어, 질소)로 덮힌다. 불활성 기체의 연속적인 치환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탱크 충전시), DMT-적재 기체 스트림 (3)은 가열된 기체 라인 및 가열된 기체 주입구 (4)를 통해 흡수 컬럼 (5)으로 이동한다. 분리-활성 내부시설이 설비된 컬럼의 하부 지대 (6)에서, 액체 1,4-부탄디올은 역류로 분배 장치 (7)를 통해 온도 140 ℃ < T < 227 ℃에서 기체 스트림으로 이동한다. 이 방식으로, DMT는 기체상에서 액체 스크러빙 매질로 이동된다. 액체 스트림 (8)은 열교환기 (9)에 의해 허용 온도로 예열된다. 스트림은 순수한 1,4-부탄디올 (12)을 첨가하면서 서브스트림 (11)으로서 컬럼의 하단 (10)으로부터 취출되거나, 또는 순수한 1,4-부탄디올 (12)로서 도입될 수 있다.
DMT가 고갈된 기체 스트림은 분리-활성 내부시설이 설비된 제2 컬럼 지대 (13)로 들어가고, 여기서 온도 30 ℃ < T < 140 ℃에서 제2 스크러빙 매질 스트림 (14)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냉각된다. 상기 스크러빙 매질 스트림은 분배 장치 (15)를 통해 컬럼으로 도입되어 열교환기 (16)에 의해 가열된다. 스크러빙 매질 스트림으로서, 순수한 1,4-부탄디올 (12), 또는 흡수 컬럼의 하단 (10)으로부터의 재순환 스트림 (17)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제된 운송 기체 스트림 (18)은 상단에서 장치를 떠난다.
상기-기재된 공정 모드의 결과로서, 장치에서 DMT의 승화가 방지되고, 안개 형성없이 기체 스트림이 동시에 냉각된다. 무-승화물 기체 스트림이 장치를 떠난다. 2개의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여, 하나의 흡수 컬럼에서의 DMT 제거와 기체 냉각의 통합은 매우 유리한 운전 및 자본 비용을 가능케 한다.
1,4-부탄디올에 의한 기체 스크러빙의 결과로서, 가치있는 DMT 물질이 공정에 대해 고유한 용매의 존재하에 PBT 공정으로 재순환되며, DMT를 기준으로 총 수율이 개선된다. DMT는 추가의 후처리 단계없이 바로 에스테르화 반응기로 재순환될 수 있으며, 이 반응기에서 DMT는 1,4-부탄디올을 사용하여 촉매적으로 에스테르화된다.
저-비점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을 사용하는 이전에 공지된 흡수 공정과 비교하여, 고-비점 1,4-부탄디올을 사용한 2-단계 기체 스크러빙은 스크러버를 떠나는 기체를 통한 용매 손실을 감소시킨다. 또한, 1,4-부탄디올은 DMT에 대해 높은 용매 용량을 가져서 액체상으로부터 고체가 전혀 침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매의 순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PET 또는 PTT를 제조하기 위한 후속 중축합 공정에서의 공시수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Claims (9)

  1. 제1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알킬 에스테르 A)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단계에서 기체 스트림을 디히드록시 화합물 B)의 융점 이상에서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알킬 에스테르 A)를 포함한 기체 스트림의 정제 및 냉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알킬 에스테르 A)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혼합물의 에스테르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알킬 에스테르 A)가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및 냉각된 기체 스트림이 적재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디히드록시 화합물 B)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디올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디히드록시 화합물 B)가 1,4-부탄디올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알킬 에스테르 A)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히드록시 화합물 B)가 제1 단계에서 140 ℃ 이상의 온도를 가지며, 제2 단계에서 20 내지 80 ℃의 온도를 갖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및 냉각 후 기체 스트림이 방향족 디알킬 에스테르 A) 20 중량ppm 미만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KR1020057019089A 2003-04-09 2004-04-07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KR20050114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6466.9 2003-04-09
DE10316466A DE10316466A1 (de) 2003-04-09 2003-04-09 Kühlung und Reinigung von Gasström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272A true KR20050114272A (ko) 2005-12-05

Family

ID=3303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89A KR20050114272A (ko) 2003-04-09 2004-04-07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276619A1 (ko)
EP (1) EP1615872A1 (ko)
JP (1) JP2006523135A (ko)
KR (1) KR20050114272A (ko)
CN (1) CN100383107C (ko)
DE (1) DE10316466A1 (ko)
MX (1) MXPA05010401A (ko)
WO (1) WO2004089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3967A1 (de) 2004-03-19 2005-10-06 Basf Ag Kühlung und Reinigung von Gasströmen
MX357161B (es) 2012-07-24 2018-06-28 Sulzer Chemtech Ag Metodo para remover un ester de una mezcla de vapor.
US11415022B2 (en) 2016-09-20 2022-08-1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Compressor Corporation Oil console equipment, rotary machine provided with oil console equipment, and method for recovering lubrication oil contained in exhaust gas
CN117343296A (zh) * 2023-11-10 2024-01-05 北京服装学院 一种制备原色生物可降解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co-碳酸丁二醇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2032A (ko) * 1961-08-17
US3839414A (en) * 1970-02-03 1974-10-01 Eastman Kodak Co Dimethyl terephthalate manufacturing process
DD145540A1 (de) * 1979-08-15 1980-12-17 Guenter Janz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einsatz von dimethylterephthalat-sublimat
DD160829A3 (de) * 1981-05-14 1984-04-11 Nii Plasticeskich Mass N Proiz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olybutylenterephthalat
US5434239A (en) * 1993-10-18 1995-07-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inuous polyester process
US5578173A (en) * 1995-04-03 1996-11-26 Eastman Kodak Company Removal of dimethylterephthalate from a methanolysis vapor stream
US6312503B1 (en) * 1999-10-13 2001-11-06 Arteva North America S.A.R.L. System to quench gasses and remove condens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3135A (ja) 2006-10-12
EP1615872A1 (de) 2006-01-18
DE10316466A1 (de) 2004-10-28
CN1771223A (zh) 2006-05-10
US20060276619A1 (en) 2006-12-07
CN100383107C (zh) 2008-04-23
MXPA05010401A (es) 2006-03-21
WO2004089864A1 (de)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5543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urified terephthalic acid
ES2205197T3 (es) Eliminacion de los compuestos rductores de permanganato y yoduros de alquilo de un flujo del procedimiento de carbonilacion.
US3268588A (en) Process for producing hexamethylenediamine from 1-6-hexanediol
US551052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romatic carboxylic acids
EP1753709B1 (en) Recycling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a) contained in polyethylene naphthalate in a process to produce diesters
US20060011462A1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 and system for producing the same
US3524892A (en) Hexanediol from cyclohexane
JPS58159486A (ja) 反応ガスから無水フタル酸及び無水マレイン酸を連続的に取得する方法
US5214157A (en) Process for the disposal of phthalic anhydride decomposer vapors
US3647892A (en) Preparation of ethylene glycol
KR20050114272A (ko)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EP1409469B1 (en)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3,4-epoxy-1-butene
KR20060132001A (ko) 기체 스트림의 냉각 및 정제
US6921830B2 (en) Method for purifying an organic solvent for the purposes of absorption of maleic acid anhydride
CN111971266B (zh) 不饱和羧酸酯的制造方法
JPS6388158A (ja) マレイン酸ジアルキルの製造方法
JPH0834757A (ja) アクリル酸の精製法
RU206965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дипиновой кислоты
JPH11189570A (ja) 亜硝酸エステルの製法
JPH0551340A (ja) 変色のないビスフエノールaの分離方法
PL123208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ioctyl phta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