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423A -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423A
KR20050112423A KR1020040037504A KR20040037504A KR20050112423A KR 20050112423 A KR20050112423 A KR 20050112423A KR 1020040037504 A KR1020040037504 A KR 1020040037504A KR 20040037504 A KR20040037504 A KR 20040037504A KR 20050112423 A KR20050112423 A KR 2005011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door
vehicle
link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781B1 (ko
Inventor
장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78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라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돌출되고 차량도어가 닫힐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수납되는 완충재를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차량도어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 주행중에는 차량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는 문제를 개선하면서 그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scratch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라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돌출되고 차량도어가 닫힐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수납되는 완충재를 구성하여 주변의 차량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차량도어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협소한 주차공간에서 도어를 개폐할 경우 좌우에 주차된 차량이나 벽 등에 도어가 닿을 경우 그 외부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차량도어 외부면의 그립 근처에 완충재(1)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 차량도어에 부착되는 완충재(1)는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차량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차량 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주행중 차량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여 차량의 주행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라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돌출되고 차량도어가 닫힐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수납되는 완충재를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차량도어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 주행중에는 차량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는 문제를 개선하면서 그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도어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장치의 작동전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 장치의 작동후 상태도 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11)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량도어(12)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12)의 내부에는 차체패널(11)에 일단이 제 1 고정축(3A)으로 고정되는 제 1 링크(21)과, 제 2 고정축(3B)으로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21)와 유동축(3C)으로 연결되는 제 2 링크(22)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링크(21)(22)를 연결하는 유동축(3C)에는 차량도어(12)의 타단부위로 길게 연장되는 가변 링크(23)를 연결하며,
상기 가변 링크(23)에는 차량도어(12)의 닫힘시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도어(12)내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차량도어(12)의 열림시에는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도어(12)의 외부면으로 자동 돌출되어 차량도어(12)의 외부면에 대한 스크래치를 방지시키는 완충재(24)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변 링크(23)와 완충재(24)는,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완충재(24)의 자동 수납 및 자동 돌출이 가능하도록 다단 절곡된 일체형의 연결고리(25)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리(25)는 그 중간에 제 3 고정축(3D)을 형성한 체 그 일단이 가변 링크(23)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완충재(24)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회전 동작시 절곡된 각도의 변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이므로 만곡된 곡선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변 링크(23)에는,
완충재(24)의 완전 돌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량도어(12)의 개방각도가 커질 때 완충재(2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크 길이 가변형의 스프링(30)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후 차량도어(12)를 도 3에서와 같이 소정각도(θ1)로 열림동작시키는 경우, 차량도어(12)의 내측부위에 형성된 가변 링크(23)는 차량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부터 소정각도(θ1)까지는 제 1 및 제 2 링크(21)(22)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가변 링크(23)를 당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변 링크(23)의 단부에는 슬롯(23b)이 형성되어 있고, 다단으로 절곡된 상기 연결고리(25)의 일단이 또한 상기 슬롯(23b)에 핀 결합되어 있어 이들 연결부위에 형성된 슬롯의 유동거리 만큼의 슬라이드 운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완충재(24)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완충재(24)는 수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차량도어의 열림각도가 커질 경우, 상기 차량도어(12)의 열림각도에 따라 차체패널(11)에 일단이 제 1 고정축(3A)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동축(3C)에 연결된 제 1 링크(21)와, 제 2 고정축(3B)으로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21)와 유동축(3C)으로 연결되는 제 2 링크(22)가 도 4에서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당김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축(3C)에 연결되는 가변 링크(23)도, 상기 유동축(3C)의 당김 이동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당김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 링크(23)에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절곡된 연결고리(25)는 그 선단에 연결된 체 차량도어(12) 내에 수납하고 있던 완충재(24)를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량도어(12)의 외부면으로 자동 돌출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24)의 돌출로 인해 차량도어(12)의 외부면은 그 열림동작이 이루어질 때 주변 차량이나 장애물로부터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두 개의 링크가 내부에 스프링(30)으로 연결되어 조립된 가변 링크(23)는 완충재(24)가 완전 돌출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도어(12)의 열림각도를 더욱 확대시킬 경우, 상기 가변 링크(23)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완충재(24)의 추가적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도어(12)를 닫는 경우, 상기 가변 링크(23)와 제 3 고정축(3D)을 갖는 상기 연결고리(25)를 통해 연결된 완충재(24)는 제 3 고정축(3D)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량도어(12)의 내부로 자동 수납되고, 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가변 링크(23)는 그 길이가 다시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라 외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돌출되고 차량도어가 닫힐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 수납되는 완충재를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차량도어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 주행중에는 차량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는 문제를 개선하면서 그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차량도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재의 장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도어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장치의 작동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도어의 열림각도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 장치의 작동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차체패널 12; 차량도어
21,22; 제 1,2 링크 23; 가변 링크
23b; 슬롯 24; 완충재
25; 절곡된 연결고리 30; 스프링
3A,3B,3D; 제 1,2,3 고정축 3C; 유동축

Claims (3)

  1. 차체패널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량도어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의 내부에는 차체패널에 일단이 제 1 고정축으로 고정되는 제 1 링크과, 제 2 고정축으로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와 유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링크를 연결하는 유동축에는 차량도어의 타단부위로 길게 연장되는 가변 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가변 링크에는 차량도어의 닫힘시에는 제 3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 도어내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차량도어의 열림시에는 제 3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도어의 외부면으로 자동 돌출되어 차량도어의 외부면에 대한 스크래치를 방지시키는 완충재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링크와 완충재는,
    제 3 고정축을 중심으로 완충재의 자동 수납 및 자동 돌출이 가능하도록 다단 절곡된 일체형의 연결고리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링크에는,
    완충재의 완전 돌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량도어의 개방각도가 커질 때 완충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크 길이 가변형의 스프링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방지 장치.
KR1020040037504A 2004-05-25 2004-05-25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위치가변 장치 KR10059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04A KR100598781B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위치가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04A KR100598781B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위치가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423A true KR20050112423A (ko) 2005-11-30
KR100598781B1 KR100598781B1 (ko) 2006-07-10

Family

ID=3728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504A KR100598781B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위치가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7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781B1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420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US20060132007A1 (en) Storage bin assembly
US20090013501A1 (en) Door Handle Device
JP2010533615A (ja) 少なくとも1つのテールゲートを有する車両
KR2022016375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100598781B1 (ko)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도어의 스크래치 위치가변 장치
JP2003227270A (ja) 車両のドア開閉構造
CN109138700B (zh) 马达一体的动力行李箱打开系统以及具有该系统的车辆
US20210172209A1 (en) A mechanism for opening a vehicle door
KR10112572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US8042749B2 (en) Washer device for headlamp for vehicle
KR100528594B1 (ko) 차량 선루프의 노이즈 방지구조
KR102487182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82657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JP644483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230203855A1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s
KR102224806B1 (ko) 오버슬램범퍼 어셈블리
CN216157407U (zh) 用于车辆的使后备箱盖打开的装置和配备有该装置的车辆
KR100526875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JP7103562B2 (ja) 車両用ラッチシステム
JP2007126863A (ja) 車両用開閉体減速装置
KR2007005937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200480758Y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의 도어 개폐용 힌지
KR200327508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구조
KR200484353Y1 (ko) 공기유압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닫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