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041A -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041A
KR20050108041A KR1020040033073A KR20040033073A KR20050108041A KR 20050108041 A KR20050108041 A KR 20050108041A KR 1020040033073 A KR1020040033073 A KR 1020040033073A KR 20040033073 A KR20040033073 A KR 20040033073A KR 20050108041 A KR20050108041 A KR 2005010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ata strobe
driver
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041A/ko
Publication of KR2005010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e.g. slurry seals
    • E01C19/47Hydraulic cement concrete mixers combined with distribu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ad building
    • E01C19/475Distributing means therefor, e.g. boom-and-bucket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2019/205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019/207Feeding the distribution means

Abstract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 메모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는 매 클럭 마다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각각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1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구동하고 제2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는 제3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구동하고 제4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제2 다운 신호는 첫번째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데이터 신호의 구동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그리고 제4 업 신호는 첫번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 발생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reducing skew between data and data strob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중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메모리 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SDRAM에 있어서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들(DQ)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에 동기되어 내부 회로로/로부터 전달된다. 출력 데이터(DQ)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출력 드라이버들을 통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출력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출력 드라이버(100)는 업 신호(UP)와 다운 신호(DN)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OUT)를 발생한다. 출력 신호(OUT)는 데이터(DQ) 또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된다.
도 2는 이 출력 드라이버(10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와 데이터(DQ) 간의 스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DQ)가 나오기 이전 구간인 t0 시간에서 t1 시간 동안, 데이터(DQ)는 하이-임피던스 상태(Hi-Z)에 있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로직 로우레벨 상태에 있다. 데이터(DQ)가 나오는 시점이 t1 시간부터, 데이터(DQ)는 예컨대, 로직 로우레벨에서 로직 하이레벨로 토글링되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로직 하이레벨에서 로직 로우레벨로 토글링된다.
t1 시간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로직 로우레벨에서 로직 하이레벨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데이터(DQ)의 하이-임피던스 상태에서 로직 로우레벨로의 천이가 판별된다. t2 시간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로직 하이레벨에서 로직 로우레벨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데이터(DQ)의 로직 하이레벨에서 로직 로우레벨로의 천이가 판별된다. 이 후, t3 시간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로직 로우레벨에서 로직 하이레벨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데이터(DQ)의 로직 로우레벨에서 로직 하이레벨로의 천이가 판별된다.
여기에서, t2 시간에서의 데이터(DQ) 판별 시간이 길어진다. 왜냐하면, t1 시간에서 t2 시간 사이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로직 로우레벨(L)에서 로직 하이레벨(H)로 상승하는 데, 도 1의 출력 드라이버(100)의 업 신호(UP)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101)의 구동 능력 미약으로 완전히 로직 하이레벨(H)로 상승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완전한 로직 하이레벨이 아닌 레벨에서 로직 로우레벨(L)로 하강하기 때문에 t2 시간에서 그 천이 속도가 빠르다.
한편, t1 시간에서 t2 시간 사이에서, 데이터(DQ)가 하이-임피던스(Hi-Z) 상태에서 로직 로우레벨(L)로 하강하는 데, 도 1의 출력 드라이버(100)의 다운 신호(DN)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102)의 구동 능력 과다로 로직 로우레벨(L)보다 더 낮은 레벨로 하강한다. 이에 따라 더 낮은 로직 로우레벨에서 로직 하이레벨로 상승하기 때문에 t2 시간에서 그 천이 속도가 느리다.
즉, t2 시간에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와 데이터(DQ) 사이의 스큐가 크게 나타난다. t3 시간 이후에서는 데이터(DQ)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토그링하는 로직 로우레벨과 로직 하이레벨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스큐는 거의 일정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초기 데이터 판별에 있어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사이의 스큐를 줄일 수 있는 출력 드라이버의 존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구동 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 클럭 마다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구동하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구동하고 제2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제3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구동하고 제4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는 전원 전압과 데이터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데이터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전원 전압과 데이터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는 전원 전압과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제3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3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전원 전압과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4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드라이버 및 데이터 스트로브 드러이버의 구동 능력을 가변시켜 초기 데이터 판별시 데이터 입출력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의 스큐를 줄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출력 드라이버(300)는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301)와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302)가 직렬 연결되고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303)와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304)가 직렬 연결된다.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301)의 게이트에는 제1 업 신호(UP)가,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302)의 게이트에는 제1 다운 신호(DN)가,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303)의 게이트에는 제2 업 신호(UP1)가, 그리고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304)의 게이트에는 제2 다운 신호(DN1)가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들(301, 303)의 드레인과 제1 및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들(302, 304)의 드레인이 서로 연결되어 출력 신호(OUT)가 된다.
이러한 출력 드라이버(300)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400)는 버퍼 온/오프 제어부(410), DQ 버퍼(420), DQ 드라이버(430), DQS 버퍼(440), 그리고 DQS 드라이버(450)를 포함한다. 버퍼 온/오프 제어부(410)는 데이터 클럭 신호(CLKDQ)와 독출 명령(RD CMD),그리고 카스 레이턴시(CL)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CON)와 제2 제어 신호(CON1)를 발생한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 CON1)는 데이터 입출력 버퍼(420)와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440)로 제공된다.
데이터 입출력 버퍼(420)는 메모리 장치(400)의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DATA)와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 CON1)에 응답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30)로 제공될 제1 업/다운 신호들(UP, DN)과 제2 업/다운 신호들(UP1, DN1)을 발생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440)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 CON1)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50)로 제공될 제1 업/다운 신호들(UP, DN)과 제2 업/다운 신호들(UP1, DN1)을 발생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30)와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50)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출력 드라이버(300)으로 각각 구성된다.
도 5는 도 4의 메모리 장치(400)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DATA) 출력 시점에 맞추어 데이터 클럭 신호(CLKDQ)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데이터 클럭 신호(CLKDQ)의 제2 클럭 사이클(T1)에서 제1 제어 신호(CON)는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제2 제어 신호(CON1)가 로직 하이레벨 펄스로 발생된다. 데이터 드라이버(430)로 제공되는 제1 업 신호(UP@DQ)가 로직 하이레벨 펄스로, 제1 다운 신호(DN@DQ)가 로직 하이레벨로 펄스로, 제2 업 신호(UP1@DQ)가 로직 하이레벨 펄스로, 그리고 제2 다운 신호(DN1@DQ)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드라이버(430)는 제1 다운 신호(DN@DQ)의 하이레벨 펄스에 응답하여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302, 도 3)가 턴온된다. 데이터 입출력 신호(DQ)는 로직 로우레벨로 약하게 구동된다.
한편,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50)로 제공되는 제1 업 신호(UP@DQS)는 로직 로우레벨 펄스로, 제1 다운 신호(DN@DQS)는 로직 로우레벨 펄스로, 제2 업 신호(UP1@DQS)는 로직 로우레벨 펄스로, 그리고 제2 다운 신호(DN1@DQS)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50)는 제1 및 제2 업 신호들(UP, UP1)의 로직 로우레벨 펄스에 응답하여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301, 도 3) 및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303, 도 3)가 턴온된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로직 하이레벨로 강하게 구동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클럭 신호(CLKDQ)의 T2 구간 동안, 데이터 드라이버(430)의 출력(DQ)는 로직 로우레벨로 약하게 구동되어 도 2의 B같은 레벨로 하강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40)의 출력(DQ)은 로직 하이레벨로 강하게 구동되어 도 2의 A 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그리하여 t2 시점에서의 데이터입출력 신호(DQ)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 사이의 스큐가 줄어든다.
데이터 클럭 신호(CLKDQ)의 T3 구간 이후부터 데이터 드라이버(430)로 제공되는 제1 업/다운 신호(UP, DN) 및 제2 업/다운 신호들(UP1, DN1)은 로직 하이레벨 펄스로 터글링되어 제1 피모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301, 302)과 제2 피모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303, 304)을 턴 온/오프 시킨다.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450)로 제공되는 제1 업/다운 신호(UP, DN)는 로직 로우레벨 펄스로 토글링되고 제2 업 신호(UP1)는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제2 다운 신호(DN1)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되어 제1 피모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301, 302)을 턴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드라이버의 구동 능력을 가변시켜 초기 데이터 판별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사이의 스큐를 줄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드라이버의 구동 능력을 가변시켜 초기 데이터 판별시 데이터 입출력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의 스큐를 줄인다.
도 1은 종래의 출력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출력 드라이버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와 데이터(DQ) 간의 스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출력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메모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9)

  1. 매 클럭 마다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구동하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구동하고 제2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상기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제3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구동하고 제4 업 및 다운 신호들에 응답하여 첫번째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전원 전압과 상기 데이터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데이터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 전압과 상기 데이터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 및 다운 신호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출력 시점에 맞추어 상기 매 클럭 마다 동일한 로직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운 신호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구동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로직 로우레벨로, 상기 제2 업 신호는 상기 제1 업 신호의 로직 레벨을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운 신호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 신호의 구동 이후부터는 상기 매 클럭 마다 상기 제1 다운 신호의 로직 레벨을 따라, 상기 제2 업 신호는 상기 제1 업 신호의 로직 레벨을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드라이버는
    전원 전압과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 전압과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업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다운 신호에 게이팅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업 및 다운 신호는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출력 시점에 맞추어 상기 매 클럭 마다 동일한 로직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업 신호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 로직 로우레벨로, 상기 제4 다운 신호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업 신호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구동 이후부터는 상기 매 클럭 마다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상기 제4 다운 신호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KR1020040033073A 2004-05-11 2004-05-11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KR2005010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73A KR20050108041A (ko) 2004-05-11 2004-05-11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73A KR20050108041A (ko) 2004-05-11 2004-05-11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41A true KR20050108041A (ko) 2005-11-16

Family

ID=3728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73A KR20050108041A (ko) 2004-05-11 2004-05-11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0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29B1 (ko) * 2004-10-12 2007-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
KR100765876B1 (ko) * 2006-04-11 2007-10-1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024240B1 (ko) * 2009-12-28 2011-03-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출력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생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29B1 (ko) * 2004-10-12 2007-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
KR100765876B1 (ko) * 2006-04-11 2007-10-1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024240B1 (ko) * 2009-12-28 2011-03-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출력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생성 장치
US8125841B2 (en) 2009-12-28 2012-02-28 Hynix Semiconductor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output data strobe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775B1 (ko) 디디알 에스디램에서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238247B1 (ko) 고속 저전력 신호라인 드라이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메모리장치
US2006026863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ense amp over-driving structure and method of over-driving sense amplifier thereof
US9735780B2 (en) Tri-state driver circuits having automatic high-impedance enabling
US6154415A (e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clock
US9013935B2 (en) Data input circuits
KR100429572B1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센스앰프의 구동방법
US904143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ull-up circuit and pull-down circuit
US7061826B2 (en) Command decod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486713B2 (en) Differential input buffer with auxiliary bias pulser circuit
KR20190075329A (ko) 스트로브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8754688B2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050111B2 (en) Data strobe signal generating circuit capable of easily obtaining valid data window
US8014227B2 (en) Burst length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8477559B2 (en) Burst termination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using the same
KR20050108041A (ko)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터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메모리 장치
KR100313603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센스앰프 제어회로
US7130232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multiple precharge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TWI382416B (zh) 同步半導體記憶體裝置
US6242940B1 (en) Data input buffer circuit
US11521660B2 (en)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5950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센스 앰프 구동 회로 및 비트 라인 센스 앰프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
US11152045B2 (en) Output driver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the same
KR100303993B1 (ko) 주파수 변화에 따른 출력 데이터 속도 조정 회로
KR100592777B1 (ko) 출력 버퍼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