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937A -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937A
KR20050107937A KR1020040032815A KR20040032815A KR20050107937A KR 20050107937 A KR20050107937 A KR 20050107937A KR 1020040032815 A KR1020040032815 A KR 1020040032815A KR 20040032815 A KR20040032815 A KR 20040032815A KR 20050107937 A KR20050107937 A KR 20050107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input
video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3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937A/ko
Publication of KR2005010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동기 검출부와,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기 적당한 형태로 처리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와, 동기 검출부에 의한 신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입력단자로의 신호 입력상태를 판정한 후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서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단자로 자동 절환함으로써, 티브이 사용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외부입력 모드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SELECTION APPARATUS FOR INPUT SIGNAL OF DIGITAL TV SE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단자로 자동 절환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로서 다양한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티브이에는 다수의 입력단자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음성 및 영상신호 입력을 위한 콤포지트 단자, 명암과 영상신호가 분리되어 있는 S-비디오 단자, 일반적인 디지털 제품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DVD, HDSTB 등의 콤포넌트 단자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여러 영상기기와의 연결 잭을 연결한 다음 티브이의 입력을 선택하여 신호가 존재하는지 직접 확인하거나, 티브이에서 자체적으로 잭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티브이 사용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다수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단자로 자동 절환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는,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동기 검출부와,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기 적당한 형태로 처리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와, 동기 검출부에 의한 신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입력단자로의 신호 입력상태를 판정한 후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서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는 도 1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포지트 단자(111∼114), S-비디오 단자(211, 212), 콤포넌트 단자(311, 312), 동기 검출부(121∼124, 221, 222, 321, 322), 신호 처리부(130, 230, 330), 제어부(410), 스위칭부(420), OSD 처리부(430), 영상 처리부(440), 표시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콤포지트 단자(111∼114)는 일반적인 음성(L, R) 및 영상신호(V)의 입력을 위한 단자이며, S-비디오 단자(211, 212)는 명암과 영상신호가 분리되어 있는 단자이고, 콤포넌트 단자(311, 312)는 DVD, HDSTB 등과 같은 일반적인 디지털 제품군이 연결(Y, PB, PR, L, R)되는 단자이다.
동기 검출부(121∼124, 221, 222, 321, 322)는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Y)를 분리한 후 휘도신호(Y)에 포함된 동기신호(Hsync, Vsync)를 검출한다.
신호 처리부(130, 230, 330)는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기 적당한 형태로 처리한다.
스위칭부(42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신호 처리부(130, 230, 330)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소정 개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영상 처리부(420)에 전달한다.
제어부(410)는 동기 검출부(121∼124, 221, 222, 321, 322)에 의한 동기신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입력단자로의 신호 입력상태를 판정하며,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로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영상 처리부(42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420)를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OSD 처리부(430)는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420)로 전달되는 상황을 안내하는 OSD 안내 화면을 영상 처리부(440)로 제공한다.
영상 처리부(440)는 스위칭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영상신호를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450)를 통해 표시하며,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과 함게 OSD 안내 화면을 표시부(450)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에 의한 입력신호 선택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생략됨)를 사용하거나 디지털 티브이의 조작패널(도시 생략됨)을 통해 외부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동기 검출부(121∼124, 221, 222, 321, 322)는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Y)를 분리한 후 휘도신호(Y)에 포함된 동기신호(Hsync, Vsync)를 검출하여 제어부(410)로 전달한다(S501∼S502).
제어부(410)는 동기 검출부(121∼124, 221, 222, 321, 322)에 의한 동기신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입력단자로의 신호 입력상태를 판정한다. 즉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입력단자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로 인식하며,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입력단자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로 인식한다(S503).
이때, 제어부(410)는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입력단자의 수를 체크하며,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입력단자가 1개이면 해당하는 입력신호가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504).
일예로, 컴포지트 단자(111∼114)로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스위칭부(420)는 제어부(41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컴포지트 단자(111∼114)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하며, 영상 처리부(440)는 컴포지트 단자(111∼114)의 입력 신호를 주화면 처리하여 표시부(45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S511∼S512).
여기서,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OSD 처리부(430)에서 컴포지트 단자(111∼114)의 입력이 출력 상태인 것을 안내하는 OSD 안내 화면이 생성되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주화면과 함께 OSD 안내 화면을 소정 시간동안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10)는 단계 S504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입력단자가 2개이면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로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영상 처리부(42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예로, 컴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를 통해 각각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스위칭부(420)는 제어부(41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컴포지트 단자(111∼114)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1을 통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하며, S-비디오 단자(211, 212)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2를 통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한다(S521).
그러면, 영상 처리부(440)는 컴포지트 단자(111∼114)의 입력 신호를 주화면 처리하고, S-비디오 단자(211, 212)의 입력 신호를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45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S522∼S523).
여기서,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OSD 처리부(430)에서 컴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의 입력이 출력 상태인 것을 안내하는 OSD 안내 화면이 생성되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주화면 및 부화면과 함께 OSD 안내 화면을 소정 시간동안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단계 S504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입력단자가 3개이면 콤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로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2개의 신호만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영상 처리부(42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예로, 컴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컴포턴트 단자(311, 312)를 통해 각각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스위칭부(420)는 제어부(41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S-비디오 단자(211, 212)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1을 통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하며, 콤포넌트 단자(311, 312)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 처리부(3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2를 통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한다(S531).
그러면, 영상 처리부(440)는 S-비디오 단자(211, 212)의 입력 신호를 주화면 처리하고, 콤포넌트 단자(311, 312)의 입력 신호를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45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S532∼S533).
여기서,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OSD 처리부(430)에서 컴포지트 단자(111∼114)와 S-비디오 단자(211, 212) 및 콤포넌트 단자(311, 312)의 입력 중에서 S-비디오 단자(211, 212)와 콤포넌트 단자(311, 312)의 입력만이 출력 상태인 것을 안내하는 OSD 안내 화면이 생성되어 영상 처리부(440)로 전달되면 주화면 및 부화면과 함께 OSD 안내 화면이 소정 시간동안 표시된다(S53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일예로, 단계 S522 및 S532에 의한 주화면 및 부화면 처리는 통상의 PIP 처리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치환될 수 있으며, 부화면이 복수로 제공되는 PIP 처리 기술에서는 입력 신호가 3개일 때에도 2개의 입력 신호를 부화면 처리하여 모든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단자로 자동 절환함으로써, 티브이 사용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외부입력 모드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 입력신호 선택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 입력신호 선택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14 : 콤포지트 단자 211, 212 : S-비디오 단자
311, 312 : 콤포넌트 단자
121∼124, 221, 222, 321, 322 : 동기 검출부
130, 230, 330 : 신호 처리부
410 : 제어부 420 : 스위칭부
430 : OSD 처리부 440 : 영상 처리부
450 : 표시부

Claims (3)

  1.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동기 검출부와,
    상기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개별 연결되어 해당 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기 적당한 형태로 처리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동기 검출부에 의한 신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입력단자로의 신호 입력상태를 판정한 후 상기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서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 처리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소정 개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지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 및 콤포넌트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상황을 안내하는 OSD 안내 화면을 상기 영상 처리부로 제공하는 OSD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과 함께 상기 OSD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KR1020040032815A 2004-05-10 2004-05-10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KR20050107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15A KR20050107937A (ko) 2004-05-10 2004-05-10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15A KR20050107937A (ko) 2004-05-10 2004-05-10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937A true KR20050107937A (ko) 2005-11-16

Family

ID=3730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15A KR20050107937A (ko) 2004-05-10 2004-05-10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9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36B1 (ko) * 2006-11-0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CN114979177A (zh) * 2022-05-12 2022-08-30 重庆智铸华信科技有限公司 同步信号的切换设备、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36B1 (ko) * 2006-11-0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CN114979177A (zh) * 2022-05-12 2022-08-30 重庆智铸华信科技有限公司 同步信号的切换设备、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140B1 (ko)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JP2005049837A (ja) ディスプレイ機器で多重ビデオ入力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1026262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90213279A1 (en) Projector system, projector, and remote controller
US20110310300A1 (e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operation guide
KR1004497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체크방법
KR100580246B1 (ko) 보조화면의 주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5010793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KR20100058334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4935263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90063702A (ko)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62428B2 (en) KVM switch
KR20100025709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입력신호 안내방법 및 장치
KR1004080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0521555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7002881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865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01917B1 (ko)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 기기의 절환 장치
KR1005284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것의 동기신호 판별장치 및 판별방법
JP2008076455A (ja) 映像表示装置
KR100968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07009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06303B1 (ko)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모드수동설정방법
KR950007872B1 (ko) 오디오/비디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JPH0974528A (ja) 二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二画面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