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306A -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306A
KR20050107306A KR1020050080486A KR20050080486A KR20050107306A KR 20050107306 A KR20050107306 A KR 20050107306A KR 1020050080486 A KR1020050080486 A KR 1020050080486A KR 20050080486 A KR20050080486 A KR 20050080486A KR 20050107306 A KR20050107306 A KR 2005010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ofoam
hours
foamed polystyre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592B1 (ko
Inventor
전창호
Original Assignee
전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호 filed Critical 전창호
Priority to KR102005008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5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C09K21/04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4Flame retardant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적용범위의 규격은 사용온도 70℃ 이하의 보온, 보냉에 사용하는 폴리스티렌을 발포시켜 만든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판 및 보온통에 대하여 규정하고, 종류는 제조방법 및 품질에 따라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로 구분한다.
비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구슬모양원료를 미리 가열하여 1차 발포시키고, 이것을 적당한 시간 숙성시킨 후 판 모양 또는 통 모양의 금형에 채우고 다시 가열하여 2차 발포에 의해 융착, 성형하여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고, 압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원료를 가열, 용융하고 연속적으로 압출, 발포시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며, 품질로서 비드법 제품은 표면의 입자 사이가 견고하게 융착 되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또 제품을 쪼개어 갈라진 면을 보았을 때 되도록 입자가 2개로 갈라지고 작은 입자의 접착면이 직접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압출법 제품은 균일한 다수의 독립 기포로 구성되며 표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라고 되어 있는바 통상의 비드법 및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는 화재 발생시 인화성이 강하여 인화시에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문제점등을 개선 하고자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1. (1). 물(H2 O) : 60중량% 에 (2).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 9중량% (3).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 4중량% (4).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 5중량% (5). 요소(urea) : 5중량% (6). 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 5중량% (7).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 : 3중량% (8). 계면활성제(또는 유화제) : 3중량% (9). 실리카 졸(산성 졸) : 3중량% (10).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 3중량%를 교반 용해한 조성물을 1차 침투 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온 25℃상에서 2-5시간 침지하여 스티로폼 입자와 입자사이에 침투시켜서 건조로에서 섭씨 50-60℃열풍으로 3-6시간 건조 후 1차 침투 완성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2. (1). 물(H2 O) : 60중량% 에 (2). 액상규산소다((sodium silicate) 또는 분말 규산소다 및 메타 규산소다)) : 11중량% (3). 실리카 졸 (알칼리 졸) : 5중량% (4).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 5중량% (5). 중탄산소다(sodium bicarbonate) : 9중량% (6). 카제인(casein, from milk) :5중량% (7). 계면활성제(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 : 5중량%를 교반 용해한 조성물을 2차 침투 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온 25℃상에서 2-5시간 침지하여 스티로폼 입자와 입자사이에 침투시켜서 건조로에서 섭씨 50-60℃열풍으로 3-6시간 건조후 2차 침투 완성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escription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종류는 제조방법 및 품질에 따라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로 구분 하는데 종래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은 원료 폴리스티렌(PS)에 발포제(부탄, 펜탄 가스함유)와 난연제(F, Cl, Br)등이 함유되어있는 EPS(Expand poly Styrene) 원료를 발포한 폴리스티렌에 난연 등급 3급 수준의 난연성을 부여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형상의 변화가 없고 난연 등급 1급 수준의 완전 불연성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관한 불연성 침투제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서,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1차 침투제의 조성물로서, 물(H2 O),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요소(urea), 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 계면활성제(또는 유화제), 실리카 졸(산성 졸),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을 교반 용해된 조성물을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입자와 입자사이에 침투(담지)시켜서 건조한 후 2차 침투 조성물로서, 물(H2 O), 액상규산소다(sodium silicate), 실리카 졸(알칼리 졸),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중탄산소다(sodium bicarbonate), 카제인(casein), 계면활성제를 교반 용해된 조성물을 1차 침투 건조한 스티로폼 입자와 입자사이에 침투(담지)시켜서 건조하여 완성한 불연성 발포 포리스티렌 보온재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차이로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에 본 조성물을 보다 용이하게 침투시키기 위하여 화학반응에 의하여 겔화 반응이 없는 성분을 구분하여 1차 불연성 침투제 와 2차 불연성 침투제를 수소이온농도(PH)에 따라 산성 과 알카리성 원료를 1차 침투 , 2차 침투로 구분 조성하였으며,상온 25℃에서 2-5시간 침투 후 건조로에서 섭씨 50-60℃ 열풍온도로 3-6시간 건조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조성물을 성형된 스티로폼 표면에서 스티로폼 내부로 침투가 용이 하게 하기 위하여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와 계면활성제(또는 유화제)를 첨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스티로폼 표면이 기포막이 형성되어 화재발생시에 형상의 변화가 없는 것이 그 특징인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1차 조성물로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1). 물(H2 O) : 60중량%에, (2).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 9중량%, (3).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 4중량%, (4).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 5중량%, (5). 요소(urea) : 5중량%, (6). 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 5중량%, (7).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 : 3중량%, (8). 계면활성제(또는 유화제) : 3중량%, (9). 실리카 졸(산성 졸) : 3중량%, (10).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 3중량%를 교반 용해한 조성물을 상온 25℃에서 2-5시간 침지(담지)한 후 건조로에서 섭씨 50-60℃열풍으로 3-6시간 건조 후 완성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실시예 2 )
실시예 1에서 1차 침투하여 건조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2차 침투제 조성물로서,
(1). 물(H2 O) : 60중량%에 , (2). 액상규산소다((sodium silicate)또는 분말 규산소다 및 메타 규산소다)) : 11중량%, (3). 실리카 졸(알칼리 졸) : 5중량%, (4).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 5중량%, (5). 중탄산소다(sodium bicarbonate) : 9중량%, (6). 카제인(casein, from milk) : 5중량%, (7). 계면활성제(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 : 5중량%를 교반 용해한 조성물을 상온 25℃에서 2-5시간 침지(담지)한 후 건조로에서 섭씨 50-60℃열풍으로 3-6시간 건조 후 완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중요 성분의 특징 및 화학적 성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은 18수화물로서 무색결정이며, 비중은 1.69 융점 86.5℃ 물에 녹으며, 알콜에는 녹지 않는다. 수소이온농도(PH)는 3 으로서 수돗물 정수, 소화기, 방수포로 주로 사용한다.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의 수소이온농도(PH)는 3으로서 목재등의 방부제로 사용하며, 난연성이 뛰어나며, 물에 녹는다.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은 목재방부제, 소화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며, 비중 1.569, 100℃에서 2H2 O를 잃고 가열하면 무수물이 안 되고, 가수분해 되며, 약 600℃에서 마그네시아가 된다.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으로는 1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monobasic)과 2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dibasic) 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인산암모늄을 사용하였으며, 무색무취, 공기중에 안정하고, 물에 녹으며, 190℃가열하면 물과 암모니아를 방출하여 소화제, 방화도료의 배합제, 난연제등, 수소이온농도(PH)조절 목적으로 식품첨가물에 사용하고 있으며, 수소이온농도(PH)는 3.0-4.4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성분으로서 규산소다(sodium silicate)는 수용성 규산염으로서, 불휘발분이 45%이상의 것을 사용하였고, 불연성 원료로 스티로폼에 피막을 형성하여 화재발생시에 스티로폼의 형상 변화 방지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카제인(casein)은 단백질로서 물에는 녹지 않아 규산소다(sodium silicate)에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에 의하여 물과 함께 용해 불연제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물이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용이하게 침투되지 않아 계면활성제로서 천연고분자 물질과 동,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한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티로폼 내부에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만들어진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로 1차, 2차 침투(담지) 하여 건조된 스티로폼은 화재발생시에 불연 피막형성으로 산소를 차단, 수분의 발생, 불활성가스의 발생으로 난연 등급 1급 불연제로서 불이 붙지 않고 스티로폼의 형상의 변형이 없는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

Claims (2)

  1.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1)물(H2 O) : 60중량%, (2).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 9중량%, (3).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 4중량%, (4).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 5중량%, (5). 요소(urea) : 5중량%, (6). 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 5중량%, (7). 기포제(polypeptide 계면활성제화합물) : 3중량%, (8), 계면활성제(또는 유화제) : 3중량%, (9). 실리카 졸(산성 졸) : 3중량%, (10).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 3중량%를 교반 용해하여 상온 25℃에서 2-5시간 침지(담지)한 후 건조로에서 섭씨 50-60℃ 열풍으로 3-6시간 건조 후 완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2. 비드법 및 압출법으로 성형된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에,
    (1). 물(H2 O) : 60중량%, (2). 액상규산소다((sodium silicate)또는 분말규산소다 및 메타규산소다)) : 11중량%, (3). 실리카 졸(알칼리 졸) : 5중량%, (4).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 5중량%, (5). 중탄산소다(sodium bicarbonate) : 8중량%, (6). 카제인(casein, from milk) : 5중량%, (7). 계면활성제(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 : 5중량%를 교반 용해하여 상온 25℃에서 2-5시간 침지(담지)한 후 건조로에서 섭씨 50-60℃열풍으로 3-6시간 건조 후 완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50080486A 2005-08-29 2005-08-29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69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86A KR100699592B1 (ko) 2005-08-29 2005-08-29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86A KR100699592B1 (ko) 2005-08-29 2005-08-29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306A true KR20050107306A (ko) 2005-11-11
KR100699592B1 KR100699592B1 (ko) 2007-03-23

Family

ID=3728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486A KR100699592B1 (ko) 2005-08-29 2005-08-29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5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03B1 (ko) * 2007-04-12 2008-04-28 권태열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 제조용 난연비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난연비드의 제조방법
WO2009133975A1 (en) * 2008-04-30 2009-11-05 Hyun-Kwang Kim Flame-retardant bead composition for producing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foam and method of producing flame-retardant beads using the same
KR101356568B1 (ko) * 2013-06-11 2014-01-28 엔에프에스(주) 형상변형이 방지되는 불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03B1 (ko) * 2007-04-12 2008-04-28 권태열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 제조용 난연비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난연비드의 제조방법
WO2009133975A1 (en) * 2008-04-30 2009-11-05 Hyun-Kwang Kim Flame-retardant bead composition for producing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foam and method of producing flame-retardant beads using the same
KR101356568B1 (ko) * 2013-06-11 2014-01-28 엔에프에스(주) 형상변형이 방지되는 불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592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8018A (zh) 一种聚苯乙烯颗粒防火保温板及其制备方法
JPS604235B2 (ja) 防火剤
KR101796067B1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포장용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스티로폼
KR100873652B1 (ko) 난연화 도포제, 이의 제조방법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 난연처리 방법
CN105693965A (zh) 一种硬质闭孔蜜胺泡沫及其制备方法
NO821994L (no) Brannherdige materialer.
US20150344656A1 (en) Fire-resistant polyurethane material and fire-resistant structure
KR20110126484A (ko)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KR100699592B1 (ko)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602205B1 (ko)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100529285B1 (ko) 난연 폴리스티렌 패널
CN105175918B (zh) 一种聚苯乙烯组合物及其制得的隔热复合板
KR20100120088A (ko) 불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입자로 제조된 불연성 스티로폴
KR20140006146A (ko)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20050090059A (ko) 불연성 스티로폼의 불연성 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0508B1 (ko)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CN104829796B (zh) 一种塑料用阻燃剂的制备方法
CN110607037A (zh) 一种改良型模塑聚苯乙烯泡沫材料
CN113372059A (zh) 一种无机硅隔声保温凝胶及其制造方法
KR200323680Y1 (ko) 난연 폴리스티렌 패널
CN110317365A (zh) 一种无烟可膨胀石墨阻燃剂的制备方法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0865177B1 (ko)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