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242A - 인조판재 - Google Patents

인조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242A
KR20050107242A KR1020040032866A KR20040032866A KR20050107242A KR 20050107242 A KR20050107242 A KR 20050107242A KR 1020040032866 A KR1020040032866 A KR 1020040032866A KR 20040032866 A KR20040032866 A KR 20040032866A KR 20050107242 A KR20050107242 A KR 20050107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reinforcement layer
artificial pl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구
Original Assignee
심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만구 filed Critical 심만구
Priority to KR102004003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242A/ko
Publication of KR2005010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HPREPARATION OF GLUE OR GELATINE
    • C09H11/00Adhesives based on glue or gela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5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넓이를 갖는 직물류나 지류등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을 혼합하고 이를 고형화시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피보강층을 형성하여 제작된 인조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조판재는 일정 넓이를 갖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이 물과 혼합 반죽되고 건조되어 일정 두께로 형성된 피보강층과, 상기 피보강층에 상기 보강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보강층은 직물류나 지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층에 피보강층과 보강층이 복수개 더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보강층과 피보강층이 일정한 굵기의 실로 박음질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순환적인 광물질로 혼합되고 제작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하고, 재료를 자연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천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조판재{ARTIFICIAL BOARD}
본 발명은 인조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넓이를 갖는 직물류나 지류등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을 혼합하고 이를 고형화시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피보강층을 형성하여 제작된 인조판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자재로 이용되는 판재는 원목을 일정 두께로 켜서 제작된 것으로, 가옥이나 빌딩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마감재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데,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후 외부 표면을 합성수지재나 무늬목등으로 접착하여 제작하여 건물의 내부 또는 외면의 겉면을 마감하는 데 쓰는 재료로써, 내 ·외부의 여러 가지 영향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건물의 외양을 아름답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판재나 마감재는 원목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방화, 방충, 방습, 보온등이 약하고, 사용 후 폐자재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판재나 마감재로 만들어진 가구를 사용한 후 폐기시, 또는 건물의 철거나 수리시에 다량의 산업쓰레기로 배출되어서 매립장으로 운반하여 매립함으로써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며, 상기 판재나 마감재가 합성수지재등 화학성분이 혼합되어 제작된 제품은 폐기시에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화재시에는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재산과 인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방화, 방충, 방습, 보온의 효과가 탁월한 새로운 형태의 황토와 광물질로 제작된 인조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벽에 곰팡이와 벌레, 좀등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건조물의 손상을 차단하고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인조판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한편, 건축재, 가구재, 판재, 실내 벽재 등에 온기를 발산하는 쌀풀을 혼합하여 보온효과를 상승시키는 기능 또는 보릿가루풀을 혼합하여 한기를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조판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조판재는 일정 넓이를 갖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이 물과 혼합 반죽되고 건조되어 일정 두께로 형성된 피보강층과, 상기 피보강층에 상기 보강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보강층은 직물류나 지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층에 피보강층과 보강층이 복수개 더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보강층과 피보강층이 일정한 굵기의 실로 박음질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보강층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가 더 삽입되거나, 보강재료가 더 포함되어 혼합되며, 상기 보강재료는 목화솜, 대마의 껍질, 마닐라삼의 껍질, 펄프, 닥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진다.
또한, 상기 보강재료에 방향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물질은 규조토, 고령토, 유황, 게르마늄석, 맥반석,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지고, 상기 피보강층은 접착제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접착제는 송진 또는 아교나, 습도조절 기능이 있는 오동나무 분쇄물과, 발균 및 방충의 기능이 있는 은행나무 분쇄물에 온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쌀풀이 더 혼합되거나, 한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보릿가루풀이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경도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역, 다시마, 파래등의 해조류를 사용하여 제조된 해조류 접착제 또는 화학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보강층에 접합제인 시멘트를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조판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재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재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류나 지류로 형성된 보강층(20)과, 상기 보강층(20)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이 물과 혼합 반죽되고 건조되어 형성된 피보강층(10)과, 상기 피보강층(10)에 상기 보강층(20)이 더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층(20)은 직물인 경우에는 삼베나 무명, 명주 또는 합성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보강층(10)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고, 물과 혼합되고 건조된 경우 일정한 강도를 갖는 광물의 분말로 규조토, 고령토, 유황, 게르마늄석, 맥반석, 석회석, 시멘트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보강층(10)에는 접합제인 시멘트를 더 포함시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황토는 다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며 쉽게 부셔지지 않고 점력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는 주지된 바와 같이 석영, 장석, 운모, 탄산염광물인 각섬석, 인회석, 흑운모, 녹니석, 남정석, 녹렴석, 석류석, 휘석, 금홍석, 규선석, 십자석, 전기석, 지르콘등과 같은 중광물들로 구성되어 있고, 화학적으로는 실리카, 철분, 알루미나,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석회를 포함하며,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미녹등등 다양한 색상을 지닌다. 또한 황토는 항습작용, 보온작용, 통풍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성으로 제독작용, 항균작용 및 지혈작용, 응고작용, 살균작용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상기 광물질 중에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재료가 있으며, 상기 시멘트가 포함된 경우에는 판재의 강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는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보강층(10)과 보강층(20)이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에 추가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피보강층(10)과 보강층(20)의 적층된 수가 증가됨에 따라 판재의 무게와 두께가 증가됨으로 판재가 쓰여지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는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인조판재의 피보강층(10)에 보강재(30)가 더 삽입되어 판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서로 평형되게 구성하거나 서로 교차되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30)는 목재, 금속재, 합성수지재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목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향상되지만, 가공성이 떨어지며,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는 상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를 실(40)로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도록 박음질하여 제작된다.
상기 실(40)은 박음질을 하는 경우에 보강층(20) 및 피보강층(10)과의 마찰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지닌 섬유재, 합성섬유재, 금속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피보강층(10)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료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보강재료로는 목화솜을 5∼50 mm 상태로 세절하거나, 또는 대마, 마닐라삼의 껍질, 펄프, 닥나무를 5∼50 mm 상태로 세절한 것을 선택하여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목화솜은 흡습성, 보온성이 뛰어나고 탄력성이 우수하여 복원력이 풍부하며, 물과 함유되면 뭉치고 단단해지는 특성이 있고, 상기 대마는 마직물로서 물의 흡수나 발산이 빠르고 습윤시에는 강도가 더 좋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습식조건에서 뿐만 아니라 건식조건에서도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료에는 방향성분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송화가루나 허브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보강층(10)은 접착력과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더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송진, 아교, 해조류접착제 및 기능성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화학접착제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환경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송진 또는 아교는 자연과 친화적인 접착제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접착제는 미역, 다시마, 파래 등의 해조류를 물과 40 : 60 의 중량비율로 하여 4∼8시간을 끓여서 제조된 것으로 해조류의 성분으로 인해 더욱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기능성 접착제는 습도조절기능치 있는 오동나무나 오동나무잎의 분쇄물과, 벌레등의 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기능과 방균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은행나무나 은행나무잎의 분쇄물로 형성된 접착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에는 온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쌀풀을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한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보릿가루풀이나 밀가루풀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온기를 발산하거나, 냉기를 발산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냉방용과 난방용으로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조판재는 사용 후 폐기 시에 천연소재로 제조되어 토양에서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 시에는 퇴비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황토를 주성분으로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불연성 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순환적인 광물질로 혼합되고 제작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하고, 재료를 자연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천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능성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냉방용과 난방용으로 각각 제조할 수 있어 사용 용도에 따라 냉방효과와 난방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강재료인 섬유질의 목화솜, 대마, 마닐라삼, 펄프, 닥나무 중에서 선택하여 혼합함으로써 재료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고, 방향성분을 추가하여 다양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환경 오염이 없고,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난연성 판재를 얻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주택과 생활공간의 공기를 맑고 깨끗하게 유지시켜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인간에게 제공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자연에서 얻어지는 광물질등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함으로서 사용후 폐기시에 버리는 그 쓰레기를 작물을 재배하는 논과 밭에 양질의 퇴비로 사용할 수 있고, 자연친화적으로 순환이 되기 때문에 건축폐기물로 인한 토양오염을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인조판재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피보강층 20: 보강층
30: 보강재 40: 실

Claims (14)

  1. 일정 넓이를 갖는 보강층(20)과, 상기 보강층(20)의 일측면에 황토와 분말상의 광물질이 물과 혼합 반죽되고 건조되어 일정 두께로 형성된 피보강층(10)과, 상기 피보강층(10)에 상기 보강층(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20)은 직물류나 지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20)에 피보강층(10)과 보강층(20)이 복수개 더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20)과 피보강층(10)은, 일정한 굵기의 실로 박음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강층(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30)가 더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강층(10)은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료가 더 포함되어 혼합되고,
    상기 보강재료는 목화솜, 대마의 껍질, 마닐라삼의 껍질, 펄프, 닥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료에 방향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은 규조토, 고령토, 유황, 게르마늄석, 맥반석,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강층(10)은 접착제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송진, 아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습도조절 기능이 있는 오동나무 분쇄물과, 방균 및 방충의 기능이 있는 은행나무 분쇄물에 온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쌀풀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습도조절 기능이 있는 오동나무 분쇄물과, 방균 및 방충의 기능이 있는 은행나무 분쇄물에 한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보릿가루풀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경도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역, 다시마, 파래등의 해조류를 사용하여 제조된 해조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경도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강층(10)에 시멘트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판재.
KR1020040032866A 2004-05-06 2004-05-06 인조판재 KR20050107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6A KR20050107242A (ko) 2004-05-06 2004-05-06 인조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6A KR20050107242A (ko) 2004-05-06 2004-05-06 인조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42A true KR20050107242A (ko) 2005-11-11

Family

ID=3728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66A KR20050107242A (ko) 2004-05-06 2004-05-06 인조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2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43B1 (ko) * 2007-03-23 2008-11-26 손수민 향기나는 인조목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43B1 (ko) * 2007-03-23 2008-11-26 손수민 향기나는 인조목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7810T3 (es) Método para formar un producto de celulosa resistente al fuego, y aparato asociado
KR101312864B1 (ko) 건축용 미장재
CN100556633C (zh) 环保防火植物纤维密度板的生产方法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25312A (ja) 板材組成物,板材の製造方法,板材
KR100237363B1 (ko) 황토(黃土)를 주재료로 한 건축용 미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50107242A (ko) 인조판재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101175703B1 (ko) 편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083743B1 (ko) 천연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미장재 및 이를 이용한 미장 공법
KR20050107243A (ko) 인조목
KR200354697Y1 (ko) 초목분쇄물과 광물질로 제작된 인조목 및 마감재
KR200234846Y1 (ko) 황토보드
KR100946974B1 (ko) 황토 세라믹 우드칩 판넬의 제조방법
KR20170122553A (ko) 버섯균을 바인더로 활용한 불연 및 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천연 단열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08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KR200336938Y1 (ko) 목조주택용 벽체
KR100427953B1 (ko) 초목분쇄물과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판재와 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3982B1 (ko) 솔잎으로 보강된 석고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고판재 제조방법
KR20060008188A (ko) 골판지형 인조판재
KR20040038954A (ko) 초목분쇄물과 광물질로 제작된 인조목 및 마감재
KR102263580B1 (ko) 건축물 벽면 부착용 기능성 초배지
KR100892084B1 (ko) 목질계 특성을 구비한 점토조성물
JP2001287979A (ja) 小麦ふすまを利用した建材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